KR101251341B1 -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341B1
KR101251341B1 KR1020120088938A KR20120088938A KR101251341B1 KR 101251341 B1 KR101251341 B1 KR 101251341B1 KR 1020120088938 A KR1020120088938 A KR 1020120088938A KR 20120088938 A KR20120088938 A KR 20120088938A KR 101251341 B1 KR101251341 B1 KR 10125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ing
shoe
air tub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혁
권시혁
Original Assignee
권시혁
권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시혁, 권동혁 filed Critical 권시혁
Priority to KR102012008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341B1/ko
Priority to PCT/KR2013/005210 priority patent/WO20140277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을 이루는 신발 몸체의 저면에서 유입되는 에어를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 시킬 수 있도록 에어로(120)를 갖는 신발 밑창(100); 상기 신발 밑창(100)의 후방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완충력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로(120)를 통해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공급하게 되는 에어 쿠션(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발 후방에 스프링이 위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시 탄성력을 통해 완충력과 함께 이를 통한 펌핑력으로 신발 내부에 에어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a spring shoes able to air circulating}
본 발명은 완충력을 갖는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통해 완충력을 갖는 신발에 있어 완충력 발생시 유입되는 에어가 신발 내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완충력 제공과 함께 신발 내부의 에어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완충 신발은, 신발의 후방 저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을 제공하여서 된 것으로 착용자가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이는 착용자가 걷거나 뛸 때 스프링 탄성력에 의한 점핑력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어린이들에 의해 유희용으로 적용되어 왔으나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움직임을 반복하는 경우 일반적인 운동화 착용시 보다 많은 운동량을 얻을 수 있어 최근에는 운동시간이 부족한 성인층에 의해 많은 운동력 또는 다이어트 용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의 완충 신발을 보면 다양한 아이디어 제시를 통해 다양한 구조로 변화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신발의 밑창과 지면에 밀착되는 밑판 사이에 스프링을 위치시킨 후 스프링의 완충력을 통해 운동 효과 및 유희 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운동자의 경우 신발 내부에 온도차에 의한 습기 및 이로인해 발냄새 등이 발생되어 운동중에도 자주 벗고 말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 신발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고자 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8116호 "신발밑창과 신발밑창용 에어펌프와 에어펌프가 일체로 구비된 신발밑창"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발가락 접지부에 형성된 통공과 뒷축부 저면에 형성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깔창과; 상기 깔창의 뒷축부 저면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공쪽으로 배출시키는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를 덮어 상기 깔창에 밀착시키는 외부덮개;로 구성되어 신발내 뒷축부의 공기를 발가락 접지부로 안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착용자의 보행시 늦고 빠름에도 에어펌프가 착용자의 보행 속도에 맞추어 동작되어야 하는데 디딤력이 강한 경우 에어펌프가 온전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252호 "에어 튜브를 형성한 신발의 바닥창" 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공기 유입과 배출을 위한 공기 밸브를 형성한 공기 유입관과, 상기의 공기 유입관을 결합한 공기 유입구 및 공간부를 형성한 에어 튜브와, 상기의 에어 튜브와 공기 밸브가 외부로 표현되도록, 에어 튜브 바깥쪽으로 일체로 성형하는 합성수지로 바닥창을 결합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닥창의 경우도 전자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보행 속도에 맞추어 에어 튜브가 수축과 복원을 반복해야 하는데 보행 속도에 맞추어 복원력을 발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12180호 "신발용 에어 솔" 공개일, 2011년 2월 9일 실용신안등록 제20-0278189호 "에어펌핑 신발" 공개일, 2002년 6월 20일 실용신안등록 제20-0362056호 "쿠션 기능을 가지는 에어 펌프 신발" 공고일, 2004년 9월 16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신발몸체의 후방에 스프링이 위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시 탄성력을 통해 완충력과 함께 이를 통한 펌핑력으로 신발 내부에 에어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신발 후방에 위치되는 스프링이 에어 튜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을 보호하는 에어튜브가 필요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신발 착용후 보행시 신발 내부로 에어가 고르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발 냄새는 물론 착용감을 증진 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을 이루는 신발 몸체의 저면에서 유입되는 에어가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향하도록 에어로를 갖는 신발 밑창; 상기 신발 밑창의 후방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완충력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로를 통해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공급하게 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쿠션은, 상기 신발 밑창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의 내측에 위치되며 내외경이 상향으로 점차 축소형태를 이루는 스프링과, 상기 에어 튜브의 압축후 복원시 에어를 유입시키는 유입홀 및 상기 에어로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홀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한다.
상기 에어 튜브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 바닥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스프링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측 개방구에 상기 에어 튜브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스프링 걸림홈을 갖는 상부판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적용한다.
상기 에어로는, 입구가 상기 에어 튜브의 공급홀과 연통되고, 출구가 상기 신발 밑창의 상면으로 연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출구가 상기 신발 밑창의 상면에 형성된 에어의 출구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복수 갈래를 가지며 배열 형성되는 에어 공급라인과 연통되는 것을 적용한다.
상기 에어로의 공급홀 및 유입홀에 일방향 밸브가 각각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홀에 에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첫째; 신발 몸체의 후방 저면에 에어튜브와 스프링이 위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시 탄성력을 통해 완충력과 함께 이를 통한 펌핑력으로 신발 내부에 에어가 순환됨에 따라 착용자의 발바닥 완충력과 함께 냄새 방지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둘째; 신발 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스프링이 외부로부터 가려져 조립됨에 따라 신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신발 몸체의 착용후 보행시 신발 내부로 에어가 고르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발 냄새는 물론 착용감을 증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평면 요부도,
도 6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분리 구성도,
도 8은 도 6에서 에어튜브 내측으로 에어가 유입되는 과정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에어튜브로 유입된 에어가 신발 내부로 전달되는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1에서 에어쿠션이 교체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보행 등에 의한 하중 발생시 신발의 저면이 착용자에게 완충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신발 내부로 에어가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에어 공급용 완충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신발을 이루는 신발 몸체의 저면에서 유입되는 에어가 신발 몸체의 상면으로 이동하여 발바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에어로(120)를 갖는 신발 밑창(100)과, 상기 신발 밑창(100)의 후방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완충력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로(120)를 통해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공급하게 되는 에어 쿠션(200)을 포함한다.
상기 신발 밑창(10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한 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져 신발 몸체의 밑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상기 신발 밑창(100)의 저부와 연통하는 에어로(12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 쿠션(200)은, 상기 신발 밑창(100)의 후방 저면에 체결구(25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에어 튜브(220)와, 상기 에어 튜브(220)의 내측에 위치되며, 내외경이 상향으로 점차 축소형태를 이루는 스프링(230)과, 상기 에어튜브(220)의 압축후 복원시 에어를 유입시키는 유입홀(222) 및 상기 에어로(120)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홀(2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구(250)는 상기 에어 쿠션(200)을 고정하는 것으로 분리시 상기 체결구(250)를 풀림시키면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에어 튜브(220)는,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소재,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 바닥면에 상기 스프링(230)의 하단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스프링 안내홈(226)이 형성되고, 상측 개방구에 상기 에어 튜브(220)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스프링(230)의 상단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스프링 걸림홈(320)을 갖는 상부판(30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로(120)는, 입구가 상기 에어 튜브(220)의 내측 공급홀(224)과 연통되고, 출구가 상기 신발 밑창(100)의 상면으로 연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출구가 상기 신발 밑창(100)의 상면에 상기 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으로 복수 갈래를 가지며 배열 형성되는 에어 공급라인(400)과 연통된다.
상기 에어 공급라인(400)은 상기 에어로(120)와 연통되는 중심라인(410)과 상기 중심라인(410)을 중심으로 양쪽을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라인(412)으로 이루어져 신발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신발 밑창(100)의 상면에는 에어 틈새를 갖는 섬유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깔창이 올려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어쿠션(200)의 쿠션력에 의한 에어가 에어공급라인(400)으로 이동하면서 깔창을 통해 신발 몸체(100)의 내부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에어로(120)의 공급홀(224) 및 유입홀(222)에는 일방향 밸브(420)(440)가 각각 제공되어 상기 에어 튜브(220)의 복원력에 의해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가 압축에 의해 상기 신발 밑창(100)의 상면에 형성된 에어로(120)로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일방향 밸브(420)(440)는, 에어가 한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공지의 기술 원리와 동일한 밸브를 말한다. 즉, 일방향 밸브(420)는 에어 튜브(220)의 내측 에어를 신발 밑창(100)의 에어로(120)를 통해 신발 밑창(100)의 상면으로만 이동되도록 하고, 일방향 밸브(440)는 에어가 상기 에어 튜브(22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만 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에어 튜브(220)가 압축시 에어가 상기 에어로(120) 방향으로 향하도록 일방향 밸브(420)가 개방되고 상기 에어 튜브(220)의 압축 완료후 복원력 발생시 일방향 밸브(420)는 닫히고, 일방향 밸브(440)이 개방되어 압력을 통해 에어를 에어 튜브(220)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224)에는 상기 일방향 밸브(440)와 동시에 필터(500)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홀(224)로 유입되는 에어가 필터(500)를 통해 필터링된 상태에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홀(224)은 신발 몸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신발 몸체(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경우 에어를 순환시키게 된다.
도면중 부호 250은 체결구이며, 상기 체결구(250)는 조임시 상기 상부판(300)의 중심 나사홀(35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신발 몸체(100)에 상기 에어쿠션(200)이 결합되도록 하게 되며, 풀림시 상기 에어쿠션(200)을 상기 신발 몸체(100)로 부터 분리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판(300)은, 상하 플레이트(301)(302)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 플레이트(301)는 상기 신발 몸체(100)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고, 하 플레이트(302)는 상기 에어튜브(220)의 상면을 커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에어 쿠션(200)을 상기 신발 몸체(100)로부터 분리시 적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 플레이트(301)의 저면에 걸림돌기(304)와 걸림홈(303)이 그리고, 상기 하 플레이트(302)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304)와 걸림홈(303)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져 걸림상태로 고정되는 걸림홈(306)과 걸림돌기(305)가 형성된다.
즉,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 플레이트(302)의 후방 돌출부에 형성된 걸림홈(306)이 상기 상 플레이트(301)의 저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돌기(304)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하 플레이트(302)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돌기(305)가 상기 상 플레이트(301)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홈(303)에 통과되면서 탄성변형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탈 방지 상태로 걸림 고정되게 된다.
이는, 상기 에어튜브(220)이 결합되는 상기 하 플레이트(302)가 상기 신발 밑창(100)에 결합된 상기 상 플레이트(30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고정되어져 상기 에어튜브(22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도면중 부호 280은 상기 에어튜브(220)의 저면을 밀폐 및 보강시키기 위한 것이고, 도면부호 282은 보호판으로 상기 에어튜브(200)의 저면을 보호 및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공급용 완충신발의 조립 및 착용 상태 그리고 교체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의 도시에 의하여 조립시 신발 밑창(100)의 저면 후방 위치에 에어쿠션(200)을 제공하여서 되는 것이며, 체결구(250)를 통해 조임시켜 상기 에어쿠션(200)을 고정하면 된다.
상기한 에어 공급용 완충신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시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발 몸체(100)의 저면 후방에 상부판(300) 중 상 플레이트(301)를 고정시키고 이후, 에어쿠션(200)의 상측에 제공된 상부판(300)의 하 플레이트(302)를 결합시킨 다음, 연속해서 신발 몸체(100)의 내측에 체결구(250)를 조임시키면 상기 체결구(250)가 상부판(300)의 중심 나사홀(350)에 결합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사용시에는 도 7 내지 도 9의 도시에 의하여 에어튜브(220)에 제공된 스프링(230)이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축력이 발생 즉, 착용자가 발을 디딤하게 되면, 이때 상기 에어튜브(220)의 내측에 유입되어 있는 에어가 상기 에어튜브(220)의 수축작용에 의해 공급홀(224)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급홀(224)에 위치한 일방향 밸브(420)를 통해 에어로(120) 및 에어공급라인(400)을 통해 착용자의 발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일방향 밸브(440)은 닫힘상태가 된다.
이후, 착용자가 발을 지면으로부터 들게 되면 신발 몸체(100)의 디딤력이 제거되고 이때, 스프링(230)은 복원력을 발생하며 초기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에어튜브(220)가 팽창되면서 유입홀(222)의 일방향 밸브(440)를 통해 에어가 유입되게 되고 동시에 유입되는 에어는 필터(500)에 의해 냄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에어튜브(220) 내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에어가 에어튜브(220)의 에어를 통해 신발 몸체내를 순환하게 되어 착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돕게 된다.
한편, 에어쿠션(200)을 교체시키고자 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구(250)를 풀림시킨 상태에서 에어쿠션(200)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판(300)의 하 플레이트(302)를 상기 신발몸체(100)의 저면에 고정된 상 플레이트(301)로부터 분리시킨 후 교체하면 된다.
100: 신발 밑창
120: 에어로
200: 에어 쿠션
220: 에어 튜브
222: 유입홀 224: 공급홀
226: 스프링 안내홈 250: 체결구
300: 상부판
320: 스프링 걸림홈
400: 에어 공급라인
410: 중심 라인 412: 분기 라인
420,440: 일방향 밸브
500: 필터

Claims (6)

  1. 신발을 이루는 신발 몸체의 저면에서 유입되는 에어를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 시킬 수 있도록 에어로(120)를 갖는 신발 밑창(100)과; 상기 신발 밑창(100)의 후방 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완충력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 에어를 상기 에어로(120)를 통해 착용자의 발바닥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신발 밑창(100)의 후방 저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에어 튜브(220)와, 상기 에어 튜브(220)의 내측에 위치되며 내외경이 상향으로 점차 축소형태를 이루는 스프링(230)과, 상기 에어 튜브(220)의 압축후 복원시 에어를 유입시키는 유입홀(222) 및 상기 에어로(120)에 에어를 공급하는 공급홀(224)로 이루어지는 에어 쿠션(20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튜브(220)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 바닥면에 상기 스프링(230)의 하단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스프링 안내홈(226)이 형성되고, 상측 개방구에 상기 에어 튜브(220)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스프링(230)의 상단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스프링 걸림홈(320)을 갖는 상부판(30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상부판(300)이, 상하 플레이트(301)(302)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 플레이트(301)가 상기 신발 몸체(10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하 플레이트(302)가 상기 에어튜브(220)의 상면을 커버하게 되며, 상기 상 플레이트(301)의 저면에 걸림돌기(304)와 걸림홈(303)이 그리고, 상기 하 플레이트(302)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304)와 걸림홈(303)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걸림상태로 고정되는 걸림홈(306)과 걸림돌기(305)가 형성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88938A 2012-08-14 2012-08-14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KR10125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38A KR101251341B1 (ko) 2012-08-14 2012-08-14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PCT/KR2013/005210 WO2014027744A1 (ko) 2012-08-14 2013-06-12 분리형 에어 쿠션을 갖는 스프링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938A KR101251341B1 (ko) 2012-08-14 2012-08-14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341B1 true KR101251341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938A KR101251341B1 (ko) 2012-08-14 2012-08-14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51341B1 (ko)
WO (1) WO20140277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5574A (zh) * 2015-03-01 2015-05-13 王玉立 一种保健缓震鞋底
KR101713681B1 (ko) 2016-03-02 2017-03-08 권동혁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02A (ja) * 1993-05-12 1995-01-27 Fukuoka Kagaku Kogyo Kk 換気靴
KR200278221Y1 (ko) 2002-03-20 2002-06-14 노진구 흡, 배기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펌프 및 이를 이용한신발의 배기구조
KR100693282B1 (ko) * 2006-03-09 2007-03-14 서우승 탈착 가능한 뒷굽이 구비된 신발
KR20080069113A (ko) * 2007-01-22 2008-07-25 박철수 충격흡수용 에어배출 아웃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02A (ja) * 1993-05-12 1995-01-27 Fukuoka Kagaku Kogyo Kk 換気靴
KR200278221Y1 (ko) 2002-03-20 2002-06-14 노진구 흡, 배기밸브가 일체로 형성된 에어펌프 및 이를 이용한신발의 배기구조
KR100693282B1 (ko) * 2006-03-09 2007-03-14 서우승 탈착 가능한 뒷굽이 구비된 신발
KR20080069113A (ko) * 2007-01-22 2008-07-25 박철수 충격흡수용 에어배출 아웃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5574A (zh) * 2015-03-01 2015-05-13 王玉立 一种保健缓震鞋底
CN104605574B (zh) * 2015-03-01 2016-03-23 王玉立 一种保健缓震鞋底
KR101713681B1 (ko) 2016-03-02 2017-03-08 권동혁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WO2017150905A1 (ko) * 2016-03-02 2017-09-08 권동혁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744A1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168B1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US20160249706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inflation system
US20180027920A1 (en)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KR101713681B1 (ko) 에어 펌핑 기능을 갖는 스프링 쿠션 신발
KR101251341B1 (ko) 분리형 에어 쿠션를 갖는 스프링 신발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100552090B1 (ko) 신발
KR200213819Y1 (ko) 신발창
KR100825008B1 (ko) 신발창
KR0180294B1 (ko) 공기순환식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461331B1 (ko) 기능성 신발
KR100343789B1 (ko)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200354194Y1 (ko) 신발밑창
RU2793534C2 (ru) Подошва для защитной обув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подошвы
KR200370233Y1 (ko) 악취방지 신발에 구비된 공기방출펌프
US20170273394A1 (en) Shoe having a transversal air passagew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5677B1 (ko) 쇼바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305811Y1 (ko) 공기 순환용 자동 구슬밸브가 내장된 신발
KR200365768Y1 (ko) 공기순환식 신발용 깔창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0031374A (ko) 중창을 이용한 신발용 통풍장치
KR100940012B1 (ko) 충격 완화 및 통풍 기능을 가지는 신발
US20220007783A1 (en) Outsole for safety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out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