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317B1 -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317B1
KR101251317B1 KR1020110116164A KR20110116164A KR101251317B1 KR 101251317 B1 KR101251317 B1 KR 101251317B1 KR 1020110116164 A KR1020110116164 A KR 1020110116164A KR 20110116164 A KR20110116164 A KR 20110116164A KR 101251317 B1 KR101251317 B1 KR 10125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hologram
processor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훈 filed Critical 정재훈
Priority to KR102011011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간상에 홀로그램으로 키패드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도어락 개방정보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과 방범성을 증가시킨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2파장 레이저에 의해 공간상에 도어 개방정보의 입력을 위한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을 공간상에 형성하는 홀로그램 조사기; 상기 홀로그램 키패드로부터 반사되는 특정위치에서의 레이저 광을 입사받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번호를 확인하고, 저장된 도어락 개방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도어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도어락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락을 개방하는 록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Door lock using hologram}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간상에 형성되는 홀로그램 키패드를 통해 도어락 개방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과 방범을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도록 한 도어락을 많이 이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어 근방의 벽체에 부착된 도어락의 키패드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고, 비밀번호가 일치되면 도어락의 록킹이 해제되어 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도어락의 경우에는 키패드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키패드의 잦은 접촉에 따라 흔적이 남게 되어 타인에게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에 지문이 남아 있거나 또는 버튼이 마모되어 쉽게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가 노출되고, 비밀번호의 자릿수가 4자리인 경우 노출된 숫자에 의해 쉽게 비밀번호 조합이 가능하므로 보안성과 방범성이 매우 떨어지게 된다.
또한,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쉽게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간상에 홀로그램으로 키패드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도어락 개방정보인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과 방범성을 증가시킨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2파장 레이저에 의해 공간상에 도어 개방정보의 입력을 위한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을 공간상에 형성하는 홀로그램 조사기;
상기 홀로그램 키패드로부터 반사되는 특정위치에서의 레이저 광을 입사받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번호를 확인하고, 저장된 도어락 개방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도어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도어락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락을 개방하는 록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홀로그램 영상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도어락 개폐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락에 개폐정보의 물리적 접촉에 따른 흔적이 남지 않게 되어 보안성과 방범성이 매우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어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3은 촬상소자에 형성되는 촬상영상의 예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어하는 제어블록의 구성을 보인 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설치된 구조를 보인 도로서, 도어(100)의 측부에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300)을 공간상에 형성하도록 하며, 그 입력에 따라 도어(100)를 개방시키는 도어락(2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락(200)은 그 전면부에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300)을 형성하기 위한 홀로그램 조사기(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홀로그램 조사기(210)는 1파장의 레이저 광을 직접파와 물체파로 나누어 서로 위상을 다르게 출사함으로써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도어락(200)의 전면 공간상에 '1~9', 그리고, '*'과 '#'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30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홀로그램 조사기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도2는 이렇게 형성된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300)을 통해 도어락 개방정보인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식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어락(200)의 전면부 공간상에 형성되는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300)을 보면서 손가락을 해당 버튼의 영상 위치에 위치시키면,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된 특정 위치의 레이저 광은 센서부(220)로 입사되어 그 손가락의 위치정보가 확인된다.
상기 센서부(220)는 필터(221)와 렌즈(222), 그리고 촬상소자(223)로 구성되어 있어서, 필터(221)를 통해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의 파장만 필터링되고, 렌즈(222)에 의해 촬상소자(223)의 특정 위치에 레이저 광이 응집됨으로써 도3에서와 같이 촬상소자(223)의 촬상면의 특정위치에 반사광이 맺히게 된다.
촬상소자(223)는 예를들어 그 촬상면을 도3에서와 같이 '1~9', '*', "#'의 버튼을 갖는 구획으로 분할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고, '5'번 위치에서 반사광(224)이 맺혀 있으므로, '5'번이 입력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240)는 촬상소자(22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5'번이 입력된 것을 판단한 다음 자체 메모리(241)에 저장된 도어(100) 개방 정보인 비밀번호와의 배열순서 및 자릿수를 비교하게 된다.
즉, 연속적으로 4자리의 비밀번호가 입력된다면, 프로세서(240)는 메모리(241)에 입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록킹부(260)로 도어락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어(10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번호가 입력될 때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하는 사람에게 청각적으로 입력상태를 확인시키기 위하여 버튼음 출력부(250)를 통해 버튼음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도어락(200)의 전면부에 항시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300)을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락(200)에는 인에에블부(230)가 구비되는데, 예를들어 근접센서, 출입카드 확인용 RF수신기, 생체신호 확인센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에이블부(230)로부터 입력이 확인되면, 프로세서(240)는 비로소 인에이블 되어 홀로그램 조사기(210)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프로세서(240)는 도어(100)의 개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의 제어반에 송신부(27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100 : 도어 200 : 도어락
210 : 홀로그램 조사기 220 : 센서부
221 : 필터 222 : 렌즈
223 : 촬상소자 224 : 반사광
230 : 인에이블부 240 : 프로세서
214 : 메모리 250 : 버튼음 출력부
260 : 록킹부 270 : 송신부
300 :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

Claims (3)

  1. 2파장 레이저 광에 의해 공간상에 도어 개방정보의 입력을 위한 홀로그램 키패드 영상을 공간상에 형성하는 홀로그램 조사기;
    상기 홀로그램 키패드로부터 반사되는 특정위치에서의 레이저 광을 입사받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부터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번호를 확인하고, 저장된 도어락 개방 정보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도어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도어락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락을 개방하는 록킹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인에이블부를 더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인에이블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홀로그램 조사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홀로그램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파장만을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필터링된 레이저 파장을 응집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파장을 촬영하는 촬상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KR1020110116164A 2011-11-09 2011-11-09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KR10125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164A KR101251317B1 (ko) 2011-11-09 2011-11-09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164A KR101251317B1 (ko) 2011-11-09 2011-11-09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317B1 true KR101251317B1 (ko) 2013-04-05

Family

ID=4844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164A KR101251317B1 (ko) 2011-11-09 2011-11-09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08B1 (ko) * 2019-05-28 2020-08-04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가상 키 입력을 이용한 전자락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락 금고
KR20220110042A (ko) 2021-09-01 2022-08-05 주식회사 이니테크 홀로그램 키패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455A (ja) 2002-12-13 2004-07-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ホログラム・キーおよびその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455A (ja) 2002-12-13 2004-07-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ホログラム・キーおよびその読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308B1 (ko) * 2019-05-28 2020-08-04 주식회사 디프로매트 가상 키 입력을 이용한 전자락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락 금고
KR20220110042A (ko) 2021-09-01 2022-08-05 주식회사 이니테크 홀로그램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1046B (zh) 光学指纹传感器及封装
JP5851385B2 (ja) 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認証方法
US7652685B2 (en) Iris image captur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US8244006B2 (en) Finger vein image inputting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302844B1 (ko) 정맥 패턴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US11754857B2 (en) Eye-mounted authentication system
US7176973B2 (en) Iris camera module
US20110242304A1 (en) Biometeric authentication apparatus
AU201622922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of a unique user and authorization of the unique user
CN108109230A (zh) 一种用手机录入和维护生物特征信息的新型智能门禁或锁柜系统
KR101251317B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KR20190008474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금고의 잠금장치
JP2004515850A (ja) 生物測定データによって機能を制御する装置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4101A (ko) 도어락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5595A (ko) 카메라를 장착한 도어락
JP2016522487A (ja) 手の静脈パターンを記録するセンサ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27362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금고의 잠금장치
US10852694B2 (en) NB controller and form factors
KR2017007310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CN107170073B (zh) 生物辨识门锁系统
KR102111697B1 (ko)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전자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M491703U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JP2005242593A (ja) 個人認証装置
KR20160082650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