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815B1 - 등기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등기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815B1
KR101250815B1 KR1020120147698A KR20120147698A KR101250815B1 KR 101250815 B1 KR101250815 B1 KR 101250815B1 KR 1020120147698 A KR1020120147698 A KR 1020120147698A KR 20120147698 A KR20120147698 A KR 20120147698A KR 101250815 B1 KR101250815 B1 KR 10125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ns
luminaire
pi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투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투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투에스
Priority to KR102012014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wall or like vertical structure, e.g. building fa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다수의 단자들이 형성된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할때, 이웃하는 등기구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마주하는 단자들을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구성하므로서, 등기구 연결시 연결부재가 등기구의 내부로 매립되면서 설치되므로 일렬로 배치되는 등기구를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되고, 작업자가 연결부재를 등기구의 양측에 끼워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등기구의 단자들이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됨에 따라 배선 잘못으로 인한 제품불량 현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등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기구 연결장치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등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다수의 단자들이 형성된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할때, 이웃하는 등기구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마주하는 단자들을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구성하므로서, 등기구 연결시 연결부재가 등기구의 내부로 매립되면서 설치되므로 일렬로 배치되는 등기구를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되고, 작업자가 연결부재를 등기구의 양측에 끼워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등기구의 단자들이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됨에 따라 배선 잘못으로 인한 제품불량 현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등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의 등기구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등기구는 바 형상의 메인바디(1)로 이루어지고, 메인바디(1)의 양측에는 단자케이스(2)가 결합되며, 단자케이스(2)의 상부에는 서로 램프 설치를 위한 램프설치대(3)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자케이스(2)의 외측에는 연결부재(10)가 끼워지기 위한 삽입홈(4)이 형성되며, 삽입홈(4)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 1 단자(6)들로 이루어진 커넥터(5)가 형성된다.
제 1 단자(6)는 콘트롤단자(P1,P2), 제 1 전원단자(AC-L)(P3), 제 2 전원단자(AC-N)(P4), 접지단자(P5)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인바디(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단자케이스(2)의 제 1 단자(6) 들은 동일한 형상이면서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콘트롤단자(P1,P2)는 디밍제어, 점멸제어 등 등기구에 설치된 램프의 밝기, 점멸주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선이며, 제어방식에 따라 콘트롤단자는 더 늘어나거나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하고자 할 때 이웃하는 등기구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10)가 구비되는데,
연결부재(10)는 전선(11)의 양측에 연결커넥터(12)를 결합하되, 연결커넥터(12)에는 커넥터(5)의 제 1 단자(6) 들과 1대1 대응되도록 연결되기 위한 제 2 단자(13)들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단자(6)와 제 2 단자(13)는 서로 암,수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등기구에 설치되는 램프는 형광등, LED램프 등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연결될 수 있으며, 바 형태의 램프가 설치된 등기구들은 실내에 라인형으로 설치되어 화려하게 점멸작동하므로서 실내를 화려하게 장식해주는 기능을 갖게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등기구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벽면에 등기구를 일렬로 배치하여 설치하고자 할 때 도 3 과같이 등기구의 단자케이스(2)에 구비된 삽입홈(4)으로 연결부재(10)를 이루는 연결커넥터(12)를 삽입하여 제 1 단자(6)들과 제 2 단자(13)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이웃하는 등기구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등기구 연결장치는 등기구 연결시 서로 마주하는 등기구의 커넥터(5)에 배치된 제 1 단자(6)의 콘트롤단자(P1,P2), 제 1 전원단자(AC-L)(P3), 제 2 전원단자(AC-N)(P4), 접지단자(P5)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 제 1 단자(6)들을 서로 연결시키고자 할 때 연결부재(10)의 제 2 단자(13)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크로스되게 일일이 작업자가 배선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면서 작업자의 배선실수가 발생할 경우 벽면에 일렬로 설치되는 등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등기구 제작시 한 종류 단자케이스(2)를 메인바디(1)의 양측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등기구의 제 1 단자(6)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다.
도 1 과 같이 서로 연결되는 등기구를 A 등기구와 B 등기구로 가정할 경우 각각의 등기구에 설치된 마주보는 제 1 단자(6)는 도 2a와 같이 A등기구의 제 1 단자(6)와 B등기구의 제 1 단자(6)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배치된 것처럼 보이지만, 도 2b와 같이 A등기구와 B등기구의 제 1 단자(6)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할 경우 제 1 단자(6)를 이루는 단자(P1~P5)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단자(P1~P5)들이 배치된 제 1 단자(6)를 서로 1대1 대응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부재(10)의 제 2 단자(1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할 수 밖에 없는 것이며, 이를위해서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결부재(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 2 단자(13)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크로스되게 연결하여 등기구를 연결시켜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고, 연결부재(10) 연결작업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등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등기구 연결장치는 연결부재(10)가 전선(11)의 양측에 연결커넥터(12)가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등기구를 일렬로 배치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0)를 등기구의 마주보는 끝단에 삽입하여 설치하더라도 연결부재(10)를 이루는 전선(11)이 외부로 노출되게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등기구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다수의 단자들이 형성된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할때, 이웃하는 등기구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마주하는 단자들을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구성하므로서, 등기구 연결시 연결부재가 등기구의 내부로 매립되면서 설치되므로 일렬로 배치되는 등기구를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되고, 작업자가 연결부재를 등기구의 양측에 끼워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등기구의 단자들이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됨에 따라 배선 잘못으로 인한 제품불량 현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등기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메인바디의 양측에 단자케이스가 결합되고, 단자케이스에는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내부에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로 이루어진 제 3 단자가 설치된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등기구 연결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일렬로 배치되는 이웃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구성하되,
연결부재는
단자케이스의 삽입홈으로 끼워지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제 3 단자를 이루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P2), 제 2 전원단자(P3), 접지단자(P4)에 대응하여 접속하는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으로 이루어진 제 1 연결단자와 제 2 연결단자가 케이스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은 케이스 내부에서 단자핀 M1 과 단자핀 N4, 단자핀 M2 와 단자핀 N3, 단자핀 M3 과 단자핀 N2, 단자핀 M4 와 단자핀 N1 이 서로 크로스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등기구를 일렬로 배치할때 연결부재를 서로 마주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의 삽입홈 내에 끼워넣어 제 1 연결단자와 제 2 연결단자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마주하게되는 제 3 단자의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기구 연결시 연결부재가 등기구의 내부로 매립되면서 설치되므로 일렬로 배치되는 등기구를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게되고, 작업자가 연결부재를 등기구의 양측에 끼워 결합하면 자연스럽게 등기구의 단자들이 서로 1대1 대응되게 연결됨에 따라 배선 잘못으로 인한 제품불량 현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등기구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등기구에 구비된 커넥터의 단자 배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종래 등기구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등기구 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판과 연결단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판을 보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해 다수의 등기구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바디(1)의 양측에 단자케이스(2)가 결합되고, 단자케이스(2)에는 연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4)이 형성되며, 삽입홈(4)의 내부에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로 이루어진 제 3 단자(21)가 설치된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등기구 연결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일렬로 배치되는 이웃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0)를 더 구성하되,
연결부재(30)는
단자케이스(2)의 삽입홈(4)으로 끼워지는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제 3 단자(21)를 이루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P2), 제 2 전원단자(P3), 접지단자(P4)에 대응하여 접속하는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으로 이루어진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가 케이스(31)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은 케이스(31) 내부에서 단자핀 M1 과 단자핀 N4, 단자핀 M2 와 단자핀 N3, 단자핀 M3 과 단자핀 N2, 단자핀 M4 와 단자핀 N1 이 서로 크로스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등기구를 일렬로 배치할때 연결부재(30)를 서로 마주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의 삽입홈(4) 내에 끼워넣어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마주하게되는 제 3 단자(21)의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케이스(31) 내부에는
제 1 연결단자(32)의 제 1 단자핀(M1~M4)들이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다수의 제 1 단자홀(37-HM1,HM2,HM3,HM4)이 형성되고, 또한 제 2 연결단자(33)의 제 단자핀(N1~N4)들이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다수의 제 2 단자홀(38-HN1,HN2,HN3,HN4)이 형성된 기판(34)이 설치되고, 기판(34)의 상면과 하면에는 단자홀 HM1과 단자홀 HN4, 단자홀 HM2와 단자홀 HN3, 단자홀 HM3과 단자홀 HN2, 단자홀 HM4과 단자홀 HN1 을 서로 연결시키는 인쇄회로(35a,35b)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34)의 상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강판(36)이 설치되어 단자핀(M1~M4)(N1~N4)의 결합력을 높여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3 단자(21)는 전체적으로 4핀(4개의 단자) 내지 7핀(7개의 단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30)의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를 이루는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도 4핀 내지 7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기구는 메인바디(1)의 양측에 단자케이스(2)가 결합되고, 단자케이스(2)에는 연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4)이 형성되며, 삽입홈(4)의 내부에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로 이루어진 제 3 단자(21)가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단자(P1)의 갯수는 제어대상이 증가될때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단자(21)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렬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할 때 이웃하는 등기구에서 마주하는 제 3 단자(21)를 이루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티되는 이웃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들을 서로 1대1 대응되도록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30)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결부재(3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자케이스(2)의 삽입홈(4)으로 끼워지는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제 3 단자(21)를 이루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P2), 제 2 전원단자(P3), 접지단자(P4)에 대응하여 접속하는 다수의 제 1 단자핀(M1~M4)과 다수의 제 2 단자핀(N1~N4)으로 이루어진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가 케이스(3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의 절반이 일측 등기구의 삽입홈으로 끼워지고, 케이스(31)의 나머지 절반이 타측 등기구의 삽입홈으로 끼워지도록 형성한다.
한편,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은 케이스(31) 내부에서 단자핀 M1 과 단자핀 N4, 단자핀 M2 와 단자핀 N3, 단자핀 M3 과 단자핀 N2, 단자핀 M4 와 단자핀 N1 이 서로 크로스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등기구를 일렬로 배치할때 작업자가 연결부재(30)를 서로 마주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의 삽입홈(4) 내에 끼워넣어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마주하게되는 제 3 단자(21)의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를 1대1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 와 도 6 에는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34)을 도시한 것으로서,
기판(34)에는 제 1 연결단자(32)의 제 1 단자핀(M1~M4)들이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다수의 제 1 단자홀(37-HM1,HM2,HM3,HM4)이 형성되고, 또한 제 2 연결단자(33)의 제 2 단자핀(N1~N4)들이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다수의 제 2 단자홀(38-HN1,HN2,HN3,HN4)이 형성되고, 기판(34)의 상면과 하면에는 단자홀 HM1과 단자홀 HN4, 단자홀 HM2와 단자홀 HN3, 단자홀 HM3과 단자홀 HN2, 단자홀 HM4과 단자홀 HN1 을 서로 연결시키는 인쇄회로(35a,35b)가 인쇄된다.
실선으로 표시된 인쇄회로(35a)는 기판(34)의 상부면에 형성된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인쇄회로(35b)는 기판(34)의 저면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기판(34)의 상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강판(36)이 설치되어 단자핀(M1~M4)(N1~N4)의 결합력을 높여주도록 구성하였다.
이에따라, 상기 기판(34)의 제 1 단자홀(37-HM1,HM2,HM3,HM4)과 제 2 단자홀(38-HN1,HN2,HN3,HN4)에 각각 끼워져 용접 결합되는 제 1 연결단자(32)의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연결단자(33)의 제 2 단자핀(N1~N4)들은 자연스럽게 단자핀 M1 과 단자핀 N4, 단자핀 M2 와 단자핀 N3, 단자핀 M3 과 단자핀 N2, 단자핀 M4 와 단자핀 N1 이 서로 크로스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30)의 케이스(31)를 도 7 과 같이 벽면에 일렬로 배치되는 등기구의 삽입홈(4)에 끼워넣어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가 등기구의 양끝단에 구비된 제 3 커넥터(20)의 제 3 단자(21)에 암,수 형태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등기구의 양끝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 3 커넥터(20)의 제 3 단자(21)들이 서로 1대1 대응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30)를 이용하여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하게되면 별도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도 8 과 같이 등기구와 등기구와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전선 배선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선 불량에 따른 제품불량현상을 줄여줄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가 4핀, 즉, 4개의 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제 3 단자(21)를 이루는 콘트롤단자의 갯수에 따라 제 3 단자(21)는 전체적으로 4핀(4개의 단자) 내지 7핀(7개의 단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30)의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를 이루는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도 4핀 내지 7핀으로 형성하여 연결부재(30)가 등기구를 한번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메인바디, 2: 단자케이스,
3: 램프설치대, 4: 삽입홈,
20: 제 2 커넥터, 21: 제 3 단자,
30: 연결부재, 31: 케이스,
32: 제 1 연결단자, 33: 제 2 연결단자,
34: 기판, 35: 인쇄회로,
36: 보강판, 37: 제 1 단자홀,
38: 제 2 단자홀,

Claims (4)

  1. 메인바디(1)의 양측에 단자케이스(2)가 결합되고, 단자케이스(2)에는 연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4)이 형성되며, 삽입홈(4)의 내부에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로 이루어진 제 3 단자(21)가 설치된 등기구를 벽면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등기구 연결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일렬로 배치되는 이웃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0)를 더 구성하되,
    연결부재(30)는
    단자케이스(2)의 삽입홈(4)으로 끼워지는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제 3 단자(21)를 이루는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P2), 제 2 전원단자(P3), 접지단자(P4)에 대응하여 접속하는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으로 이루어진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가 케이스(31)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되,
    제 1 단자핀(M1~M4)과 제 2 단자핀(N1~N4)은 케이스(31) 내부에서 단자핀 M1 과 단자핀 N4, 단자핀 M2 와 단자핀 N3, 단자핀 M3 과 단자핀 N2, 단자핀 M4 와 단자핀 N1 이 서로 크로스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등기구를 일렬로 배치할때 연결부재(30)를 서로 마주하는 등기구의 제 3 단자(21)의 삽입홈(4) 내에 끼워넣어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마주하게되는 제 3 단자(21)의 콘트롤단자(P1), 제 1 전원단자(AC-L)(P2), 제 2 전원단자(AC-N)(P3), 접지단자(P4)를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케이스(31) 내부에는
    제 1 연결단자(32)의 제 1 단자핀(M1~M4)들이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다수의 제 1 단자홀(37-HM1,HM2,HM3,HM4)이 형성되고, 또한 제 2 연결단자(33)의 제 2 단자핀(N1~N4)들이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다수의 제 2 단자홀(38-HN1,HN2,HN3,HN4)이 형성된 기판(34)이 설치되고, 기판(34)의 상면과 하면에는 단자홀 HM1과 단자홀 HN4, 단자홀 HM2와 단자홀 HN3, 단자홀 HM3과 단자홀 HN2, 단자홀 HM4과 단자홀 HN1 을 서로 연결시키는 인쇄회로(35a,35b)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기판(34)의 상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보강판(36)이 설치되어 단자핀(M1~M4)(N1~N4)의 결합력을 높여주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단자(21)는 전체적으로 4핀(4개의 단자) 내지 7핀(7개의 단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연결부재(30)의 제 1 연결단자(32)와 제 2 연결단자(33)를 이루는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도 4핀 내지 7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연결장치.
KR1020120147698A 2012-12-17 2012-12-17 등기구 연결장치 KR101250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98A KR101250815B1 (ko) 2012-12-17 2012-12-17 등기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98A KR101250815B1 (ko) 2012-12-17 2012-12-17 등기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815B1 true KR101250815B1 (ko) 2013-04-05

Family

ID=4844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698A KR101250815B1 (ko) 2012-12-17 2012-12-17 등기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244A (ko)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연결 브라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63A (ko) * 2002-10-18 2004-04-29 주식회사 필룩스 형광등 전원연결구조
KR20100062323A (ko) * 2008-12-02 2010-06-10 이창환 현수식 조명튜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63A (ko) * 2002-10-18 2004-04-29 주식회사 필룩스 형광등 전원연결구조
KR20100062323A (ko) * 2008-12-02 2010-06-10 이창환 현수식 조명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244A (ko)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연결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712B2 (en) Modular LED lighting systems, including flexible, rigid, and waterproof lighting strips and connectors
US9377173B2 (en) LED luminaire assembly
US20110255287A1 (en) Connectors for led strip lighting
US20130322082A1 (en) Modular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fixtures
JP6389226B2 (ja) 光モジュールを有する信号伝達デバイス
KR101250815B1 (ko) 등기구 연결장치
JP2009037876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発光装置
KR101005279B1 (ko) Led조명기구
JP2004355968A (ja) 車両用灯具
EP2587137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fixture
CN101586792A (zh) 可更换led模组结构
EP2753156A1 (en) Light emitting module
CN207702227U (zh) 一种拼装式面板灯
CN102447196B (zh) 一种电源插座
KR102000182B1 (ko) Led등 용 컨넥터 단자
CN201805072U (zh) 一种电源插座
CN206522744U (zh) 一种灯头、灯座及灯头灯座转接模组
KR102177477B1 (ko) 선형조명에서의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 연결 장치
KR20160020095A (ko) 엘이디 작업등의 소켓
KR101270959B1 (ko) 엘리베이터용 엘이디조명장치
JP3137603U (ja) 組立式パネルハウス
KR200437287Y1 (ko) 매입등기구
KR20120010434A (ko) 엘이디 전구
KR200491733Y1 (ko) 확장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모듈식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200184669Y1 (ko) 조명기구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