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61B1 -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61B1
KR101250761B1 KR1020110063573A KR20110063573A KR101250761B1 KR 101250761 B1 KR101250761 B1 KR 101250761B1 KR 1020110063573 A KR1020110063573 A KR 1020110063573A KR 20110063573 A KR20110063573 A KR 20110063573A KR 101250761 B1 KR101250761 B1 KR 10125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pper tube
ocher
electrotherma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558A (ko
Inventor
조용윤
유진수
Original Assignee
조용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윤 filed Critical 조용윤
Priority to KR102011006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7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7Multiple-piece frames assembled on their four or mor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벽 장식과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로 사용할 수 있어 칸막이와 벽 장식용으로 겸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재료인 나무와 황토 등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이 발생되어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난방장치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동관과 ; 판체를 절곡하여 열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선홈에 전열동관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면적을 넓히는 요철형 열전달판과 ; 황토를 포함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전열동관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판 및 ; 상기 각 판들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된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Combined ornamenting and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면에 장식용 판넬을 구비하여 난방은 물론 장식 효과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천연재료인 나무와 황토 등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음이온, 피톤치드 등이 발생되어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벽 장식과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로 사용할 수 있어 칸막이와 벽 장식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우리 가옥에서의 실내 난방은 바닥에 열을 가해 실내 공기를 데우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통상의 난방 방법은 바닥에 난방 배관을 설치하여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 바닥을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난방 설비는 온수가 원활하게 바닥을 순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난방 배관을 수평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난방 설비를 설치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더운 실내에 순환하는 방식의 난방 설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기 순환 방식 난방 설비의 경우 별도의 공간에 보일러를 설치하고 보일러에서 발생된 열을 실내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 관로(일명, "닥트")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소형의 개인 건물에는 적용함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전기나 화석연료 등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난로 등의 난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들은 사용 중 넘어질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접촉하였을 때 화상을 입는 등 사용자가 다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주거 공간의 일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에 제한을 주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어 주거공간의 일측 벽에 설치되거나 사무실의 격벽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난방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난방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에 장식을 겸할 수 있는 판을 설치하여 장식 효과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음이온, 피톤치드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어 벽 장식과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로 사용할 수 있어 칸막이와 벽 장식용으로 겸용할 수 있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욕실의 벽이나 의자의 바닥 또는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동관과 ; 판체를 절곡하여 열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선홈에 전열동관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면적을 넓히는 요철형 열전달판과 ; 황토를 포함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전열동관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황토판 및 ; 상기 각 판들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된 테두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는 단열판이 외부의 자극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판의 배면에 배면보호판을 더 설치할 수 있고, 보다 환경친화적이고 피톤치드 등의 유익한 성분을 실내에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재와 배면보호판은 목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열동관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고 보다 효율적인 발열을 위해 중공의 동관과 ; 상기 동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과 ; 상기 동관 내부에 충전되고, 열전도율은 높고 전기 전도율은 낮은 절연분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 또는 바깥으로 노출되는 면에 장식 겸용의 판을 설치하여 실내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욕실의 장식용품이나 의자의 등받이나 바닥판으로 설치하여 장식은 물론 난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열동관을 열전달판의 요철홈에 설치하여 열전달판이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열전달 면적을 넓힘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에 걸어 장식은 물론 난방을 겸할 수 있거나, 칸막이용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칸막이 겸 난방을 이룰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에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에서 황토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의 다른 일예의 분해사시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일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에 사용되는 전열동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에 사용되는 황토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황토판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설치상태의 일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설치상태의 다른 일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는 난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에 설치하여 장식품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동관(1)과 ; 판체를 절곡하여 열선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열선홈(21)에 전열동관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면적을 넓히는 요철형 열전달판(2)과 ; 황토를 포함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전열동관의 최소한 일면에 설치되어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판(4) 및 ; 상기 각 판(2, 3, 4)들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된 테두리부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열동관(1)은 실질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난방 효율을 높이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열동관(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동관(11)의 내부에 발열선(12)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전열동관(1)을 구성함으로써 전열동관의 내부의 발열선(12)이 발열하여도 동관에 의해 보호되어 화재의 위험이 없는 것이다.
상기 동관(11)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중공의 관으로 구리 등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발열선(12)은 통상적으로 난방 장치나 가열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등과 같은 발열체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열동관(1)에 있어서 발열선(12)이 동관(11)과 접촉하게 되면 동관(11)이 직접 가열되어 동관에 접촉되는 가연성 물질에 불이 붙을 수 있으므로 동관(11)과 발열선(12)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발열선(12)과 동관(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발열선(12)의 열이 동관(11)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동관(11)의 내부에 열전도율을 높으나 전기전도는 이루어지지 않는 절연분말(13)을 채워 절연과 열전도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분말(13)로는 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열동관(1)은 내부에 충진된 절연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발열선(12)이 동관(11)의 중앙에 놓여지게 지지하기 위한 마감수단(14)을 동관(11)의 양단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분말(13)이 가열되어 열팽창하면 동관(11)이 깨지거나 발열선(12)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발열선(12)은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신축될 수 있게 하였고, 공관(11) 내부의 최소한 한 부분 이상에 신축 공간(15)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신축공간(15)은 전열분말(13)이 열에 의해 팽창되면 이 신축공간(15)으로 절연분말의 일부가 밀려 동관(11)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열동관(1)의 일측에는 상기한 요철형 열전달판(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요철형 열전달판(2)은 전열동관(1)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넓은 외부 영역으로 방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 3,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을 절곡하여 전열동관(1)이 삽입될 수 있는 동선안치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형 열전달판(2)은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절연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요철형 열전달판(2)에 의해 전달되는 열은 상기 황토판(4)을 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상기 황토판(4)은 황토를 주 원료로 만들어진 판으로 가열됨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출함은 물론 외부의 습기를 빨아들이거나 머금은 수분을 배출하여 습도 조절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황토판(4)은 황토만을 가압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나 이렇게 할 경우 황토가 묻어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황토 50~80중량부와 숯 가루 10~50 중량부를 물과 혼합하여 성형 및 건조시킨 후 750~1000℃에서 초벌구이하여 만드는 것이다.
상기 황토판(4)은 서로 이웃하는 것들이 끼워 맞추어질 수 있는 퍼즐 형상(미도시)으로 구성하여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적은 수의 고정수단만으로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황토판(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토판(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두 변은 뒷면의 연장선상에 결합턱(41)을 형성하고 다른 두 변은 전면의 연장선 상에 결합턱(42)을 형성하여 두 결합턱이 서로 겹쳐지게 하여 두 판의 표면이 수평을 이루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판(4)의 배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홈(43)을 형성하고 고정구(40)를 끼워 넣어 고정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40)이 형성된 고정홀(40a)에 고정수단을 박아 요철형 열전달판(2)에 황토판(4)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a)으로는 고정나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고정수단(40a)을 이용하여 황토판을 고정시킴으로써 황토판을 고정시키는 데 유해성 포름알데히드의 주범인 시멘트나 화학성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보다 환경 친화적인 난방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홈(4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황토판의 표면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며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끼워지는 고정구(40) 역시 상기 고정홈(43)과 같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며 점차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어 고정홈(43)에 끼운 후 바깥쪽으로 당기면 고정홈(43)의 측벽에 고정구가 걸려 황토판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구조와 관련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0-0075748호에 의해 이미 개시된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난방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식용품을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한 각 판(2, 4)들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한 테두리부재(5)가 설치되어 있으며, 테두리부재(5)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도 3 및 도 9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동관(1)과 요철형 열전달판(2)을 가운데 두고 양측에 각각 황토판(4)을 설치하여 양면이 모두에 장식 효과를 주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만 황토판(3)을 설치하여 일면에만 장식 효과를 줄수 있다.
양면 모두 장식 효과를 준 것의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일면만이 장식 효과를 갖는 경우에는 배면이 서로 마주한 형태로 설치하여 칸막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단면에만 장식 효과를 준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장식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에만 장식 효과를 준 경우에는 상기 황토판(4)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는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이 배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판(3)과 ; 상기 단열판(3)의 배면에는 설치되어 단열판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보호판(6)이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판(3)은 전열동관(1)에서 발생된 열이 벽에 전달되어 벽이 변형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단열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배면보호판(6)은 단열판(3)이 외부로 들어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판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합성수지 또는 나무 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난방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상기 테두리부재(5)와 배면보호판(6)은 목재로 제작함으로써 목재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편백나무 등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편백나무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 음이온, 피톤치드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스트레스 완화, 진정작용 및 쾌적효과, 알레르기 예방효과, 항균 작용, 탈취효과 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난방장치의 테두리부재(5)의 안쪽에는 미장테두리(7)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장테두리(7)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황토판(4)의 가장자리와 테두리부재(5) 사이에 설치되어 보다 미려한 난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1 : 전열동관
10 : 전선
11 : 동관
12 : 발열선
13 : 절연분말
14 : 마감수단
15 : 신축공간
2 : 요철형 열전달판 21 : 동선안치홈
3 : 단열판
4 : 황토판 4a : 문양 4b : 고정수단
41, 42 : 결합턱 43 : 고정홈
40 : 고정구 4a : 고정홀
5 : 테두리부재
6 : 배면보호판
7 : 미장테두리

Claims (4)

  1.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동관(1)과 ;
    판체를 절곡하여 열선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열선홈(21)에 전열동관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면적을 넓히는 요철형 열전달판(2)과 ;
    황토를 포함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전열동관의 최소한 일면에 설치되어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황토판(4) 및 ;
    상기 요철형 열전달판(2) 및 상기 황토판(4)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설치된 테두리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황토판(4)은 어느 두 변은 뒷면의 연장선상에 결합턱(41)을 형성하고, 다른 두 변은 전면의 연장선 상에 결합턱(42)을 형성하여 두 결합턱이 서로 겹쳐지게 하여 두 판의 표면이 수평을 이루게 결합되고,
    상기 황토판(4)의 배면에는 고정홈(43)을 형성하고 고정구(40)를 끼워 넣어 고정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40)에 형성된 고정홀(40a)에 고정수단을 박아 요철형 열전달판(2)에 황토판(4)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황토판(4)이 설치된 면의 반대면에는 전열동관에서 발생된 열이 배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판(3)과 ; 상기 단열판(3)의 배면에는 설치되어 단열판을 지지하기 위한 배면보호판(6)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동관(1)은
    중공의 동관(11)과 ;
    상기 동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12)과 ;
    상기 동관 내부에 충전되고, 열전도율은 높고 전기 전도율은 낮은 절연분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KR1020110063573A 2011-06-29 2011-06-29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KR10125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73A KR101250761B1 (ko) 2011-06-29 2011-06-29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573A KR101250761B1 (ko) 2011-06-29 2011-06-29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58A KR20130002558A (ko) 2013-01-08
KR101250761B1 true KR101250761B1 (ko) 2013-04-09

Family

ID=4783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573A KR101250761B1 (ko) 2011-06-29 2011-06-29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136A (ko) * 1997-07-31 1999-02-25 이일쇄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20100113340A (ko) * 2009-04-13 2010-10-21 청우산업 주식회사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20100115179A (ko) * 2009-04-17 2010-10-27 정혜정 온열을 제공하는 황토판넬 및 시공방법
KR20110067215A (ko) * 2009-12-14 2011-06-22 조중화 원적외선 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136A (ko) * 1997-07-31 1999-02-25 이일쇄 개선된 조립식 온돌난방 시스템
KR20100113340A (ko) * 2009-04-13 2010-10-21 청우산업 주식회사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20100115179A (ko) * 2009-04-17 2010-10-27 정혜정 온열을 제공하는 황토판넬 및 시공방법
KR20110067215A (ko) * 2009-12-14 2011-06-22 조중화 원적외선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58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7485B2 (ja) 赤外線電熱架空発熱床板
CN202927891U (zh) 全效炕连灶
CN205314425U (zh) 墙面采暖装置
CN109882918A (zh) 一种带蓄热和辅热功能的电热膜地暖系统
KR101250761B1 (ko) 장식겸용 벽걸이형 난방장치
KR20090108282A (ko) 숯 판넬을 이용한 액자형 난방장치
RU94398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CN205153446U (zh) 一种带透气孔的发热地板
EP2893260B1 (en) Radiant heating element and panel
KR101161002B1 (ko) 전기온돌 황토패널
RU115053U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200423614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사우나시설
CN204730311U (zh) 踢脚线式电暖器
WO2011046473A2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25496B1 (ko)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KR101235097B1 (ko) 노출형 벽난로
KR100496523B1 (ko) 단열 및 방열구조를 가진 사우나실
WO2012018318A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анель
KR101160122B1 (ko) 목재 온열패널
KR200400461Y1 (ko) 조립식 온열패널
UA74785U (uk) Панель променистого тепла
KR200463988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찜질 및 난방장치
KR200469261Y1 (ko) 참숯이 내장된 황토패널을 이용한 액자형 난방장치
RU196298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для нагрева помещений
KR20090107824A (ko) 원적외선방사재를 이용한 복사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