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563B1 -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563B1
KR101249563B1 KR1020100118352A KR20100118352A KR101249563B1 KR 101249563 B1 KR101249563 B1 KR 101249563B1 KR 1020100118352 A KR1020100118352 A KR 1020100118352A KR 20100118352 A KR20100118352 A KR 20100118352A KR 101249563 B1 KR101249563 B1 KR 10124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terminal
visible light
light communic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688A (ko
Inventor
이태영
정광균
박병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11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5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33Remote me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를 통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Power supplementary service method and system}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사용자의 댁내까지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댁내에서는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 기기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성능 열화 문제 및 보안 취약성을 해결할 수 있는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의 한가지 방식만을 이용하거나 전력선통신과 지그비(ZigBee)를 연계기술을 통하여 댁내 표시장치를 통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운영되고 있으나, 전력선 통신은 댁내 전기배선이 복잡할 경우 감쇠로 인한 통신장애가 발생하며 매체 공유의 특성으로 인해 보안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지그비 통신은 통신속도가 낮아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어려우며 내장된 자체 배터리로 동작되어 주기적인 배터리 교체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지그비의 특성상 ISM 주파수와 같은 공용 주파수를 사용함에 따라 외부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노출 등의 보안성에서도 취약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사용자의 댁내까지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댁내에서는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 기기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성능 열화 문제 및 보안 취약성을 해결할 수 있는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를 통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은 정보 제공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은 전기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부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기기가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서버, 데이터 집중 장치,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모뎀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단말 제어 신호 및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및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단말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은 정보 제공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은 전기 기기일 수 있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부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사용자의 댁내까지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댁내에서는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제공하거나 전기 기기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성능 열화 문제 및 보안 취약성을 해결할 수 있는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녹색 성장을 위하여 과도한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이산화탄소(CO2) 절감을 위해 고객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에어컨 등 전기 기기의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서버가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S101). 상기 서버는 전력 부가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또한, 데이터 집중 장치는 전력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단말 정보는 단말로부터 수집된 정보일 수 있고, 전력 사용량과 같은 전력 사용 정보나,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가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이나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 HFC), 와이브로(Wibro) 등 기타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DLMS/COSEM(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Companion Specification for Energy Meters) 프로토콜 기반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서버는 상기 단말 정보를 통계 처리한다(S102), 예를 들면, 전력 사용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전력 사용료 등의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정보가 통계 처리되면(S102),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다시 송신한다(S103). 여기서, 단말 제어 신호는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서, 전력 사용 통계 정보 또는 부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S104).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기 수용가 내부의 LED(Light Emitting Device) 전등일 수 있다.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력선 통신이 가능한 모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뎀부는 PLC 모뎀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의 데이터 송신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는 상기 모뎀부를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S104) 이후에,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로 송신한다(S105).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가시광 통신이 가능한 광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기 수용가 내에 조명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담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한다(S106).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정보 제공 장치이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가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에게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보 제공 장치는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표시 장치, 엘씨디(Liguid Crysral Display; LCD) 표시 장치 및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evice) 표시 장치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같은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이 전기 기기이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가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부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기기는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TV, 냉장고, 에어컨과 같은 전기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기기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전술한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서버(201), 데이터 집중 장치(202), 가시광 통신 장치(203) 및 단말(2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광 통신 장치(203) 및 단말(204)은 댁 내(210)에 존재할 수 있다.
서버(201)는 데이터 집중 장치(202)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데이터 집중 장치(202)로 송신한다.
데이터 집중 장치(202)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203)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가시광 통신 장치(203)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204)로 송신한다.
단말(204)은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이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에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기 수용가 내부의 LED(Light Emitting Device) 전등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는 모뎀부(301), 광수신부(302), 처리부(303), 광송신부(304) 및 전원부(3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원부(305) 없이 모뎀부(301), 광수신부(302), 처리부(303) 및 광송신부(304)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뎀부(301)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전력선 모뎀부(301)는 전력선 통신이 가능한 모뎀부로서, PLC 모뎀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데이터 집중 장치를 매개로 하여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광수신부(302)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이다.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주변 장치에 의해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 중에서 일부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303)는 상기 단말 제어 신호 및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연산 처리한다. 처리부(303)는 상기 단말 제어 신호 및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가시광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산 처리할 수 있다. 처리부(303)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icro Processor Unit; MPU)일 수 있다.
광송신부(304)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단말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는 광송신부(304)를 통해 전기 수용가 내에 조명을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담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주변 장치에 의해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 중에서 일부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할 경우, 광송신부(304)는 상기 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만 송신할 수 있다.
전원부(305)는 내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내부 장치는 상기 기술된 모뎀부(301), 광수신부(302), 처리부(303) 및 광송신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가시광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장치는 모뎀부(401), 광수신부(402), 처리부(403), 광송신부(404), 전원부(405) 및 센서부(4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원부(405) 없이 모뎀부(401), 광수신부(402), 처리부(403), 광송신부(404) 및 센서부(406)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가시광 통신 장치는 센서부(406)를 추가함으로써 부가되는 기능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3의 모뎀부(301), 광수신부(302), 처리부(303), 광송신부(304) 및 전원부(305)는 도 4의 센서부(406)와 관련된 기능을 제외하고는 도 4의 모뎀부(401), 광수신부(402), 처리부(403), 광송신부(404) 및 전원부(405)와 기본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센서부(406)와 관련된 기능 이외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센서부(406)는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가시광 통신 장치는 센서부(406)를 부가함으로써 사람의 동작 상태 또는 외부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광송신부(404)는 상기 센서 신호를 송신하고, 광수신부(402)는 반사된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며, 처리부(403)는 반사된 상기 센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사람의 동작 상태 또는 외부 침입자의 침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모뎀부(401)는 감지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이를 원격에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제공 장치는 피디피(PDP; Plasma Display Panel) 표시 장치, 엘씨디(Liguid Crysral Display; LCD) 표시 장치 및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evice) 표시 장치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 장치일 수도 있으나, 스마트폰, 스마트 TV와 같은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가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일 경우 영상 신호 이외에도 전력 사용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의 정보 제공 장치는 광수신부(501), 처리부(502), 표시부(503),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부(504), 광송신부(505) 및 전원부(5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정보 제공 장치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4) 및 광송신부(505) 없이 광수신부(501), 처리부(502), 표시부(503) 및 전원부(506)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장치는 전원부(506)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광수신부(501)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기 수용가 내부의 LED 전등일 수 있다.
처리부(502)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연산 처리한다. 즉, 처리부(502)는 수신된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연산 처리한다. 처리부(502)는 MPU일 수 있다.
표시부(503)는 연산 처리된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는 PDP, LCD 또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4)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 중에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4)는 전기 수용가의 여러 가지 전력 사용 통계 정보 중에서 필요한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광송신부(50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4)에서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 송신한다. 또한, 표시부(503)는 상기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전원부(506)는 내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내부 장치는 상기 기술된 광수신부(501), 처리부(502), 표시부(50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4) 및 광송신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전기 기기는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TV, 냉장고, 에어컨과 같은 전기 기기를 포함하며, 가시광 통신을 통해 전력 부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기기는 광수신부(601), 처리부(602), 전원부(603) 및 제어부(6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가시광 통신 장치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되어 구성될 수 있다.
광수신부(601)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부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기 수용가 내부의 LED 전등일 수 있다. 상기 부하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기기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처리부(602)는 상기 부하 제어 신호를 연산 처리한다. 처리부(602)는 제어부(604)가 전원부(603)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산 처리한다. 처리부(602)는 MPU일 수 있다.
전원부(603)는 내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여 공급한다. 상기 내부 장치는 광수신부(601), 처리부(602) 및 제어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4)는 연산 처리된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전원부(603)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604)는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부(603)를 ON 상태 또는 OFF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Claims (13)

  1. 서버가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를 통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장치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모뎀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단말 제어 신호 및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단말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 및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송신부는 상기 센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광수신부는 반사된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처리부는 반사된 상기 센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정보 제공 장치이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전기 기기이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부하 제어 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 기기가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4. 서버, 데이터 집중 장치,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통계 처리하여 상기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집중 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되,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모뎀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단말 제어 신호 및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단말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광송신부; 및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송신부는 상기 센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광수신부는 반사된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처리부는 반사된 상기 센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는,
    내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정보 제공 장치이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전력 사용 통계 정보 중에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송신하는 광송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전력 사용 통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장치는,
    내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전기 기기이고, 상기 단말 제어 신호는 상기 전기 기기에 대한 부하 제어 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 기기는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 기기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가시광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부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광수신부;
    상기 부하 제어 신호를 연산 처리하는 처리부;
    내부 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전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부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부가 서비스 시스템.
KR1020100118352A 2010-11-25 2010-11-25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24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352A KR101249563B1 (ko) 2010-11-25 2010-11-25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352A KR101249563B1 (ko) 2010-11-25 2010-11-25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688A KR20120056688A (ko) 2012-06-04
KR101249563B1 true KR101249563B1 (ko) 2013-04-01

Family

ID=4660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352A KR101249563B1 (ko) 2010-11-25 2010-11-25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5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564A (ko) *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05003A (ko) * 2006-04-24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광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3299A (ko) * 2007-09-29 2009-04-02 한국전력공사 전력부가서비스를 위한 수용가서비스포털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8564A (ko) * 2004-10-30 2006-05-04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부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05003A (ko) * 2006-04-24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광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33299A (ko) * 2007-09-29 2009-04-02 한국전력공사 전력부가서비스를 위한 수용가서비스포털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688A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34B1 (ko) 저전력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전기설비 원격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0087063B2 (e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llecting data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20110087904A1 (en) Smart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324117B2 (en)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by electrical devices using monitored operational parameters
US20170331570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relay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20110304205A1 (en) Power outlet apparatus with multiple sockets detection,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TW201308087A (zh) 家用電器控制方法及系統
CN103348696A (zh) 安全设施计量监控模块
US9146604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249563B1 (ko) 전력 부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5810949B2 (ja) マルチホップ型ワイヤレス給電対応情報伝達システム
EP2652859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197571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130015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of devices
CN105472451A (zh) 终端间数据传输方法和装置
CN205247614U (zh) 一种基于红外转发的控制系统
KR20230133302A (ko)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스마트 전기 스위치 및 관련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914854B2 (ja) 管理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GB2473237A (en) Wireless updates for a home automation network display
GB2452072A (en) Wireless communications enabled metering for Energy Monitoring, Control and home management
KR101893147B1 (ko) 전자기기의 인식장치 및 전자기기의 인식방법
KR20150005345A (ko)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KR20140108392A (ko) 발광 장치 및 대기전력 관리 장치
WO2012091263A1 (ko) 복합가전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전력 사용량 측정 시스템
KR20160081774A (ko)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