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506B1 -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506B1
KR101249506B1 KR1020100137951A KR20100137951A KR101249506B1 KR 101249506 B1 KR101249506 B1 KR 101249506B1 KR 1020100137951 A KR1020100137951 A KR 1020100137951A KR 20100137951 A KR20100137951 A KR 20100137951A KR 101249506 B1 KR101249506 B1 KR 10124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ing member
water level
sens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5995A (ko
Inventor
윤대덕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5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는: 물을 담아주는 저수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일부 담겨진 다수의 디스크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 조립체, 디스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연결되어 저수조에 담긴 물을 통해 통전이 이루어짐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및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위감지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저수조에서 회전축과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WATER LEVEL SENSING DEVICE OF AIR-WASHER}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감지부를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에 구비하여 회전에 따라 노출과 잠김을 반복 수행하므로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쳐 배출될 수 있도록 팬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 및 배기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기를 여과시키게 된다.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식과 전기 집진식으로 구분되며, 필터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하게 되고, 전기 집진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전기장에 의해 집진기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최근에는 실내 환경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공기 정화 및 가습을 통시에 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보급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공기 송풍팬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커버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가 디스크조립체의 개별 디스크를 거치면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디스크에 흡착되고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의해 제거되면서 디스크에 묻은 물이 자연 증발되어 가습되어 배출구를 통해 배기 된다.
이러한, 가습 공기청정기는 특별한 필터가 필요 없으며, 물이 필터 역할을 하게 되므로, 필터의 오염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저수조를 덮어주는 커버에 마이콤을 탑재한 메인 피씨비(PCB)에 정전용량 감지부가 있으며 이를 저수조에 설치된 한 쌍의 수위센서와 전선으로 연결하고,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수위와 물 없음을 감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수위센서는 저수조의 내 측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감지봉으로 이루어지고, 이 감지봉의 하단부가 저수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물과 쇼트되는 경우 물 있음을 감지하고, 쇼트되지 않는 경우 물 없음을 감지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센서는 저수조의 내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시 수위센서에 물때가 낌으로 인해 감지기능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수조의 내부에 구멍을 뚫어 수위센서를 취부하고 전선을 연결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정전용량 값을 읽어내는 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위감지부를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에 구비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위감지부의 노출과 잠김을 반복 수행하므로 물때가 끼는 것을 최소화하여 감지성능을 형상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는: 물을 담아주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일부 담겨진 다수의 디스크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 조립체;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연결되어 저수조에 담긴 물을 통해 통전이 이루어짐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저수조에서 상기 회전축과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심부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의 물에 하측이 잠기는 제1감지부재; 상기 제1감지부재와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의 물에 하측이 잠기는 제2감지부재; 상기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감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회전단자; 및 상기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감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회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재와 상기 제2감지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 대해 제1감지부재와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가 가장 하측에 위치할 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재와 상기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물이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는 통전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재와 상기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는 통전홀의 마주보는 내 측면을 완전하게 덮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단자와 제2회전단자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안치되고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단자에 접속되는 제1고정단자; 및 상기 지지부재의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단자의 접속되는 제2고정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수위감지부를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에 구비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위감지부의 노출과 잠김을 반복 수행하므로 물때가 끼는 것을 최소화하여 감지성능을 형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감지부재와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디스크를 관통하는 통전홀을 형성하므로 물의 접촉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의 조립 정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부 및 접속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의 조립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의 조립 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부 및 접속부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는, 저수조(10), 디스크 조립체(30), 수위감지부(40) 및 접속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수조(10)는 물이 저장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하부 구성이다.
저수조(10)의 상측에는 커버(20)가 구비되고, 커버(20)에는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다.
커버(20)에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유입구로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한다.
디스크 조립체(30)는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에 일부 담겨진 다수의 디스크(32)가 회전축(34)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가습한다.
즉, 회전축(34)에 의해 회전축(34)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디스크(32)가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표면에 묻힌 상태에서 회전에 따라 자연증발식으로 증발하여 배기한다.
디스크(32)는 물이 잘 묻도록 하기 위해 표면에 리브를 형성하거나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40)는 디스크(32)의 가장자리부분에서 회전축(34)의 외 측면으로 연결되어 저수조(10)의 담긴 물을 통해 통전이 이루어짐에 의해 수위를 감지한다.
여기서, '수위감지'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인 의미의 감지이다.
수위감지부(40)는 다수의 디스크 중에서 최 외곽 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의 디스크를 선택하여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40)는 제1감지부재(42), 제2감지부재(44), 제1회전단자(46) 및 제2회전단자(48)를 포함한다.
제1감지부재(42)는 디스크(32)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심부분으로 연결되고, 저수조(10)의 물에 하측이 잠긴다.
제2감지부재(44)는 제1감지부재(42)와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 형성되어 저수조(10)의 물에 하측이 잠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는 디스크(3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때, 하단부가 동일한 높이를 같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에 접하는 물의 높이를 동일한 위치에서 동시에 감지하기 위함이다.
제1회전단자(46)는 회전축(34)의 외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제1감지부재(42)에 연결된다.
제1회전단자(46)는 제1감지부재(42)에서 회전축(34)의 내부로 연결되거나 외부로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회전단자(48)는 회전축(34)의 외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제2감지부재(42)에 연결된다.
제2회전단자(48)는 제2감지부재(44)에서 회전축(34)의 내부로 연결(점선표시)되거나 외부로 연결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는 디스크(32)의 중심에 대해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가 가장 하측 즉, 최저 저수위에 위치할 때,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물이 위치하도록 디스크(32)를 관통하는 통전홀(36)을 구비한다.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는 통전홀(36)의 마주보는 내 측면을 완전하게 덮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전홀(36)에 유입된 물의 접속면적을 최대화하여 통전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는 디스크(32)의 표면에 인쇄되거나 디스크(32)의 요홈부에 장착되는 감지전극으로서,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판재를 사용한다.
제1회전단자(46)와 제2회전단자(48)는 회전축(34)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회전단자(46)와 제2회전단자(48)는 회전축(34)의 중심을 기준으로 예각(180°이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가 수직방향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접속부(50)와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부(50)는 회전축(34)의 회전에 따라 수위감지부(4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제어부(60)로 전달하도록 저수조(10)에서 회전축(34)과 접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접속부(50)는 지지부재(52), 제1고정단자(54) 및 제2고정단자(56)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2)는 저수조(10)의 내측에 한 쌍 구비되어 회전축(34)의 양단이 각각 안치되고 회전을 지지한다.
지지부재(52)는 상측 면이 반구 홈으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단자(54)는 지지부재(52) 중 어느 하나의 내 측면에 형성되어 제1회전단자(46)에 접속된다.
제2고정단자(56)는 지지부재(52) 중 어느 하나의 내 측면에 형성되어 제2회전단자(48)에 접속된다.
제1고정단자(54)와 제2고정단자(56)는 동시에 제1회전단자(46)와 제2회전단자(48)에 접속된다.
이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디스크(32)의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가 수직으로 위치할 때이고, 수직에서 약간 벗어나는 각도 위치에서는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접속을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디스크(32)가 수직에 대해 좌우 회전방향으로 ± 5°이하의 회전범위 내에서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그 이상인 경우에는 디스크(32) 회전에 의한 수위 차이로 인하여 물의 감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제1고정단자(54)와 제2고정단자(56)는 저수조(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결되어 저수조(10)에 덮여지는 커버(20)를 통하는 전선(22)을 거쳐 커버(20) 내에 구비된 제어부(6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받은 감지신호로 제어부(60)에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저수조(10)에 물의 저수량 량에 따라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의 통전(通電) 여부를 감지하여 물이 없는 경우, 이를 제어부(60)에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이를 감지한 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경고음 또는 조작패널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저수조(10)에 물 없음을 경고하거나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를 통한 정전용량수치를 제어부(60)에 판단하여 수위를 표시하는 것이다.
회전축(34)은 지속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져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가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물의 쇼트로 인한 통전과 물 밖으로 나오면서 오픈 되는 특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저수조(10)의 물 없음과 물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위감지부(40)를 디스크 조립체(30)의 디스크(32)에 구비하여 회전축(34)의 회전에 따라 수위감지부(40)의 노출과 잠김을 반복 수행하므로 물때가 끼는 것을 최소화하여 감지성능을 형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감지부재(42)와 제2감지부재(44)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디스크(32)를 관통하는 통전홀(36)을 형성하므로 물의 접촉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저수조 20 : 커버
30 : 디스크 조립체 32 : 디스크
36 : 통전홀 40 : 수위감지부
42 : 제1감지부재 44 : 제2감지부재
46 : 제1회전단자 48 : 제2회전단자
50 : 접속부 52 : 지지부재
54 : 제1고정단자 56 : 제2고정단자

Claims (6)

  1. 물을 담아주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에 일부 담겨진 다수의 디스크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 가습하는 디스크 조립체;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상기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연결되어 저수조에 담긴 물을 통해 통전이 이루어짐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위감지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저수조에서 상기 회전축과 접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디스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중심부분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의 물에 하측이 잠기는 제1감지부재;
    상기 제1감지부재와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 형성되어 상기 저수조의 물에 하측이 잠기는 제2감지부재;
    상기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감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회전단자; 및
    상기 회전축의 외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감지부재에 연결되는 제2회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재와 상기 제2감지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 대해 제1감지부재와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가 가장 하측에 위치할 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재와 상기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 보는 부위에 물이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는 통전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재와 상기 제2감지부재의 하단부는 통전홀의 마주보는 내 측면을 완전하게 덮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자와 제2회전단자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저수조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이 안치되고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단자에 접속되는 제1고정단자; 및
    상기 지지부재의 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회전단자의 접속되는 제2고정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20100137951A 2010-12-29 2010-12-29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24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51A KR101249506B1 (ko) 2010-12-29 2010-12-29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51A KR101249506B1 (ko) 2010-12-29 2010-12-29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995A KR20120075995A (ko) 2012-07-09
KR101249506B1 true KR101249506B1 (ko) 2013-04-01

Family

ID=4670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951A KR101249506B1 (ko) 2010-12-29 2010-12-29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5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68A (ko) * 2008-01-25 2009-07-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090089663A (ko) * 2008-02-19 2009-08-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68A (ko) * 2008-01-25 2009-07-2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KR20090089663A (ko) * 2008-02-19 2009-08-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995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192B1 (ko) 공기 처리 시스템의 꼭대기 덮개 및 공기 처리 시스템
KR101976188B1 (ko) 가습 장치와 공기 처리 시스템
US10429093B2 (en) Air treatment system
KR20170041663A (ko) 공기 처리 시스템
KR101976186B1 (ko) 공기 처리 시스템
KR20140083641A (ko)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80087220A (ko) 공기청정가습기
JP2014035144A (ja)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JP2010151365A (ja) 加湿装置
KR20100019824A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9506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341567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2010062036A (ja) イオン発生器並びにそ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及び空気調和機
KR100945071B1 (ko)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CN114858974A (zh) 一种用于有机酸环境的voc在线监测仪
JP2015021629A (ja) 空気調和機
KR102087223B1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KR100845593B1 (ko) 공기청정가습기의 본체 장착구조
KR20120008408U (ko) 가습공기청정기
CN219848900U (zh) 柜式除湿机
CN207555823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0478801Y1 (ko) 공기청정가습기용 물감지장치
CN215597718U (zh) 用于空气处理装置的储水箱及空气处理装置
KR20110087751A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240085B1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