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212B1 -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 Google Patents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12B1
KR101249212B1 KR1020090044208A KR20090044208A KR101249212B1 KR 101249212 B1 KR101249212 B1 KR 101249212B1 KR 1020090044208 A KR1020090044208 A KR 1020090044208A KR 20090044208 A KR20090044208 A KR 20090044208A KR 101249212 B1 KR101249212 B1 KR 10124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powder
fire
containe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594A (ko
Inventor
김용진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한식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식, 김용진 filed Critical 김한식
Priority to KR102009004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2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분말 소화기는 분말 약제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습기와, 자체 무게에 짓눌려 굳는 현상이 발생하는 관계로 소화기를 관리하는 사람은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정도 소화기를 상, 하, 좌, 우로 흔들어 주어 분말 약제가 굳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흔들어 섞어 주기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분말 약제가 굳어 자칫 긴박한 화재에서 소화기는 무용지물이 된다.
따라서 분말 소화기는 반드시 정기적으로 흔들어 주는 작업이 정말 중요한데 모든 소화기에 일일이 정기적으로 흔들어 주는 작업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람이 일일이 신경 쓰지 않더라도 분말 약제를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분말 약제를 고루 섞어주어 분말 약제가 굳지 않는 장치가 내장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 분말 약제

Description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Automatic a extinguish fire}
본 발명은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말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분말 소화기 종류는 축압식 분말소화기로 본체용기 내에 분말약 제를 일정량을 채우고 고압으로 가스를 충전하여 레버만 누르면 언제든지 분말 약제가 호스 및 노즐로 뿜어져 불을 끌 수 있는 장치이며,
가압식 분말 소화기는 본체용기 내에 분말 약제를 일정량을 채우고 별도의 가압용 가스용기 내에 고압가스를 충전하여 역시 본체 용기 내에 구비하여 레버를 누르면 레버가 가압용 가스용기를 파손하여 고압의 가스가 본체용기 내부의 분말 약제에 압력을 가하여 분말 약제가 호스 및 노즐로 뿜어져 불을 끄게 된다.
축압식 분말소화기는 본체용기 내에 고압의 가스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습기가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어 분말약 제가 습기로 인하여 굳지 않지만 분말약제의 자체 무게에 눌려 오랜 시간을 두면 굳게 되어 자칫 화재로 인한 위급한 상황이 도래하였을 때 소화기의 기능이 저하되어 불을 끄지 못할 수도 있으며,
가압식 분말 소화기는 본체 용기 내에 압력이 없는 관계로 외부에서 쉽게 습기가 침투하여 분말 약제를 굳게 할 수 있으며 역시 분말 약제 자체 무게로 눌려 굳는 현상이 커 분말 소화기는 대부분 축압식 분말 소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언론 보도를 보면 화재시 소화기가 작동되지않아 초동 소화를 하지 못하여 작은 화재가 큰 화재로 번져 소중한 재산과 인명을 잃은 사례가 가끔 보도되곤 한다.
그럴 때면 소방시설을 점검하는 등 낡은 소방시설을 바꾸기도 하지만 조금 지나면 여지없이 똑같은 사례의 뉴스를 보게 되는 참담한 현실이다.
단지 소화기의 관리만 잘되어도 초동 소화를 할 수 있어 큰 화재를 막을 수 있는데 한 달에 한 번 소화기를 흔들어 주는 것을 사람들은 의식을 갖고 하질 못하는 것 같다.
분말 약제가 굳지 않는 소화기를 구성하기 위하여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는 정기적으로 소화기의 분말 약제를 섞어 줄 수 있는 장치가 소화기 내부에 간단히 설치되어야 하며 그 장치가 전기수단을 역시 거추장스럽지않고 간단히 구성이 되어야 하며 그 구성이 분말 약제의 큰 축소와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지 않아야 하며 그 모든 구성이 소화기의 사용에 지장을 주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소화기 내부에 섞음 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소형 모터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그 구성이 아주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소형 모터 수단을 구동하는 전기 시설을 전지수단, 전기코드 수단, 전기유도 수단 등을 구비하는 것과 소형 모터 수단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수단을 일체화시켜 구비하는 것과 또는 외부에 따로 구비하는 것 등으로 하여 입력해 놓은 컨트롤 장치에 의해 정기적으로 모터에 전류를 도통 시켜 모터 수단에 장착한 섞음 수단이 분말약 제를 섞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화기 내부에 장착한 섞음 수단이 있는 소형모터가 정기적으로 자체 구동하여 분말약 제를 섞어 항상 미세한 분말을 유지하여 급박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100% 소화기의 기능을 할 수 있어 중요한 재산과 인명을 구할 수 있는 안전한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원심팬모듈수단(100)의 구성은 원심력압축팬구성수단(20)의 내부에 모터수단(21)과 그 모터회전축(22)에 조립되어 있는 압축팬수단(23), 압축날개수단(24)이 구비되어 있어 모터수단(21)이 고속 회전에 따른 압축팬수단(23), 압축날개수단(24)의 고속회전으로 이어진다.
상부에는 커버수단(25)과 그 중심부 쪽에 흡입구(26)가 마련되어 압축팬수단(23), 압축날개수단(24)의 고속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바람이 가장자리 방향으로 압축되어 압축공기입구(27)로 밀려 압축공기관(28)을 타고 압축공기방출부(29)로 강하게 빠져나와 분말약제에 강한 공기를 불어 넣어 분말 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원심력압축팬구성수단(20)의 일 측면의 연결구성부(30)에서 고정수단(32)이 구비되는바 그 내부에는 고정자석수단(34)이 내장되어 있어 금속에 붙을 수 있는 구성으로 고정면수단(35), 고정면수단(36)이 소화기 용기의 내부에 붙여 고정되는 면이며 이곳은 소화용기의 상단부의 곡선에 맞추어 구성이 되어 그곳에 붙여 고정되었을 때 수직으로 일직선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원심력압축팬구성수단(20)의 일 측면에서 배선수단(37)이 구비되고 그 끝에 전기플러그단자(38)가 구비되어 전기를 연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모터수단(21)에 전기를 보내주는 것으로 하며 그 전기는 DC, AC등 모두 포함하여 모터수단(21)의 전원설계에 맞추어 적용된 전기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원심팬모듈수단(200)의 구성은 상기에 열거한 원심팬모듈수단(100)과 그 구성은 같으나 고정수단(32)의 내부에 고정자석수단(34)대신 고정구멍(33)을 구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관수단(18)의 외부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구멍(33)에 방출관수단(18)의 분말약제흡입구(19)를 끼워 넣어 상부까지 올려 고정하면 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심팬모듈수단(100)은 소화용기 내부의 벽에 쉽게 부착이 되며 원심팬모듈수단(200)은 방출관수단(18)을 이용하여 소화용기 내부에 쉽게 안정적으로 구성이 된다.
원심팬모듈수단(100), 원심팬모듈수단(200)의 구성중 원심 팬 수단은 진공청소기에서 강한 진공장치에 사용이 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과급기에 사용이 되고 있는 강한 진공 및 강한 압축공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이다.
원심팬모듈수단(100), 원심팬모듈수단(200)을 소화용기 내부에 장착하려면 소화용기에 큰 구멍이 있어야 하지만 용기입구수단(42)은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도 4와같이 소화용기를 상부용기(40), 하부용기(50)로 나누어 구성을 하였으며 그렇게 하였을 때 상부용기(40)에 원심팬모듈수단(100), 또는 원심팬모듈수단(200)을 장착하고 상부용기(40), 하부용기(50)를 조립하면 된다. 상부용기(40)에는 상부용기내부공간부(41)가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용기입구수단(42)이 구비되어 있어 노즐(17), 호스(16), 압력게이지(15), 위손잡이(14), 아래손잡이(13)가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수단(10)의 플러그나사(11)가 체결이 되며 방출관수단(18)도 플러그수단(10)에 하단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구성이 된다.
상부용기(40)의 상단부 한 부분에서 전기플러그고정부(45)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나선수단(46)이 구비되는바 이 수단은 직선나선과 또는 테이퍼 나선을 구비할 수 있으나 본 출원서의 도면의 도시에는 테이퍼 나선으로 도시하였다. 나선수단(46)에 전기플러그수단(47)의 나선수단(48)을 맞물려 돌려 조립하면 압력이 새지 않는 것으로 하며 전기플러그수단(47)의 내부에는 전기 단자가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본 발명에 도면에는 2개를 도시하였고 상부용기(40)와는 절연이 되는 것으로 하고 각 각의 단자 간에도 절연된다.
상부용기(40)의 하단부에는 상부용기(40)보다는 더 두꺼운 구성으로 되어있고 나선수단(44)이 구비되는바 이 나사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직선나사 또는 테이퍼 나사 등의 나선수단(44)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용기(50)는 하부용기내부공간부(51)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하부용기하단부(52)가 막혀 구비되며 상단부로는 나사구성부(53)가 있어 하부용기(50)의 두께보다는 더 두꺼운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나선수단(54)이 구비되는바 나선수단(54)은 직선나선 또는 테이퍼 나선 등으로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시에는 테이퍼 암나사로 구비하고 상부용기(40)에는 테이퍼 수나사로 구비하여 서로 조립이 나사 체결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부용기(50)의 하부용기하단부(52)의 하단부에는 소화기받침수단(60)으로 받침을 하고 그 내부에 막음판수단(62)으로 외부와 격리하여 별도의 받침내부공간부(61)를 구성하고 그곳에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을 구비하였다.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은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한 소화기에서는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를 충전지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두며 또한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는 의도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모터수단(21)에 전기를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컨트롤 장치가 내장되는 것으로 한다.
그 컨트롤 기간은 제조자의 의도한 대로 프로그램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 도 6에서와같이 상부용기(40) 내부의 방출관수단(18)의 상단부에 원심팬모듈수단(100)을 조립구성하고 하부용기(50)를 조립하고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의 한 부분에서 배선수단(66)을 구성하며 그 끝은 전기플러그단자(69)가 구비되어 전기플러그수단(47), 전기플러그단자(38), 배선수단(37)을 통하여 모터수단(21)에 전류를 인가한다. 본 출원인은 2009년 05월 16일 43분에 출원번호 "10-2009-0042887", 발명의 명칭 "자동섞음되는 소화기"로 하여 특허 출원하였다. 상기 건에서 입구가 넓은 소화용기수단을 본 출원에 소화용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배선 및 전류 인가하는 방식이 비슷한 관계로 밝혀두는바 참고하여 주기를 바란다.
도 7에서 상부용기(40)에 태양전지수단(70)을 구성하여 만들어진 전기를 배선수단(71)을 구성하여 배선연결부(72)에서 배선수단(66)과 합하여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에 충전하는 것으로 하며 태양전지수단(70)은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을 상용할 수 있으며,
또는 박막 형태의 태양전지 수단을 쓸 수 있고 또는 도료 방식의 박막 태양전지 수단을 쓸 수 있으나 값이 싸고 휘어짐이 있고 두께가 극히 얇은 박막 형태의 태양전지 수단이 제일 좋을 것이나 본 발명출원서에서는 모든 태양전지 수단을 쓸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실내에 설치된 소화기는 햇빛을 볼 수 있는 환경이 아닐 수 있지만 실내 조명으로도 약간의 발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 한 달에 한 번 작동되는 모터수단(21)에 공급되는 전기량은 충분히 발전할 수 있다.
도 1은 원심팬모듈수단(100)을 일부 절단하여 사시도로 보인 도면.
도 2는 원심팬모듈수단(200)을 일부 절단하여 사시도로 보인 도면.
도 3은 방출관수단(18)의 외관에 원심팬모듈수단(100)을 구성하여 보인 도면.
도 4는 상부용기(40), 하부용기(50), 소화기받침수단(60)의 절단면도.
도 5는 상부용기(40), 하부용기(50)의 조립하고 내부공간에 원심팬모듈수단(200)을 구성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절단면을 해제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태양전지수단(70)을 구성하여 보인 도면.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플러그수단(10) 플러그나사(11)
아래손잡이(13) 위손잡이(14)
압력게이지(15) 호스(16)
노즐(17) 방출관수단(18)
분말약제흡입구(19)
원심력압축팬구성수단(20) 모터수단(21)
모터회전축(22) 압축팬수단(23)
압축날개수단(24) 커버수단(25)
흡입구(26) 압축공기입구(27)
압축공기관(28) 압축공기방출부(29)
연결구성부(30) 고정수단(32)
고정구멍(33) 고정자석수단(34)
고정면수단(35) 고정면수단(36)
배선수단(37)
전기플러그단자(38) 상부용기(40)
상부용기내부공간부(41) 용기입구수단(42)
나사구성부(43) 나선수단(44)
전기플러그고정부(45) 나선수단(46)
전기플러그수단(47) 나선수단(48)
하부용기(50) 하부용기내부공간부(51)
하부용기하단부(52) 나사구성부(53)
나선수단(54) 소화기받침수단(60)
받침내부공간부(61) 막음판수단(62)
전지수단 및 컨트롤장치(65) 배선수단(66)
전기플러그단자(69) 태양전지수단(70)
배선수단(71) 배선연결부(72)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원심팬모듈수단(100) 원심팬모듈수단(200)

Claims (1)

  1. 소화기 본체 내부 상단부나, 방출 관의 상단부에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원심 팬 모듈 수단을 구비하고,
    흡입구는 위쪽을 향하여 소화기 내부의 압축 공기부에 위치하며,
    압축공기관의 압축 공기 방출부는 소화기 내부의 하단 면의 일측에 위치시켜, 원심팬모듈수단의 구동으로 소화기 내부의 압축공기를 압축 공기 방출부로 뿜어 소화기 내부의 소화분말을 고루 섞어 굳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KR1020090044208A 2009-05-20 2009-05-20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KR10124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208A KR101249212B1 (ko) 2009-05-20 2009-05-20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208A KR101249212B1 (ko) 2009-05-20 2009-05-20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94A KR20110000594A (ko) 2011-01-04
KR101249212B1 true KR101249212B1 (ko) 2013-04-03

Family

ID=4360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208A KR101249212B1 (ko) 2009-05-20 2009-05-20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29A1 (ko)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엘엔피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이폰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82A (ko) * 1984-06-14 1986-01-25 오아나 가쯔오 소 화 기
KR870000944A (ko) * 1985-07-05 1987-03-10 정해성 대기온도 감지에 의한 자동방사식 소화기
JP2003518423A (ja) 1999-12-23 2003-06-10 ピアッティ,ドメニコ 自動式信号消火器
KR20080002851U (ko) * 2007-01-22 2008-07-25 이수정 제습(除濕) 수단이 구비된 소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82A (ko) * 1984-06-14 1986-01-25 오아나 가쯔오 소 화 기
KR870000944A (ko) * 1985-07-05 1987-03-10 정해성 대기온도 감지에 의한 자동방사식 소화기
JP2003518423A (ja) 1999-12-23 2003-06-10 ピアッティ,ドメニコ 自動式信号消火器
KR20080002851U (ko) * 2007-01-22 2008-07-25 이수정 제습(除濕) 수단이 구비된 소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29A1 (ko)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엘엔피 가스계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사이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94A (ko)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2028B2 (en) Wind-powered generator and assemblies therewith
KR101249212B1 (ko)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GB2515354A (en) Fragrance sprayer
AU2003277368A1 (en) Miniature hydro-power generation system
KR101323569B1 (ko)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KR101265395B1 (ko)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KR101258753B1 (ko)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CN109489168B (zh) 一种便携式智能加湿器
CN203934568U (zh) 电力专用感应式旋转驱鸟器
CN214232475U (zh) 一种具有火灾报警功能的电气控制箱
CN111092381B (zh) 一种消防配电柜
CN208355810U (zh) 香薰盒
KR101269283B1 (ko)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KR101258727B1 (ko) 자동 섞음 되는 소화기
RU2426571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2543794B1 (ko) 가습장치
CN209688687U (zh) 带有可拆装电池的工作灯
CN209187646U (zh) 一种便于室内环境固体挥发香氛装置
CN208626473U (zh) 车厢灭火装置
US9846071B1 (en) Pool water level and vacuum monitor
CN210698810U (zh) 一种冷焰火燃放装置
CN218421800U (zh) 一种环保喷淋降尘用步进远程喷枪
CN114713395A (zh) 一种多功能超低容量喷雾器
EP4151914A1 (en) Misting fan
CN105485818B (zh) 空气消毒加湿器的组合式壳体结构及空气消毒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