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189B1 -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 Google Patents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9189B1 KR101249189B1 KR1020100098257A KR20100098257A KR101249189B1 KR 101249189 B1 KR101249189 B1 KR 101249189B1 KR 1020100098257 A KR1020100098257 A KR 1020100098257A KR 20100098257 A KR20100098257 A KR 20100098257A KR 101249189 B1 KR101249189 B1 KR 101249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ttachment
- wall
- attachment member
- fuselag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에 대해 뛰어난 부착력을 갖는 복수의 고정구들로 이루어진 고하중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일, 유리 같은 벽에 대해 부착력이 뛰어난 부착부재를 복수로 사용하되 이들 부착부재를 하나의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부착부재 전체가 마치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구는 각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단순하게 합산한 것보다도 훨씬 큰 부착력을 제공하므로 고하중에도 견뎌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는 벽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 부재, 복수의 부착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및 각 부착 부재와 나사결합하여 나사부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캡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타일, 유리 같은 벽에 대해 부착력이 뛰어난 부착부재를 복수로 사용하되 이들 부착부재를 하나의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부착부재 전체가 마치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구는 각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단순하게 합산한 것보다도 훨씬 큰 부착력을 제공하므로 고하중에도 견뎌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는 벽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 부재, 복수의 부착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및 각 부착 부재와 나사결합하여 나사부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캡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에 대해 뛰어난 부착력을 갖는 복수의 고정구들로 이루어진 고하중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통상적으로 벽에 고정되어 사용되며, 이때 선반의 벽에 대한 고정은 못이나 나사 등으로 고정한다. 예를 들면 욕실과 같이, 장식이나 다른 목적으로 타일, 유리와 같은 물체가 벽에 피복된 경우, 선반을 못이나 나사 등으로 고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실용신안등록 제369845호, 제3866호 등에는 타일, 유리 벽과 같은 곳에 부착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409617호에는 이러한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공지의 진공 흡착구는 간단하게 벽에 부착할 수 있고 벽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착구가 벽에 고정된 후 중력방향의 힘을 받는 경우 쉽게 벽으로부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흡착구를 이용한 공지의 선반도 무거운 하중을 견뎌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특허공개 제2007-36916호는 흡착구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착구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의 부착력을 보조하는 별도의 보조부착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보조부착장치는 벽에 부착될 때 양면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부착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보조부착장치가 흡착구에 제공하는 부착력은 미약할 뿐만 아니라, 보조부착장치가 흡착구에 제공하는 부착력은 국부적이어서 보조부착장치의 역할이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2008-102500호는 부착시트를 이용한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고정구는 공지의 흡착구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부착기구가 상이하다. 즉, 흡착구는 탄성을 갖는 원형 본체를 벽에 밀착시킨 후 이 본체 중심부를 벽으로부터 강제로 이격시킬 때 발생하는 진공을 이용하여 벽에 부착되나, 전술한 고정구는 본체 밑면에 타일이나 유리 같은 물체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난 부착시트를 부착시키고 이 부착시트를 벽에 밀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벽에 부착된다. 부착시트는 타일이나 유리 같은 물체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난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이 사용된다. 이 고정구는 같은 크기의 흡착구에 비해 부착시트가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서 벽에 부착함으로써 부착력이 월등하나, 선반을 고정시키는 고정구로 사용되기에는 여전히 부착력이 미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일, 유리 벽과 같은 곳에 부착할 수 있는 고하중 고정구와 이러한 고정구를 이용한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일, 유리 같은 벽에 대해 부착력이 뛰어난 부착부재를 복수로 사용하되 이들 부착부재를 하나의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부착부재 전체가 마치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구는 각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단순하게 합산한 것보다도 훨씬 큰 부착력을 제공하므로 고하중에도 견뎌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는 벽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 부재, 복수의 부착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및 각 부착 부재와 나사결합하여 나사부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캡으로 구성된다.
각 부착 부재는 평평한 밑면을 갖는 동체, 동체 밑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고 벽면에 대해 부착성을 갖는 부착시트, 및 동체의 윗면에서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나사부를 갖는 봉으로 구성된다. 캡에는 봉의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가 형성되어서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부착부재를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부착시트는 타일이나 유리 같은 물체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난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이 사용된다.
케이스에는 부착 부재의 봉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는 고정구를 벽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벽에 대해 이격하여 위치된다. 이는 복수의 부착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이들 전체가 마치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만일 케이스가 벽과 서로 닿게 되는 경우, 부착부재가 캡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될 때 부착부재의 밑면이 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됨으로써 부착부재의 부착력이 크게 감소하므로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중은 상기 복수의 부착 부재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부착 부재가 담당한다. 이렇게 하면, 하중을 담당하는 부착부재 이외의 부착부재가 하중 담담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부착 부재의 동체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부착시트는 동체의 원형 단면을 지나 연장되되 원형 동체의 최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가 동체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가 동체 직경의 1 ~ 1.5 배이며, 이에 의하면 부착시트의 사용 면적에 대해 최적의 부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착 부재가 3개이고 이들 3개의 부착 부재가 하중을 담당하는 부착부재를 기준으로 역삼각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각 부착 부재의 밑면에 고정되는 각 부착시트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착시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부착 부재를 역삼각형으로 연결하는 선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선형 지지부는 부착 부재들을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부착시트를 벽에 대해 밀착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서 고정구의 부착력을 더욱 배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고하중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한다. 선반은 선반이 물건을 안치시키는 선반 부재와 이 선반 부재를 지지하도록 벽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지지 부재는 복수의 부착 부재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부착 부재에 부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부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부착부재가 견뎌내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방법 설명도이다.
도 3은 부착부재가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부차부재가 벽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정면도로서 부착부재는 연신된 부분만 도시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가 벽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부착부재의 배열 예시도 및 부착시트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를 이용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를 이용한 선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부착부재가 견뎌내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방법 설명도이다.
도 3은 부착부재가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부차부재가 벽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정면도로서 부착부재는 연신된 부분만 도시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가 벽에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부착부재의 배열 예시도 및 부착시트 형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를 이용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를 이용한 선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예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착부재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재(2)는 동체(3), 부착시트(4), 및 봉(5)으로 구성된다.
동체(3)는 윗면(6)과 밑면(7)을 가지며,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된 동체(3)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밑면(7)은 벽에 부착되는 면이 되므로 평평하게 구성되며, 윗면(6)은 부착 면이 아니므로 반드시 평평해야되는 것은 아니나 평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5)은 동체의 윗면에서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며, 봉에는 나사부(8)가 형성된다.
부착시트(4)는 동체 밑면(7)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동체 밑면에 대한 부착시트의 고정은 동체 밑면에 부착시트를 고주파 또는 열 융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고주파 또는 열 융착에 의한 고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부착시트를 동체 밑면의 전체에 걸쳐서 고주파 또는 열 융착시키는 것보다는 동체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고주파 또는 열 융착하는 것이 제조비용이나 시간 면에서 유리하다. 이때 동체 밑면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고주파 또는 열 융착할 수 있으며, 예시된 부착부재(2)의 경우, 동체 밑면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는 연장부(9)를 갖도록 구성되고 이 연장부(9)에 부착시트(4)를 고주파 또는 열 융착한다. 부착시트는 타일이나 유리 같은 물체에 대한 부착성을 갖는 어떠한 물질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공지된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다양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자기부착성(자기 점착성)을 갖는 합성수지 시트(예를 들면, 핸드폰의 액정보호용 부착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부착시트의 두께는 0.5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부착시트의 두께는 얇을수록 벽에 대한 부착력이 커지나, 부착력과 함께 제조 및 취급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0.15 ~ 0.3mm 범위가 가장 바람직한 두께이다.
적절한 부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시트(4)는 동체(3)의 외연 너머로 연장된다. 동체의 외연을 너머서 연장되는 부착시트의 연장 길이는 그 길이가 길수록 부착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나, 제조와 취급의 편의상 그 길이가 제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 연장길이의 적정한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재(2)를 유리로 된 벽면(10)에 부착시킨다. 벽면에 대한 부착부재의 부착은 일단 동체(3)의 윗면을 잡고 동체를 벽면에 가압하여 부착시킨 후 이어서 부착시트(4)를 손가락으로 잘 눌러주어서 최종적인 부착을 완성하였으며, 모든 실험에서 동일한 과정으로 부착부재를 벽면에 부착하였다. 부착이 완료되면, 봉(5)에 추를 가하면서 부착부재(2)가 벽으로부터 탈락하는 하중을 측정하였다. 이 탈락하중은 부착부재의 부착력으로 취급할 수 있다. 추는 960g의 무게를 가지며, 사용된 추들은 모두 동일한 형상과 무게를 갖는다. 부착부재의 동체 직경은 20mm로 고정하고 부착시트의 연장길이(동체의 외연으로부터 측정한 길이)를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연장길이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45 |
추의 수 | 2 | 4 | 6 | 6 | 7 | 6 | 7 | 7 |
이 실험으로부터 부착시트의 연장길이는 그 길이가 커질수록 급격하게 부착력이 증가하나 동체 직경의 1배 정도에서 거의 포화치에 이르고 이후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착시트의 연장길이는 동체 직경의 1 ~ 1.5 배 범위에서 최적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위의 실험을 수행하면서 부착부재가 벽면으로부터 탈락할 때를 자세히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을 발견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재가 축의 하중에 의해 봉을 중심으로 중력방향으로 회전하면 동체 상단부분의 부착시트는 연신되기 시작하며, 동체 밑면이 벽면에 대해 약 30도 정도로 기울면 부착부재는 벽면으로부터 완전히 탈락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모든 경우에서 거의 동일하게 발생하였으며, 부착시트의 연장길이가 아주 긴 경우에는 동체로부터 먼곳의 부착시트는 아직 벽면에 부착되어 있으나 부착부재의 동체는 이미 벽면으로부터 탈락하여 기울어져 있어서 부착부재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탈락된 부착부재를 정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편의상 부착시트는 연신된 부분(11)만 도시하였다.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3)의 최상단 지점(P)으로부터 반경방향의 부착시트가 가장 많이 연신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부착부재가 봉에 걸린 추에 의해 회전모멘트를 받는 경우에 동체의 최상단 지점(P)에서 가장 큰 회전모멘트가 걸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도 4에서 부착시트의 연신된 부분(11)의 형상은 동체의 최상단 지점(P)에서 가장 많이 연신되고 동체의 양 측면 이하에서는 거의 제로에 가까운데, 이는 부착부재의 동체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의 분포형상과 거의 일치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전술한 최적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동체 직경의 1 ~ 1.5 배 범위의 부착시트의 연장길이는, 적어도 동체 최상단으로부터 동체 반경방향으로 측정한 연장길이가 동체 직경의 1 ~ 1.5 배 범위에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외 부분의 연장길이는 이 범위보다 작아도 무방한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의 분해사시도로서, 고하중 고정구(1)는 복수의 부착 부재(2), 케이스(20), 및 캡(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1)는 종래의 고정구와 달리 복수의 부착부재를 사용하되 이들 부착부재를 하나의 케이스로 고정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처럼 하나의 케이스로 고정함으로써 부착부재 전체가 마치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며, 그 전체적인 부착력은 각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단순하게 합산한 것보다도 훨씬 큰 부착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구(1)는 3개의 부착부재를 사용하되, 부착부재들이 삼각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고하중 고정구에 사용되는 복수의 부착부재(2)는 도1과 관련하여 전술한 부착부재를 복수로 사용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각 부착부재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각각의 부착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부착부재 중에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부착부재가 고정구(1)의 하중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하중을 담당하는 부착부재를 기준으로 본다면, 부착부재들의 배열은 역삼각형 배열을 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부착부재의 탈락현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부재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부착부재의 최상단 지점에서 최대의 회전모멘트가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부착부재가 고정구(1)의 하중을 담당하도록 하면, 이 하중담당 부착부재의 상단에 있는 부착부재들은 하중담당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중을 담당하는 부재의 캡에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를 형성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 부착부재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부착시트를 갖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도시된 고정구(1)에서와 같이, 부착부재(2) 하단의 부착시트(4)는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착시트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질적으로 부착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부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시된 고정구(1)의 경우, 역삼각형으로 배열된 부착부재(2)들은 선형 지지부(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선형 지지부(14)는 부착부재(2)의 동체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로 형성되며, 부착부재 동체(3)의 밑면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연장부(9)와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시트(4)는 연장부(9) 뿐만 아니라 선형 지지부(14)에도 고주파 또는 열 융착된다. 선형 지지부(14)는 부착 부재(2)들을 상호 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부착시트(4)가 고주파 또는 열 융착되므로 부착시트(4)를 벽에 대해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고정구(1)의 부착력이 더욱 배가된다고 판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는 부착부재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예시된 실시예의 케이스(20)는 3개의 부착부재(2)의 봉(5)이 관통하는 복수(3개)의 통공(22)을 갖는다. 이 통공(22)들은 부착부재(2)의 배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케이스(20)의 저면에는 부착부재들의 동체(3)가 수용되는 공간부(케이스의 윗면과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케이스(20)에 대한 각 부착부재(2)의 고정은 캡(30)에 의한다. 이를 위해, 각 캡(30)에는 부착부재의 봉(5)에 형성된 나사부(8)와 결합하는 나사형성부(32)가 형성된다. 나사형성부(32) 내면에는 봉의 나사부(8)와 맞물리는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1)를 벽에 부착시키는 과정은 설명한다.우선, 부착부재(2)를 벽면에 부착시킨다. 이때, 벽면에 대해 선형 지지부(14)와 부착시트(4)를 고르게 손가락으로 눌러주어 부착시트(4)가 벽면에 밀착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케이스(20)의 통공(22)으로 부착부재의 각 봉(5)이 삽입되도록 케이스를 부착부재와 결합시킨 후, 캡(30)으로 부착부재(2)들을 케이스(20)에 대해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과 부착부재의 봉에는 서로 상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캡의 회전에 의해 나사부들이 맞물리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1)가 벽면에 대해 부착되게 된다.
고정구(1)가 벽면에 대해 부착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는 벽면과 이격하여 위치된다. 고정구가 부착된 상태에서 케이스(20)가 벽면과 이격하여 위치되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부의 높이가 부착부재 동체(5)의 높이보다 낮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고정구를 벽면에 대해 부착한 후의 부착케이스(20)가 벽면과 이격하여 위치됨으로써 부착부재 전체가 마치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게 된다. 즉, 부착부재(2)들은 케이스(20)를 매개로 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가장 낮은 부착부재(하중 담당부재)에 하중이 가해져서 부착부재가 그 회전축(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는 경우, 하중 담당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착부재들이 고정구의 벽면에 대한 부착력을 보강하며, 더우기 이러한 배열은 하중 담당부재에 가해지는 회전모멘트의 분포를 고려할 때 가장 효율적인 부착력을 제공한다고 판단된다. 만일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의 높이가 부착부재 동체(5)의 높이보다 높아서 케이스가 벽면과 서로 닿게 되는 경우, 부착부재가 캡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될 때 캡을 세밀하게 조절하지 않으면, 부착부재가 들려져서 부착부재의 밑면이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므로 부착부재의 부착력이 크게 감소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부착부재가 3개 사용되며 이들이 하중 담당부재를 기준으로 역삼각형으로 배열되었으나, 부착부재가 임의의 갯수, 예를 들면, 2개 또는 4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그 배열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부착부재개수와 그에 따른 배열 예시도이며, 도 8은 부착시트 형태의 예시도이다. 부착부재 배열 예시도의 경우, 부착부재의 동체(3) 위치만 표시하였다. 부착부재들이 2개 사용되는 경우, 부착부재들은 상,하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연히 아래의 부착부재가 하중을 담당한다. 부착부재들이 3개 사용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담당 부착부재를 기준으로 역삼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재들이 상,하로 배열될 수도 있다. 부착시트의 배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시트(4)들이 서로 불연속 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시트들이 서로 연결되어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구의 부착력을 알아보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실험을 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부착부재의 개수 | 1 | 2 | 3 | 4 |
비 교 예 | 6 | 12 | 18 | 24 |
본 발 명 | 16 | 25 | 36 |
비교예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다. 부착부재의 동체 직경과 부착시트의 연장길이(동체의 외연으로부터 측정한 길이)를 20mm로 한 것으로, 부착부재가 1개인 결과는 표 1에서 이미 한 실험결과이다. 부착부재가 복수(2, 3, 4개)인 경우는 별도로 실험한 것이 아니라 부착부재가 1개인 경우의 단순배수를 취한 값, 즉 추정치이다. 비교예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착부재의 개수가 늘더라도 단순하게 각 부착부재의 합에 해당하는 값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부착부재의 개수가 2개인 경우는 부착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부착시트가 하나로 연결된 경우이고, 부착부재의 개수가 3인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착부재와 부착시트 구성을 갖는 경우이며, 부착부재의 개수가 4인 경우는 역시 부착시트는 하나로 연결된 경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재가 배열된 경우이다.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부착력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착부재들이 사용되더라도 하중담당 부착부재 이외의 부착부재들은 하중담당 부착부재의 부착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면서 마치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착부재인 것처럼 작용하도록 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선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를 이용한 선반의 사시도이다.
선반(60)은 물건을 안치시키는 선반부재(50), 이 선반부재를 지지하도록 벽에 부착되는 지지부재(40), 및 전술한 바와 같은 고하중 고정구(1)로 이루어 진다. 지지 부재(40)는 고정구(1)의 복수의 부착 부재(2)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부착 부재, 즉 하중담당 부착부재에 고정된다.
지지부재는 선반부재를 안치할 수 있으며, 고정구(1)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와 구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40)가 전체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면에는 선반부재(50)를 안착시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홈(42)이 형성되고 측면은 제 1 측면(45)과 제 2 측면(46)으로 형성된다. 제 1 측면에는 고정구(1)의 부착부재 봉(5)이 삽입되는 관통공(44)이 케이스의 통공(22)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돌기(43)가 형성된다. 돌기(43)는 케이스에 형성되는 홈(25)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돌기(43)는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말단부가 케이스의 홈(25)에 걸려지게 된다.
지지부재(40)의 고정은 우선, 고정구(1)의 부착부재(2)의 봉(5)을 케이스(20)의 통공(22)과 지지부재의 관통공(44)을 지나도록 삽입하면서 동시에 돌기(43)가 케이스의 고정홈(42)에 걸려지도록 하고, 다음으로 캡(30)과 봉(5)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지지부재의 고정은 캡과 봉의 나사결합만으로도 충분하며, 돌기(43)는 부착적인 것이므로 생략가능하다. 지지부재(40)가 고정구(1)에 고정되는 경우, 제 1 측면(45)은 케이스(20)의 윗면과 결합하며, 제 2 측면(46)은 고정구(1)가 부착되는 벽면과 결합한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케이스(20)의 저면에 부착부재들의 동체(3)가 수용되는 공간부(케이스의 윗면과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대신에 케이스가 판상으로 형성되면서 부착부재의 동체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 벽에 부착되는 복수의 부착 부재, 복수의 부착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케이스, 및 각 부착 부재와 나사결합하여 부착 부재를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캡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부착 부재는 평평한 밑면을 갖는 동체, 동체 밑면에 밀착하여 고정되고 벽면에 대해 부착성을 갖는 부착시트, 및 동체의 윗면에서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나사부를 갖는 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부착 부재의 봉이 관통하는 복수의 통공을 가지며, 상기 캡은 상기 봉의 나사부와 맞물리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 부재의 동체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부착시트는 동체의 원형 단면을 지나 연장되되 원형 동체의 최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가 동체 직경의 1 ~ 1.5 배이며,
상기 부착 부재가 3개이고 이들 3개의 부착 부재가 역삼각형으로 배열되고 각 부착 부재의 밑면에 고정되는 각 부착시트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착시트를 구성하며, 3개의 부착 부재를 연결하는 선형 지지부를 포함하여서 이 선형 지지부가 부착 부재들을 위치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부착시트를 벽에 대해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 고정구. - 제 1항에 따른 고하중 고정구를 이용하여 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선반으로서, 선반이 물건을 안치시키는 선반 부재와 이 선반 부재를 지지하도록 벽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지지 부재는 복수의 부착 부재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부착 부재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8257A KR101249189B1 (ko) | 2010-10-08 | 2010-10-08 |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8257A KR101249189B1 (ko) | 2010-10-08 | 2010-10-08 |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6525A KR20120036525A (ko) | 2012-04-18 |
KR101249189B1 true KR101249189B1 (ko) | 2013-04-02 |
Family
ID=4613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8257A KR101249189B1 (ko) | 2010-10-08 | 2010-10-08 |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91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0207B1 (ko) * | 2016-06-21 | 2016-10-27 | 강석만 |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
KR102202903B1 (ko) * | 2019-08-30 | 2021-01-13 | 김준태 | 벽지 고정용 행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0213U (ko) * | 1988-12-09 | 1990-06-20 | ||
JPH0743224U (ja) * | 1993-04-22 | 1995-08-18 | 広島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 壁掛け吸着盤 |
JP2002364626A (ja) | 2001-06-06 | 2002-12-18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吸着テ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吸着テーブルを用いた検査装置 |
KR20080001319U (ko) * | 2006-11-21 | 2008-05-26 | 김광철 |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
-
2010
- 2010-10-08 KR KR1020100098257A patent/KR1012491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80213U (ko) * | 1988-12-09 | 1990-06-20 | ||
JPH0743224U (ja) * | 1993-04-22 | 1995-08-18 | 広島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 壁掛け吸着盤 |
JP2002364626A (ja) | 2001-06-06 | 2002-12-18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吸着テーブ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吸着テーブルを用いた検査装置 |
KR20080001319U (ko) * | 2006-11-21 | 2008-05-26 | 김광철 | 흡착구를 이용한 선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6525A (ko) | 2012-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620605S1 (en) | Test tube rack | |
KR101249189B1 (ko) | 고하중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반 | |
CN102562774A (zh) | 一种真空吸附器 | |
CN208425845U (zh) | 一种防倒杯垫 | |
US20170152988A1 (en) | Resuable hanging device | |
CN205173199U (zh) | 一种置物架强力吸盘 | |
USD557795S1 (en) | Corner support block | |
CN203000475U (zh) | 可随意移动的挂墙式置物装置 | |
KR101671618B1 (ko) | 진공흡착구 | |
US20220408922A1 (en) | Structural board and table | |
CN2909979Y (zh) | 一种货架支撑装置 | |
CN103253423A (zh) | 一种塑料托盘 | |
CN207761522U (zh) | 一种中空玻璃 | |
RU86563U1 (ru) | Ролик для подвижной опоры | |
CN203239738U (zh) | 一种双吸盘挂件 | |
KR101279207B1 (ko) | 흡반 및 그 제조방법 | |
CN206068652U (zh) | 一种带吸盘的滚轮搬运装置 | |
CA2723501A1 (en) | Shopping bag trash rack system | |
CN209661211U (zh) | 一种多功能置物架 | |
CN214195990U (zh) | 一种工业门用组合式安全支架 | |
CN214072548U (zh) | 一种带轻质复合板的瓷边柜 | |
CN220546111U (zh) | 桌面拱门固定夹 | |
CN202171104U (zh) | 液晶显示器的底座及液晶显示器 | |
CN214983758U (zh) | 一种复合板及应用其的家具 | |
CN214822253U (zh) | 一种高强度改性树脂工艺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