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170B1 -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170B1
KR101249170B1 KR1020060053448A KR20060053448A KR101249170B1 KR 101249170 B1 KR101249170 B1 KR 101249170B1 KR 1020060053448 A KR1020060053448 A KR 1020060053448A KR 20060053448 A KR20060053448 A KR 20060053448A KR 101249170 B1 KR101249170 B1 KR 10124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new
display
user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180A (ko
Inventor
정한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170B1/ko
Priority to PCT/KR2007/001837 priority patent/WO2007119996A1/en
Priority to US12/297,190 priority patent/US8655142B2/en
Priority to EP07746000.4A priority patent/EP2008450B1/en
Priority to CN2007800172716A priority patent/CN101444090B/zh
Publication of KR2007011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표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전원이 켜지면 사용자에 의해 기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새로운 녹화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일이 녹화목록의 표시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녹화물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녹화를 지시한 사용자가 해당 사실을 잊어버리더라도, 영상기기의 메인(main) 전원을 온(on)시킴으로써 새로운 녹화물이 추가되었음을 바로 알 수 있다.
녹화, 신규 녹화물, 예약녹화, 녹화목록

Description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표시방법{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Newly Record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될 수 있는 '신규추가 메시지'의 일 예,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 표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영상물 녹화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전원을 켰을 때 사용자가 일일이 녹화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녹화물의 저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녹화 또는 예약 녹화하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기 기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영상기기를 통해 사용자는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 등을 녹화하게 된다.
대용량 저장매체를 가지는 영상기기의 경우, 저장매체에 다양한 녹화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예약녹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많은 녹화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많은 녹화물에 대한 녹화가 진행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진행시킨 녹화 또는 예약녹화가 종료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녹화된 녹화물의 목록을 표시하여 검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영상기기로 하여금 녹화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지 않는 한, 새롭게 녹화된 녹화물을 확인할 수 없다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사용자는 자신이 영상기기로 하여금 특정 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하도록 지시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영상물 녹화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전원을 켰을 때 사용자가 일일이 녹화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녹화물의 저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 표시 방 법은, 메인 전원 온(on) 된 후, 상기 메인전원이 온되기 이전에 저장된 신규 녹화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신규 녹화물의 추가가 있으면, 상기 신규 녹화물 추가에 대한 메시지 창을 표시토록 함으로써 상기 신규 녹화물의 추가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규 녹화물은, 녹화가 완료되어 저장된 녹화물 중, 상기 메인전원 온 상태 이전의 메인전원 온 상태에서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목록 상에 표시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신규 녹화물이 추가된 경우 설정되는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신규 녹화물이 저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메인전원 온 되기 전에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녹화목록 표시명령 전에 상기 신규 녹화물 추가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플래그는 리셋(reset)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 중에, 상기 메시지 창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저장된 녹화물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 창은 상기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는 저장된 신규 녹화물의 파일명,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국명, 녹화 일시, 즉시녹화/예약녹화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영상물을 녹화하여 저장하며, 표시 부를 통해 메시지 창(window)의 형태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상기기는, 저장매체 및 녹화처리부를 포함한다. 저장매체에는 녹화물이 저장된다.
녹화처리부는 메인 전원이 온(on)상태가 되기 전에 저장된 신규 녹화물이 상기 저장매체에 있는 경우, 상기 신규 녹화물 추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시지 창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녹화처리부는, 신규 녹화물이 추가된 경우 설정되는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신규 녹화물이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며,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 이전에 설정된 상기 플래그를 리셋(reset)한다.
본 발명의 영상기기는 상기 메시지 창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녹화처리부는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 중에, 상기 사용자 선택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녹화물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를 중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영상기기(100)는 소정의 영상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물의 저장을 위하여 대용량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용량 저장매체로는 하드디스크(Hard Disk), 자기기록테이프, 기타 플래쉬(Flash) 메모리 등이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영상기기(100) 내에 장착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장 착 또는 연결할 수 있으면 된다.
영상기기(100)가 저장할 수 있는 영상물(또는 녹화물)은,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종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조합을 말하며, 디지털 형태 또는 아날로그 형태를 포함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은 디지털 영상물을 하드디스크 또는 대용량 메모리 소자 등에 저장할 수 있는 영상기기(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의 영상기기(100)는 셋톱박스(Set Top Box), 디티브이(DTV: Digital Television),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Built-in PVR TV 시스템 등이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영상기기(100)가 녹화 또는 예약녹화하는 녹화물이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의 영상기기(100)는 빌트인 피브이알 티브이 시스템을 전제로 도시되었으며, 이하에서의 설명도 도 1을 기초로 한다.
영상기기(10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국의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영상기기(100)는 메인 전원 온 된 현재상태 이전에 소정의 녹화물이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 메인(main) 전원이 온(on)된 후 해당 신규 녹화물의 저장(또는 추가)사실을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새로운 영상물이 녹화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 전원이란,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 스위치 조작, 또는 프로그램 제어 등에 의해, 영상기기(100)의 모든 동작이 가능하도록 영상기기(100)의 전체 회로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말한다. 사용자는 메인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영상기기로 하여금 녹화/재생 등을 포함하는 모든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메인전원에 대응하여, 예약녹화와 같이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하도록 예약된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 정도를 수행하고 다른 동작은 수행할 수 없는 전원 상태를 '스탠바이(Standby)' 전원이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기기(100)는 튜너/디멀티플렉서(tunor/demultiplexer)(101), 메모리(103), 디코더(decoder)(105), AV(Audio Video) 신호처리부(107), 그래픽처리부(109), 사용자입력부(111), 저장매체(113) 및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도 1에는 영상기기(100)를 위한 표시부(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가 표시되지 않았으나, 표시부(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가 영상기기(100) 내부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외부장치로 영상기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튜너/디멀티플렉서(101)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에서 AV 스트림 및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튜너/디멀티플렉서(101)가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신호는 복수 개의 방송 채널 중 하나에 해당한다.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및 프로그램 서비스 정보(PSI: Program Service Information) 등을 포함한다.
PSIP는 북미향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각종 부가정보로써, 해당 전송채널로 전달되는 정보에 대한 분류와 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정보이다.
다만, 튜너/디멀티플렉서(101)가 수신하는 방송신호가 유럽향 디지털 방송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에 따른 경우, PSIP를 대신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의 기초가 되는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 - Service Information) 규격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되게 적용될 수 있다.
튜너/디멀티플렉서(101)에서 출력되는 AV 스트림은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저장매체(113)로 출력됨으로써 저장(또는, 녹화)될 수 있다.
메모리(103)는 비활성 메모리(103)로써 튜너/디멀티플렉서(101)에서 분리된 PSIP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가 제어부(115)의 처리를 위해 임시로 저장된다.
디코더(105)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튜너/디멀티플렉서(101) 또는 저장매체(113)에서 출력되는 AV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파싱(parsing)하여 AV 신호처리부(107)로 출력한다.
AV 신호처리부(107)는 디코더(105)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표시장치(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로 각각 출력한다. 이 경우, 그래픽처리부(109)로부터 입력되는 그래픽 영상신호를 표시장치(미도시)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포함시킨다.
그래픽처리부(109)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방송매체, 채널, 녹화, 예약녹화, 재생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정보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의 그래픽 영상신호에는 텍스트(Text), 그래픽 및 이 미지(Image)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영상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OSD(On Screen Display) 신호 등이 해당된다. 그래픽처리부(109)는 발생한 OSD 신호와 같은 그래픽 영상신호를 AV 신호처리부(107)로 출력하여 디코더(105)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삽입되도록 한다.
사용자입력부(111)는 채널변경 명령, 녹화명령, 예약녹화 명령, 저장된 방송신호의 재생명령 및 각종 설정사항의 표시/변경 명령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115)로 출력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11)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국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방송신호에 대한 녹화 또는 예약녹화를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녹화된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소정의 재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1)는 외부의 무선 리모컨(remote controller), 마우스(mouse), 키보드(key board) 등과의 유무선 인터페이스가 해당하며, 실시 예에 따라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이 사용자입력부(111)에 포함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저장매체(113)는 하드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이 해당한다. 저장매체(113)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튜너/디멀티플렉서(101)로부터 입력되는 AV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매체가 반드시 영상기기(100)내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제어부(115)는 영상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5)는 녹화처리부(115-1)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녹화물 정보의 표시기능을 수행한다.
녹화처리부(115-1)는 사용자입력부(111)로부터 녹화 또는 예약녹화에 관한 사용자제어명령을 수신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녹화처리부(115-1)는 튜너/디멀티플렉서(101)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신호 중 녹화명령에 대응되는 AV 스트림 및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중 일부를 저장매체(113)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녹화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저장매체(113)에 저장되는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중 일부는 해당 AV 스트림의 디코딩 및 표시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다.
녹화처리부(115-1)는 사용자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녹화목록 표시명령을 수신하면, 저장매체(113)에 저장된 녹화물의 목록을 그래픽처리부(109)로 출력하여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녹화처리부(115-1)는 녹화 또는 예약녹화가 완료되어 녹화목록에 신규로 등록된 경우, 해당 신규 녹화물 추가에 관한 메시지(이하 '신규추가 메시지'라 함)를 생성하여 그래픽처리부(109)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다만, 녹화처리부(115-1)는 영상기기(100)의 메인 전원이 오프(off) 되었다가 다시 온(on) 된 경우에 신규추가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영상기기(100)의 메인 전원 오프(즉, 스탠바이 전원상태) 중에 예약녹화가 수행되어 신규 녹화물이 저장된 경우, 녹화처리부(115-1)는 영상기기(100)의 메인 전원이 다시 온 된 때 사용자로 하여금 즉시 신규 녹화물이 있음을 알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즉시 녹화명령이 있었고 해당 녹화 중에 메인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녹화처리부(115-1)가 계속 녹화를 수행하 여 녹화를 완료한 경우, 녹화처리부(115-1)는 영상기기(100)의 메인 전원이 다시 온 된 때 사용자로 하여금 즉시 신규 녹화물이 있음을 알도록 할 수 있다.
녹화처리부(115-1)는 영상기기(100)의 메인전원이 온 됨에 따라 신규추가 메시지를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한번 표시하였다면, 사용자가 녹화목록의 확인여부를 불문하고 해당 신규 녹화물과 관련된 신규추가 메시지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녹화처리부(115-1)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초)동안만 신규추가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메인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녹화가 완료되어 녹화목록에 신규로 등록되었다 하더라도 영상기기(100)의 메인전원이 다시 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녹화목록을 검색하였다면, 녹화처리부(115-1)는 영상기기(100)의 메인전원이 또 다시 온 되더라도 신규추가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녹화목록의 표시명령을 입력받아 녹화목록을 표시하고 있는 중에 녹화완료가 있으면, 녹화처리부(115-1)는 목록 상에서 새로운 녹화물을 표시하면서 해당 녹화물이 새로운 녹화물임을 부가적으로 표시하고 별도의 신규추가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녹화처리부(115-1)는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녹화 또는 예약녹화가 완료되어 녹화목록에 신규로 등록된 경우, 소정의 플래그(Flag)(이하 '신규녹화 플래그'라 함)를 셋팅하고, 메인전원이 온 된 경우 신규녹화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신규추가 메시지의 표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녹화처리부(115-1)는 사용자가 이미 녹화목록을 확인한 경우나, 신규 녹화물에 대응되는 신규추가 메시지가 한번 표시된 경우에는 신규녹화 플래그를 리셋함으로써 상기의 예외적인 경우에 신규추가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신규추가 메시지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메시지 창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는 그 일 예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표시될 수 있는 신규추가 메시지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미도시) 상에 신규추가 메시지 창(a)이 표시되고 있다. 메시지 창(a)에는 새로운 녹화물이 추가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녹화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목록' 버튼(b)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목록' 버튼(b)을 선택함으로써 영상기기(100)로 하여금 현재 상태를 기준으로 저장매체(113)에 저장되어 있는 녹화물의 목록을 표시토록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신규추가 메시지는 기 생성하여 저장해 놓은 그래픽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녹화목록 메시지는 저장매체(113)에 저장된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녹화물에 대한 정보는 저장된 파일명, 해당 녹화물의 방송국명, 녹화일시, 즉시녹화/예약녹화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PSIP 등의 부가정보를 기초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신규추가 메시지는 새로운 녹화물이 저장될 때마다 별도로 생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 표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녹화처리부(115-1)가 녹화 등에 의해 신규추가 플래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녹화처리부(115-1)가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녹화 또는 예약녹화를 수행함에 따라(S301), 해당 녹화동작이 완료되면(S303), 신규추가 플래그를 셋팅한다(S305).
이후에 녹화처리부(115-1)는 사용자입력부(111)를 통해 녹화목록 표시명령을 수신되는지 확인하고(S307), 녹화목록 표시명령이 있으면 기 셋트되었던 신규추가 플래그를 리셋(reset)시킴으로써 신규추가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S309).
S307 단계에서 녹화목록 표시명령이 없으면, 녹화처리부(115-1)는 메인전원이 오프(off)되기 까지 반복적으로 S307 단계를 수행한다(S311).
이상의 방법에 의해 녹화처리부(115-1)는 신규추가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녹화처리부(115-1)가 신규녹화 플래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규추가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전원이 온 되고, 영상기기(100)가 정상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초기 과정을 완료하면(S401), 녹화처리부(115-1)는 셋트된 신규녹화 플래그가 있는지 검색한다(S403).
셋트된 신규녹화 플래그가 있으면, 녹화처리부(115-1)는 도 2와 같은 신규추가 메시지를 그래픽처리부(109)로 출력하여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도록 하고, 세트된 신규녹화 플래그를 리셋시킨다(S405).
S405 단계에서 표시되는 신규추가 메시지는, 기 생성되어 저장된 것을 메모리(103)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신규 녹화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기 위하여 매번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녹화처리부(115-1)는 신규추가 메시지 상에 '목록' 버튼(b)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S407), '목록' 버튼(b)이 선택되었으면 녹화목록을 그래픽처리부(109)로 출력하여 표시부(미도시)에 표시되도록 한다(S409).
녹화처리부(115-1)는 신규추가 메시지가 표시된 후 소정 시간동안 '목록' 버튼(b)이 선택되는지를 파악하고 선택되지 않으면(S411), 신규추가 메시지를 더 이상 표시하지 않는다(S413).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영상기기(100)는 새로운 녹화물이 추가로 저장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광학적 디스크, 하드(Hard)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소정의 영상물 녹화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메인(Main) 전원을 켰을 때 사용자가 일일이 녹화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녹화물의 저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녹화물의 저장여부는 소정의 '신규추가 메시지'창(window)을 이용하여 표시되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창을 이용하여 녹화목록으로 진입하여 해당 추가된 녹화물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2)

  1. 메인전원이 온된 후, 상기 메인전원이 온되기 이전에 저장된 신규 녹화물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신규 녹화물의 추가가 있으면, 상기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창을 표시하여, 상기 신규 녹화물의 추가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녹화물은,
    녹화가 완료되어 저장된 녹화물 중, 상기 메인전원 온 상태 이전의 메인전원 온 상태에서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목록 상에 표시되지 않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신규 녹화물이 추가된 경우 설정되는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신규 녹화물이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며,
    상기 메인전원 온 되기 전의 상기 녹화목록 표시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녹 화목록 표시명령 전에 상기 신규 녹화물 추가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플래그는 리셋(rese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 중에, 상기 메시지 창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저장된 녹화물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는 저장된 신규 녹화물의 파일명,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국명, 녹화 일시, 즉시녹화/예약녹화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 방법.
  7. 소정의 영상물을 녹화하여 저장하며, 표시부를 통해 메시지 창의 형태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녹화물이 저장되는 저장매체; 및
    메인 전원 온 된 후, 상기 메인전원이 온되기 이전에 저장된 신규 녹화물이 상기 저장매체에 있는 경우, 상기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창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녹화처리부를 포함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녹화물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녹화물 중, 상기 녹화처리부가 상기 메인전원 온 상태 이전의 메인전원 온 상태에서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목록 상에 표시한 것이 아님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처리부는, 신규 녹화물이 추가된 경우 설정되는 플래그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에 신규 녹화물이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며,
    상기 녹화처리부는,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녹화목록 표시명령 이전에 설정된 상기 플래그를 리셋(rese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창의 소정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녹화처리부는,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 중에, 상기 사용자 선택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녹화물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메시지 창의 표시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는 저장된 신규 녹화물의 파일명,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국명, 녹화 일시, 즉시녹화/예약녹화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KR1020060053448A 2006-04-14 2006-06-14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KR10124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48A KR101249170B1 (ko) 2006-06-14 2006-06-14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PCT/KR2007/001837 WO2007119996A1 (en) 2006-04-14 2007-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recording
US12/297,190 US8655142B2 (en) 2006-04-14 2007-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recording
EP07746000.4A EP2008450B1 (en) 2006-04-14 2007-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recordings
CN2007800172716A CN101444090B (zh) 2006-04-14 2007-04-16 用于显示记录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448A KR101249170B1 (ko) 2006-06-14 2006-06-14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80A KR20070119180A (ko) 2007-12-20
KR101249170B1 true KR101249170B1 (ko) 2013-03-29

Family

ID=3913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448A KR101249170B1 (ko) 2006-04-14 2006-06-14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1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382A (ja) * 2000-06-30 2002-01-25 Sony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編集装置及び方法、情報編集システム
KR20040072145A (ko)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382A (ja) * 2000-06-30 2002-01-25 Sony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編集装置及び方法、情報編集システム
KR20040072145A (ko)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를 이용한 예약 녹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180A (ko)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6867B2 (en) Reservation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70245382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0731189B1 (ko) 신호처리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화상표시방법
JP201204973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CN101513043B (zh) 广播接收机及其操作方法
EP20084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recordings
US20060090191A1 (en) Controller device to be connected to tuner device via IEEE 1394 serial bus
JP2008148076A (ja) 番組録画予約装置
KR101249170B1 (ko) 신규 녹화물에 대한 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그 표시방법
JP201910306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2005236777A (ja) メッセ−ジ表示システム
JP4910058B2 (ja) 電子機器及び録画制御方法
JP2006094409A (ja) 番組表表示装置および番組表表示方法
JP2007201871A (ja) 放送受信装置、放送受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8227630A (ja) 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受像機
JP200821140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11416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정보표시방법
JP7009249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制御方法
KR100791175B1 (ko) 시리즈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한 예약녹화방법
JP2008271143A (ja) 放送受信システム、録画装置及び受信装置
KR100664830B1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기에서의 녹화 화질 제어장치 및 방법
JP6454163B2 (ja) 映像再生装置、録画管理システムおよび録画管理方法
JP200508676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2403231A1 (en) Method for setting reservation in broadcast receiver
JP2010282071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用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