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917B1 -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917B1
KR101248917B1 KR1020100115511A KR20100115511A KR101248917B1 KR 101248917 B1 KR101248917 B1 KR 101248917B1 KR 1020100115511 A KR1020100115511 A KR 1020100115511A KR 20100115511 A KR20100115511 A KR 20100115511A KR 101248917 B1 KR101248917 B1 KR 101248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ubstrate
seated
blocking member
bon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238A (ko
Inventor
하윤규
유치욱
김철환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115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합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기판을 지지하는 제 1 챔버와, 제 1 챔버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 2 기판을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챔버와, 제 2 챔버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된 차단부를 포함하며, 제 2 챔버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이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이 제 1 기판 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부가 방지한다.

Description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Substrate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본 발명은 기판 합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착되는 두 기판 사이에 파티클의 유입을 최소할 수 있는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시장의 팽창에 따라 디스플레이 소자로 평판 표시 소자(Flat Panel Display)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소자로는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위에 양극, 유기 박막, 음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발광부를 형성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박막에 적당한 에너지의 차이가 형성되어 스스로 발광하는 원리이다. 즉, 주입되는 전자와 홀(hole)이 재결합하며 남는 여기 에너지가 빛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그런데,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박막이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에 매우 취약하므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여 소자의 수명(life time)을 증가시키기 위해 캡슐화(encapsulation)해야 한다. 유기 발광 소자를 캡슐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불활성 기체, 예를 들면 질소(N2) 분위기에서 발광부가 구성된 기판의 상부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글래스 기판 등으로 구성된 커버 기판을 합착 장치를 이용하여 합착하는 방법이 있다.
합착 장치는 발광부 등이 형성된 소자 기판을 지지하는 하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하부 챔버와, 커버 기판을 지지하는 상부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상부 챔버와, 하부 및 상부 챔버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부 챔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합착 장치는 커버 기판이 인입되어 상부 스테이지 상에 안착되면 상부 챔버는 구동부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한 후 커버 기판이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스테이지 상부에 인입된 소자 기판과 합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합착 장치는 상부 스테이지가 상하 이동하면서 파티클이 발생하게 되어 합착 장치 내를 오염시키게 된다. 즉, 상부 스테이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부는 가이드 레일과 결합구를 포함하고, 결합구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가이드 레일과 결합구의 마찰에 의해 파티클이 발생된다. 파티클은 소자 기판 상에 낙하하게 되고, 파티클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소자 기판과 커버 기판이 접합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된 두 기판 사이에 파티클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특성 등을 변화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오동작을 일으키는 등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파티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합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기판을 지지하는 제 1 챔버와 제 2 기판을 지지하고 회전하는 제 2 챔버 사이에 파티클의 낙하를 방지하는 차단 부재가 마련된 합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내부 및 외부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차단 부재가 마련된 합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는 제 1 기판을 지지하는 제 1 챔버; 상기 제 1 챔버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 2 기판을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챔버; 적어도 상기 제 2 챔버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된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 2 기판을 안착하여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전한 후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 및 외부 및 내부로 입출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부재 상면에 부착된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이 안착된 상기 제 2 챔버가 상측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인입된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이 상기 제 2 챔버 상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전한 후 인출된다.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이 상기 제 2 챔버 상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동 및 회전한 후 상기 제 1 챔버와 결합하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기판 합착 방법은 서로 대향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 차단 부재가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 상에 제 1 및 제 2 기판이 안착되는 단계; 상기 제 2 챔버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차단 부재가 제거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가 접촉되어 제 1 및 제 2 기판이 합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기판이 안착된 후 상기 제 1 기판이 안착되거나, 상기 제 2 기판이 안착된 후 상기 제 1 기판이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챔버가 회전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이 동시에 안착된다.
상기 제 2 챔버가 회전한 후 하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챔버가 하측으로 이동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차단 부재가 제거된다.
본 발명은 제 1 기판이 안착되는 제 1 챔버와 제 2 기판이 안착되는 제 2 챔버 사이에 차단부가 마련되어 제 2 챔버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제 1 챔버 내의 제 1 기판 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부는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와 외부에서 인입되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합착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파티클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티클에 의한 제품의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의 종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를 이용한 기판 합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공정 순으로 도시한 기판 합착 장치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는 합착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100)과, 유기 발광 소자 등이 형성된 제 1 기판(10)이 안착되는 제 1 챔버(200)와, 제 1 챔버(200)와 대향되어 마련되어 제 2 기판(20)이 안착되며 제 1 챔버(200)와 결합하여 합착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챔버(300)와, 적어도 제 2 챔버(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400)와, 제 2 챔버(3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500)와,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에 마련되어 파티클의 낙하를 차단하는 차단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챔버(200)는 하부에 위치하며, 제 2 챔버(300)는 제 1 챔버(20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10)은 유기 발광 소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등의 평판 표시 장치 또는 태양 전지 등의 소자가 형성되는 소자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기판(20)은 유기 발광 소자 및 태양 전지 등의 커버 기판과 액정 표시 장치의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기판(10, 20)은 평판 표시 장치 또는 태양 전지 등의 반도체 기술 분야 이외에도 적어도 두 기판을 합착하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합착되는 두 기판에 해당될 수도 있다.
제 1 챔버(200)는 프레임(100)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 2 챔버(300)와 결합되어 합착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챔버(200)는 이동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제 1 챔버(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및 측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는 제 1 하우징(210)과, 제 1 하우징(210) 내의 공간 상에 마련되어 상부에 제 1 기판(10)이 안착되는 제 1 스테이지(220)를 포함한다. 제 1 하우징(210)은 대략 사각 형상 등의 제 1 기판(10)의 형상을 갖는 제 1 베이스(212)와, 제 1 베이스(212)의 외곽으로부터 상측으로 마련된 제 1 측면(214)을 포함하며, 제 1 베이스(212)와 제 1 측면(214)에 의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제 1 스테이지(220)는 제 1 베이스(212) 상에 마련되는데, 제 1 측면(214)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스테이지(220)의 높이는 제 1 스테이지(220) 상에 제 1 기판(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 1 측면(214)의 높이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도록 제 1 측면(214)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된다. 이는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을 합착하기 위해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가 접촉할 때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제 1 하우징(210)의 제 1 측면(214)의 상부에 제 2 챔버(300)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합착 공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 부재(230)가 더 마련된다. 또한, 제 1 챔버(200)에는 합착 공간의 합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배기관(240)과, 공급관(250)이 설치된다. 즉, 제 1 스테이지(220)와 제 1 측면(214)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고 제 1 베이스(212)를 관통하도록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240) 및 공급관(250)이 마련된다. 또한, 배기관(240)은 합착 공간을 진공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공급관(250)은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이 접촉되면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기 위한 공정 가스를 합착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가스 공급원(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때, 공정 가스로는 불활성 가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질소(N2) 가스가 이용될 수 있다.
제 2 챔버(300)는 프레임(100)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의 상측에 마련되며, 제 1 챔버(200)와 결합되어 합착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챔버(300)는 이동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부(500)에 의해 회전한다. 이러한 제 2 챔버(300)는 제 1 챔버(200)와 대략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챔버(3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및 측부가 폐쇄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는 제 2 하우징(310)과, 제 2 하우징(310) 내의 공간 상에 마련되어 상부에 제 2 기판(20)이 안착되는 제 2 스테이지(320)를 포함한다. 제 2 하우징(310)은 대략 사각 형상 등의 제 2 기판(20)의 형상을 갖는 제 2 베이스(312)와, 제 2 베이스(312)의 외곽으로부터 상측으로 마련된 제 2 측면(314)을 포함하며, 제 2 베이스(312)와 제 2 측면(314)에 의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제 2 스테이지(320)는 제 2 베이스(312) 상에 마련되는데, 제 2 측면(314)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제 2 스테이지(320)의 높이는 제 2 스테이지(320) 상에 제 2 기판(20)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 2 측면(314)의 높이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도록 제 2 측면(314)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챔버(300)가 회전할 때 제 2 기판(20)이 제 2 스테이지(32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제 2 스테이지(320)에는 정전척(Electrostatic Chuck)(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정전척은 제 2 스테이지(320)와 수직 방향의 정전력을 제공하여 제 2 기판(20)을 고정한다. 한편, 제 2 스테이지(320)는 복수의 고정 부재(330)에 의해 제 2 챔버(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 부재(330)는 제 2 측면(314)과 제 2 스테이지(320)의 사이, 그리고 제 2 베이스(312)와 제 2 스테이지(32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제 2 스테이지(320)를 제 2 측면(314) 및 제 2 베이스(312)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고정 부재(330)는 제 2 스테이지(320)를 제 2 챔버(300)의 내부에서 전후, 좌우,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 사이의 수평도 및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의 합착 시에 밀봉제가 이용될 경우 제 2 챔버(300)의 상부, 즉 제 2 스테이지(320)가 마련되는 제 2 베이스(312)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밀봉제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경화 모듈은 밀봉제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제 2 챔버(300)를 관통하여 제 2 스테이지(320)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의 정렬을 위하여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에 각각 정렬 마크(미도시)를 형성하고 이를 촬영하여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의 정렬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2 챔버(300)의 상측, 즉 경화 모듈이 설치되는 제 2 베이스(312)의 이면에는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에 각각 형성된 정렬 마크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챔버(200)의 하측에는 카메라가 정렬 마크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챔버(200)와 제 1 스테이지(220)에는 서로 연통되는 조명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챔버(300)와 제 2 스테이지(320)에는 서로 연통되는 촬영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400)는 적어도 제 2 챔버(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이동부(400)는 제 2 챔버(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 챔버(20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400)는 가이드 레일(410)과, 가이드 레일(410)과 결합되는 결합 수단(420)과, 인접한 두 결합 수단(420)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430)을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410)은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 프레임(100)의 내측에 고정되어 마련된다. 즉, 수직 방향으로 마련된 예를 들어 네 개의 프레임(100)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410)이 네 개 마련되어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410)은 예를 들어 소정 폭 및 길이를 갖는 대략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프레임(100)과 대면하는 중앙부에 프레임(100)과 접촉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단면이 대략 "T"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410)은 소정 폭 및 길이를 갖는 대략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말단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되고 말단부가 프레임(100)에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410)이 프레임(100)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410)은 이들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수단(420)은 가이드 레일(4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수단(420)은 가이드 레일(410)를 감싸도록 제작되어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결합 수단(42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고정 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제 1 및 제 2 챔버(200 및 300)가 공정 위치로 이동된 후 제 1 및 제 2 챔버(200 및 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 수단(420) 또한 가이드 레일(410)의 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네 개의 결합 수단(42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수단(430)은 인접한 두 결합 수단(420)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며, 예를 들어 소정 폭의 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430)과 인접한 두 결합 수단(42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제 2 챔버(300)와 연결 수단(430) 사이에 회전부(500)가 마련되지만, 제 1 챔버(200)는 회전부(500)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수단(430)과 제 1 챔버(200) 사이에 제 2 연결 수단(435)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챔버(300) 측에 마련된 상측의 연결 수단(430)의 상하 폭은 제 2 챔버(300)의 두께보다 적어야 한다. 이는 제 2 챔버(30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 1 챔버(200)와 결합되는 경우 연결 수단(430)이 차단 부재(600)의 가이드 홈(610)에 걸려 제 2 챔버(300)가 이동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측의 연결 수단(430)은 제 2 챔버(300)의 두께보다 작은 폭으로 제 2 챔버(30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및 제 2 챔버(200 및 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결합 수단(4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500)는 제 2 챔버(3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마련되어 제 2 챔버(300)의 상부 및 하부가 반전되도록 제 2 챔버(300)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부(500)는 제 2 챔버(3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제 2 측면(314)의 외측 중앙부에 마련된다. 그러나, 회전부(500)는 제 2 챔버(300)의 양측 뿐만 아니라 일측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부(500)와 대향되는 제 2 챔버(300)의 타측에는 제 2 챔버(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별도의 힌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부(500)는 이동부(4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이동부(400)에 지지되는 지지 수단(510)과, 지지 수단(510)과 제 2 챔버(300) 사이에 마련되어 제 2 챔버(300)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520)을 포함한다. 즉, 지지 수단(510)은 제 2 챔버(300)의 제 2 측면(314)과 이동부(400)의 연결 수단(430) 사이에 마련되고, 연결 수단(430)에 결합되어 회전부(500)가 이동부(400)에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회전 수단(520)은 제 2 챔버(300)와 지지 수단(510) 사이에 마련되어 이동부(400)에 의해 회전부(500)가 지지되는 상태에서 제 2 챔버(30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부(500)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발생부(미도시)와 이를 감속하여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동력 발생부와 동력 전달부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단부(600)는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에 마련되어 파티클의 낙하를 차단한다. 즉, 제 2 챔버(3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400), 예컨데 가이드 레일(410)과 결합 수단(420)의 마찰에 의해 이들로부터 파티클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티클이 제 1 챔버(200)에 안착된 제 1 기판(10) 상으로 낙하되어 제 1 기판(10) 상에 마련된 소자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부(600)가 마련된다. 차단부(600)는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610)와, 가이드(610)를 따라 이동하는 차단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610)는 제 1 및 제 2 챔버(200 및 300)를 결합하기 위해 제 2 챔버(300)가 하측으로 하강할 때 제 2 챔버(300)가 결합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610)는 차단 부재(62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인접한 두 가이드 레일(4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동부(400)의 연결 수단(430)과 동일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610)는 차단 부재(62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홈이 마련되어 차단 부재(620)의 측면이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610)의 말단에는 차단 부재(620)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정지 수단은 차단 부재(620)가 인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인접한 두 프레임(100) 사이에 마련되며, 가이드(6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단 부재(620)는 외부로부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며, 가이드(610)의 홈 내에 차단 부재(620)의 측면 일부가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차단 부재(620)는 소정의 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므로 이의 재질에는 한정이 없으나, 예를 들어 글래스,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차단 부재(620)는 낙하되는 파티클을 부착시키기 위해 적어도 상면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이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차단 부재(620)는 외부에서는 롤 형태 등으로 감겨져 있다가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평탄한 형상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한, 차단 부재(620)는 주기적인 클리닝에 의해 그 상부에 부착된 파티클을 제거할 수 있다. 클리닝을 위해 차단 부재(620)가 초기에 위치하는 합착 장치의 외부에 클리닝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차단 부재(62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단 부재(620)를 탈착하여 외부에서 클리닝한 후 다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는 제 1 기판(10)이 안착되는 제 1 챔버(200)와 제 2 기판(20)이 안착되는 제 2 챔버(300) 사이에 차단부(600)가 마련되어 제 2 챔버(3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부(40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제 1 챔버(200) 내의 제 1 기판(10) 상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합착되는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 사이에 파티클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티클에 의한 제품의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600)를 구비하는 기판 합팍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 3(a) 내지 도 3(e)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합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순서적으로 도시한 기판 합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합착 장치의 외부로부터 차단 부재(620)가 인입되어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차단 부재(620)는 구동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동되어 가이드(610)를 따라 합착 장치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 2 기판(20)이 합착 장치 내로 인입되어 제 2 챔버(300)의 제 2 스테이지(320) 상에 안착된다. 이때, 제 2 챔버(300)는 제 2 스테이지(320)가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제 2 기판(20)이 안착되면 제 2 챔버(30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400)로부터 파티클이 발생될 수 있는데, 파티클은 가이드 레일(410)과 결합 수단(420)의 마찰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차단막(600) 상으로 낙하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챔버(300)가 회전부(500)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기판(20)은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가 조정된다. 이때, 제 2 스테이지(320)는 정전척 등이 마련되어 제 2 기판(2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 1 기판(10)이 합착 장치 내로 인입되어 제 1 기판(200)의 제 1 스페이지(220) 상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 1 챔버(200)는 제 1 기판(10)을 안착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차단 부재(620)를 합착 장치 내에서 제거하여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가 서로 대향되도록 한다. 한편, 차단 부재(620)는 제 1 챔버(200)가 하측으로 일부 이동된 후 제거될 수도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이동부(400)에 의해 제 2 챔버(30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 2 챔버(300)의 상면이 제 1 챔버(200)의 상면과 접촉되어 그 사이에 합착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의 접촉면 사이에 마련된 기밀 부재(230)에 의해 합착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1 챔버(200)와 제 2 챔버(300)에 의해 합착 공간이 형성되면, 합착 공간의 배기가 수행되어 합착 공간은 진공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 사이의 정렬이 수행된다. 정렬은 제 2 챔버(300)에 마련된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는 제 1 챔버(200)에 마련된 조명 장치로부터 조명을 제공받으며, 제 1 기판(10) 및 제 2 기판(20)에 형성된 정렬 마크(미도시)를 촬영한다. 이때, 촬영 결과에 따라 제 2 챔버(300)에 마련된 고정 부재(330)은 제 2 스테이지(320)를 전후, 좌우, 상하로 조절하며,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의 정렬을 수행한다.
도 3(e)를 참조하면, 합착 공간이 진공 상태로 전환되고 제 1 및 제 2 기판(10 및 20)이 정렬되면 제 2 스테이지(320)에 고정된 제 2 기판(20)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제 2 기판(20)이 제 1 기판(10) 상부로 낙하되어 접촉된다. 제 2 기판(20)이 제 1 기판(10)에 접촉되면, 합착 공간으로 공정 가스(N2)를 주입하여 제 2 기판(20)이 제 1 기판(10)에 합착된다. 즉, 합착 공간으로 공정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 사이의 공간과 합착 공간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제 2 기판(20)이 제 1 기판(10) 측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제 1 기판(10)과 제 2 기판(20)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밀봉제가 미리 도포될 수 있다. 이어서, 제 2 기판(20)이 제 1 기판(10) 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 2 기판(20)은 밀봉제에 의해 제 1 기판(10)과 합착되어 합착 기판으로 제공된다. 합착 기판은 제 1 스테이지(220) 상에 위치하고, 경화 모듈(미도시)에 의해 자외선이 합착 기판 측으로 조사되어 밀봉제가 경화된다.
이후,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밀봉제가 경화되면, 이동부(400)에 의해 제 2 챔버(30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합착 공간이 개방된다. 합착 공간이 개방되면, 합착 기판은 이송 장치(미도시)에 의해 합착 장치의 외부로 반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제 1 챔버
300 : 제 2 챔버 400 : 이동부
500 : 회전부 600 : 차단부

Claims (14)

  1. 제 1 기판을 지지하는 제 1 챔버;
    상기 제 1 챔버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 2 기판을 지지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챔버;
    적어도 상기 제 2 챔버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기판 합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기판 합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제 2 기판을 안착하여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전한 후 하측으로 이동하는 기판 합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마련된 가이드; 및
    외부 및 내부로 입출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기판 합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 상면에 부착된 접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판 합착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이 안착된 상기 제 2 챔버가 상측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인입되는 기판 합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이 상기 제 2 챔버 상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회전한 후 인출되는 기판 합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제 2 기판이 상기 제 2 챔버 상에 안착되어 상측으로 이동 및 회전한 후 상기 제 1 챔버와 결합하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제거되는 기판 합착 장치.
  9. 서로 대향하게 마련된 제 1 및 제 2 챔버 사이에 차단 부재가 위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 상에 제 1 및 제 2 기판이 안착되는 단계;
    상기 제 2 챔버가 회전하는 단계;
    상기 차단 부재가 제거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챔버가 접촉되어 제 1 및 제 2 기판이 합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판 합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이 안착된 후 상기 제 1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합착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이 안착된 후 상기 제 1 기판이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챔버가 회전하는 기판 합착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이 동시에 안착되는 기판 합착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가 회전한 후 하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판 합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가 하측으로 이동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차단 부재가 제거되는 기판 합착 방법.
KR1020100115511A 2010-11-19 2010-11-19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KR101248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511A KR101248917B1 (ko) 2010-11-19 2010-11-19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511A KR101248917B1 (ko) 2010-11-19 2010-11-19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38A KR20120054238A (ko) 2012-05-30
KR101248917B1 true KR101248917B1 (ko) 2013-03-29

Family

ID=4627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511A KR101248917B1 (ko) 2010-11-19 2010-11-19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701B1 (ko) * 2013-12-11 2020-02-27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033A (ja) * 1993-08-11 1995-03-03 Sony Corp Ecrプラズマcvd装置
JP2001192855A (ja) 2000-01-06 2001-07-17 Ebara Corp 薄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097115A (ko) * 2004-03-30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반전장치
KR20080017564A (ko) * 2006-08-21 2008-02-27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평판 표시패널용 기판합착장치
KR20080075620A (ko) * 2007-02-13 2008-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8033A (ja) * 1993-08-11 1995-03-03 Sony Corp Ecrプラズマcvd装置
JP2001192855A (ja) 2000-01-06 2001-07-17 Ebara Corp 薄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097115A (ko) * 2004-03-30 2005-10-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기판반전장치
KR20080017564A (ko) * 2006-08-21 2008-02-27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평판 표시패널용 기판합착장치
KR20080075620A (ko) * 2007-02-13 2008-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38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987B1 (ko) 기판 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밀봉방법
KR101342334B1 (ko) 유리 패키지의 밀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4170975A (ja) 液晶表示素子製造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製造方法
KR101701947B1 (ko) 기판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합착 방법
JP2005300972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貼り合わせ装置
KR20150053084A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1167078B1 (ko) Oled기판의 합착장치
KR101846510B1 (ko) 기판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합착 방법
KR101248917B1 (ko) 기판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JP4736602B2 (ja) 有機el素子の封止方法及び封止装置
KR10121310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659114B1 (ko) 봉지 장치 및 봉지 방법
KR100592389B1 (ko) 마스크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JP462980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装置
KR20080002361A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3817556B2 (ja) 基板組立装置
KR20150035234A (ko)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606565B1 (ko) 로딩/언로딩 장치 및 그 로딩/언로딩 장치가 마련되는 기판합착기
KR100692837B1 (ko) 얼라인 장치
KR20090025519A (ko) 기판합착장치
KR100603462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제조장치
KR100717325B1 (ko) 평판 표시소자의 제조장치
KR101429915B1 (ko) 발광 표시소자의 제조장치
KR100741974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지 방법
JP2006004708A (ja) 封止装置、封止方法、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