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822B1 -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 Google Patents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822B1
KR101248822B1 KR1020120083107A KR20120083107A KR101248822B1 KR 101248822 B1 KR101248822 B1 KR 101248822B1 KR 1020120083107 A KR1020120083107 A KR 1020120083107A KR 20120083107 A KR20120083107 A KR 20120083107A KR 101248822 B1 KR101248822 B1 KR 10124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lock
groove
composite deck
woo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주)삼화케익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케익블럭 filed Critical (주)삼화케익블럭
Priority to KR102012008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16In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은, a) 목재를 진공 건조하는 전처리 단계; b)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된 목재블록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재를 재단하는 목재블록 제조단계; c) 상기 목재블록의 요홈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단계; 및 d) 상기 목재블록과 이형 재질인 미끄럼 방지구를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삽입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목재 데크와 미끄럼 방지구를 동시에 노출시킴으로써, 목재복합데크의 상부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마찰력이 제공되어 보행자가 도보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목재블록에 격벽이 구비되어 있어 목재복합데크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목재블록과 미끄럼 방지구 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목재 데크에 난연 및 방부처리함으로써 목재 데크를 다양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고, 산에 설치될 경우 난연성능에 의하여 불이 번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METHOD FOR MANUFACTURING WOOD COMPOSITE BLOCK AND THE WOOD-COMPOSITE BLO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블록과 미끄럼 방지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목재복합데크를 제조할 수 있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가 발달하여, 도심이나 공원, 산책로 등을 보행자가 이동할 때 편의를 증대할 수 있는 보도블록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보도블록은 장시간 동안 다수의 보행자가 사용하여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로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지 못해서 도시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의 강성에 의해서 보행자의 관절에 무리가 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 목재 및 합성목재 등을 이용한 목제데크를 보도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목재의 경우, 통나무를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절단한 원판형태로 구성하여 보도의 표면에 적재하거나 계단 등에 사용하게 된다. 또한 합성목재의 경우에도, 목재의 특성상 습도에 의하여 형상이 쉽게 변형될 뿐만 아니라 1, 2년 사이에 부식이 심화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없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보행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게 되면서 보행자가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보행자에 의해 충격을 받게 되면 별도의 충격흡수장치가 없기 때문에 쉽게 파손된다. 게다가 원목 그대로 보도블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목재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의 경우, 우수 및 잔설 등에 의해 보행시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아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목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목재에 콘크리트나 고무 등을 목재에 접착하여 목재복합데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목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콘크리트나 고무 등을 단순히 접착시킬 경우, 보행자의 도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목재복합데크에 하중이 가해지면 목재블록과 이형재질이 쉽게 분리되어 보도블록으로의 성능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또한, 목재블록 위에 단순히 콘크리트나 고무 등의 이형재를 적층하여 목재복합데크를 형성할 경우, 목재 문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되어 목재 데크를 적용한 의미가 퇴색된다. 더욱이, 목재블록과 이형재 간의 흡수율 또는 수축 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에 보행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이 없더라도 온도 및 습도의 차이에 따라 목재블록과 이형재가 쉽게 박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목재복합데크가 단순히 목재블록과 이형재를 적층 형성함으로써, 외부에 동일한 재질이 노출되어 동일한 마찰력을 갖기 때문에 특정 날씨에서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크게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목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도보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목재복합데크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목재블록과 미끄럼 방지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 미끄럼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을 통하여 목재블록과 미끄럼 방지구의 접착력이 향상되면서 미끄럼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재복합데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 목재를 진공 건조하는 전처리 단계;
b)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된 목재블록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재를 재단하는 목재블록 제조단계;
c) 상기 목재블록의 요홈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단계; 및
d) 상기 목재블록과 이형 재질인 미끄럼 방지구를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삽입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은, e) 상기 목재블록 제조단계를 거친 목재블록을 처리액에 함침 건조하는 난연 방부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연 방부처리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처리액은 3 중량% 붕산수에 규산나트륨을 8 중량% 내지 12 중량%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처리 단계는,
a-1) 원목을 목재 규격별로 제재하는 제1전처리단계; 및
a-2) 상기 목재를 120시간 내지 180시간 진공 건조하는 제2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전처리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목재 사이에 80℃ 내지 90℃의 열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재블록 제조단계는 상기 목재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투수홈을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수홈은 직경이 5mm 내지 1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케로신이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목재블록;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상부에 굴곡진 요철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구; 및
상기 미끄럼 방지구의 측면 및 하부와 상기 목재블록의 요홈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목재블록과 상기 미끄럼 방지구를 접착시키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목재복합데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고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1 mm 내지 3 mm 크기의 규사석 칩 또는 1 mm 내지 5 mm 크기의 고무 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규사석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미끄럼 방지구가 삽입되는 상기 요홈 및, 상기 요홈의 양 측에 구비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는 굴곡지게 요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재블록은,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하부면에는 굴곡지게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 데크와 미끄럼 방지구를 동시에 노출시킴으로써, 목재복합데크의 상부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마찰력이 제공되어 보행자가 도보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목재블록에 격벽이 구비되어 있어 목재복합데크에 지속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목재블록과 미끄럼 방지구 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목재 데크에 난연 및 방부처리함으로써 목재 데크를 다양한 위치에 적용할 수 있고, 산에 설치될 경우 난연성능에 의하여 불이 번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목재복합데크의 단면사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목재를 진공 건조하는 전처리단계;
b) 상부면(112)에 요홈(111)이 형성된 목재블록(110)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재를 재단하는 목재블록(110) 제조단계;
c) 상기 목재블록(110)의 요홈(111)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단계; 및
d) 상기 목재블록(110)과 이형 재질인 미끄럼 방지구(120)를 상기 목재블록(110)의 상기 요홈(111)에 삽입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목재복합데크의 목재블록(110)을 성형하기 전에 원목을 재단하고 가공할 목재로 만드는 단계이다. 따라서 전처리단계는 a-1) 원목을 목재 규격별로 제재하는 제1전처리단계와, a-2) 상기 목재를 120시간 내지 180시간 진공 건조하는 제2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목을 목재로 재단한 후에 목재가 목재블록(110)로 쓰일 수 있도록 진공 건조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10-3mmHg 상태에서 진공 건조되는 목재는 수분 함수율이 10% 미만이 되게 함으로써, 목재블록(110)의 내구성을 높인다.
목재블록(110)의 함수율은 상기 복수개의 목재 사이에 80℃ 내지 90℃의 열원을 구비하여 제2전처리단계를 진행함으로써, 목재블록(110)이 함수율 10% 미만으로 진공건조되도록 한다. 여기서 각각의 목재 사이에 구비되는 열원으로는 수낭(水囊)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수낭은 경성인 철판백이 80℃ 내지 90℃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순환펌프 등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준다. 이와 같이 수낭과 접촉한 상태로 목재를 적층함으로써, 각각의 목재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시 온도차에 의해 목재의 형상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목재블록(110) 제조단계에서는 목재복합데크에 사용될 목재블록(110)의 형상으로 목재를 제재하는 단계로써, 목재블록(110)과 목재블록(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미끄럼 방지구(12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미끄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목재복합데크를 제조하도록 목재블록(110)을 성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110)은 상부에 요홈(111)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목재복합데크과 달리 다방향으로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가 접착 결합된다. 따라서,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가 서로 결합된 일 부분이 박리된 상태로 목재복합데크가 하중을 받더라도 하중을 받는 결합면 방향에 따라 박리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목재복합데크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즉, 요홈(111)의 바닥면은 미끄럼 방지구(120)의 하부면(114)과 결합되고, 요홈(111)의 측면과 동일한 격벽의 측면은 미끄럼 방지구(120)의 측면과 결합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구(120)가 다방향으로 목재블록(110)과 결합된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하중을 받더라도 미끄럼 방지구(120)와 목재블록(110)이 다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구(120)와 목재블록(110)이 결합된 접착면에서 받는 하중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목재복합데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목재블록 제조단계에서는 상기 목재블록(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투수홈(111h)을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천공할 수 있다. 즉, 미끄럼 방지구(120)가 투수 성능을 갖도록, 규사석 칩 또는 고무 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경우, 미끄럼 방지구(120)를 통과한 물이 점착제 역시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목재블록(110)의 요홈(111)의 바닥면과 격벽의 측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점착제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케로신이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케로신이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도포할 경우,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가 부착된 상태에서 투수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케로신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구현하고자 하는 접착성능에 비하여 고가의 폴리우레탄이 다량 사용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또한, 케로신이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의 접착력이 10kg/cm2 미만이 되어 목재복합데크를 제조하기에 부적합한 접착력을 구현하게 된다. 즉, 목재복합데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의 접착력이 10kg/cm2 이상이 되어야만 보행자가 도보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케로신이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의 접착력이 단순히 저하되는 것을 벗어나 불량품인 목재복합데크를 생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점착제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케로신이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구(120)를 통과한 물이 목재블록을 통과하여 지반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목재블록 제조단계에서 상기 목재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투수홈을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천공할 수 있다. 즉, 요홈(111)의 하부면에 투수홈을 형성함으로써, 미끄럼 방지구(120)를 통과하여 요홈(111)의 하부면이로 이동한 물이 투수홈(111h)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수홈(111h)은 직경이 5mm 내지 1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수홈의 직경이 5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물의 이동속도가 저하되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고, 10mm를 초과할 경우 목재블록(110)의 강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투수홈(111h)은 직경이 5mm 내지 1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목재블록(110)의 이러한 구성적 특성에 의하여 목재복합데크를 적용할 때 외부에는 미끄럼 방지구(120) 뿐만 아니라 목재블록(110) 역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목재 문양이 노출되어 주변 자연경관과 어우러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가 서로 이형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목재복합데크의 상부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하중에 대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마찰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보행자가 도보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가 각각 특정 날씨 또는 주변환경에 따라 마찰력이 저하된다고 할 때, 목재블록(110)의 마찰력이 저하되는 시점과 미끄럼 방지구(120)의 마찰력이 저하되는 시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목재복합데크가 미끄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목재블록(110)이 미끄러워지는 날씨 등에 노출되어도, 미끄럼 방지구(120)의 마찰력은 유지되기 때문에 목재복합데크 상에서 도보하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 역시 목재블록(110)에 의해 도보하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목재블록(110)은 목재블록(110) 제조단계를 거쳐 상부면(112)에 요홈(111) 및 격벽이 형성된다. 즉, 상부면(112)에 요홈(111)을 형성함으로써, 요홈(111)의 양측에 격벽이 형성되는 구조로 제재되는 것이다. 여기서 요홈(111)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재복합데크에 사용될 목재블록(110)은 재질상의 특성에 의해 목재복합데크의 설치위치에 따라 부식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이때, 목재복합데크의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난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은, e) 상기 목재블록(110) 제조단계를 거친 목재블록(110)을 처리액에 함침 건조하는 난연 방부 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연 방부 처리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처리액은 3 중량%의 붕산수에 규산나트륨을 8 중량% 내지 12 중량%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산나트륨이 8 중량% 미만으로 용매인 3 중량%의 붕산수에 혼합될 경우, 방부 및 난연 성능이 저하된다 이 발생한다. 또한, 규산나트륨이 12 중량%를 초과하여 용매인 3 중량%의 붕산수에 혼합될 경우, 붕산수 및 규산나트륨을 함침시킨 이후에 용출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목재블록의 표면에 그 흔적이 남게 되어 미관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과다한 양의 규산나트륨이 사용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처리액은 3 중량%의 붕산수에 규산나트륨을 8 중량% 내지 12 중량%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비된 처리액에 목재블록(110)을 1시간 이상 함침시킨 후 24시간의 건조시간을 거치게 되면 목재블록(110)이 난연시험을 통과하게 된다. 즉,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 동일 지점을 1분 이상 지속적으로 발화시키더라도 목재블록(110)에 불이 붙지 않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목재복합데크의 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복합데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상부면(112)에 요홈(111)이 형성되는 목재블록(110);
상기 요홈(111)에 삽입되며, 상부에 굴곡진 요철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구(120); 및
상기 미끄럼 방지구(120)의 측면 및 하부와 상기 목재블록(110)의 요홈(111)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목재블록(110)과 상기 미끄럼 방지구(120)를 접착시키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재블록(110)의 상기 상부면(112)은, 상기 미끄럼 방지구(120)가 삽입되는 상기 요홈(111) 및, 상기 요홈(111)의 양 측에 구비된 격벽을 포함하는데, 요홈(111)의 측면과 요홈(111)측에 형성된 격벽의 측면은 동일하다.
목재블록(110)의 요홈(111)에 삽입되는 미끄럼 방지구(120)는,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고무판이거나,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규사석판일 수 있다. 또한 규사석 칩 또는 고무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즉,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미끄럼 방지구(120)는 그 재질을 설정할 수 있다. 고무판의 경우 탄성이 구비되기 때문에 보행자로부터 부가되는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규사석판의 경우 규사석의 결정이 각진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가 뛰어나다. 또한, 규사석 칩 또는 고무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미끄럼 방지구 역시 각각 고무판 및 규사석판으로 제조된 미끄럼 방지구와 같은 성능을 동시에 구현함과 동시에 투수성능이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구(120)가 규사석 칩 또는 고무 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경우, 상기 규사석 칩은 1 mm 내지 3 mm 크기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고무 칩은, 1 mm 내지 5 mm 크기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규사석칩이 1mm 미만인 경우, 규사석 칩 간의 거리가 좁아서 투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규사석칩이 3mm를 초과하는 경우, 미끄럼 방지구(120)의 표면이 거친 정도가 과도하여 보행자가 넘어질 경우 찰과상을 심하게 입게 된다. 따라서, 규사석 칩은 1 mm 내지 3 mm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칩이 1mm 미만인 경우, 고무 칩 간의 거리가 좁아져서 투수 성능이 저하되고, 고무칩의 크기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 고무칩 간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미끄럼 방지구가(120) 쉽게 부스러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구는 규사석 칩과 고무 칩을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규사석 칩 및 고무 칩을 각각 구분하여 제조할 경우 모두 규사석 칩은 1 mm 내지 3 mm 크기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고무 칩은, 1 mm 내지 5 mm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목재블록은 미끄럼 방지구(120)에 투수성능이 부가될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홈(111h)이 요홈(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재블록(110)의 상하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목재복합데크는 투수홈(111h)의 형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투수홈(111h)이 형성된 위치를 단면처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실제 목재복합데크의 측면에는 투수홈(111h)이 노출되어있지 않다.
또한, 미끄럼 방지구(120)의 상부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목재블록(110)의 격벽의 상부면에도 굴곡지게 요철(112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요철이 목재복합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직선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비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방향 및 형상으로 격벽의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목재블록(110)의 하부면(114)에도 굴곡지게 요철(114h)을 형성할 수 있다. 목재복합데크의 경우, 목재블록(110)과 미끄럼 방지구(120)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물성 또한 상이하다. 따라서 주변 온도나 습도에 따라 목재블록(110)이 팽창할 때 목재복합데크가 인접한 타 목재복합데크를 밀어내면서 목재복합데크 중 일부가 배열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목재블록(110)의 하부면(114)에 요철을 형성하여 힘이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0: 목재블록 111: 요홈
112: (목재블록의) 상부면 112a: 격벽
112h, 114h: 요철 114: (목재블록의) 하부면
120: 미끄럼 방지구

Claims (14)

  1. a) 목재를 진공 건조하는 전처리 단계;
    b)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된 목재블록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재를 재단하는 목재블록 제조단계;
    c) 상기 목재블록의 요홈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도포단계; 및
    d) 상기 목재블록과 이형 재질인 미끄럼 방지구를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삽입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목재블록 제조단계를 거친 목재블록을 처리액에 함침 건조하는 난연 방부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방부처리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처리액은 3 중량% 붕산수에 규산나트륨을 8 중량% 내지 12 중량%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단계는,
    a-1) 원목을 목재 규격별로 제재하는 제1전처리단계; 및
    a-2) 상기 목재를 120시간 내지 180시간 진공 건조하는 제2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처리단계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목재 사이에 80℃ 내지 90℃의 열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블록 제조단계는 상기 목재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투수홈을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요홈에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홈은 직경이 5mm 내지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케로신이 20중량부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으로,
    상부면에 요홈이 형성되는 목재블록;
    상기 요홈에 삽입되며, 상부에 굴곡진 요철면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구; 및
    상기 미끄럼 방지구의 측면 및 하부와 상기 목재블록의 요홈 사이에 도포되어 상기 목재블록과 상기 미끄럼 방지구를 접착시키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목재복합데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1 mm 내지 3 mm 크기의 규사석 칩 또는 1 mm 내지 5 mm 크기의 고무 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구는, 상부에 요철이 형성된 규사석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미끄럼 방지구가 삽입되는 상기 요홈 및, 상기 요홈의 양 측에 구비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는 굴곡지게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복합데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블록은,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하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목재블록의 상기 하부면에는 굴곡지게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목재복합데크.
KR1020120083107A 2012-07-30 2012-07-30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KR101248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07A KR101248822B1 (ko) 2012-07-30 2012-07-30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07A KR101248822B1 (ko) 2012-07-30 2012-07-30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822B1 true KR101248822B1 (ko) 2013-04-02

Family

ID=4844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07A KR101248822B1 (ko) 2012-07-30 2012-07-30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8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25B1 (ko) 2019-07-30 2020-02-25 (주)신승이앤씨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71460B1 (ko) 2022-09-16 2022-11-28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컬러 합성목재 데크의 발색을 개선할 수 있는 컬러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 합성목재 데크
KR102660035B1 (ko) 2024-02-15 2024-04-24 김성식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목재 데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832Y1 (ko) 2005-07-26 2005-10-07 주식회사 이지우드 벽 및 천장 마감용 나무판재
KR20090001709U (ko) * 2009-01-13 2009-02-24 (주)이노우드 축광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데크 및 벤치
KR100942031B1 (ko) 2009-06-15 2010-02-11 주식회사 빌츠그린 배수구조를 갖는 합성목재데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832Y1 (ko) 2005-07-26 2005-10-07 주식회사 이지우드 벽 및 천장 마감용 나무판재
KR20090001709U (ko) * 2009-01-13 2009-02-24 (주)이노우드 축광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데크 및 벤치
KR100942031B1 (ko) 2009-06-15 2010-02-11 주식회사 빌츠그린 배수구조를 갖는 합성목재데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025B1 (ko) 2019-07-30 2020-02-25 (주)신승이앤씨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데크로드 바닥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71460B1 (ko) 2022-09-16 2022-11-28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컬러 합성목재 데크의 발색을 개선할 수 있는 컬러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 합성목재 데크
KR102660035B1 (ko) 2024-02-15 2024-04-24 김성식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목재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537B2 (en) Floor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loor boards
RU2696715C1 (ru) Панель для настила с дренажными выступами
ES2422866T3 (es) Sistemas de bloqueo para un revestimiento de suelo
US7866100B2 (en) Wall sheath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248822B1 (ko) 목재복합데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목재복합데크
US20050072092A1 (en) High profile composition shingles for roofs
CN103924770A (zh) 一种隔音木地板
KR200462410Y1 (ko) 목재 데크재
CN203640216U (zh) 一种隔音木地板
KR20110009798A (ko) 옥외 콘크리트 표면 방수구조
GB2339437A (en) Wooden decking element
CN215442912U (zh) 一种耐冷热、高阻燃性的无甲醛地板
CN213837509U (zh) 一种装修用拼接式保温地板
KR200423567Y1 (ko) 목재 보도 블럭
CN111910487A (zh) 一种室外专用运动木地板及其施工方法
CN205907960U (zh) 一种复合式防滑地板
CN205742864U (zh) 一种环保型木塑地板
CN210828172U (zh) 一种防滑木地板
CN213143724U (zh) 一种复合重竹地板
CN220035995U (zh) 一种耐磨效果好的木塑地板
CN208844854U (zh) 一种高刚度防潮地板
CN107938990A (zh) 一种防滑地砖
CN211114491U (zh) 一种防滑楼梯台阶
CN210113337U (zh) 一种阻燃防潮拼接式结构地板
CN208430735U (zh) 一种阻燃型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