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772B1 -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772B1
KR101248772B1 KR1020130020047A KR20130020047A KR101248772B1 KR 101248772 B1 KR101248772 B1 KR 101248772B1 KR 1020130020047 A KR1020130020047 A KR 1020130020047A KR 20130020047 A KR20130020047 A KR 20130020047A KR 101248772 B1 KR101248772 B1 KR 10124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air
cooling
injected
cool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로앤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로앤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로앤에너지
Priority to KR102013002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탈취제를 슬러지 저류조에 투입하여 슬러지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탈수된 슬러지를 이송하거나 보관할 때 부패가 발생하는 온도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슬러지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슬러지 저류조에 탈취용 미생물을 주입하기 위한 미생물 주입수단; 냉각 케이싱과,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에 의해 미생물이 혼합된 상태의 슬러지를 반입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의 한쪽에 마련되는 슬러지 주입구와, 상기 슬러지 주입구 쪽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슬러지 파쇄수단과, 상기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냉풍 주입수단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다른 쪽에 마련되어 슬러지와 접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냉각 공기가 슬러지와 보다 오래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 유도벽과,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된 냉각 공기와 상기 슬러지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를 접촉시켜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냉각 공기와 접촉하여 온도가 낮아진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슬러지를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슬러지 냉각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Apparatus for Sludge odor-removal}
본 발명은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탈취제를 슬러지 저류조에 투입하여 슬러지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탈수된 슬러지를 이송하거나 보관할 때 부패가 발생하는 온도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슬러지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가 부패하면 악취가 생긴다. 이러한 악취는 하수처리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며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건강상의 위해를 끼칠 수도 있다. 또한, 부패한 슬러지를 보관하거나 옮기는 과정에서도 주변에 악취를 풍기게 되며, 하수처리장 근처에 주택단지나 상가 또는 사무실 등이 있는 경우에는 주택단지 거주자 또는 상가/사무실의 근무자들의 가장 큰 민원 사유가 되기도 한다.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부패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성분 중 가장 양이 많은 성분은 아래의 네 가지이다.
1) 황화수소 (hydrogen sulfice): H2S
2) 암모니아 (ammonia) : NH4
3) 메틸머켑탄 (methylmercaptan) : CH3SH
4) 트리메틸아민 (trimethylamine) : (CH3)3N
위의 네 가지 악취성분의 구성성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악취성분의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은 황화합물과 질소화합물들이다. 황성분과 질소성분을 포함하는 악취는 슬러지가 부패할 때 발생한다. 부패란 단백질이나 지방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의미하며 부패과정에서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계통의 악취물질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러지의 악취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의 부패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종래에는 이러한 시도가 없었다.
종래의 슬러지 탈취방법은 대부분 슬러지가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한 후에 이를 제거하는 기술로서 약액세정, 바이오 탈취, 활성탄 흡착, 촉매 산화, 연소 등의 방법이 있다.
현재 슬러지의 악취방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탈취제를 슬러지에 살포하는 방법인데, 탈취제를 분무하는 경우 덩어리(케이크) 상태인 슬러지와 탈취제가 잘 혼합되지 않고, 살포된 탈취제는 슬러지 케이크의 표면에만 도포 되고 케이크의 내부로 침투되지는 못하므로 악취방지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탈취제를 뿌리는 경우 실제로 악취를 발생하게 하는 물질들은 그대로 방출됨에도 불구하고 탈취제가 냄새를 차단(masking)하여 악취가 안 난다고 오인하게 하기도한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러지의 부패를 제어함으로써 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슬러지 저류조에 탈취용 미생물을 주입하기 위한 미생물 주입수단;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에 의해 미생물이 주입된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여 슬러지 케이크 상태로 만들기 위한 슬러지 탈수수단;
냉각 케이싱과,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에 의해 미생물이 혼합된 상태의 슬러지를 반입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의 한쪽에 마련되는 슬러지 주입구와,
상기 슬러지 주입구 쪽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슬러지 파쇄수단과,
상기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냉풍 주입수단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다른 쪽에 마련되어 슬러지와 접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된 냉각공기와 상기 슬러지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를 접촉시켜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냉각 공기와 접촉하여 온도가 낮아진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슬러지를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슬러지 냉각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은 유산균, 바실러스, 효모, 광합성 세균, 방선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미생물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에 공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냉각 공기가 슬러지와 보다 오래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 유도벽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하방향으로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벨트에 관통공이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이고, 아래 위로 인접하는 층들의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러지 주입구로 투입된 슬러지는 최상층의 벨트 컨베이어에 주입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아래쪽으로 이송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러지 파쇄수단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도벽은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상하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유도벽에는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진할수록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도록 부착되는 유속증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도벽 중 상기 이송수단의 아래쪽에는 상기 벨트의 관통공을 통해 떨어지는 슬러지가 유도벽에 붙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도벽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는 판상의 부착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인 슬러지의 부패를 미리 방지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제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유도벽과 벨트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러지 파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 유도벽과 벨트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러지 파쇄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수 슬러지의 악취제거 장치는 미생물 주입수단(10), 슬러지 탈수수단(80) 및 슬러지 냉각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10)은 배양수 살균수단(11), 미생물 배양수단(12), 배양미생물 주입수단(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러지 냉각수단으로 슬러지가 투입되기 전에 슬러지를 일시 저장하는 슬러지 저류조(1)에 탈취용 미생물을 주입한다. 슬러지 저류조(1)에서 탈취용 미생물이 주입된 슬러지는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슬러지 탈수수단(80)은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에 의해 미생물이 주입된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여 슬러지 케이크 상태로 만드는 구성이며, 하수 처리장 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10)에 의해 주입되는 탈취용 미생물은 유산균, 바실러스, 광합성 세균, 방선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미생물의 조합이다.
부패균은 단백질이나 지방을 부패시키는 세균류를 이르는 말로 중성 또는 알칼리성의 환경을 좋아한다. 부패균에는 혐기성균, 대장균, 부티르산균, 고초균, 살부패균 등의 간균이나 구균이 있다. 부패균은 저온, 건조, 산성, 고농도의 설탕이나 식염이 있는 환경에서는 번식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조건을 이용하여 부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패 방지는 슬러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응용하여 미생물을 결정하게 된다. 유산균은 pH를 약산성으로 유지시켜 중성 및 알칼리성 환경을 좋아하는 부패균의 성장을 막거나 파괴하는 작용과 더불어 과산화수소와 박테리오신(bacteriocin)을 생성시켜 부패균의 활동을 억제한다. 바실러스는 악취성분을 분해하는 기능을 가지며, 효모는 발효미생물로서 각종 부패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 광합성 세균은 황화합물질을 이용하여 성장하므로 악취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방선균은 항생물질을 생성해 부패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유익균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준다.
탈취용 미생물의 양은 슬러지의 양에 비례하여 주입하게 되며,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탈취용 미생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러지 냉각수단은 냉각 케이싱(100), 슬러지 주입구(101), 파쇄수단(20), 냉풍 주입수단(30), 공기 유입구(41), 공기 배출구(42), 공기 유도벽(50), 이송수단, 배출수단(70), 유속증가부재(61), 부착방지부재(62), 슬러지 배출구(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 케이싱(100)은 전술한 파쇄수단(20), 냉풍 주입수단(30), 공기 유입구(41), 공기 배출구(42), 공기 유도벽(50), 이송수단, 배출수단(70), 유속증가부재(61), 부착방지부재(62) 등의 구성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슬러지 주입구(101)는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10)에 의해 탈취용 미생물이 혼합된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로 반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슬러지 주입구(101)는 냉각 케이싱(100)의 한쪽에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케이싱(100)의 가장 위쪽에 마련되어 슬러지가 냉각 케이싱(100)의 위쪽으로부터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러지 파쇄수단(20)은 슬러지 주입구(101)의 안쪽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슬러지를 파쇄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이며 롤러에는 돌기(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슬러지의 파쇄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냉각 케이싱(100)으로 유입되는 슬러지는 슬러지 파쇄수단(20)에 의해 그 크기가 작은 상태가 되며 이는 냉풍과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효과를 가져와 슬러지의 온도 하강속도를 빠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냉풍 주입수단(30)은 탈취용 미생물이 혼합되어 상기 냉각 케이싱(100)으로 유입된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100)의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냉각수단과 송풍수단으로 구성된다. 냉각수단은 일반적으로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구성을 채용하면 되고 송풍수단은 팬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면상 송풍수단과 냉각수단이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간략하게만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냉풍 주입수단(30)과 연결되는 배관(31)이 있는데 이는 냉각수단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며 이 응축수에는 악취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하수처리장으로 다시 유입시키도록 한다.
상기 냉풍 주입수단(30)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0~10℃인데 이러한 범위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슬러지 탈수기를 거쳐 탈수케이크 상태로 전환된 탈수슬러지의 온도는 하폐수의 온도와 비슷하며, 겨울철 10~15℃ 내외 여름철 25~35℃ 내외를 유지한다. 이 온도는 부패균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온도이다. 부패균은 중온균(mesophilic)에 해당하는 미생물로서 15~47℃ 범위에서 활동하며, 최적조건은 30~45 범위이다. 따라서, 10℃ 이하로 온도를 유지시켜 주면 대부분의 활동은 정지되거나 미약해져 부패 속도는 매우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주입되는 냉풍의 온도는 부패균의 활동성이 떨어지는 10℃ 이하이어야 하며, 0℃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슬러지가 동결되므로 0℃보다는 높은 온도의 공기를 냉각 케이싱으로 주입하게 된다.
상기 공기 유입구(41)는 상기 냉풍 주입수단(30)에 의해 형성된 차가운 공기(냉각 공기)가 냉각 케이싱(100)의 내부로 들어오기 위한 구멍으로서, 냉각 케이싱(100)의 어느 한쪽에 마련된다.
상기 공기 배출구(42)는 상기 공기 유입구(41)로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구성으로서 냉각 케이싱(100) 중 상기 공기 유입구(41)와 다른 쪽에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41)와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도벽(50)은 상기 공기 주입구(41)를 통해 냉각 케이싱(100)의 내부로 주입된 차가운 공기가 슬러지와 보다 오래 접촉할 수 있도록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벽(51)과 제2벽(52)으로 구성되어 냉각 공기가 아래위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굵은 화살표 방향이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이다.
상기 제1벽(51)은 냉각 케이싱(10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상단부로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벽이다.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연장되었다는 것은 냉각 케이싱(100)의 상단부 쪽으로 공기가 이동하여 제1벽(51)을 넘어 아래쪽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제2벽(52)은 냉각 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하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연장된 벽이다. 이는 냉각 케이싱의 상단을 통해서는 공기가 이동할 수 없고, 하단을 통해서만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제1벽(51)과 제2벽(5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5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벽(51)과 제2벽(52)의 수평방향의 단부(57)는 모두 냉각 케이싱(100)의 내벽과 결합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냉풍 주입수단(30)에 의해 냉각 케이싱(100)의 내부로 주입된 냉각 공기와 슬러지 파쇄수단(20)에 의해 파쇄되어 냉각 케이싱(100)으로 유입된 슬러지를 접촉시켜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슬러지를 냉각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60)다. 상기 켈트 컨베이어(60)의 벨트에는 관통공(65)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기의 흐름 차단을 최소화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아래 위로 인접하는 층들의 이송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슬러지 주입구로 주입된 슬러지는 최상층의 벨트 컨베이어(60)에 떨어지게 되며, 좌우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아래쪽으로 이송된다. 슬러지의 이동방향은 도 1에 가늘게 표시된 화살표의 방향이다.
상기 배출수단(70)은 냉각된 공기와 접촉하여 온도가 떨어진 슬러지를 냉각 케이싱(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수단인 벨트 컨베이어(60)와 연결되는 스크루 컨베이어다. 배출수단으로 반드시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구성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람에 의해 슬러지가 배출될 경우에는 작업자와 그 작업자가 사용하는 도구(예를 들어 수레나 삽 등)가 배출수단이 된다.
상기 공기 유도벽(50)에는 유속증가부재(61)와 부착방지부재(62)가 각각 결합하고 있다.
유속증가부재(61)는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진할수록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유도벽(50)에 비스듬히 결합한 판이다. 유속증가부재(61)의 일단부는 공기 유도벽(50)에 결합하고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갈수록 공기 유도벽(5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부착방지부재(62)는 벨트 컨베이어의 관통공(65)을 통하여 떨어진 슬러지가 공기 유도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수단인 벨트 컨베이어(60) 아래쪽에 비스듬히 결합하는 판이다. 부착방지부재(62)의 상단부는 공기 유도벽에 결합하고 하단쪽으로 갈수록 공기 유도벽(50)으로부터 멀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속증가부재(61)와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하나의 부재에 도면부호 61, 62가 모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부재가 유속증가부재와 부착방지부재의 역할을 모두 하기 때문이다. 공기 유도벽에 의해 흐름이 유도되는 공기가 도면상의 아래쪽인 경우에는 슬러지가 떨어지는 방향과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 같게 되고 이런 경우에는 유속증가부재와 부착방지부재로 동일한 판이 사용되며, 그 아래에 결합하는 판은 단지 유속증가부재나 부착방지부재로 사용되는 판을 고정하기 위한 판으로 사용된다. 공기의 흐름 방향과 슬러지가 떨어지는 방향이 반대인 경우에는 유속증가부재와 부착방지부재가 결합한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유도벽과 부착방재부재 사이의 각(도 1의 확대도에 θ로 표시)은 슬러지가 잘 떨어질 수 있도록 150°이상으로 설치한다.
냉각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 공기는 직접적으로 슬러지와 접촉하여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는 메커니즘과 슬러지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증발열을 회수하는 메커니즘 등 두 가지의 메커니즘으로 슬러지의 온도를 떨어뜨려 부패가 일어나기 어려운 조건을 만든다.
이때 냉각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각 공기의 풍속이 1~10m/s의 범위라면 그 유동과정에서 난류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슬러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슬러지 냉각수단을 통과하여 냉각된 슬러지는 암롤박스나 사일로(Silo)에서 보관되는 경우가 많은데 암롤박스나 사일로에도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부패가 발생하기 어려운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 1에 도면부호 90으로 표시된 구성이 암롤박스 또는 사일로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풍 주입수단(10)과 배관을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암롤박스나 사일로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공기유도벽이 포함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공기유도벽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특히 기존의 하수 처리장에 케익 상태의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수단(벨트 컨베이어 또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형태)과 냉각 케이싱이 구비된 경우에는 기존의 설비에 슬러지 파쇄수단과 냉풍주입수단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탈수 슬러지의 악취제거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이동수단으로 벨트 컨베이어 배출수단으로 스크류 컨베이어가 사용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동수단이나 배출수단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때,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 또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이동수단과 배출수단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스크류 컨베이어가 냉각 케이싱 내부에서 슬러지를 이송하는 동시에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하는 역할까지 하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탈수 슬러지의 악취제거 장치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0 : 냉각 케이싱 10 : 미생물 주입수단
20 : 슬러지 파쇄수단 30 : 냉풍 주입수단
50 : 공기 유도벽 60 : 벨트 컨베이어
70 : 스크류 컨베이어 80 : 슬러지 탈수수단
90 : 슬러지 사일로 또는 암롤박스

Claims (9)

  1. 하수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악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슬러지 저류조에 탈취용 미생물을 주입하기 위한 미생물 주입수단;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에 의해 미생물이 주입된 슬러지의 수분을 제거하여 슬러지 케이크 상태로 만들기 위한 슬러지 탈수수단;
    냉각 케이싱과,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에 의해 미생물이 혼합된 상태로 탈수된 슬러지를 반입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의 한쪽에 마련되는 슬러지 주입구와,
    상기 슬러지 주입구 쪽에 마련되어 주입되는 슬러지를 파쇄하기 위한 슬러지 파쇄수단과,
    상기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로 차가운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냉풍 주입수단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어느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다른 쪽에 마련되어 슬러지와 접촉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된 냉각공기와 상기 슬러지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슬러지를 접촉시켜 슬러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에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과,
    냉각 공기와 접촉하여 온도가 낮아진 슬러지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슬러지를 냉각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슬러지 냉각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케이싱의 내부에 공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냉각 공기가 슬러지와 보다 오래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공기 유도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하방향으로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벨트에 관통공이 형성된 벨트 컨베이어이고, 아래 위로 인접하는 층들의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러지 주입구로 투입된 슬러지는 최상층의 벨트 컨베이어에 주입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아래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파쇄수단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도벽은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상하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 케이싱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1벽과 상기 냉각 케이싱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하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2벽이 번갈아가며 설치되며,
    상기 제1벽과 제2벽에는 상기 이송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도벽에는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전진할수록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도록 부착되는 유속증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도벽 중 상기 이송수단의 아래쪽에는 상기 벨트의 관통공을 통해 떨어지는 슬러지가 유도벽에 붙지 않도록 아래쪽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 유도벽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는 판상의 부착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 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주입수단은 유산균, 바실러스, 효모, 광합성 세균, 방선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미생물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KR1020130020047A 2013-02-25 2013-02-25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KR10124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47A KR101248772B1 (ko) 2013-02-25 2013-02-25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47A KR101248772B1 (ko) 2013-02-25 2013-02-25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772B1 true KR101248772B1 (ko) 2013-04-03

Family

ID=4844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047A KR101248772B1 (ko) 2013-02-25 2013-02-25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7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72B1 (ko) * 2020-07-08 2021-01-07 (주)태영필트레이션시스템 악취 발생 저감용 탈취 기능이 적용된 필터 프레스 탈수기
CN113105087A (zh) * 2021-05-24 2021-07-13 安徽建筑大学 一种常温通风式污泥深度脱水干化方法及装置
KR102388471B1 (ko) 2021-03-26 2022-04-21 동영산업개발(주) 하수처리장의 가스 탈취 및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134A (ko) * 2008-09-19 2010-03-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 제거를 위하여 토종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045028B1 (ko) 2011-03-10 2011-06-30 주식회사 한미엔텍 악취가 나지 않는 하폐수 슬러지 케이크의 제조장치
KR101154826B1 (ko) 2011-06-23 2012-06-18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KR101176373B1 (ko) 2010-03-29 2012-08-28 김열연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134A (ko) * 2008-09-19 2010-03-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 제거를 위하여 토종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176373B1 (ko) 2010-03-29 2012-08-28 김열연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045028B1 (ko) 2011-03-10 2011-06-30 주식회사 한미엔텍 악취가 나지 않는 하폐수 슬러지 케이크의 제조장치
KR101154826B1 (ko) 2011-06-23 2012-06-18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72B1 (ko) * 2020-07-08 2021-01-07 (주)태영필트레이션시스템 악취 발생 저감용 탈취 기능이 적용된 필터 프레스 탈수기
KR102388471B1 (ko) 2021-03-26 2022-04-21 동영산업개발(주) 하수처리장의 가스 탈취 및 내부 환경 탐지 시스템
CN113105087A (zh) * 2021-05-24 2021-07-13 安徽建筑大学 一种常温通风式污泥深度脱水干化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arino et al. Photocatalytic TiO2 coating—To reduce ammonia and greenhouse gases concentration and emission from animal husbandries
US6698383B1 (en) Method for disposal of excrements of animals kept in a stabl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Liu et al. A review of practices and technologies forodor control in swine production facilities
KR100954231B1 (ko) 악취가스를 바이오 필터방식으로 탈취하는 장치
KR100860077B1 (ko) 무기 및 유기 악취 탈취장치
CN202569951U (zh) 用于对污水进行生物除臭及废气处理的装置
Donham et al. Production rates of toxic gases from liquid swine manure: Health implications for workers and animals in swine confinement buildings
Parker et al. Rate and frequency of urease inhibitor application for minimizing ammonia emissions from beef cattle feedyards
CN205055811U (zh) 一种生活垃圾生物除臭系统
KR101248772B1 (ko) 탈수 슬러지의 악취방지 장치
KR20180031211A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KR101362064B1 (ko) 악취 및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044742B1 (ko) 고정상 담체 폭기반응조가 병합된 바이오 필터 시스템
KR101982856B1 (ko) 악취 저감장치
JP4349306B2 (ja) 脱臭装置、及び脱臭システム
CN207838704U (zh) 一种生物洗涤异味去除设备
WO2020184159A1 (ja) 微生物脱臭装置及び脱臭処理システム
CN203316004U (zh) 一种工业有机废气处理系统
KR101061690B1 (ko) 액비 제조 균주 공급이 가능한 탈취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비화 장치
CN110743341A (zh) 臭气除臭系统及除臭方法
CN217025817U (zh) 一种好氧堆肥装置
CN216129515U (zh) 一种智能防水透气微孔膜棚顶隧道堆肥装置
CN206746308U (zh) 一种废气除臭净化装置
CN206587596U (zh) 一种生物法废气处理的装置
KR20000024581A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