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769B1 -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769B1
KR101248769B1 KR1020110008149A KR20110008149A KR101248769B1 KR 101248769 B1 KR101248769 B1 KR 101248769B1 KR 1020110008149 A KR1020110008149 A KR 1020110008149A KR 20110008149 A KR20110008149 A KR 20110008149A KR 101248769 B1 KR101248769 B1 KR 101248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ant
display device
temperature change
temperature
chan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852A (ko
Inventor
조은기
Original Assignee
조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기 filed Critical 조은기
Priority to KR102011000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7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2Arrangements or devices for indicating incorrect storage 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06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lting, freezing, or soft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보관 온도가 변동되어 보관 온도범위를 벗어나면 문자나 표식 등으로 나타나짐으로서 보관된 물품의 보관상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포장용기의 내공간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와 상기 반응체에 접촉되어 반응체의 상변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온도변화 표시장치와 상기 온도변화 표시장치가 포장용기의 외면에 형성된 감시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되어진 포장용기를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An indicator for temperature variation and pac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물품의 보관 온도가 변화되어 보관 온도범위를 벗어나면 문자나 표식 등으로 나타나짐으로서 보관된 물품의 보관상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등은 식중독균 등의 미생물에 오염되거나 변질되어 섭취시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면서 신선도를 유지하여 상품으로서의 품질을 유지하는 최상의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냉장 또는 냉동된 상태로 유통되거나 전시 판매되고 소비자들은 전시되는 식품들이 포장용기에 표시된 포장일자 및 유통기한 등을 신뢰함으로서 확인하여 구매하고 섭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통이나 보관 및 전시되는 식품들은 포장일자나 유통기한 등만이 표시되어 있어 정해진 온도 범위를 벗어난 상태로 보관되거나 전시되어 변질이 우려되는 식품이라 할지라도 정상적인 식품으로 오인되어 판매되거나 섭취하여 식중독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냉장이나 냉동을 요하는 식품은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하여 전시되고는 있으나, 출고-수송-보관-전시판매에 이르는 과정에서 적정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냉동 또는 냉장식품의 유통과정에 있어서 운송업자나 창고업자들이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적정온도를 유지하지 않거나, 냉동 또는 냉장 설비가 고장 나는 등의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상품의 적정온도가 지켜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포장된 식품이 항상 정해진 온도 범위내에서 보관되거나 전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보관 및 전시 위치에 따른 개별 포장식품의 온도상태를 확인하여 적정한 냉장온도와 냉동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과도한 냉장이나 냉동으로 인한 전력의 과소비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도변화 표시장치는,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포장용기의 내공간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와 상기 반응체에 접촉되어 반응체의 상변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는 포장용기의 외면에 내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감시창을 형성하고 상기 감시창을 통해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된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에 의하면, 물품의 온도에 따른 반응체 및 표시부의 변동 상태에 따라 물품이 정해진 기준의 온도 범위 내에서 보관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서 물품의 변질을 예방할 수 있어 물품의 변질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온도변화 표시장치는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반응체(10)는 물, 아이스크림, 식용 유지, 젤리 등과 같이 접촉하거나 섭취하여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것을 이용한다.
상기 반응체(10)는 냉동시킬 경우 고체로 상변화하도록 색소가 첨가된 물 등의 액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표시부(20)는 상기 반응체(10)의 외면을 감싸는 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색소는 식용색소를 사용함으로써 접촉이나 섭취에 의해 인체에 해가 없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된 표시부(20)의 외면을 감싸는 피복체(50)를 더 형성하면 반응체(10)의 소재에 제한을 두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도변화 표시장치는 반응체(10)가 냉동되어 고체인 상태에서 표시부(20)는 아무 표시도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지만 보관 온도에 변화가 있어 반응체(10)가 액체의 상태로 상변화가 일어나면 색소를 포함하는 반응체(10)가 표시부(20)로 스며들면서 표시부(20)의 색상을 변화시켜 변화된 표시부(20)를 통해 물품이 보관중 온도의 변화가 있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반응체(10)는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보관 적정 온도에 따라 액체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첨가물을 추가하여 녹는점과 어는점을 조절하면 물품에 따라 상이한 온도에서 상변화가 이루어지는 목적한 반응체(1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표시부(20)는 반응체(10)에 포함된 색소에 대비되는 색을 갖는 천 등의 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응체(10)에 산성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고 표시부(20)에 페놀프탈레인, 메틸오렌지, 메틸레드, 리트머스 등 수소이온의 농도에 따라 색이 변화되는 물질을 첨가할 수도 있다.
피복체(5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등 식품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체(10)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체(30)의 일측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사이에는 상변화가 일어난 반응체(10)가 타측 수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통로(32)가 마련된다.
상기 용기체(30)는 반응체(10)를 밀봉된 상태로 수용하여 반응체(10)가 물품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함으로서 반응체(10)의 임의 유동에 따른 물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체(30)는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초에 반응체(10)가 수용되는 일측 수용공간은 불투명하게 하고 타측 수용공간은 투명하게 함으로서 보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변화가 일어난 반응체(10)가 타측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체(30)를 반응체(10)의 상변화가 없을 경우와 있을 경우에 따라 식별이 용이한 부호나 문자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예로 일측 수용공간은 냉동이란 문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고 타측 수용공간은 해동이란 문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면 일측 수용공간에 고체상태로 있던 반응체(10)가 냉동 유지 상태임을 나타내다가 상변화가 일어나 냉동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면 냉동이라는 글자와 동일한 색으로 표시부전체가 반응체의 색으로 변화함으로서 냉동이란 글자가 없어지며, 반응체의 일부는 타측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면서 해동으로 나타나게 되어 냉동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였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체(10)는 흡수재(40)에 흡습되고 흡수재(40)의 외면에 접촉된 채 표시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재(40)는 겔이나 솜, 천, 면 또는 1회용 기저귀 소재로 사용되는 흡습포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반응체(10)는 흡수재(40)에 흡습됨으로서 유동이 제한되어 의도되지 않게 표시부(20)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창(2)을 가지는 부정형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상으로 이루어진 포장체(1)의 내공간에 온도변화 표시(3)장치가 수용되어진 것이다.
상기 온도변화표시장치(3)는 감시창(2)을 통하여 포장체(1)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게 노출된다.
상기 감시창(2)은 포장체(1)의 일부에 형성되거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포장체(1)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경우 별도로 감시창(2)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으로 감시창(2)은 포장체(1)와 같이 형성을 위한 소재나 형상의 제한은 두지 않는다.
한편, 포장체(1)의 내측 또는 외측에 별도의 온도변화표시장치(3)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 온도변화표시장치(3)가 포장체(1)로 수납된 식품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 반응체 20: 표시부
30: 용기체 32: 연결통로
40: 흡수재 50: 피복체
1: 포장체 2: 감시창
3: 온도변화표시장치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체(10)는 흡수재(40)에 흡수되고 흡수재(40)의 외면에 표시부(20)가 접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40)는 겔이나 솜, 천, 면 또는 1회용 기저귀 소재로 사용되는 흡습포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7.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체(10)는 연결통로(32)를 통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체(30)의 일측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측 수용공간에는 표시부(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8.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체(10)는 연결통로(32)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체(30)의 일측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9. 감시창(2)을 가지는 부정형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상으로 이루어진 포장체(1)의 내공간에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3)가 수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10.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의 외면으로는 각각 피복체(50)가 더 형성되어 수납된 물품에 반응체(10) 및 표시부(20)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체(10)는 흡수재(40)에 흡수되고 흡수재(40)의 외면에 표시부(20)가 접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40)는 겔이나 솜, 천, 면 또는 1회용 기저귀 소재로 사용되는 흡습포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12.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의 외면으로는 각각 피복체(50)가 더 형성되어 수납된 물품에 반응체(10) 및 표시부(20)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체(10)는 연결통로(32)를 통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체(30)의 일측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측 수용공간에는 표시부(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13. 포장용기의 내공간에 수용되어 온도에 따라 상(狀)변화를 이루는 반응체(10)와 상기 반응체(10)에 접촉되어 반응체(10)의 상변화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20)의 외면으로는 각각 피복체(50)가 더 형성되어 수납된 물품에 반응체(10) 및 표시부(20)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체(10)는 연결통로(32)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문자 또는 부호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체(30)의 일측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
  14. 감시창(2)을 가지는 부정형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상으로 이루어진 포장체(1)의 내공간에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에 따른 온도변화 표시장치(3)가 수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변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KR1020110008149A 2011-01-27 2011-01-27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KR10124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149A KR101248769B1 (ko) 2011-01-27 2011-01-27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149A KR101248769B1 (ko) 2011-01-27 2011-01-27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52A KR20120086852A (ko) 2012-08-06
KR101248769B1 true KR101248769B1 (ko) 2013-04-03

Family

ID=4687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149A KR101248769B1 (ko) 2011-01-27 2011-01-27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942A (ko) 2014-04-08 2015-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용기 덮개 겸용 표시 장치
KR102415311B1 (ko) 2020-12-09 2022-06-30 주식회사 예담케미칼 온도변화 이력 표시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920A (ja) * 2002-12-06 2004-07-02 Mitsubishi Paper Mills Ltd 示温ラベ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920A (ja) * 2002-12-06 2004-07-02 Mitsubishi Paper Mills Ltd 示温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852A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ska et al. Innovations in the Food Packaging Market--Intelligent Packaging--a Review.
US5034233A (en) Frozen food thaw detector
US7490575B2 (en) Combination freeze indicators
US4144834A (en) Defrost indicator
US20030047477A1 (en) Package for keeping goods in a temperature-deccreased, preservative state and a temperature indicator therefor
US5695284A (en) Thaw indicato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40130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rming whether a Frozen Food Has Been Defrosted
JP2001194248A (ja) 食品用示温シール
KR101248769B1 (ko) 온도변화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GB2130720A (en) Defrosting indicator
CN201845506U (zh) 食品低温物流用货架寿命指示装置
US9410852B2 (en) Freeze indicator
ES2304827B1 (es) Metodo de obtencion de lasaña empaquetada lista para el consumo.
GB1604648A (en) Temperature indicators
KR101813093B1 (ko) 제품 신선도 측정 라벨지
FR2684446A1 (fr) Indicateur de conservation pour produits congeles ou refrigeres et procede de mise en óoeuvre de cet indicateur.
US3791794A (en) INDICATOR MEANS IN FROZEN STATE UTILIZING pH-SENSITIVE INDICATOR AND SEPARATED ELECTROLYTE
JP2002323386A (ja) 温度上昇検知装置、その装置を使用した冷凍食品用容器および温度上昇検知方法
GB2209396A (en) Temperature indication
CN203473550U (zh) 一种生物医药用包装盒
KR102393962B1 (ko) 캡슐 형태로 시온 안료를 보관하는 인디케이터를 장착한 보냉 상자
US20160235248A1 (en) Visual temperature indicator container and method
US20180216869A1 (en) Defrost indicator
KR100937195B1 (ko) 아이스크림 용기
ES1207312U (es) Dispositivo para saber si se ha roto la cadena del fr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