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764B1 -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764B1
KR101248764B1 KR1020120123711A KR20120123711A KR101248764B1 KR 101248764 B1 KR101248764 B1 KR 101248764B1 KR 1020120123711 A KR1020120123711 A KR 1020120123711A KR 20120123711 A KR20120123711 A KR 20120123711A KR 101248764 B1 KR101248764 B1 KR 10124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ignal
access point
indoor space
size
transmiss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종
장걸
안두헌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계산된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무선신호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P의 송신강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신호전송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용 와이파이(WiFi) AP의 신호간섭 영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Method for setting transmitted signal strength in access point}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무선신호의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서비스는 그 요금이 너무 고가이고 제공하는 속도가 매우 늦기 때문에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요즘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무선랜 모듈(IEEE 802.11 시리즈)을 노트북 PC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 탑재하여,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가 있는 곳에서는 무선랜 모듈을 통해 저렴하면서도 고속(최대 11Mbps 혹은 그 이상)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선랜은 컴퓨터와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기타 통신 장치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수행하는 랜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랜은 최근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이는 빌딩간의 네트워크 접속이나 대형 사무실, 물류 센터와 같이 유선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 주로 설치되며, 유지 보수의 간편함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는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서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허브(hub), 라우터(router) 등)에 연결된 다음에 인터넷을 통하여 망 사업자의 서버로 연결된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망 사업자의 서버로부터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망 구성 방법에 따라서, 단말간에 1:1 통신을 통해 무선랜에 접속하게 하는 애드혹(ad-hoc) 방식과 모든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랜에 접속하게 하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다수의 방식에 따라 무선랜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 노드([0011]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각기 다른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도 SSID를 설정하여, 동일한 SSID를 가진 사용자 단말과 무선랜 노드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랜 접속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중에서 자신과 동일한 SSID를 가지는 무선랜 노드 즉, 액세스 포인트로 접속한다.
IEEE 802.11 WiFi 프로토콜은 CSMA/CA 프로토콜로 신호충돌을 방지하고 있다. 이는 같은 전송범위, 같은 채널대역에 있는 다수 무선 링크가 동시에 통신하지 못하고 한 번에 하나씩 통신하게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와이파이(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라 함)의 필요 이상의 전송범위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로 하여금 타 AP의 신호를 감지하게 하고, 데이터 전송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무선기반 홈 네트워크 구성 시, 다수 무선 단말이 실내에 존재하게 되므로 이웃 혹은 인접되어있는 시설의 무선 AP신호의 간섭영향을 보다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에서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 실내 면적의 크기를 측정하여, 이에 적합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갖도록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계산된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무선신호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송신한 무선신호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반사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측정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반사된 무선신호 중에서 수신 감도가 가장 약한 무선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주기적으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주변의 무선 단말기의 수신 강도를 주기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벗어난 무선 단말기의 수신 강도가 있으면, 송신강도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AP의 송신강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신호전송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용 와이파이(WiFi) AP의 신호간섭 영향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타 무선단말의 신호간섭으로 인한 전송지연의 감소로 개인용 로컬 무선통신망의 통신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AP의 송신강도를 실내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신호전송범위가 최적화되면, 타 무선단말의 신호감지를 근본적으로 감소시킬수 있으므로, 통신 보안성이 제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를 설정하기 전의 신호간섭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를 설정한 후의 신호간섭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은 실내 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구현한 기술임을 전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신호 전송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100), 액세스 포인트 장치(Access Point, AP)(200), 게이트웨이(300), 서비스 제공자 서버(400)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치(200)로의 접속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치(200)는 무선 단말기(100)의 무선 접속 및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해당한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무선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무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게이트웨이(Gateway)(300)로 전송하고,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Gateway)(30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와 서비스 제공자 서버(400)의 중간 관리자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서비스 제공자 서버(40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서버로서, 무선 단말기(100)의 로그 인(log in), 인증(Authentication), 로그 오프(log off), 과금(accounting)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AP(210)와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AP(210)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실내공간 측정부(222), 전송범위 계산부(224) 및 송신강도 설정부(2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내공간 측정부(222)는 AP(210)에서 송신한 무선신호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한다.
전송범위 계산부(224)는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한다.
송신강도 설정부(226)는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AP(210)의 송신강도를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치(200)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먼저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한다(S301).
S301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송신한 무선신호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반사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측정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한다(S303).
S303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반사된 무선신호 중에서 수신 감도가 가장 약한 무선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할 수 있다.
다음,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계산된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무선신호 송신강도를 설정한다(S305).
S305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주변의 무선 단말기(100)의 수신 강도를 주기적으로 계산하고,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벗어난 무선 단말기의 수신 강도가 있으면, 송신강도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신강도를 재설정하는 과정은 S301 내지 S303 단계의 절차를 반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에서 무선 단말기(100)의 수신 강도를 주기적으로 계산할 때, 무선신호의 수신강도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무선 단말기(100)의 배치위치에 따라 수시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파이(WiFi)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신호 전송범위는 실내의 경우 30 미터이고, 실외의 경우 70 미터 정도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와이파이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무선단말기(100)는 -70dB의 수신감도를 만족하는 경우, 통신이 가능하다. 참고로, 수신감도=송신강도-노이즈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를 설정하기 전의 신호간섭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1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와 방2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전송 범위가 겹쳐서 신호 간섭 범위(A)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송신강도를 조절하기 전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신호 간섭 범위(A)가 발생하므로, 무선 단말기(100)에서 의도하지 않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등의 간섭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를 설정한 후의 신호간섭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방1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200)와 방2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전송 범위가 겹쳐서 신호 간섭 범위(B)가 발생하게 된다.
도 4와 비교하면, 도 5의 신호 간섭 범위(B)의 면적이 축소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송신강도 설정을 수행하면, 신호 간섭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무선 단말기 200 액세스 포인트 장치
300 게이트웨이 400 서비스 제공자 서버
210 AP 220 제어부
222 실내공간 측정부 224 전송범위 계산부
226 송신강도 설정부

Claims (8)

  1.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계산된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무선신호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송신한 무선신호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반사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길이, 너비 및 높이를 측정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반사된 무선신호 중에서 수신 감도가 가장 약한 무선신호의 크기를 기준으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주기적으로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주변의 무선 단말기의 수신 강도를 주기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벗어난 무선 단말기의 수신 강도가 있으면, 송신강도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7. 실내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와이파이(WiFi)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AP; 및
    상기 AP에서 송신한 무선 신호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송신강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에서 송신한 무선신호 중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실내 공간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공간 측정부;
    측정된 실내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무선신호 전송범위를 계산하기 위한 전송범위 계산부; 및
    무선신호 전송범위에 해당하는 상기 AP의 송신강도를 설정하기 위한 송신강도 설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1020120123711A 2012-11-02 2012-11-02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KR10124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11A KR101248764B1 (ko) 2012-11-02 2012-11-02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11A KR101248764B1 (ko) 2012-11-02 2012-11-02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764B1 true KR101248764B1 (ko) 2013-04-03

Family

ID=4844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711A KR101248764B1 (ko) 2012-11-02 2012-11-02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7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29B1 (ko) * 2016-05-11 2017-04-04 이영재 메인 AP와 멀티 서브 AP 모듈로 구성되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73579B1 (ko) * 2017-03-14 2017-09-12 (주)지란지교시큐리티 액세스포인트의 신호세기 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101827254B1 (ko) 2016-05-27 2018-02-08 주식회사 바른기술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ap의 신호세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753A (ko) * 2004-12-18 2006-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리와 넓이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90123132A (ko) * 2008-05-27 2009-1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초소형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초소형 기지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753A (ko) * 2004-12-18 2006-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거리와 넓이 측정장치 및 방법
KR20090123132A (ko) * 2008-05-27 2009-1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초소형 기지국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초소형 기지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29B1 (ko) * 2016-05-11 2017-04-04 이영재 메인 AP와 멀티 서브 AP 모듈로 구성되는 IoT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27254B1 (ko) 2016-05-27 2018-02-08 주식회사 바른기술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ap의 신호세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1773579B1 (ko) * 2017-03-14 2017-09-12 (주)지란지교시큐리티 액세스포인트의 신호세기 조절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Monitoring of large-area IoT sensors using a LoRa wireless mesh network system: Design and evaluation
US106455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optimizing performance of wireless networks having multiple access points
US11528614B2 (en) SON-controlled DFS
CN103916163B (zh) 用于无线短程通信的方法、装置
US10856155B2 (en) WLAN extender placement
US9357404B2 (en) Interference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2825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672764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Song et al. Analysis of WiFi and WiMax and wireless network coexistence
US9084235B2 (en) Determining device in-range proximity
RU2625943C2 (ru) Способ для выбора сущности на основе полного качества линии связи
CN105209928A (zh) 用于确定wlan节点的位置的卸载式定位的系统和方法
TWI618434B (zh) 用於802.11高效能無線區域網路(hew)規格及系統之帶有干擾控制技術的動態空閒頻道評估(cca)方案
KR101750038B1 (ko)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
WO2015081567A1 (zh) 站点设备接入接入点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248764B1 (ko)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서의 송신강도 설정 방법
CN117321449A (zh) 使用射频感测的室内地图生成
Zhang et al. A multi-objective WLAN planning method
US201202587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wlan radio receiver gain in a wireless device
Barsocchi et al. Measurement-based frame error model for simulating outdoor Wi-Fi networks
US87251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quantity, type and transmission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defined geographical area
Zhang et al. Implementation and field test of a small-scale WAVE system in IEEE 802.11 p V2R/V2V environments
JP6552988B2 (ja) 通信中継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36413A (ko) 옥내 무선랜 통신 영역 확장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63284A (ko) 펨토셀 기지국 이설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