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452B1 -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452B1
KR101248452B1 KR1020100074355A KR20100074355A KR101248452B1 KR 101248452 B1 KR101248452 B1 KR 101248452B1 KR 1020100074355 A KR1020100074355 A KR 1020100074355A KR 20100074355 A KR20100074355 A KR 20100074355A KR 101248452 B1 KR101248452 B1 KR 10124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synthetic fiber
bonding
fiber car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288A (ko
Inventor
전현정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4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1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to support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81Resisting skidding or cree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4Carpet fasteners; Carpet-expanding devices ; Laying carpeting; Tools therefor
    • A47G27/0406Laying rugs or mats
    • A47G27/0412Anti-ski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Carpe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고, 외부의 온도변화에도 형태변화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화재 발생 시 점화된 부분만이 빠르게 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한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Synthetic fiber carp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고, 외부의 온도변화에도 형태변화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화재 발생 시 점화된 부분만이 빠르게 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한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카페트는 직물이나 펠트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섬유로 만들어진 바닥 깔개로, 융단 또는 양탄자로 불리기도 하며, 제조공법에 따라 직물, 자수물, 부직물, 편물 그리고 기타 카페트로 구분할 수 있고, 완성된 형태에 따라 타일 형태의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타일카페트와, 둘둘 말아놓은 롤카페트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는 주택, 호텔, 극장, 강당 등의 건물 내부의 바닥면에 깔려 사용자의 보행 충격을 일부 흡수하고, 사용자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보행성을 향상시키거나, 건물 내부의 바닥면의 한기를 차단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건물 내부 바닥면의 소음을 흡수하여 방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카페트는 건물 내부의 장식효과를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며, 최근에는 직조기술과 직조기계의 발달로 다량의 제품이 공장에서 직조 생산되고 있고, 소비자의 욕구에 맞게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함께 구현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카페트는 보행성, 보온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고, 건물 내부를 보다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기능을 가지나, 일반적으로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었으며, 특히 양모 또는 견과 같은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천연섬유 카페트의 경우에는 천연섬유의 생산량이 적고 가격이 높아 다수의 사용자들에서 상용화되지 못하고 일부의 사용자들에게 한정적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천연섬유 카페트를 보다 저가로 공급하기 위하여 원사의 재질을 나일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섬유로 형성한 합성섬유 카페트는 생산비용이 비교적 낮아졌으나, 사용자가 쉽게 구매할 수 있을 만큼의 가격을 형성하지는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섬유 재질의 카페트 중 나일론을 원사로 이루어진 카페트의 경우 다른 종류의 합성섬유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고, 세탁이 용이한 장점 등이 있으나, 흡습성이 나쁘고 정전기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합성섬유 카페트 중에서는 비교적 생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섬유 재질의 카페트 중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을 원사로 이루어진 카페트의 경우 화재로 인해 쉽게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처리를 하여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합성섬유 카페트의 경우에는 바닥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백킹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행 시 보행성을 향상시키거나, 바닥면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쉽게 수축하거나 이완되어 형태의 변화를 발생시킴에 따라, 카페트가 구겨지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즉, 종래의 카페트를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대량생산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오염원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세탁 및 관리를 편리하게 하며, 보행 시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점화원이 번지지 않고 쉽게 소화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화재의 위험을 최소화는 등의 조건을 갖추어 보다 상용화를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카페트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보행 시 푹신한 보행감을 가지도록 하며, 카페트의 형태가 외부의 온도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적게 하며,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발화된 부분만이 쉽게 소화되도록 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의 합성섬유 원사를 이용하고, 대량으로 생산이 용이하며, 기존의 카페트와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보다 향상된 쿠션감을 갖는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가의 원사를 원단으로 쉽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되, 원단의 표면이 부드럽고 푹신푹신한 상태로 형성되는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이물질에 쉽게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세탁 및 관리가 보다 수월한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화재가 발생 시 점화원이 쉽게 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보행 시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층이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쉽게 수축되거나, 늘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을 형성한 직물층; 상기 직물층 하면에 부착되고, 외부 온도에 의해 하기 쿠션층의 형태변화를 방지하는 치수안정층; 상기 치수안정층의 하면에 코팅되어 일체로 결합하고, 사용자가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층;을 포함하는 합성섬유 카페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더블라셀 공법으로 제직한 더블라셀 원단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발수가공 처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수가공은, 불소계 발수제를 망글(mangle) 방식으로 처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불연성의 폴리염화비닐이 발포되어 형성된 발포층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수안정층은, 외부의 온도에 의해 수축하거나, 늘어나지 않는 유리섬유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을 형성하는 직물층을 준비하는 직물층 준비단계;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치수안정층을 접합하는 치수안정층 접합단계; 상기 치수안정층의 하면에 쿠션층을 코팅하는 쿠션층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 준비단계 이후 치수안정층 접합단계 이전에, 상기 직물층을 발수가공 처리하는 발수가공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수가공 단계 이후 상기 치수안정층 접합단계 이전에,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상기 치수안정층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층을 코팅하는 접합층 코팅단계; 상기 치수안정층에 스파이크 롤 처리를 하여, 상기 접합층과 상기 쿠션층에서 발생한 기포가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스파이크 롤 처리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에 의하면, 저가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원사로 하여 더블라셀 공법으로 제직한 원단으로 직물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은 비교적 간단하면서 생산비용은 최소화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용이하며, 직물층의 표면은 부드러운 촉감 및 쿠션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직물층의 하면에 쿠션층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시 보다 향상된 쿠션감을 제공받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에 의하면, 더블라셀원단에 발수가공 처리를 함으로써, 외부의 오염물질에 쉽게 오염되지 않으므로 관리가 보다 수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에 의하면, 직물층의 하면에 불연소성을 갖는 쿠션층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화기에 의해 불이 발생한 경우 발수가공된 직물층은 빠르게 연소되어 하면의 쿠션층을 드러나게 하며, 불연소성의 쿠션층은 불이 더 번지지 않고 소화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에 의하면, 쿠션층의 내부에 적층된 치수안정층을 구비함으로써, 쿠션층이 외부의 온도변화에도 쉽게 늘어나거나, 수축되어 구겨지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대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는 종래의 카페트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세탁 및 관리가 용이하고, 쿠션감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보행 시 편안하며,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의 점화원이 번지지 않고 쉽게 소화될 수 있게 구비되며, 직물층(100), 쿠션층(200), 치수안정층(300) 및 접합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는 롤 카페트(Roll carpet) 또는 타일 카페트(Tile carpet)의 형태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롤 카페트는 폭이 길고,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타일 카페트는 타일과 같은 정사각형과 같은 형태로 폭이 짧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의 타일 카페트를 실내의 바닥면에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포설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직물층(100)은 건물 실내의 바닥면에 깔린 상태에서 상면으로 드러나 사용자가 밟게 되는 부분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되거나, 다양한 무늬, 문양, 색상, 글씨 등으로 염색 또는 인쇄되어 장식미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생산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1 ㎜ 내지 3 ㎜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물층(100)은 더블라셀 경편기를 이용하여 더블라셀(Double Raschel) 원단으로 제직되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직물밀도가 높으며, 일정한 길이와 우수한 품질을 갖는다.
또한, 상기 더블라셀(Double Raschel) 원단은, 폴리에스터(PET) 섬유, 나일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섬유를 원사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촉감, 염색성, 기능성 등이 우수하고, 섬유 자체의 특성이 범용성을 가지며, 의류 및 비의류의 섬유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고, 특히 재료의 가격이 저렴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더블라셀 원단은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 이외의 나일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을 일부 혼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물층(100)은 더블라셀 원단에, 외부의 이물질이 쉽게 묻지 않도록 하여 세탁 및 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발수가공 처리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수가공은, 불소계 발수제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망글(mangle)롤러를 구비하여 망글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층(100)에 발수가공을 할 시 상기 직물층(100)을 보다 부드럽게 할 경우 실리콘계 유연제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직물층(100)을 보다 뻣뻣하게 할 경우에는 멜라민 수지를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발수가공 처리가 되어 있는 상기 직물층(100)은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후술될 쿠션층(200)이 드러나게 되면 쉽게 소화되므로, 상기 직물층에 발생한 화재가 쿠션층의 하부로 전달되지 않아 화재가 발생한 점화원이 주변으로 번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직물층(100)은 나일론,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섬유에 비해 제조비용이 낮고, 섬유 자체의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원사로 형성되어, 저가의 생산비용으로 대량생산에 보다 용이하며, 더블라셀 원단으로 구비됨으로써, 보행성 및 보온성을 향상시켰으며, 발수가공 처리를 통해 외부의 오염원에 의해 오염을 방지하고, 화재가 발생할 시 빠르게 점화원이 주변으로 번지지 않고 빠르게 연소된 후 소화되게 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낮춘 것이다.
상기 쿠션층(200)은 외부의 열에 의해 쉽게 연소되지 않도록 불연소성의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직물층(100)에 발생한 상기 점화원이 더 타들어가지 못하고 소화되게 한다.
또한, 상기 쿠션층(200)은 상기 직물층(100)의 하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접착되거나, 코팅된 것으로, 사용자가 보행 시 향상된 쿠션감을 가질 수 있도록 기포가 형성된 발포재질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쿠션층(20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보관 및 관리가 불편하므로, 상기 쿠션층(200)은 적어도 2 ㎜ 내지 5 ㎜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쿠션층(200)은 사용자가 보행 시 쿠션감을 제공하여 편안하게 걷도록 하며, 열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되어 화재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치수안정층(300)은 상기 직물층(100)과 상기 쿠션층(200)의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 재질의 상기 쿠션층(200)이 외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쉽게 수축되거나, 늘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쿠션층(200)의 형태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 쿠션층(200)의 늘어짐 및 수축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치수안정층(300)은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이 높아 외부의 열에 의한 팽창 또는 수축이 작은 유리섬유로 제직된 유리섬유 원단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망(Mesh)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치수 안정성을 높이면서 적은 재료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수안정층(300)은 치수 안정성이 높은 유리섬유 원단으로 상기 직물층(100)과 상기 쿠션층(200)의 사이에서 상기 쿠션층(200)이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쿠션층(200)이 구겨지거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표면이 촘촘한 치수안정층(300)을 투입하는 경우, 후술될 접합층(400) 및 쿠션층(200)에서 발생한 기포가 치수안정층(300)에 막혀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기 기포에 의해 표면이 불균일하게 되거나, 접합이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치수안정층(300)을 접합하기 이전에 상기 치수안정층(300)에 스파이크 롤(spike roll) 처리를 하여 상기 쿠션층(200) 및 상기 접합층(400)에서 발생한 기포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층(400)은, 상기 치수안정층(300)을 상기 직물층(100)의 하면에 부착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상기 직물층(100)의 하면에서 일정한 두께로 접착되거나, 코팅되며 상기 쿠션층(200)과 같이 발포층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접합층(400)의 하단면에 접합되는 상기 치수안정층(300)이 균일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 카페트는, 먼저, 폴리에스터(PET) 섬유재질의 합성섬유 원사를 더블라셀 공정을 통해 더블라셀 원단으로 가공하여 직물층(100)으로 제조하여, 표면을 형성하게 되는 직물층을 준비하게 된다(s1000).
다음, 상기 직물층(100)에 불소계 발수제를 이용하여 발수가공 처리를 하게 되며, 예를 들면, 망글 롤러(Mangle roller)를 이용하여 발수가공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s2000).
한편, 상기 직물층(100)은 더블라셀 원단으로 가공된 후 일정한 색상으로 염색한 후 발수가공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다음, 발수가공된 상기 직물층(100)의 하단면에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의 접합층(400)을 코팅하게 되며, 상기 접합층(400)은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의 재료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페이스트(paste) 상태로 만든 후 기포가 발생될 수 있게 발포제를 첨가하여 상기 직물층(100)의 하단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s3000).
다음, 상기 접합층(400)의 하단면에 상기 치수안정층(300)을 접합하기 이전에 상기 치수안정층(300)에 스파이크 롤처리를 하게 되며, 상기 스파이크 롤 처리는 상기 쿠션층(200) 및 상기 접합층(400)에서 발생한 기포가 치수안정층(300)에 막혀서 빠져나가지 못해 상기 치수안정층(300)이 균일한 상태로 결합하지 못하고 요철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접합층(400)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쿠션층(200)에서 발생된 기포가 배출될 수 있게 한다(s4000).
다음, 스파이크 롤 처리된 상기 치수안정층(300)을 상기 접합층(400)의 하단면에 접합하게 되며, 상기 접합층(400)이 건조되기 이전에 상기 치수안정층(300)을 접착하여 접합하거나, 일반적인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치수안정층(300)을 상기 접합층(400)의 하단면에 접합할 수 있다(s5000).
다음, 상기 치수안정층(300)의 하단면에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의 쿠션층(200)을 코팅하게 되며,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보행성 및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쿠션층(200)은 폴리염화비닐(PVC) 재질의 재료에 일정한 열을 가하여 페이스트(paste) 상태로 만든 후 기포가 발생될 수 있게 발포제를 첨가하여 상기 직물층(100)의 하단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s60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직물층 200 : 쿠션층
300 : 치수안정층 400 : 접합층

Claims (9)

  1. 표면을 형성한 직물층;
    상기 직물층 하면에 부착되고, 외부 온도에 의해 하기 쿠션층의 형태변화를 방지하는 치수안정층;
    상기 치수안정층의 하면에 코팅되어 일체로 결합하고, 사용자가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층;을 포함하고,
    상기 직물층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더블라셀 공법으로 제직한 더블라셀 원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발수가공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가공은, 불소계 발수제를 망글(mangle) 방식으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불연성의 폴리염화비닐이 발포되어 형성된 발포층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수안정층은, 외부의 온도에 의해 수축하거나, 늘어나지 않는 유리섬유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7. 삭제
  8. 삭제
  9. 표면을 형성하는 직물층을 준비하는 직물층 준비단계;
    상기 직물층을 발수가공 처리하는 발수가공 단계;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접합층을 코팅하는 접합층 코팅단계;
    상기 접합층에 접합할 치수안정층을 준비하고, 상기 치수안정층에 스파이크 롤 처리를 하는 스파이크 롤 처리단계;
    스파이크 롤 처리된 치수안정층을 상기 직물층의 하면에 접합하는 치수안정층 접합단계;
    상기 치수안정층의 하면에 쿠션층을 코팅하는 쿠션층 코팅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카페트 제조방법.
KR1020100074355A 2010-07-30 2010-07-30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48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55A KR101248452B1 (ko) 2010-07-30 2010-07-30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55A KR101248452B1 (ko) 2010-07-30 2010-07-30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88A KR20120012288A (ko) 2012-02-09
KR101248452B1 true KR101248452B1 (ko) 2013-03-28

Family

ID=4583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355A KR101248452B1 (ko) 2010-07-30 2010-07-30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27B1 (ko) 2018-02-23 2018-08-01 김승주 기능성 카페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270A (ja) * 1991-07-29 1993-02-09 Toyobo Co Ltd カーペツト
KR100944396B1 (ko) * 2009-09-22 2010-02-26 주식회사 성남화학 쿠션 카페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270A (ja) * 1991-07-29 1993-02-09 Toyobo Co Ltd カーペツト
KR100944396B1 (ko) * 2009-09-22 2010-02-26 주식회사 성남화학 쿠션 카페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427B1 (ko) 2018-02-23 2018-08-01 김승주 기능성 카페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88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4272B1 (en) Looped fabric comprising bamboo loops and terry made there from
JP2006249610A (ja) ぬれ感の少ない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KR100793143B1 (ko) 가교에 의해 체적을 증가시킨 기능성 직물
KR101248452B1 (ko) 합성섬유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ES2380657T3 (es) Productos textiles que tienen propiedades retardadoras de la llama y métodos de fabricación
JP6960587B2 (ja) 布物品
JP2003003355A (ja) ループ長が相違する立体経編地の製編方法及び立体経編地
CZ23466U1 (cs) Funkcní smycková tkanina
CN208812644U (zh) 一种抑菌保暖网布
JP2007075235A (ja) 浴用ボディタオル
KR101280015B1 (ko) 난연세섬사를 이용한 인테리어 직물
JP2006183161A (ja) 交織織地およびその用途
KR100519606B1 (ko) 타월지
KR101365232B1 (ko) 준불연성 인테리어 장식물
CN213649010U (zh) 一种抗皱仿记忆面料
CN218020633U (zh) 一种抗静电超柔雪尼尔沙发面料
KR101373247B1 (ko)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가지는 카페트
JP3238669U (ja) ボディタオル
US20240044074A1 (en) Faux Hide Material
JP2022139771A (ja) 立毛状敷物材
KR100217549B1 (ko) 뜨개 카페트
CN114766896A (zh) 一种带高低绒感的平绒地毯
JPH04100949A (ja) 自動車座席用椅子張地等パイル地
GB2405414A (en) Pile fabric comprising bamboo fibre
JPH09271429A (ja) 敷きパ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