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153B1 -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 Google Patents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153B1
KR101248153B1 KR1020130002782A KR20130002782A KR101248153B1 KR 101248153 B1 KR101248153 B1 KR 101248153B1 KR 1020130002782 A KR1020130002782 A KR 1020130002782A KR 20130002782 A KR20130002782 A KR 20130002782A KR 101248153 B1 KR101248153 B1 KR 10124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nverter
fastening
cov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이
Priority to KR1020130002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 체결되고 이면에 일체형의 돌출된 체결볼트가 구성된 체결구에 십자형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되는 컨버터수용홈이 구성되는 몸체가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컨버터수용홈 내에 포용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에 관통되어 노출되는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너트 및 자석이 인서트된 인서트고정너트와;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일측 내측면에 돌출구성되고, 체결커버가 컨버터수용홈 내에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안치돌부와; 상기 안치돌부의 맞은 편의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안치돌부보다 높이가 낮은 격리돌부와;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상부면을 밀폐하고, 종횡단면이 "ㄷ"형상으로 구성되는 금속의 체결커버가 구성되어; 격리돌부 측의 체결커버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하여 체결커버의 분리가 용이하고, 체결커버가 인서트고정너트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안치돌부에 의하여 더 이상 컨버터수용홈의 내부진입이 정지되고, 안치돌부의 2단과 격리돌부의 2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2단에 격리판이 안치되어 격리돌부 측의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할 때 격리판까지 시소작용을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A separation structure of combineing cover for LED lamp attaching on the ceiling}
본원 발명은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커버가 십자형의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되는 컨버터수용홈 내 의 가이드돌부에 관통 노출되는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인서트고정너트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체결커버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하여 체결커버의 분리가 간편하게 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 조명 광원으로는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 램프 등의 방전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전램프는 높은 구동 전압을 가지므로 전력의 승압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크고, 폐기시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수은 등의 방전가스를 배출하므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에서는 전기·전자제품에 납·수은·카드뮴·6가 크롬(Cr6+) 등의 중금속과 PBB(PolyBromide Binpenyl)·PBDE(PolyBrominated Diphenyl Ether)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사용을 금하는 특정 유해물질 사용제한 규약(RoHS : Restriting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과 폐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 비용을 생산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전기·전자기기폐기물처리지침(WEEE :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Directive)을 제정하여 2006년 7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청색 LED와 형광체를 이용하여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LED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백색 LED는 기존의 조명 광원에 비해 극소형이며,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자외선과 같은 유해파 방출이 없고, 수은 및 방전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조명광원으로, 기존의 조명 광원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되는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를 대체하는 엘이디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된 종래기술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종래기술은 본원 출원인이 특허출원 제10-2012-0124851호(2012. 11. 06)로 출원하여 실시되고 있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로서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마련되는 체결구에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십자형 베이스의 중앙에 컨버터수용홈이 구성되고, 컨버터수용홈의 중앙에 볼트통과공이 구성되고, 베이스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고 관통된 슬롯의 결합홈이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하여 엘이디모듈을 보호하고 빛을 확산하고, 가장자리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ㄴ"형상의 결합돌기가 구성되고,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ㄱ"형상의 체결돌기가 구성된 확산커버와; 상기 확산커버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절취된 "ㄷ"형상의 체결요홈이 형성된 체결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되고, 중앙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가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가 컨버터수용홈의 중앙의 볼트통과공 및 체결커버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에 의하여 체결커버를 몸체에 체결되어; 결합홈에 결합돌기를 삽입하고 체결요홈에 체결돌기를 삽입하여 하나의 체결커버가 다수의 확산커버의 일측면을 한번에 일체형으로 체결되고, 체결볼트가 컨버터수용홈 및 체결커버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에 의하여 몸체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는 체결커버가 체결커버의 볼트공에 관통된 체결볼트와 몸체의 하부로부터 삽입하는 너트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컨버터수용홈에 체결되어 너트의 분리 후 체결커버가 분리됨으로서 체결커버의 분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체결커버의 분리 시에 너트의 분리 중에 분리된 너트를 떨어트려 너트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체결커버의 체결 시에 너트를 떨어트리거나 체결볼트에 너트의 삽입이 곤란하고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커버의 체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십자형의 베이스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가 구성된 컨버터수용홈을 이 형성된 몸체를 구성하고, 천정에 고정된 체결구의 체결볼트를 가이드돌부에 관통시켜 자석이 인서트된 인서트고정너트와 체결볼트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의 자석의 자력으로 체결커버가 컨버터수용홈을 밀착되게 하여 체결커버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으로 분리가 용이한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는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되고 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체결볼트가 구성된 체결구에 십자형의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되는 컨버터수용홈이 구성되는 몸체가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컨버터수용홈 내에 포용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에 관통되어 노출되는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너트 및 자석이 인서트된 인서트고정너트와;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일측 내측면에 돌출구성되고, 체결커버가 컨버터수용홈 내에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안치돌부와;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상부면을 밀폐하고, 종횡단면이 "ㄷ"형상으로 구성되는 금속의 체결커버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안치돌부의 맞은 편의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안치돌부보다 높이가 낮은 격리돌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안치돌부는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서 격리돌부와 마주 보는 면이 3단으로 돌출 구성되고; 상기 격리돌부는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서 안치돌부와 마주 보는 면이 2단으로 돌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안치돌부의 1단과 격리돌부의 1단(컨버터안치부와 격리돌부의 컨버터안치부)은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는 컨버터수용홈의 일측 내측면의 안치돌부의 높이보다 안치돌부의 맞은 편의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의 격리돌부의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격리돌부 측의 체결커버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하여 체결커버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체결커버가 인서트고정너트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안치돌부에 의하여 더 이상 컨버터수용홈의 내부진입이 정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안치돌부의 2단과 격리돌부의 2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2단에 격리판이 안치되어 격리돌부 측의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할 때 격리판까지 시소작용하고, 안치돌부 측의 체결커버는 3단에 의하여 시소작용이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자석이 인서트된 인서트고정너트로서 천정에 고정된 체결구의 체결볼트를 체결하고 체결커버를 밀착함으로써 컨버터수용홈에 체결커버를 간단하게 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자석이 인서트고정너트의 한번의 사용으로 체결커버를 몸체에 체결함으로써 체결 시에 별도의 분리된 부품이 없어서 부품의 분실의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원 발명이 구성된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사시도.
도 2: 본원 발명이 구성된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분해사시도.
도 3: 본원 발명의 몸체의 저면 사시도.
도 4: 본원 발명의 컨버터수용홈의 사시도.
도 5: 본원 발명의 체결구 사시도.
도 6: 본원 발명의 인서트고정너트의 평면도, 단면도 및 저면도.
도 7: 본원 발명의 체결볼트가 컨버터수용홈 및 격리판에 결합된 상태도.
도 8: 본원 발명의 체결볼트와 인서트고정너트가 결합된 상태도.
도 9: 본원 발명이 적용된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가 천정에 고정된 측면 개략상태도.
도 10: 본원 발명의 컨버터수용홈에 체결커버가 결합된 상태도.
도 11: 본원 발명의 체결커버가 시소작용하는 상태도.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되고 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체결볼트(81)가 구성된 체결구(80)에 십자형의 베이스(76)의 중앙에 형성되는 컨버터수용홈(73)이 구성되는 몸체(70)가 체결되는 형광등 타입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기구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1)의 체결커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천정에 체결되는 체결구(80)와, 십자형의 베이스(76)로 구성되는 몸체(70)와, 실내로 위치되는 베이스(76)의 상면에 안치되는 엘이디(52)로 구성되는 엘이디모듈(50)과, 베이스(76)의 상면에 결합되는 확산커버(30)와, 몸체(70)의 중앙에 구성되는 컨버터수용홈(73)의 내면에 안치되는 컨버터(60)와, 컨버터(60)의 상측에 구성되고 체결구(80)의 체결볼트(81)에 체결되는 체결커버(10)와, 컨버터(60)와 체결커버(1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리판(40)과, 격리판(40)과 체결커버(10) 사이에 구성되고 체결구(80)의 체결볼트(81)에 나사 결합되는 인서트고정너트(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70)는 체결볼트(81)가 관통삽입되고 십자형의 베이스(76)가 연결되는 컨버터수용홈(73)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컨버터수용홈(73)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75)가 구성되고. 컨버터수용홈(73)의 일측 내측면에 안치돌부(90)가 구성되고, 안치돌부(90)의 맞은 편의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 격리돌부(95)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70)는 베이스(76)와 컨버터수용홈(73)이 구성되되 중앙부의 컨버터수용홈(73)에서 복수개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76)로 구성되고 나머지 구성인 엘이디모듈(50)과 확산커버(30)와 컨버터(60)와 체결구(80)와, 격리판(40)과 체결구(80) 및 인서트고정너트(20) 등을 수용하거나 이들과 결합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76)는 중앙부 즉, 컨버터수용홈(73)을 기준으로 4방향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몸체(70)의 전체 형상이 십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76)는 천정이나 벽체에 고정될 때 천정 또는 벽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하면과 하면의 이면으로서 천정에서 실내로 위치된 상면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76)는 베이스면에서 바닥 즉, 빛을 조사하는 하향하는 부분의 가장자리 둘레는 수직으로 약간 돌출된 플랜지가 구성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엘이디모듈(50)이 안치된다.
상기 베이스(76)의 상면과 엘이디모듈(50)의 하면은 이격되게 하여 상면과 하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이 베이스(76) 내외의 공기가 교류하는 유통공간이 된다.
상기 베이스(76)의 하면 즉, 천정 측의 베이스면에는 종단 방향에는 일정 길이의 장방형 공간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체결구(80)가 안치되는 체결구수용부(77)가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수용부(77)는 폭이 베이스(76) 폭보다 작게 구성되고 길이도 베이스(76)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되어 베이스(76)의 하면의 종방향으로의 중심구성되되 횡방향의 일측이 컨버터수요홈(73)의 일측에 접속되어 베이스(76)의 종방향에 대하여 편심되게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수용부(77)는 베이스(76)의 하면의 종단 방향이 중앙에서 종단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종단플랜지가 구성되고 횡단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횡단플랜지가 구성되어 종단플랜지와 횡단플랜지의 끝단이 합치되어 장방형으로 구성되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 내부 공간의 폭, 길이 및 높이는 체결구(80)의 폭, 길이 및 높이와 비슷하게 구성되거나 체결구(80)의 폭, 길이 및 높이 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체결구(80)가 안치되면 체결구(80)의 내부 공간의 내면과 이격 공간이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게 한다.
상기 종단플랜지에는 플랜지의 끝단에서부터 "U"형상으로 절취되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유통되게 하는 기류유출공(79)이 구성되며 이 기류유출공(79)은 횡단플랜지에는 플랜지의 끝단에서부터 "U"형상으로 절취 구성되거나 종단플랜지 및 횡단플랜지의 둘다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류유출공(79)은 다음에 설명하는 컨버터(6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 몸체(70) 내부의 고온 공기가 몸체(70) 외부로 유출되고 몸체(70) 외부의 저온 공기가 몸체(7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76)의 하면 중앙 즉, 컨버터수용홈(73)의 하면에는 베이스면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정방형의 베이스돌부(78)가 구성되고 베이스돌부(78)와 체결구수용부(77)는 연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돌부(78)도 체결구수용부(77)와 같이 4변이 플랜지로 돌출되어 공간으로 형성되며 체결구(80)가 중앙을 종단하게 안치되어, 상기 체결구(80)는 베이스돌부(78)와 체결구수용부(77)에 걸쳐서 안치된다.
상기 베이스돌부(78)와 체결구수용부(77)의 플랜지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몸체(70)가 천정에 체결되면 베이스(76)는 베이스돌부(78) 및 체결구수용부(77)의 높이 만큼 천정으로부터 이격되게 체결되어 몸체(70) 내부에 안치되는 엘이디모듈(50) 및 컨버터(6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 몸체(70) 내부 공기가 베이스(76)에 구성된 공기유출공(72)을 통하여 몸체(70)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76)는 일측과 타측은 직선으로 구성 즉, 장방형으로 구성되고 십자형 몸체의 정방형으로 구성 즉, 정방형의 중앙부의 컨버터수용홈(73)의 각 측면에 베이스(76)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면 십자형 몸체(70)가 된다.
상기 베이스(76)는 하면과 상면 즉, 하면과 베이스면이 유통되게 긴 슬롯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개로 관통된 공기유출공(72)이 형성되고 베이스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즉, 4 방향에 하나 정도로 돌출된 엘이디기판결합돌부가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기판결합돌부에 엘이디모듈(50)이 실장된 엘이디기판(51)이 안치되면 엘이디기판(51)은 베이스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공간이 형성되고, 엘이디기판(51)은 베이스면과 같은 형상이거나 장방형으로 구성하여 베이스면과 비슷한 넓이로 구성하는 것이 베이스면의 활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공기유출공(72)은 엘이디모듈(50)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과열이 된 공기 즉, 확산커버(3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과열 공기, 엘이디기판(51)과 베이스면 사이에 존재하는 과열 공기가 상승하여 베이스(76)의 하면과 천정 또는 벽체 사이의 공간을 유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산커버(30) 내의 과열 공기가 공기유출공(72)을 통과하여 몸체(70)의 외부로 유출되고 컨버터수용홈(73) 내의 과열공기는 공기유통공(74)을 통과하여 기류유출공(79)으로 유출되어 몸체(70)의 외부로 배출되어 엘이디모듈(50) 및 컨버터(60)를 냉각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구수용부(77)로 유입된 과열 공기는 기류유출공(79)으로 유출되고 체결구수용부(77)로 유입되지 아니하는 과열 공기는 공기유출공(72)을 통과하여 몸체(7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70) 외부의 저온 공기가 공기유출공(72)으로 유입되어 엘이디기판(51)과 베이스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몸체(70) 내부로 유입되어 엘이디모듈(50)을 냉각하고 기류유출공(79) 및 공기유통공(74)으로 유입되어 컨버터기판(61)과 컨버터수용홈(73)의 저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컨버터수용홈(73)의 내부로 유입되어 컨버터(60)를 냉각한다.
상기 몸체(70)는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마련되는 체결구(80)에 체결되고, 십자형의 베이스(76)가 구성되고, 베이스(76) 가장자리 부근에 장방형의 후크홈이 관통 구성된다.
상기 후크홈은 몸체(70)의 베이스(76)의 가장자리 부근 즉, 확산커버(30)와 접촉되는 가장자리 부근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베이스면과 하면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후크홈은 다음에 설명하는 확산커버(30)의 체결후크가 삽입되고 확산커버(30)가 베이스(76)에 원터치 결합되게 한다.
상기 체결후크는 후크홈과 대응되는 확산커버(30)의 양측면의 가장자리 저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내면 방향으로 구성되어 후크홈에 삽입되어 확산커버(30)가 몸체(70)에 간단하게 일체형으로 체결 결합된다.
상기 체결후크의 끝단이 후크홈 내에 삽입되면 체결후크 끝단의 갈고리가 원위치로 확장되면서 후크홈의 벽면에 걸치게 되어 체결후크가 후크홈에서 이탈을 하지 아니하게 되어 확산커버(30)가 베이스(76)에 원터치 결합된다.
상기 후크홈은 베이스(76)에서 베이스(76)의 양측 직선 부분에 각각 1개씩 구성하고 확산커버(30)의 체결후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한다.
상기 후크홈을 다수개로 즉, 많게 구성하게 되면 확산커버(30)를 베이스(76)에 결합할 때 체결후크 모두가 후크홈에 일체되게 삽입한 후 결합하여야 하므로 이때 모든 체결후크를 일제히 후크홈의 삽입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보다 상기에서 설명한 개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70)의 중앙부는 복수개의 베이스(76)가 만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76)와 몸체(7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베이스면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요홈으로 구성되는 컨버터수용홈(73)이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은 저면 중앙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컨버터수용홈(73)의 내부에 포용되는 가이드돌부(75)가 구성되며, 가이드돌부(75)는 컨버터수용홈(73)의 중앙에서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되고 높이는 컨버터수용홈(73)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되되 다음에 설명하는 인서트고정너트(20)의 높이 정도 낮게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은 정방형의 컨버터수용홈(73)의 일측 내측면에 돌출 구성되고 체결커버(10)가 컨버터수용홈(73)의 내부로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안치돌부(90)가 구성된다.
상기 안치돌부(90)는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서 격리돌부(95)와 마주 보는 면이 3단으로 돌출 구성 즉, 안치돌부(90)는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서 격리돌부(95)와 마주 보는 면에 돌출된 커버멈춤부(93)가 구성되고, 커버멈춤부(93)의 하측에 구성되고 커버멈춤부(93) 보다 더 돌출된 격리판안치부(92)가 구성되고, 격리판안치부(92)의 하측에 구성되고 격리판안치부(92) 보다 더 돌출된 컨버터안치부(91)로 구성된다.
상기 안치돌부(90)는 커버멈춤부(93)와 격리판안치부(92)와 컨버터안치부(91)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일측면이 3단으로 구성되고 단으로 구성되지 아니는 면은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격리돌부(95)는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서 안치돌부(90)와 마주 보는 면이 2단으로 돌출 구성 즉, 격리돌부(95)는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서 안치돌부(90)와 마주 보는 면에 돌출된 격리판안치부(92)가 구성되고, 격리판안치부(92)의 하측에 구성되고 격리판안치부(92) 보다 더 돌출된 컨버터안치부(91)로 구성된다.
상기 격리돌부(95)는 격리판안치부(92)와 컨버터안치부(91)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일측면이 2단으로 구성되고 단으로 구성되지 아니는 면은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치돌부(90)는 3단을 돌출 구성되고 격리돌부(95)는 2단으로 돌출 구성되어 안치돌부(90)와 격리돌부(95)는 정방형의 컨버터수용홈(73)의 내면에서 대응되게 구성되되 돌출된 부분이 마주보게 구성된다.
상기 안치돌부(90)의 2단과 격리돌부(95)의 2단은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2단에 격리판(40)이 안치되어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가 가이드돌부(75)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할 때 격리판(40)까지 시소작용하고, 안치돌부(90) 측의 체결커버(10)는 3단에 의하여 시소작용이 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안치돌부(90)의 격리판안치부(92) 및 격리돌부(95)의 격리판안치부(92)는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격리판안치부(92)에 격리판(40)이 안치되어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가 가이드돌부(75)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할 때 격리판(40)까지 시소작용하고, 안치돌부(90) 측의 체결커버(10)는 커버멈춤부(93)는 안치돌부(90) 및 격리돌부(95)의 격리판안치부(92)보다 높게 구성되면서 체결커버(10)가 커버멈춤부(93)에 접촉되게 결합되므로 커버멈춤부(93)의 체결커버(10)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커버멈춤부(93)가 체결커버(10)를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시소작용이 되지 않는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은 안치돌부(90)의 맞은 편의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에는 안치돌부(90)보다 높이가 낮은 격리돌부(95)가 구성 즉, 안치돌부(90)와 격리돌부(95)가 높이에 차이가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격리돌부(95)는 안치돌부(90)가 구성된 컨버터수용홈(73) 내측면과 대응되는 컨버터수용홈(73) 내측면에 구성되어 안치돌부(90)와 격리돌부(95)의 높이 차에 의하여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10)가 가이드돌부(75)를 중심으로 안치돌부(90) 측과 격리돌부(95) 측이 시소작용을 한다.
다시 말하면, 본원 발명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가 적용된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에서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가이드돌부(75)의 높이보다 격리돌부(95)의 높이가 낮아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가 손가락 등의 외력에 의하여 격리돌부(95)까지 하강하게 되고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의 반대측 즉, 안치돌부(90) 측의 체결커버(10)는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와 반대로 상승하게 되어 체결커버(10)가 가이드돌부(75)를 중심으로 안치돌부(90) 측과 격리돌부(95) 측이 시소작용을 한다.
상기 체결커버(10)의 시소작용에 의하여 상승된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는 컨버터수용홈(73)의 외부로 솟게 되어 즉, 컨버터수용홈(73)의 외부로 노출되어 손에 의하여 체결커버(10)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체결커버(10)가 컨버터수용홈(73) 즉, 몸체(7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은 엘이디(52)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엘이디(5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회로가 구성된 컨버터(60)가 안치되어 컨버터(60)가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 즉, 베이스(76)에 의하여 보호를 받으면서 안전하게 안치된다.
상기 컨버터(60)는 전기가 흐르지 아니하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컨버터기판(61)과 컨버터기판(61) 상에 형성되는 전원회로로 구성되며 상하 관통된 관통공이 구성되어 관통공으로 몸체(70)의 컨버터수용홈(73)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부(75)가 통과되게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80)의 체결볼트(81)가 가이드돌부(75)의 내부로 통과하여 체결볼트(81)의 끝부분이 가이드돌부(75)에 노출되게 삽입되어 노출된 체결볼트(81)에 인서트고정너트(20)가 나사 결합되며 인서트고정너트(20)의 타측면은 체결커버(10)가 자력에 의하여 밀착되게 구성되고, 체결커버(10)는 컨버터수용홈(73)의 측면을 포용하면서 측면과 일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 내에서 가이드돌부(75)가 격리판(40)의 격리공(41)을 관통하여 격리판(40)이 컨버터(60)의 상부에 내장 안치되면서 컨버터(60)와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고정너트(20)는 합성수지의 너트몸체(21)와, 너트몸체(21)의 상부 내부에 인서트 삽입되고 일측면이 너트몸체(21)의 상부면에 일체로 노출되는 구성되는 자석(22)과, 너트몸체(21)의 하부 내부에 인서트 삽입되고 일측면이 너트몸체(21)의 하부면에 일체로 노출되고 나사부가 노출되는 너트(23)로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고정너트(20)는 너트(23) 및 자석(22)이 인서트되어 격리판(40)과 체결커버(10)의 사이에 공간에 위치되어 일측이 가이드돌부(75)에 관통되어 노출되는 체결구(80)의 체결볼트(81)와 나사결합되고 타측이 체결커버(10)가 자력에 의하여 밀착되어 체결볼트(81)와 인서트고정너트(20)의 너트(23)와 나사 결합으로 한번에 몸체(70)를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한다.
즉, 상기 체결커버(10)가 인서트고정너트(20)의 자석(22)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20)에 상부면에 밀착되어 나사 결합없이 체결커버(10)가 몸체(70)에 간단하게 밀착된다.
상기 너트몸체(21)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너트몸체(21)는 저부 내면에 육각너트를 인서트하여 너트(23)로 구성하고 상부 내면에 자석(22)을 인서트 하여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어 너트몸체(21)와 너트(23)와 자석(22)이 하나의 부품으로 단순화된 인서트고정너트(20)를 사용하여 몸체(70)가 간단하게 천정에 간편 체결하게 된다.
상기 너트(23)를 육각너트로 사용하는 이유는 육각너트의 외면의 표면적이 커서 합성수지와의 친화력을 강화하고 인서트고정너트(20)를 체결구(80)의 체결볼트(81)에 나사 결합할 때 또는 분리할 때 육각너트의 모서리가 합성수지를 일체형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인서트고정너트(20)는 자석(22)과 너트(23)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이격 공간이 구성되고, 자석(22)의 상부면부터 너트(23)의 하부면까지는 관통되게 구성되고, 상부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의 돌출된 세레이션이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80)의 체결볼트(81)가 너트(23)에 나사 결합될 때 나사 상부로 노출되는 체결볼트(81)는 이격 공간에서 위치되고, 세레이션을 손으로 회전시켜 별도의 도구없이 인서트고정너트(20)를 체결볼트(81)에 용이하게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리판(40)은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합성수지 등의 통전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되고 중앙에는 가이드돌부(75)가 관통 삽입되는 격리공이 형성된 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격리판(40)을 구성하지 아니하여도 되지만 분해 시에 컨버터(60)에 인축이 접촉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리판(40)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의 내측면 형상과 컨버터기판(61)의 외측면 형상이 동일하게 구성되게 하게 하여 컨버터기판(61)이 컨버터수용홈(73) 내부 공간에서 공간활용이 크게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는 하면과 상면 즉, 하면과 컨버터수용홈(73) 내면이 유통되게 긴 슬롯으로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개로 관통된 공기유통공(74)이 형성되고 컨버터수용홈(73) 내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 즉, 4 방향에 하나 정도로 돌출된 격리돌부가 구성된다.
상기 안치돌부(90)의 1단과 격리돌부(95)의 1단은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안치돌부(90)의 1단과 격리돌부(95)의 1단에 컨버터(60)가 안치 즉, 안치돌부(90)의 컨버터안치부(91)와 격리돌부(95)의 컨버터안치부(91)는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컨버터안치부(91)에 컨버터(60)가 안치된다.
상기 안치돌부(90)의 1단과 격리돌부(95)의 1단 즉, 안치돌부(90) 및 격리돌부(95)의 컨버터안치부(91)에 컨버터(60)가 안치되어 컨버터(60)의 반도체 소자 등이 컨버터기판(61)과 격리판(40) 즉, 1단과 2단 다시 말하면 격리판안치부(92)와 컨버터안치부(91)의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안치돌부(90)의 1단과 격리돌부(95)의 1단에 전원회로가 실장된 컨버터기판(61)이 안치되면 컨버터기판(61)은 컨버터수용홈(73) 내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면서 공간이 형성되고, 컨버터기판(61)은 컨버터수용홈(73) 내면과 같은 형상이거나 장방형으로 구성하여 컨버터수용홈(73) 내면과 비슷한 넓이로 구성하는 것이 컨버터수용홈(73) 내면의 활용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컨버터(60)는 컨버터수용홈(73) 내에서 별도의 나사에 의하여 컨버터결합돌부에 나사 결합되어 컨버터수용홈(73)에 고정된다.
상기 공기유통공(74)은 컨버터기판(61)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과열이 된 공기 즉, 체결커버(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과열 공기, 컨버터기판(61)과 컨버터수용홈(73) 내면 사이에 존재하는 과열 공기가 상승하여 컨버터수용홈(73) 내면과 천정 또는 벽체 사이의 공간을 유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버터수용홈(73) 내의 과열 공기는 공기유통공(74)을 통과하여 기류유출공(79)으로 유출되어 몸체(70)의 외부로 유출되고 몸체 외부의 저온 공기가 기류유출공(79)으로 유입되어 공기유통공(74)을 통하여 컨버터기판(61)과 컨버터수용홈(73) 내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어 컨버터기판(61)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확산커버(30)는 종횡단면이 "ㄷ'형으로 되고 베이스면과 같은 저면으로 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몸체(70)의 베이스(76)에 결합되고, 베이스(76)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76)에 결합된 엘이디기판(51)을 수용하여 엘이디모듈(50)을 보호한다.
상기 확산커버(30)는 베이스(76)에 결합되어 엘이디모듈(50)을 보호하고 빛을 확산하고, 빛의 확산이 용이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고, 가장자리에 저면에는 내면 방향으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체결후크가 구성된다.
즉, 상기 체결후크는 확산커버(30)의 가장자리 저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체결후크의 끝단의 걸고리가 내측으로 향하게 구성되어 확산커버(30)의 외면에 노출되지 아니하게 구성된다.
상기 확산커버(30)의 일측면에는 절취홈이 구성되어 엘이디모듈(50)과 컨버터(60)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게 한다.
상기 확산커버(30)의 일측면은 베이스(76)에서 체결커버(10)가 결합되는 직선 부분인 타측 부분에 결합되는 면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몸체(70)의 중앙부에 가까운 부분으로서 복수개의 베이스(76)가 만나는 부분에 대응되는 확산커버(30)의 면을 말한다.
상기 체결커버(10)는 컨버터수용홈(73)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종횡단면이 "ㄷ"형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측면이 컨버터수용홈(73)의 측면에 접촉되어 컨버터수용홈(73)에 결합되어 안치되어 컨버터수용홈(73)의 상부면을 밀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커버(10)가 인서트고정너트(20)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2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안치돌부(90)에 의하여 더 이상 컨버터수용홈(73)의 내부의 진입이 정지 즉, 체결커버(10)가 안치돌부(90)에 의하여 컨버터수용홈(73)의 내부로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체결후크가 베이스(76)의 후크홈 내부로 수직 삽입된 후 베이스(76)의 하부에서 체결후크의 걸고리가 원위치로 확장되어 베이스(76)의 저면을 잡게 되어 체결후크가 후크홈에 결합되어 확산커버(30)가 몸체(70)의 베이스(76)에 원터치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80)는 천정 또는 벽체에 이면에 일체형으로 나사 등으로 고정되면서 체결구(80)의 전면 즉,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되지 아니하는 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체결볼트(81)로서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1)를 체결하여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1)가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되게 한다.
상기 체결구(80)는 판형의 금속으로 구성되고 나사 등이 삽입되는 관통된 천정체결공(82)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성되어 천정체결공(82)을 통하여 나사 등으로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구(80)에는 천정 또는 벽체에 결합되는 면의 이면의 중앙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체결볼트(81)가 구성되고, 체결볼트(81)는 컨버터수용홈(73)의 내면 중앙에 돌출된 가이드돌부(75)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가이드돌부(75)에 노출되어 노출된 체결볼트(81)가 인서트고정너트(20)의 너트(23)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체결볼트(81)가 천정 또는 벽체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다른 볼트 또는 나사로서 체결구(80)를 천정 또는 벽체에 결합한 후 확산커버(30), 엘이디모듈(50), 격리판(40), 컨버터(60) 등을 사전에 몸체(70) 및 컨버터수용홈(73) 등에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볼트(81)와 인서트고정너트(20)의 결합하게 되면 몸체(70) 즉,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1)가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원 발명은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10)가 가이드돌부(75)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하여 체결커버(10)의 분리가 용이하고, 체결커버(10)가 인서트고정너트(20)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2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안치돌부(90)에 의하여 더 이상 컨버터수용홈(73)의 내부진입이 정지되고, 안치돌부(90)의 2단과 격리돌부(95)의 2단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2단에 격리판(40)이 안치되어 격리돌부(95) 측의 체결커버(10)가 가이드돌부(75)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할 때 격리판(40)까지 시소작용하고, 안치돌부(90) 측의 체결커버(10)는 3단에 의하여 시소작용이 되지 아니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10: 체결커버
20: 인서트고정너트 21: 너트몸체
22: 자석 23: 너트
30: 확산커버 40: 격리판
41: 격리공 50: 엘이디모듈
51: 엘이디기판 52: 엘이디
60: 컨버터 61: 컨버터기판
70: 몸체 72: 공기유출공
73: 컨버터수용홈 74: 공기유통공
75: 가이드돌부 76: 베이스
77: 체결구수용부 78: 베이스돌부
79: 기류유출공 80: 체결구
81: 체결볼트 82: 천정체결공
90: 안치돌부 91: 컨버터안치부
92: 격리판안치부 93: 커버멈춤부
95: 격리돌부

Claims (4)

  1. 건물의 천정 또는 벽체에 체결되고 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체결볼트가 구성된 체결구에 십자형의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되는 컨버터수용홈이 구성되는 몸체가 체결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고 컨버터수용홈 내에 포용되는 가이드돌부와;
    상기 가이드돌부에 관통되어 노출되는 체결볼트에 나사 결합되고 너트 및 자석이 인서트된 인서트고정너트와;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일측 내측면에 돌출구성되고, 체결커버가 컨버터수용홈 내에 더 이상 진입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안치돌부와;
    상기 컨버터수용홈의 상부면을 밀폐하고, 종횡단면이 "ㄷ"형상으로 구성되는 금속의 체결커버가 구성되어;
    상기 체결커버가 인서트고정너트의 자력에 의하여 인서트고정너트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안치돌부에 의하여 더 이상 컨버터수용홈 내부로의 진입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돌부의 맞은 편의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안치돌부보다 높이가 낮은 격리돌부가 구성되어;
    상기 격리돌부 측의 체결커버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면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안치돌부 측과 격리돌부 측이 시소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돌부는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서 격리돌부와 마주 보는 면이 3단으로 돌출 구성되고;
    상기 격리돌부는 컨버터수용홈의 내측면에서 안치돌부와 마주 보는 면이 2단으로 돌출 구성되어;
    상기 안치돌부의 2단과 격리돌부의 2단은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2단에 격리판이 안치되어 격리돌부 측의 체결커버가 가이드돌부를 중심으로 시소작용할 때 격리판까지 시소작용하고, 안치돌부 측의 체결커버는 3단에 의하여 시소작용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돌부의 1단과 격리돌부의 1단은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안치돌부의 1단과 격리돌부의 1단에 컨버터가 안치되어 컨버터의 반도체 소자 등이 컨버터기판과 격리판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KR1020130002782A 2013-01-10 2013-01-10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KR10124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82A KR101248153B1 (ko) 2013-01-10 2013-01-10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82A KR101248153B1 (ko) 2013-01-10 2013-01-10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153B1 true KR101248153B1 (ko) 2013-04-03

Family

ID=4844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782A KR101248153B1 (ko) 2013-01-10 2013-01-10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79Y1 (ko) * 2014-09-02 2015-04-13 주식회사 진성애드 자석착탈형 led등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717A (ja) * 1992-02-28 1993-09-21 Tokyo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KR200292769Y1 (ko) 2002-08-01 2002-10-25 이기종 천정등의 전등갓 결합구조
KR200446088Y1 (ko) 2007-06-22 2009-09-25 신영 방향전환이 가능한 조명기구
US20100110687A1 (en) 2008-10-30 2010-05-06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Led 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717A (ja) * 1992-02-28 1993-09-21 Tokyo Electric Co Ltd 照明器具
KR200292769Y1 (ko) 2002-08-01 2002-10-25 이기종 천정등의 전등갓 결합구조
KR200446088Y1 (ko) 2007-06-22 2009-09-25 신영 방향전환이 가능한 조명기구
US20100110687A1 (en) 2008-10-30 2010-05-06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Led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79Y1 (ko) * 2014-09-02 2015-04-13 주식회사 진성애드 자석착탈형 led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761B1 (ko)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고정너트에 의한 체결커버 체결구조
KR101248152B1 (ko)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체결구조
KR101284261B1 (ko) 다기능 발광다이오드 조명모듈
KR200453419Y1 (ko) 4각 엘이디 조명등의 사이드 프레임 연결용 코너 브라켓
KR101433270B1 (ko)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인서트 너트 원형체결커버
KR20160130697A (ko) 천장 고정형 등기구
KR101252763B1 (ko) 엘이디 등기구 천정 고정구조
KR101337524B1 (ko) 복수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의 고정구
US9163808B1 (en) Outdoor lighting fixture
KR20180110911A (ko) 엘이디 조명기구
PL219869B1 (pl) Lampa oświetleniowa LED
KR101248153B1 (ko)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체결커버 분리구조
KR101609316B1 (ko) 옥외용 led 램프
KR101355304B1 (ko) 엘이디램프 조명장치
WO2013094816A1 (ko) 엘이디(led) 형광등
KR101381398B1 (ko) 엘이디 등기구용 전선단자
JP2013069553A (ja) 照明器具
KR20130136019A (ko) 공기순환 냉각형 삼각방열기 엘이디 볼전구
KR101325090B1 (ko) 엘이디 모듈기판 일체형 전선단자
JP2017033726A (ja) 直管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200455629Y1 (ko) Led 램프
KR101569471B1 (ko) 엘이디 피엘 등기구의 엘이디모듈 안치구조
KR200480026Y1 (ko)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KR101280982B1 (ko) 공기순환 냉각형 엘이디 피엘 등기구
KR101352563B1 (ko) Led전구의 led모듈과 컨버터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