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510B1 - Noise reduc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Noise reduc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510B1
KR101246510B1 KR1020100050525A KR20100050525A KR101246510B1 KR 101246510 B1 KR101246510 B1 KR 101246510B1 KR 1020100050525 A KR1020100050525 A KR 1020100050525A KR 20100050525 A KR20100050525 A KR 20100050525A KR 101246510 B1 KR101246510 B1 KR 10124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ignal
coupled
movement path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30947A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현주
Priority to KR102010005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510B1/en
Publication of KR2011013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94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constructions for generation of phase shif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5Methods, e.g. algorithms;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소음 저감 장치가 개시된다. 소음 저감 장치는 방음벽, 신호방사장치, 수음장치 및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방음벽은 소음원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소음원의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방음면 및 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신호방사장치는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방음벽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수음장치는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방음벽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 중 상쇄신호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소음을 수집한다. 신호처리장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수음장치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쇄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신호방사장치에 제공한다. A noise reduction device is disclosed. The noise reduction device includes a sound barrier, a signal radiation device, a sound absorption devic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e sound barrie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includes a soundproof surface faci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an opposite back surface. The signal scavenger is located above the rear surface, and emits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amo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The sound absorbing device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rface, and collects the noises which are not extinguished by the cancel signal among the noises which proceeds beyond the soundproof wall.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generates an offset signal and compensates the offset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sound receiver to provide the signal radiation apparatus.

Description

소음 저감 장치{NOISE REDUCING APPARATUS}Noise reduction device {NOISE RE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ise redu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ise reduction device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또는 선로를 달리는 기차 등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주거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높이의 방음벽이 사용된다. 상기 방음벽을 도로나 선로 주변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차량이나 기차 등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동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소음이 주거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noise barri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used to prevent noise generated from a vehicle driving on a road, a train running on a track, and the like being transmitted to a residential area. The noise barrier is continuously installed around a road or track to passively block noise generated from a vehicle or a train so that the noise cannot be transmitted to a residential area.

하지만, 이러한 방음벽의 경우, 고주파 소음에 대해서는 양호한 효과를 나타내나 저주파 소음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ound barri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good for high frequency noise, but the effect is relatively low for low frequency noise.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is poi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ise reduction device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방음벽, 신호방사장치, 제1 수음장치 및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음벽은 소음원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소음원의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방음면 및 상기 방음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상기 신호방사장치는 상기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상기 방음벽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제1 수음장치는 상기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방음벽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 중 상기 상쇄신호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소음을 수집한다.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수음장치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기 상쇄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신호방사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상기 방음면과 상기 소음원의 이동 경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하여 상기 신호처리장치에 제공하는 제2 수음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barrier, a signal radiation device, a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e soundproof wal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includes a soundproof surface faci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a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soundproof surface. The signal scavenger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surface and radiates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amo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is located above the rear surface, and collects noises that are not extinguished by the cancellation signal among the noises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generates the cancellation signal, compensates the cancellation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ound receiver, and provides the cancellation signal. The noise reduc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ound absorption device located between the soundproof surface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collecting and provid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음벽은 베이스부 및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소음원의 이동 경로를 따른 소정의 폭을 갖고, 지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에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절곡부는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nsulation wall may include a base portion and a bent portion. The base por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may exten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ground. The bent portion may extend inclined from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to the base portion. The base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may be hing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제1 방음벽, 제2 방음벽, 연결부재, 고정부재, 신호방사장치, 제1 수음장치, 제2 수음장치 및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방음벽은 소음원의 이동 경로에 인접한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연장된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소음원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방음벽은 상기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점과 마주보는 제2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를 갖도록 연장된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동 경로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절곡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방사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제1 수음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한다. 상기 제2 수음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쇄신호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소음을 수집한다.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상기 제1 수음장치에 의해 수집된 상기 소음을 기초로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수음장치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기 상쇄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신호방사장치에 제공한다.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oundproof wall, a second soundproof wall, a connection member, a fixing member, a signal radiation device, a first sound absorption device, a second sound absorption devic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e first soundproof wall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extending to have a first height from a first point adjacent to a moving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f the moving path of the noise source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base portion. . The second soundproof wall is bent in a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from a second base portion extending to have the first height from the second point facing the first point with the movement path therebetween and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base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The connection member is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path and connects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facing each other. The fixing member is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pat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has a first surface facing the movement pa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signal radiator i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radiates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arts, and collects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collects noise that is not extinguished by the cancellation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generates the cancel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and compensates the cancel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방음벽, 제1 스피커, 제2 스피커, 제1 마이크로폰, 제2 마이크로폰 및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방음벽은 소음원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소음원의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방음면 및 상기 방음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방음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1 상쇄신호를 상기 이동 경로 방향으로 방사한다. 상기 제2 스피커는 상기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상기 방음벽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상기 제1 마이크로폰은 상기 방음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한다. 상기 제2 마이크로폰은 상기 제2 스피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방음벽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수집한다. 상기 신호처리장치는 제1 신호처리부 및 제2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1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기 제1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스피커에 제공한다. 상기 제2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2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기 제2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스피커에 제공한다.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barrier, a first speaker, a second speaker, a first microphone, a second microphon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e soundproof wal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includes a soundproof surface faci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a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soundproof surface. The first speaker is disposed above the soundproof surface and radiates a first cancellation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The second speaker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surface, and emits a second cancellation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amo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The first microphone is coupled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and collects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The second microphone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peaker and collects noise that travels over the sound barrier. The signal processor includes a first signal processor and a second signal processor. The first signal processor generates the first cancel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microphone, and provides the first cancel signal to the first speaker. The second signal processor generates the second cancel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microphone and provides the second cancel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상쇄신호에 의해 상쇄되지 않은 소음을 추가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쇄신호를 보상함으로써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주거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reduce noise transmitted from the noise source to the residence by additionally collecting the noise not canceled by the offset signal and compensating the offset signal based on the collected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배열 관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의 베이스부와 이에 결합되는 제2 수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신호방사장치 및 제1 수음장치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신호방사장치 및 제1 수음장치의 위치 관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ound barrier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ing device and the first sound receiving device shown in FIG.
FIG. 4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ing device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shown in FIG. 1, and FIG. 4B illustrate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ing device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shown in FIG. 4A. 4C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or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shown in FIG. 4A.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se part of the soundproof wall shown in FIG. 1 and a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coupled thereto.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8.
FIG. 10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radiating devic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8 and a first sound receiving device, and FIG. 10B is a signal radiating devic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8; 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1st sound receiver.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noise reduc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 제조용 지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jig for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배열 관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신호방사장치와 제1 수음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음벽의 베이스부와 이에 결합되는 제2 수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oundproof wal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signal radiation device and a third 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an example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1 receiver. 4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ing device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shown in FIG. 1, and FIG. 4B illustrate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ing device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shown in FIG. 4A. 4C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ignal radiator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shown in FIG. 4A.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base portion of the soundproof wall illustrated in FIG. 1 and a second sound absorbing apparatus coupled thereto,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소음 저감 장치는 방음벽(100), 신호방사장치(200), 제1 수음장치(300), 제2 수음장치(400) 및 신호처리장치(500)를 포함한다. 방음벽(100)은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주거지(APT)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음을 수동적으로 차단하고, 제1 및 제2 수음장치(300, 400)와 신호처리장치(200), 그리고 신호처리장치(500)는 소음을 능동적으로 소멸시킨다. 예를 들면, 신호처리장치(500)는 제1 및 제2 수음장치(300, 400)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방사장치(200)는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상쇄신호는 소음신호와 주파수 및 크기는 동일하나 위상이 반대인 신호이다. 따라서, 상쇄신호와 소음신호가 만나면 신호의 소멸 간섭이 일어나, 소음이 능동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noise reduction device includes a soundproof wall 100, a signal radiation device 200, a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a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500. The soundproof wall 100 passively blocks the noise so that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is not transmitted to the residential area APT, the first and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s 300 and 400,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200, and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actively dissipates the noise.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generates an offset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ound receivers 300 and 400, and the signal radiator 200 emits the offset signal. The cancel signal is a signal having the same frequency and magnitude as the noise signal, but of opposite phase. Therefore, when the cancel signal and the noise signal meets, the interference of the signal occurs, the noise is actively removed.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음벽(100)은 소음원(10)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방음벽(100)은 베이스부(110)와 절곡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와 절곡부(130) 각각은 소음원(10)의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방음면(110a, 130a) 및 방음면(110a, 130a)에 대향하는 배면(110b, 130b)을 구비한다. 1, 2, and 5, the soundproof wall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In detail, the soundproof wall 100 includes a base part 110 and a bent part 130. Each of the base part 110 and the bent part 130 has sound insulation surfaces 110a and 130a faci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nd rear surfaces 110b and 130b opposite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s 110a and 130a. .

베이스부(11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된 폭을 갖고,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다. 일례로, 베이스부(11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의 지지 프레임(111) 및 상기 다수의 지지 프레임(111)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의 방음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판(113)은 흡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지지 프레임(111) 사이에는 복수의 분할된 방음판(113)이 삽입될 수 도 있으나, 유지 및 관리의 측면에서 일체 불가분의 단일 방음판(113)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음벽(100)에 의해 도시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조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음판(113)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방음판(113)은 투명 아크릴,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unit 110 has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nd extends from the ground to the top by a predetermined height. For example, the base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insulation plates 113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1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11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 May be included. The soundproof plate 113 is preferably formed of a sound absorbing material. A plurality of divided sound insulation boards 113 may be inserted between adjacent support frames 111, but it is preferable that a single sound insulation board 113 which is integrally integral with each other is inserted in view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addition, the soundproof plate 113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city by being hindered by the soundproof wall 100 and to secure sunshine. For example, the sound insulation board 113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acrylic, glass, or the like.

절곡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110)에 경사지게 연장된다. 온도와 같은 주위 환경 또는 높이에 따라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전파되는 특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음의 전파 특성에 맞추어 상기 절곡부(130)가 상기 베이스부(110)에 대해 이루는 경사 각도(θ)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부(110)와 절곡부(130)는 힌지(hinge) 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110)와 절곡부(130)가 힌지 결합을 하는 경우, 절곡부(130)는 베이스부(11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절곡부(13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이루는 경사 각도(θ)를 조절할 수 있다. The bent portion 130 extends obliquely to the base portion 110 from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10.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r height such as tempera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bent portion 130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110 in accordance with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To this end,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bent portion 130 is preferably a hinge (hinge) coupling. When the base part 110 and the bent part 130 are hinged, the bent part 13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110, so that the bent part 130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110. The angle of inclination θ can be adjusted.

신호방사장치(200)는 방음벽(100)의 배면(110b, 130b) 상부에 위치하고,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방음벽(100)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즉, 신호방사장치(20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상쇄신호를 방사하는 것이 아니라 주거지(APT) 방향으로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The signal radiation device 20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s 110b and 130b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radiates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100 amo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 That is, the signal radiator 200 emits the offset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area (APT) rather than radiating the offset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제1 수음장치(300)는 방음벽(100)의 배면(110b, 130b) 상부에 위치하고, 방음벽(100)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 중 신호방사장치(200)에 의해 방사된 상쇄신호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소음을 수집한다.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located above the rear surfaces 110b and 130b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is not extinguished by the offset signal emitted by the signal radiation device 200 during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100. Collect the no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방사장치(200)는 절곡부(130)의 배면(130b)에 결합되고,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들(2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음장치(300)는 절곡부(130)의 배면(130b)에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20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에러 마이크로폰들(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에러 마이크로폰들(300)은 소음 중 다수의 스피커(200)에 의해 방사되는 상쇄신호에 의해 상쇄되지 않은 소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수집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signal radiation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130b of the bent portion 130, a plurality of speak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200 may be provided.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rror microphones 3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130b of the bent portion 130 and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peakers 200, respectively. . The error microphones 300 convert the noise not canceled by the cancel signal emitted by the plurality of speakers 200 into the electrical signal and collect the noi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방사장치(200)는 절곡부(130)의 배면(130b)에 결합되고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들(200)을 구비하고, 제1 수음장치(300)는 다수의 스피커들(200)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에러 마이크로폰들(3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음장치(300)는 다수의 스피커들(200) 전면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삼각대들(330) 및 삼각대들(330)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에러 마이크들(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에러 마이크(310)를 대응하는 스피커(200) 바로 상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쇄신호에 의해 상쇄되지 않은 소음을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A, the signal radiator 2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130b of the bent portion 130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nd the first sound receiver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rror microphones 310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speakers 20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B and 4C,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tripods 330 and tripods 330, respectively, which ar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200, respectively. May include multiple error microphones 310. As such, when each error microphone 310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corresponding speaker 200, noise that is not canceled by the cancellation signal can be accurately collected.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수음 장치(400)는 베이스부(110)의 방음면(110a)과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사이에 위치하고,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제2 수음 장치(400)는 고정 지지대(430) 및 다수의 감지 마이크로폰들(4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지지대(430)는 베이스부(110)의 방음면(110a)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고정 지지대(430)는 지면으로부터 약 1m 정도의 높이에 고정되도록 베이스부(110)의 방음면(110a)에 결합될 수 있다. 감지 마이크로폰들(410)은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바라보도록 고정 지지대(430)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감지 마이크로폰들(410)은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5,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is located between the soundproof surface 110a of the base 110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nd collects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do. In detail,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may include a fixed support 430 and a plurality of sensing microphones 430. The fixed supporter 430 may be coupled to the soundproof surface 110a of the base unit 110 and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For example, the fixing support 430 may be coupled to the soundproof surface 110a of the base 110 to be fixed at a height of about 1 m from the ground. The sensing microphones 410 are coupled to the fixed support 430 to face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For example, the sensing microphones 410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lin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가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능동적으로 소멸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ure 6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extinguish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우선, 방음벽(100)의 방음면(110a, 130a)에 결합된 제2 수음 장치(400)가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1차적으로 수집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신호 처리 장치(500)로 전송한다. First,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coupled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s 110a and 130a of the soundproof wall 100 first collects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converts the nois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processes the signal. Send to 500.

신호 처리 장치(500)는 전송 받은 소음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음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한 소음 신호에 대응하는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신호방사장치(200)에 제공한다.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extracts a nois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example,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can be detected by a human, from the received noise signal, and generates an offse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noise signal. To 200.

방음벽(100)의 배면(110b, 130b)에 결합된 신호방사장치(200)는 신호처리장치(500)에 의해 제공된 상쇄신호를 증폭하여 외부, 즉 주거지(APT) 방향으로 방사한다.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일부는 방음벽(100)에 의해 차단되나 일부는 방음벽(100)을 투과하거나 회절에 의하여 방음벽(100)을 넘어 진행한다. 이와 같이 방음벽(100)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이 신호방사장치(200)에 의해 방사되는 상쇄신호를 만나게 되면, 일부는 소멸하나 일부는 소멸하지 않고 상쇄신호와 보강 간섭하여 새로운 소음을 생성하거나 상쇄신호와 간섭함에도 불구하고 잔류하게 된다. The signal radiating device 2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110b and 130b of the soundproof wall 100 amplifies the offset signal provided b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500 and radiates it toward the outside, that is, the residential (APT) direction. Some of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is blocked by the soundproof wall 100, but some passes through the soundproof wall 100 or passes over the soundproof wall 100 by diffraction. In this way, when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100 meets the offset signal radiated by the signal radiation device 200, some of it disappears but some of it does not disappear but constructively interferes with the offset signal to generate new noise or cancel the signal. Remains in spite of interference with.

방음벽(100)의 배면(110b, 130b)에 결합된 제1 수음장치(300)는 소멸하지 않고 잔류하거나 새로 생성된 상기 소음을 수집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신호처리장치(500)로 전송한다. 제2 수음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소음신호를 기초로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있는 신호처리장치(500)는 제1 수음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소음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상쇄신호를 보상하고, 보상된 상쇄신호를 신호방사장치(200)에 제공한다. 신호방사장치(200)는 신호방사장치(500)로부터 제공받은 보상된 상쇄신호를 방사하게 되므로, 방음벽(100)을 넘어 주거지(APT)로 전달되는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110b and 130b of the soundproof wall 100 collects the remaining or newly generated noise without being extinguished, converts the nois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500. do.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generating an offset signal based on the noi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ound receiver 400 compensates for the offset signal using the noi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sound receiver 300, The compensated cancel signal is provided to the signal radiator 200. Since the signal radiator 200 radiates the compensated offset signal provided from the signal radiator 500, the signal radiator 200 may more efficiently remove the noise transmitted to the residential area APT beyond the soundproof wall 100.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신호방사장치의 위치 및 제2 수음장치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구별되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signal radiation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ound receiv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inly focuses on the configuration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소음 저감 장치는 방음벽(100), 신호방사장치(200), 제1 수음장치(300), 제2 수음장치(400) 및 신호처리장치(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noise reduction device includes a soundproof wall 100, a signal radiation device 200, a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a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500.

본 실시예에서, 방음벽(100)은 베이스부(110) 및 절곡부(130)를 포함하고, 절곡부(130)의 방음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을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oundproof wall 100 may include a base portion 110 and a bent portion 130, and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30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s shown in FIG. 7. .

신호방사장치(200)는 방음벽(100) 중 베이스부(1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신호방사장치(200)는 베이스부(1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스피커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200)은 베이스부(110)와 절곡부(130)의 경계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gnal radiation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of the soundproof wall 100. For example, the signal radiato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eakers 2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peakers 200 are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base 110 and the bent 130.

제2 수음 장치(400)는 베이스부(110)와 절곡부(130)의 경계 부근의 방음면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지지봉(430) 및 지지봉(43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감지 마이크로폰(41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 중 일부는 방음벽(100)의 방음면에 의해 반사되므로, 감지 마이크로폰(410)을 절곡부(130)의 곡률 중심에 위치시킨다면 소음원(10)으로 발생된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봉(430)은 감지 마이크로폰(410)을 절곡부(130) 방음면의 곡률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로 방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icrophones 430 and a plurality of sensing microphones respectively coupled to ends of the support rods 430 protruding from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portion 110 and the bent portion 130. 410 may be included. Since some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is reflected by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if the sensing microphone 4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bend 130,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may be better. It can be detected efficiently. Accordingly, each of the supporting rods 430 preferably protrudes from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to the extent that the sensing microphone 410 can be located at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bend 130 sound insulation surface.

실시예 3Example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신호방사장치 및 제1 수음장치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신호방사장치 및 제1 수음장치의 위치 관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shown in FIG. 8. FIG. 10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signal radiating devic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8 and a first sound receiving device, and FIG. 10B is a signal radiating devic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hown in FIG. 8; It is a top view for demon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1st sound receiver.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제1 방음벽(1100), 제2 방음벽(1200), 연결부재(1300), 고정부재(1400), 신호방사장치(200), 제1 수음장치(300), 제2 수음장치(400) 및 신호처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8 and 9,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oundproof wall 1100, a second soundproof wall 1200, a connection member 1300, a fixing member 1400, and a signal radiation device. 200, a first receiver 300, a second receiver 400, and a signal processor (not shown).

제1 방음벽(1100)은 제1 베이스부(1110) 및 제1 절곡부(1130)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부(111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에 인접한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도록 연장된다. 제1 베이스부(1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베이스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절곡부(1130)는 제1 베이스부(1110)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절곡된다. 제1 절곡부(1130)의 단부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절곡부(113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와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first soundproof wall 1100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1110 and a first bent portion 1130. The first base portion 1110 extends to have a first height from a first point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11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ase portion of the noise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bent part 1130 is bent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base part 1110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113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In contrast, the first bent part 1130 may not overlap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제2 방음벽(1200)은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제1 방음벽(1100)과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므로, 제2 방음벽(1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방음벽(1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Since the second soundproof wall 1200 has a symmetrical configuration with the first soundproof wall 1100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soundproof wall 120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oundproof wall 1100. Replace with description.

연결부재(1300)는 상기 이동 경로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절곡부(1130)의 단부와 상기 제2 절곡부(1230)의 단부를 연결한다. 도 9에 도시된 연결부재(13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양측 단부가 제1 절곡부(1130) 및 제2 절곡부(1230)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연결봉들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부재(1300)는 단일 투명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1300 is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path and connects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1130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1230 facing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1300 shown in FIG. 9 i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both ends thereof are illustrated a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upled to the first bent portion 1130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230, respectively. 13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transparent plate.

고정부재(1400)는 연결부재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40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상부에서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된다. 고정부재(1400)는 소음원(10)의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제1 면(1400a)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면(1400b)을 구비한다. The fixing member 14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1400 extends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The fixing member 1400 has a first surface 1400a faci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nd a second surface 1400b opposite thereto.

신호방사장치(200)는 고정부재(1400)의 제1 면(1400a)에 결합되고,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방사한다. 신호방사장치(200)는 고정부재(1400)의 제1 면(1400a)에 결합되고, 고정부재(1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스피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스피커들(200)은 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signal radiator 200 i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1400a of the fixing member 1400 and radiates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noise source 10. . The signal radiator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eakers 200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1400a of the fixing member 1400 and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1400. The plurality of speakers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제1 수음장치(300)는 고정부재(1400)의 제1 면(1400a) 상부에 위치하고,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 중 신호방사장치(200)에 의해 방사된 상쇄신호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소음을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음장치(30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들(200)의 정면에 결합된 다수의 삼각대(330) 및 다수의 삼각대(330)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에러 마이크로폰(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수음장치(30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00)의 제1 면(1400a)에 직접 결합되고, 스피커들(200) 사이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에러 마이크로폰(3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rface 1400a of the fixing member 1400 and is not extinguished by the offset signal emitted by the signal radiating device 200 amo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Collect the nois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tripods 330 and a plurality of tripods 330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peakers 200 as shown in Figure 10a It may include multiple error microphones 310.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1400a of the fixing member 1400, as shown in FIG. 10B, between the speakers 20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error microphones 310 each disposed.

제2 수음장치(400)는 제1 방음벽(1100)의 제1 베이스부(1110) 및 제2 방음벽(1200)의 제2 베이스부(12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2 수음장치(400)는 제1 베이스부(1110)의 방음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감지 마이크로폰들(400) 및/또는 제2 베이스부(1210)의 방음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2 감지 마이크로폰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마이크로폰들(400)은 일방향 차선을 따라 이동하는 소음원(10)들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주로 수집하고, 제2 감지 마이크로폰들(400)은 반대방향 차선을 따라 이동하는 소음원(10)들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주로 수집하다.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ase part 1110 of the first soundproof wall 1100 and the second base part 1210 of the second soundproof wall 1200. For example,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is coupled to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first base portion 1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microphones 400 arranged in a line along a moving path of the noise source 10 and And / or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microphones 400 coupled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10 and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The first sensing microphones 400 mainly collect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s 10 moving along the one-way lane, and the second sensing microphones 400 move the noise sources 10 along the opposite lane. It mainly collects the noise from the system.

신호처리장치는 제2 수음장치(400)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제2 수음장치(400)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쇄신호를 보상하여 신호방사장치(200)에 제공한다.The signal processing device generates an offset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and compensates the offset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400.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가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능동적으로 소멸시키는 동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ope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dissipate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Since the same, specific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4Example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방음벽(100), 제1 신호방사장치, 제2 신호방사장치, 제1 수음장치(300), 제2 수음장치(400) 및 신호처리장치(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proof wall 100, a first signal radiation device, a second signal radiation device, a first sound absorption device 300, and a second sound absorption device 400. And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방음벽(100)은 소음원(10)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방음벽(100)은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의 방음벽(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oundproof wall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The soundproof wall 100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oundproof wall 100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5. Since there 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신호방사장치(2200)는 방음벽(100)의 방음면 상부에 위치하고,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1 상쇄신호를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방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신호방사장치(2200)는 방음벽(100)의 베이스부(110)의 방음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1 스피커들(2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피커들(2200)은 베이스부(110)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신호방사장치(2200)는 방음벽(100)의 절곡부(130)의 방음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1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first signal radiator 2200 is positioned above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radiates a first cancellation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In detail, the first signal radiator 2200 is coupled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peakers 2200 arranged in a line along a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 May be included. The first speakers 2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unit 110. In contrast, the first signal radiator 2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speakers coupled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30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It may be.

제2 신호방사장치(2100)는 방음벽(100)의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 중 방음벽(100)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상쇄신호를 방사한다. 제2 신호방사장치(2100)는 방음벽(100)의 배면 상부에 위치하므로, 제2 상쇄신호를 주거지(APT) 방향으로 방사한다. 제2 신호방사장치(2100)는 방음벽(100)의 절곡부(130)의 배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2 스피커들(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신호방사장치(2100)는 방음벽(100)의 베이스부(1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제2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 signal radiating device 2100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radiates a second canceling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traveling over the soundproof wall 100 amo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Since the second signal radiator 2100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the second signal radiator 2100 radiates the second offset signal toward the residential APT direction. The second signal radiator 21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30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speakers 210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Can be. Alternatively, the second signal radiator 2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speaker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have.

제1 수음장치(300)는 방음벽(100)의 방음면에 결합되고,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한다. 예를 들면, 제1 수음장치(400)는 방음벽(100)의 베이스부(110)의 방음면에 결합되고, 제1 스피커들(2200) 하부에 배치되며, 소음원(1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감지 마이크로폰(4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coupled to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collects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For example,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400 is coupled to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10 of the soundproof wall 10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speakers 2200, and follows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e microphones 400 arranged in a line.

제2 수음장치(300)는 방음벽(100)의 배면 상부에 위치하고, 방음벽(100)을 넘어 진행하는 소음을 수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음장치(300)는 제2 스피커들(2100)의 정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삼각대(330) 및 다수의 삼각대(330) 각각에 결합된 다수의 에러 마이크로폰들(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수음장치(300)는 제2 스피커들(2100)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에러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and collects the noise that proceeds beyond the soundproof wall 1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300 is a plurality of tripod 330 and a plurality of error microphones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ipods 330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speakers 2100 It may include the (310).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iver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rror microphone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peakers 2100.

신호처리부(500)는 제1 수음장치(400)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제1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제1 스피커(2200)에 제공하는 제1 신호처리부(510) 및 제2 수음장치(300)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제2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스피커(2100)에 제공하는 제2 신호처리부(5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500 may generate a first cancellation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ound receiver 400, and provide the first signal processor 510 and the second sound receiver to the first speaker 2200. The second signal processor 530 may generate a second cancellation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300 and provide the second cancel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2100.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noise reduction device illustrated in FIG. 11.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가 소음원(10)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능동적으로 소멸시키는 동작을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operation of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dissipate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10 will be described.

우선 방음벽(100)의 베이스부(110)의 방음면에 결합된 제1 수음장치(400)가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소음신호를 신호처리장치(500)의 제1 신호처리부(510)로 전송한다. 제1 신호처리부(510)는 제1 수음장치(400)로부터 전송받은 소음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음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한 소음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신호방사장치(2200)에 제공한다. First,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400 coupled to the sound insulation surface of the base unit 110 of the soundproof wall 100 collects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converts the converted noise signal into a signal processing.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ignal processor 510 of the apparatus 500. The first signal processor 510 extracts a nois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example,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can be detected by a human, from among the noise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sound receiver 400, and then corresponds to the extracted noise signal. One cancel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first signal radiator 2200.

방음벽(100)의 방음면에 결합된 제1 신호방사장치(2200)는 제1 신호처리부(510)로부터 제공된 제1 상쇄신호를 증폭하여 소음원(10)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방사한다. 즉, 제1 신호방사장치(2200)에 의해 방사된 제1 상쇄신호를 이용하여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1차적으로 상쇄시킨다. The first signal radiating device 2200 coupled to the soundproof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amplifies the first cancell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510 and radiates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noise source 10. That is,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is primarily canceled by using the first cancellation signal radiated by the first signal radiator 2200.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 중 일부는 제1 상쇄신호에 의해 상쇄되고, 일부는 방음벽(100)에 의해 흡수 또는 차단되며, 일부는 방음벽(100)을 넘어 주거지(APT) 방향으로 진행한다. Some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is canceled by the first cancellation signal, some are absorbed or blocked by the soundproof wall 100, and some of the noises travel beyond the soundproof wall 100 in the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APT.

방음벽(100)의 배면에 배치된 제2 수음장치(300)는 소음원(10)으로부터 발생된 소음 중 방음벽(100)을 넘어 주거지(APT)로 방향으로 진행하는 소음을 수집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신호처리장치(500)의 제2 신호처리부(530)로 전송한다. 제2 신호처리부(530)는 제2 수음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소음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음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한 소음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 신호방사장치(2100)에 제공한다.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30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collects the noise traveling in the direction beyond the soundproof wall 100 toward the residential area APT amo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10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n,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ignal processor 530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500. The second signal processor 530 extracts a noise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for example, an audible frequency band that can be detected by a human, from among the noise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sound receiver 300, and then corresponds to the extracted noise signal. A second cancell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cond signal radiator 2100.

방음벽(100)의 배면에 결합된 제2 신호방사장치(2100)는 제2 신호처리부(530)로부터 제공된 제2 상쇄신호를 증폭하여 주거지(APT) 방향으로 방사한다. 제2 신호방사장치(2100)로부터 방사된 제2 상쇄신호에 의해 방음벽(100)을 넘어 주거지(APT) 방향으로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것이다. The second signal radiating device 21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oundproof wall 100 amplifies the second offset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530 and radiates it toward the residential area APT. The second canceling signal radiated from the second signal radiator 2100 cancels the noise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area APT beyond the soundproof wall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장치에 따르면, 방음벽을 넘어 주거지 방향으로 진행하는 소음을 상쇄신호를 상쇄시키므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ois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because the cancel signal cancels the noise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area beyond the soundproof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제거 장치에 따르면, 방음벽의 베이스부에 대하여 방음벽의 절곡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ois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angle formed by the bent portion of the soundproof wall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of the soundproof wall,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noise more efficient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 소음원 100 : 방음벽
200 : 신호방사장치 300 : 제1 수음장치
400 : 제2 수음장치 500 : 신호처리장치
10: noise source 100: soundproof wall
200: signal radiation device 300: first sound receiving device
400: second receiving apparatus 500: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laims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소음원의 이동 경로에 인접한 제1 지점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소음원의 이동 경로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를 포함하는 제1 방음벽;
상기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점과 마주보는 제2 지점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된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제2 방음벽;
상기 이동 경로 상부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절곡부의 단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이동 경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경로와 마주보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음원에 의해 발생된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신호를 방사하는 신호방사장치;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을 수집하는 제1 수음장치;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쇄신호에 의해 소멸되지 않은 소음을 수집하는 제2 수음장치; 및
상기 제1 수음장치에 의해 수집된 상기 소음을 기초로 상기 상쇄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수음장치에 의해 수집된 소음을 기초로 상기 상쇄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신호방사장치에 제공하는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소음저감장치.
A first soundproof wall including a first base port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first point adjacent to a moving path of the noise source and a first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of the moving path of the noise source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base portion;
A second base portion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second point facing the first point with the moving path therebetween, and a second bent portion bent in the moving path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base part. 2 soundproof walls;
A connection member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path and connecting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bent portion facing each other;
A fixing member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path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movement pa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 signal radiating device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radiating an offset signal for cancel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noise source;
A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arts and collecting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A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collecting noise that is not extinguished by the cancellation signal; 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generates the cancel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first sound receiver, and compensates the cancel signal based on the noise collected by the second receiver. Noise reduction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방사장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에 결합되고, 상기 신호처리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음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음장치는 상기 다수의 스피커 정면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삼각대 및 상기 다수의 삼각대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제1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shunt includes a plurality of speaker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icrophone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ortions and arranged along the movement path,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ripod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nd a plurality of first microphon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tripo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방사장치는 상기 신호처리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에 결합된 다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음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음장치는 상기 다수의 스피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제1 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2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ignal emission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speaker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first sound absorb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icrophone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ase portions and arranged along the movement path,
The second sound absorbing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peakers,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microphones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삭제delete
KR1020100050525A 2010-05-28 2010-05-28 Noise reducing apparatus KR101246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25A KR101246510B1 (en) 2010-05-28 2010-05-28 Noise re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25A KR101246510B1 (en) 2010-05-28 2010-05-28 Noise reduc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47A KR20110130947A (en) 2011-12-06
KR101246510B1 true KR101246510B1 (en) 2013-03-25

Family

ID=4549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525A KR101246510B1 (en) 2010-05-28 2010-05-28 Noise reduc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5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9543A (en) * 2018-06-21 2019-12-26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Sound-proof wall and method of installing microphone on sound-proof wall
KR102516610B1 (en) * 2022-01-03 2023-04-03 주식회사 그린 Sound Insulation Type Sound Insulation Board With Solar Power Generation And Angle Adjustment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68A (en) * 2005-03-10 2006-09-1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Apparatus for sound absorption in soundproof tunnel
KR100699327B1 (en) * 2006-10-30 2007-03-26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Sound noise barrier wall
KR20100031294A (en) * 2008-09-12 2010-03-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ctive soundproofing system and active soundproofing barrier using the system
KR20100031240A (en) * 2008-09-12 2010-03-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ctive soundproofing block, active soundproofing block system, and active soundproofing wal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68A (en) * 2005-03-10 2006-09-1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Apparatus for sound absorption in soundproof tunnel
KR100699327B1 (en) * 2006-10-30 2007-03-26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Sound noise barrier wall
KR20100031294A (en) * 2008-09-12 2010-03-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ctive soundproofing system and active soundproofing barrier using the system
KR20100031240A (en) * 2008-09-12 2010-03-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ctive soundproofing block, active soundproofing block system, and active soundproofing wal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47A (en)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910B1 (en) Radar apparatus for vehicle
WO2018192484A1 (en) Acoustic material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and acoustic radiation structure
US8757317B1 (en) Barrel-shaped multidirectional loudspeaker enclosure structure
KR101298487B1 (en) Direction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282276A (en) Noiseproof equipment for railway
WO2006134586A3 (en) Shielded communication transducer
KR101246510B1 (en) Noise reducing apparatus
JP3684286B2 (en) Sound barrier with active noise control device
JP5289579B2 (en) Aerial ultrasonic sensor
JP2012202958A (en) Noise source identification system
JP6379833B2 (en) Antenna device
JPWO2006103761A1 (en) Radar device
US8842868B1 (en) Structure for passive radiation sound box
JP2001172925A (en) Active sound insulation wall and active sound insulation unit
KR20130019958A (en)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US20140035785A1 (en) Antenna device
KR20120015122A (en) Noise reducing apparatus
KR100953211B1 (en) Noise reducing apparatus
KR101169155B1 (en) Apparatus of reducing diffracted sounds
KR101187108B1 (en) Speaker assemblies for controlling noise
JP3899044B2 (en) Noise barrier with active silencer system
KR10127037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noise
KR2013001990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adside noise
KR102461081B1 (en) Bracket for mounting image equipment or sound equip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image equipment or sound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107792B1 (en) Noise shield orga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