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584B1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5584B1 KR101245584B1 KR1020060066570A KR20060066570A KR101245584B1 KR 101245584 B1 KR101245584 B1 KR 101245584B1 KR 1020060066570 A KR1020060066570 A KR 1020060066570A KR 20060066570 A KR20060066570 A KR 20060066570A KR 101245584 B1 KR101245584 B1 KR 101245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case
- pressing parts
- main body
- par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어, 누름 조작되는 복수의 누름부들과; 상기 누름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들이 누름 조작시 연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동방지부와; 상기 누름부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입력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폴더부의 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누름부와 누름패드 및 탄성패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이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부 200: 폴더부
300: 케이스 또는 제1 케이스 400: 누름부
500: 연동방지부 600: 신호발생부
610: 회로기판 630: 스위치
650: 누름패드 670: 탄성패드
700: 표시부 800: 제한부재 또는 제2 케이스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러한 신호를 통해 전자 부품을 제어하게 하는 입력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력장치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장착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입력장치를 누르거나 터치하는 동작으로 입력장치를 통해 원하는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장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종래의 입력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도면에서는 단말기 본체가 본체부(10)와 폴더부(2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부(10)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된다.
폴더부(20)의 외면에는 화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21)와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을 외부에 노출시킨 채로 보호하도록 장착된 윈도우(23)가 구비된다. 또한, 입력장치의 일부인 키버튼(25)은 폴더부(20)의 외면에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입력장치는 본체부(10)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키버튼(25)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장치에서 발생 되는 신호는 제어부에 최종적으로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23)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입력장치의 조작을 통해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키버튼(25)은 윈도우(23)를 감싸고 있는 데코 또는 케이스(27)와 별도로 폴더부(20)의 외면에 장착된다. 그에 따라, 키버튼(25)과 케이스(27) 사이에는 이들을 구분하는 구획선(29)이 형성되는 등 폴더부(20)의 외관이 복잡해지게 된다. 또한 구획선(29)이 많아짐에 따라, 외관의 세련미가 저하된다.
나아가, 키버튼(25)은 독립된 부품으로서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기에 이의 관리 및 제조 또한 용이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입력장치가 설치되는 본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별도로 키버튼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입력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누름조작을 위한 구성이 집적되어 사용자의 조작의 편리성을 높이면서도 연동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본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어, 누름 조작되는 복수의 누름부들과; 상기 누름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들이 누름 조작시 연 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동방지부와; 상기 누름부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본체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인접하게 상기 외면에 장착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제2 케이스와 인접한 단부 측에 형성되어, 누름 조작되는 복수의 누름부들과; 상기 누름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들이 누름 조작시 연동되는 방지하는 연동방지부와;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와; 상기 누름부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그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시킴과 동시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와, 그에 장착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는 본체부(100)와 폴더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그것이다.
본체부(100)에는 단말기에 장착되는 각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이 내장된다. 또한, 배터리(미도시)가 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말기의 전자부품에 전기를 공급한다. 나아가, 본체부(100)에는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미도시) 등이 추가로 구비된다.
폴더부(200)의 외면에는 내장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윈도우(210)가 장착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일 수 있다.
입력장치는 폴더부(200)에 장착되어, 단말기 본체,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00)의 인쇄회로기판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특정 신호를 입력시킨다.
폴더부(200)의 외면에서 윈도우(21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케이스 또는 제1 케이스(300)는 폴더부(200)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도면에서는 윈도우(210)와 제1 케이스(300)를 별도로 구별되게 도시하였으나, 이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케이스(300)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을 위한 복수의 누름부(400)들이 형성된다. 연동방지부(500)는 누름부(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의 형태를 가진다. 그에 따라, 누름부(400)들 중 어느 하나를 누름 조작 시에 인접한 다른 누름부(400)가 연동 되어 눌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표시돌기(710)는 누름부(40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그러한 표시돌기(710)가 형성된 누름부(400)의 일 부분이 눌려짐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또는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제한부재 또는 제2 케이스(800)는 역시 폴더부(200)의 외면에 장착되고, 제1 케이스(3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상에서 일부만 설명한 입력장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폴더부의 요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누름부(400)의 아래 측에는 신호발생부(600)가 배치된다.
신호발생부(600)는 회로기판과(610)과, 회로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630)를 포함한다. 회로기판(610)은 본체부(100)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폴더부(200) 내에 장착된다. 스위치(630)는 누름부(400)들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누름부(400)에 의해 눌려져서 회로기판(610)에 일정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스위치(630)로는 돔 스위치(Dome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패드(670)는 누름부(400)들의 내면, 다시 말해서 스위치(630)를 마주하는 면에 장착된다. 탄성패드(670)는 통상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력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부(400)의 누름 조작에 따른 클릭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탄성패드(670)의 일 면에는 스위치(630)를 눌러주기 위하여 누름돌기(690)가 돌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누름패드(650)는 누름부(400)와 탄성패드(67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누름패드(65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누름부와 누름패드 및 탄성패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이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누름패드(650)의 누름부(400)와 마주하는 일 면에는 표시돌기(71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돌기(710)에 대응하여, 누름부(400)에는 표시홈(730)이 개구된다. 누름패드(650)가 누름부(400)와 결합되는 경우에, 표시돌기(710)는 표시홀(7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표시돌기(710)와 표시홀(730)은 표시부(700)를 구성하고, 표시부(700)는 누름부(400)들 각각이 눌려짐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또는 실행되는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돌기(710) 및 표시홈(730)을 형성하는 대신에, 누름부(400)에 표시돌기(710)에서 표시하려는 형태를 인쇄하여 표시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누름패드(650)는 탄성패드(670)와 이중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한부(900)는 제1 케이스(300)와 제2 케이스(800)의 인접하는 모서리들 사이에 형성된다. 제한부(900)를 이루는 걸림돌기(910)는 제1 케이스(300)에서 돌출하고, 돌기수용홈(930)은 제2 케이스(800)에 걸림돌기(91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걸림돌기(910)가 제2 케이스(800)에 형성되고, 돌기수용홈(930)이 제1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 구체적으로는 폴더부(200)의 외면에 장착된 제1 케이스(300)에 형성된 누름부(400)들 중 어느 한 부분을 누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돌기(710)에 의해 표시되는 기능을 인지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누름부(40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연동방지부(500)에 의해 사용자가 누르고자 하는 누름부(400)만이 눌려지고 다른 누름부(400)들은 연동되어 눌려지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복수의 누름부(400)들을 제1 케이스(300)의 일 측에 집적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집적에 따른 연동 및 오작동의 문제가 해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누름부(400)가 눌려짐에 따라 그의 하부에 배치된 누름패드(650)와 탄성패드(670)가 스위치(630)를 향하여 회전된다. 특히 탄성패드(670)에 형성되는 누름돌기(690)는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630)를 가압하게 된다. 그에 따라, 가압된 스위치(630)는 회로기판(610)과 상호 작용하여 특정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신호는 본체부(100)의 인쇄회로기판에 전달되고, 인쇄회로기판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전자부품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300)의 누름부(400)를 스위치(630)를 향하는 방향(R1)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제1 케이스(300)가 폴더부(200)에서 이탈되는 문 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부(200) 내의 다른 부품들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름부(400)에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스위치(630) 및 누름부(400)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하는 경우에는 그의 회전 방향, 즉 스위치(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R2)에 대해서 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회전 각도의 제한은 제한부(900)에 의하여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누름부(400)가 스위치(630)에서 멀어지는 방향(R2)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제1 케이스(300) 또는 누름부(400)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910)는 제2 케이스(800)에 형성된 돌기수용홈(930)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누름부(400)가 스위치(630)에서 지나치게 멀어지도록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다른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스위블형 등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 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케이스가 키버튼의 역할을 대신하게 됨에 따라 별도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단말기 본체에 그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그에 따라, 입력장치의 구비를 위한 부품수가 줄고 조립 공정 중 일부가 생략되며 조립시의 공차 발생의 일 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키버튼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 등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본체의 외관에 형성되는 절개 라인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본체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누름부들은 케이스의 일 측에 집적되어 사용자가 여러 누름부들을 한 눈에 인지하면서 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또는 여러 개를 연속적으로 선택함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인다. 또한, 집적된 누름부들이 연동방지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독립적을 조작될 수 있기에, 집적에 따른 오조작의 문제도 해소된다.
Claims (12)
- 본체의 외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본체로부터 점점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누름 조작되는 복수의 누름부들과;상기 누름부들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운동시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단부를 덮고, 상기 누름부들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정도가 상기 누름부들보다 작은 제한부재와;상기 누름부들 사이에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들이 누름 조작시 연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릿과;상기 누름부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및상기 누름부들 및 상기 신호발생부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시 오입력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름부들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릿은 상기 케이스의 일 단부 측에서부터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신호발생부는,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과;상기 누름부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시에 상기 회로기판에 신호를 입력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누름부들에 상응하는 내면 부분에 장착되는 누름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누름부들과 상기 누름패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표시부는,상기 신호의 내용을 나타내는 형태로 상기 누름패드에 돌출 형성되는 표시돌기와;상기 누름부들에 개구되어, 그를 통해 삽입된 상기 표시돌기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표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삭제
- 본체의 외면에 장착되는 제1 케이스와;상기 제1 케이스의 단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본체로부터 점점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누름 조작되는 복수의 누름부들과;상기 제1 케이스의 단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는 운동시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의 단부를 덮고, 상기 누름부들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정도가 상기 누름부들보다 작은 제2 케이스와;상기 누름부들 사이에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들이 누름 조작시 연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릿과;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와;상기 누름부들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및상기 누름부들 및 상기 신호발생부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들의 누름 조작시 오입력을 방지하도록 상기 누름부들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한부는,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하는 걸림돌기와;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단말기 본체와;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그의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시킴과 동시에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6570A KR101245584B1 (ko) | 2006-07-14 | 2006-07-14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6570A KR101245584B1 (ko) | 2006-07-14 | 2006-07-14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7037A KR20080007037A (ko) | 2008-01-17 |
KR101245584B1 true KR101245584B1 (ko) | 2013-03-20 |
Family
ID=3922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6570A KR101245584B1 (ko) | 2006-07-14 | 2006-07-14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558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9437A (ko) * | 2000-03-16 | 2000-08-05 | 곽철기 |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
KR200354164Y1 (ko) * | 2004-03-17 | 2004-06-29 | (주)하운 |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
KR20060028166A (ko) * | 2004-09-24 | 2006-03-29 | 주식회사 팬택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 |
KR20060043042A (ko) * | 2004-03-11 | 2006-05-15 | (주)지엔씨 | 버튼이 일체화된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
-
2006
- 2006-07-14 KR KR1020060066570A patent/KR1012455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9437A (ko) * | 2000-03-16 | 2000-08-05 | 곽철기 | 키패드 일체형 통신기기용 전면 커버 |
KR20060043042A (ko) * | 2004-03-11 | 2006-05-15 | (주)지엔씨 | 버튼이 일체화된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
KR200354164Y1 (ko) * | 2004-03-17 | 2004-06-29 | (주)하운 |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
KR20060028166A (ko) * | 2004-09-24 | 2006-03-29 | 주식회사 팬택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7037A (ko) | 200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04780A (en) | Virtual touch screen switch | |
US6968508B2 (en) | Rotating user interface | |
US6941618B2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7826806B2 (en) | Mobile terminal | |
JP2005236485A (ja) | 携帯電話機及びその製造方法 | |
US10599187B2 (en) | Electronic device | |
US20070030275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US717320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manual operation button | |
WO2006129768A1 (ja) | 積層型携帯端末 | |
KR101245584B1 (ko)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CN115104383A (zh) | 电子控制装置 | |
JP6874716B2 (ja) | 電子機器 | |
JP2007042431A (ja) | 操作ボタンの取り付け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2013255008A (ja) | 携帯電子機器 | |
US20110285630A1 (en) | Electronic apparatus | |
CN102403146B (zh) | 按键结构及具有该按键结构的电子装置 | |
JP2007221302A (ja) | 操作パネル、およびこの操作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 | |
CN101599374B (zh) | 具有面板式按键的电子装置 | |
KR100747860B1 (ko) | 엔코더 스위치와 택트 스위치를 갖는 다방향 키 어셈블리 | |
JP5252983B2 (ja) | 電子機器 | |
EP3619729B1 (en) | Keypad device with rocker button mechanism | |
KR100652674B1 (ko) | 키 연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 |
CN201210775Y (zh) | 具有面板式按键的电子装置 | |
JP2008153058A (ja) | スライド型電子部品の回転式操作構造 | |
JP4410437B2 (ja) | 電子機器の操作部及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