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765B1 -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765B1
KR101244765B1 KR1020110054713A KR20110054713A KR101244765B1 KR 101244765 B1 KR101244765 B1 KR 101244765B1 KR 1020110054713 A KR1020110054713 A KR 1020110054713A KR 20110054713 A KR20110054713 A KR 20110054713A KR 101244765 B1 KR101244765 B1 KR 10124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amount
payment
limit amount
purchase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797A (ko
Inventor
조명식
Original Assignee
비씨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카드(주) filed Critical 비씨카드(주)
Priority to KR102011005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76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3Solvenc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고객이 결제 수단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결제 수단을 통한 결제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 승인 요청에 기초하여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하며, 결제를 승인하고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구매 대금만큼 차감하며, 결제 승인에 대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한도관리장치가 결제를 취소하고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구매 대금만큼 증액하는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using limits}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제 수단의 사용처별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상거래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결제 수단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신용카드나 선불카드와 같이 현금을 대체할 수 있는 가벼운 결제 수단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신용카드나 선불카드는 성인 뿐만 아니라 학생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결제 기능뿐 아니라 학생증, 교통카드와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학생들의 경우 합리적인 소비 습관이 정착되지 않아 무분별하게 신용카드나 선불카드를 무분별하게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제 수단의 한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결제 수단의 한도를 사용처별로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한도관리장치가, 고객이 결제 수단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한 결제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결제를 승인하고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결제 승인에 대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증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는, 사용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자유 한도금액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면, 상기 구매 대금과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간의 차액을 상기 자유한도금액에서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도 관리 방법은,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과 상기 자유한도금액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 및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이내이고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 이내인 경우,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가맹점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결제 수단이 사용된 가맹점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이내이고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 이내이며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가맹점의 한도금액 이내인 경우,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은, 소정의 금액이 충전된 선불 카드이며,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충전된 금액에 대한 환불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환불 요청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차등적으로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고객이 결제 수단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한 결제 승인 요청 또는 결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 또는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차감한 후 상기 결제를 승인하며,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증액하고 상기 결제를 취소하는 한도차감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결제 수단의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설정하고, 이를 관리함으로써 고객의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한다.
또한, 선불 카드에서 소정 금액을 환불한 경우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차등적으로 차감함에 따라 사용처별 한도를 유연하게 관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도 관리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00)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도 관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단히 정의한다.
결제 수단은 사용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와 같은 후불 카드, 선불 카드, IC 카드, 모바일 카드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은 사용자에게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결제 수단을 통하여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할 수 있도록 카드사와 계약된 업체를 나타낸다.
총한도금액은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총 한도 금액을 의미한다. 신용 카드의 경우 신용 카드 사용 한도 금액이 총한도금액으로 지정되고, 선불 카드의 경우 충전된 금액이 총한도금액으로 지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충전된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도 사용이 가능한 일부 선불 카드의 경우 총한도금액이 충전된 금액을 초과할 수도 있다.
사용처별 한도금액은 고객이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따라 구분된 한도 금액이다. 일 예로, 사용처는 교육비, 식비, 엔터테인먼트(오락)비, 교통비등과 같이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따라 구분된다.
가맹점별 한도금액은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가맹점에 따라 구별된 한도 금액이다. 가맹점은 결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등록된 업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맹점별 한도 금액은 가맹점별로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금액을 제한한 것이다. 고객이 학원비를 결제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교육비 한도 금액이 충분하다고 하더라도 등록하고자 하는 학원에 대응하는 가맹점 한도 금액이 초과된 경우에는 결제가 불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도 관리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도 관리 장치(100)는 결제 수단의 사용처별 한도 금액을 관리하는 장치(100)로써 카드사서버에 의하여 운영될 수도 있고 카드사 서버와 독립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한도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정보확인부(120),한도차감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정보,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총한도금액정보,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 등은 하나의 결제 수단에 대한 것이 일반적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고객이 결제 수단별로 총한도금액정보,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를 생성하고, 고객이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정보,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는 바뀌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정보,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등이 상호 연계될 수 있다. 즉, 고객이 하나의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면, 다른 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정보,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등이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총한도금액정보는 결제 수단으로 결제할 수 있는 총한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결제 수단이 선불카드인 경우에는 선불카드에 충전된 금액이 총한도금액정보일 수 있다. 결제 수단이 선불카드와 신용카드의 기능을 모두 가지는 경우에는 선불카드에 충전된 금액과 신용카드의 사용한도의 합이 총한도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는 고객이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부된 한도 금액이다.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는 고객이 직접 지정하거나, 권한을 가진 사용자(예를 들면, 고객의 보호자)가 지정할 수 있다. 다만, 한도 관리 장치(100)는 시스템 복잡도와 고객 편의를 고려하여 사용처의 개수와 사용처의 종류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자유한도금액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자유한도금액은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나 상품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다. 자유한도금액은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나 상품이 속하는 사용처의 한도금액이 모두 소진되거나,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나 상품이 속하는 사용처가 규정되지 않은 경우에 차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확인부(120)는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 요청 또는 결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 승인 요청 또는 결제 취소 요청에 기초하여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한다.
한도차감부(130)는 정보확인부(120)에서 확인된 사용처와 구매 대금에 기초하여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차감(또는 증액)한다.
고객은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하거나, 결제의 취소를 요청하거나, 충전된 금액의 환불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정보 확인부(120) 및 한도차감부(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I.고객이 구매 대금의 결제 승인을 요청한 경우
정보확인부(120)는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한다.
정보확인부(120)는 카드사서버로부터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전달받거나, 결제 승인 요청 또는 결제 취소 요청을 분석하여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한다. 정보확인부(120)는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결제 수단이 사용된 가맹점을 확인하고 가맹점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처를 확인하거나,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상품을 확인하고 서비스 및 상품이 속하는 사용처를 확인한다.
한도차감부(130)는 정보확인부(120)에서 확인된 사용처와 구매 대금에 기초하여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차감한다. 만일,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이 구매 대금을 초과하는 경우 자유결제금액에서 초과분을 차감할 수 있다.
한도차감부(130)는 제 1 판단부(미도시), 제 2 판단부(미도시) 및 제 3 판단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판단부(미도시)는 구매 대금이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이 구매 대금을 초과하는 경우, 제 1 판단부(미도시)는 초과분(즉, 구매 대금과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간의 차액)이 자유결제금액을 초과하는지를 더 판단한다.
제 2 판단부(미도시)는 구매 대금이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제 3 판단부(미도시)는 구매 대금이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제 1 판단부(미도시), 제 2 판단부(미도시) 및 제 3 판단부(미도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 가맹점별 한도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하고, 구매 대금의 결제를 승인한다. 예를 들어, 구매 대금이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구매 대금이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구매 대금이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증 적어도 하나의 경우가 발생하면, 제어부(미도시)는 구매 대금의 결제 승인을 거절한다. 반면, 구매 대금이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이내이고, 구매 대금이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 이내이며, 구매 대금이 가맹점별 한도금액 이내이면, 제어부(미도시)는 구매 대금의 결제를 승인한다.
II. 고객이 결제 취소를 요청한 경우
정보확인부(120)는 결제 취소 요청으로부터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한다. 정보확인부(120)는 승인된 결제 내역을 저장할 수 있으며, 결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된 결제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한다.
한도차감부(130)는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 가맹점별 한도금액에서 각각 구매 대금을 증액한다. 결제를 승인하는 과정에서 한도차감부(130)가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과 자유한도금액 모두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하였다면, 한도차감부(130)는 차감된 금액만큼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과 자유한도금액을 증액할 수 있다.
III.고객이 충전된 금액에 대한 환불을 요청한 경우
정보확인부(120)는 환불 요청으로부터 환불 금액을 확인한다. 고객은 환불 금액을 차감할 사용처를 지정하거나 차감 비율을 지정할 수 있다.
한도차감부(130)는 환불 금액에 기초하여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차등적으로 감액한다. 고객이 사용처별 차감 비율을 지정한 경우, 한도차감부(130)는 고객이 지정한 비율에 따라 사용처별 한도금액과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차감한다. 그러나, 고객이 사용처별 차감비율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사용처별 한도금액과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차감한다. 일 예로, 한도차감부(130)는 금액이 충전될 때에 지정된 사용처별 한도금액의 비율에 따라 사용처별 한도금액과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차감한다. 만일, 특정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이 차감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자유한도금액을 우선 차감하고, 순차적으로 다른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차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한도차감부(130)는 환불을 요청하는 시점에서의 사용처별 한도금액의 비율에 따라 사용처별 한도금액과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차감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처별 사용 금액(즉, 사용처별 최초한도금액-사용처별 현재한도금액)에 반비례하여 차감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주 사용되는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적게 차감함으로써 효율적인 소비를 유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00)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200)는 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210)과 사용처별 한도금액(220,230,240,250,260)을 포함한다.
총한도금액(210)은 결제 수단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낸다. 결제 수단이 선불카드인 경우 총한도금액(210)은 고객이 충전한 금액일 수 있으며,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총한도금액(210)은 신용카 드한도 일 수 있다. 결제 수단이 선불카드인 경우 총한도금액(210)은 고객이 충전할 때마다 증액되며,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총한도금액(210)은 소정일(예를 들어, 매월 1일)에 소정의 금액으로 증액될 수 있다.
사용처별 한도금액(220,230,240,250,260)은 고객이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한도금액을 나타낸다. 고객은 사용처별 한도금액(220,230,240,250,260)의 비율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다만, 한도관리장치(100)는 시스템의 복잡도를 고려하여, 조정 횟수를 제한하거나(예를 들면, 1달에 1회) 사용처를 소정 개수 이내로 한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210)은 '100'만원으로 지정된다.
고객이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구매 대금을 결제할 경우 총한도금액(210)은 구매 대금만큼 차감된다. 다만, 결제 수단이 선불카드인 경우 고객이 새로운 금액을 충전하면 총한도금액(210)은 충전한 금액만큼 증액되며, 결제 수단이 신용 카드인 경우 소정일이 지나면 총한도금액(210)이 다시 '100'만원으로 복원된다.
고객은, 사용처를 교육비, 식비, 엔터테인먼트, 교통비, 자유한도로 구분하고, 교육비한도금액(220), 식비한도금액(230), 엔터테인먼트한도금액(240), 교통비한도금액(250), 자유한도금액(260)간의 비율을 4:1:1:1:3으로 지정하였다. 고객은 각각의 사용처에 속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지정할 수도 있으나, 카드사 서버 또는 한도 관리 장치(100)에서 지정할 수 있다.
고객이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구매 대금을 결제할 경우,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가 속하는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에서 구매 대금이 차감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고객은 사용처를 교육비, 식비, 엔터테인먼트, 교통비, 자유한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선불 카드에 100만원을 충전하였으며, 교육비 한도금액으로 '40만원', 식비 한도금액으로 '10만원', 엔터테인먼트 한도금액으로 '10만원', 교통비 한도금액으로 '10만원', 자유한도금액으로 '30만원'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고객은 서점에서 '10만원'어치의 책을 구매하고,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요청하였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사용처가 교육비에 속하고, 구매 대금이 '10만원'임을 확인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 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갱신된 데이터베이스(302)에서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금액이 '30'만원으로 조정되었다.
다음으로, 고객은 '50만원'짜리 강의를 신청하고,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요청하였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사용처가 교육비에 속하고, 구매 대금이 '50만원'임을 확인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 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한다. 또한, 구매 대금이 교육비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므로, 한도관리장치(100)는 초과분을 자유한도금액에서 차감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갱신된 데이터베이스(303)에서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금액이 '0원'으로 조정되고, 자유한도금액이 '10만원'으로 각각 조정되었다.
다음으로, 고객은 '1만원'짜리 영화 티켓을 구매하고,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요청하였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사용처가 엔터테인먼트에 속하고, 구매 대금이 '1만원'임을 확인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한도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갱신된 데이터베이스(304)에서는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한도금액이 '9'만원으로 조정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고객은 사용처를 교육비, 식비, 엔터테인먼트, 교통비, 자유한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선불 카드에 100만원을 충전하였으며, 교육비 한도금액으로 '40만원', 식비 한도금액으로 '10만원', 엔터테인먼트 한도금액으로 '10만원', 교통비 한도금액으로 '10만원', 자유한도금액으로 '30만원'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고객은 서점에서 '10만원'어치의 책을 구매하고,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를 요청하였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승인 요청으로부터 사용처가 교육비에 속하고, 구매 대금이 '10만원'임을 확인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 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갱신된 데이터베이스(402)에서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금액이 '30'만원으로 조정되었다.
다음으로, 고객은 책 구매에 대한 취소를 요청하였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취소 요청으로부터 사용처가 교육비에 속하며 구매 대금이 '10만원'인 결제를 취소하여야 함을 확인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증액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따라서, 갱신된 데이터베이스(403)에서는 교육비에 대한 한도금액이 '40만원'으로 조정되었다.
다음으로, 고객은 충전된 금액중에서 50만원에 대한 환불을 요청하였다. 한도관리장치(100)는 환불요청으로부터 환불 요청 금액과 사용처별 환불금액의 비율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비례하여 사용처별 환불금액의 비율을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베이스(403)를 참고하면, 교육비 한도금액, 식비 한도금액, 엔터테인먼트 한도금액, 교통비 한도금액, 자유한도금액간의 비가 4:1:1:1:3이므로, 환불금액의 비율도 동일하게 결정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교육비 한도금액에서 20만원을, 식비 한도금액에서 5만원을, 엔터테인먼트 한도금액에서 5만원을, 교통비 한도금액에서 5만원을, 자유한도금액에서 15만원을 각각 차감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도 관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카드사서버에서 한도관리가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결제 승인 및 취소와 한도 관리가 동일한 서버에서 수행된다.
단계 s510에서, 결제 수단에 대한 사용처별 한도 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 또는 가맹점별 한도금액이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결제 수단은 선불 카드일 수 있으며, 고객은 선불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설정하거나, 충전한 후에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조정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수단을 통하여 결제 승인 요청을 수신한다. 고객은 오프라인상에서 결제 수단을 가맹점단말기에 접촉함으로써 결제 승인 요청을 전송하거나, 온라인상에서 결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결제 승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승인요청으로부터 사용처 및 구매 대금을 확인한다.
단계 s540에서, 한도관리장치(100)는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차감하고, 결제를 승인한다. 한도관리장치(100)는 구매 대금이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유한도금액에서 초과금을 차감할 수 있다. 구매 대금이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과 자유한도금액을 합한 것보다 클 경우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매 대금이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과 자유한도금액을 합한 것 보다 작거나 같다고 하더라도,결제 수단에 대한 총한도금액 또는 가맹점별 한도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한도관리장치(100)는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결제 승인에 대한 취소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s560에서, 한도관리장치(100)는 취소 요청에 기초하여 취소하고자 하는 상품 및 서비스가 속하는 사용처 및 구매 대금(즉, 취소 대금)을 확인하고,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에서 구매 대금을 증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한도관리장치가, 고객이 결제 수단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한 결제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결제를 승인하고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결제 승인에 대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증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처별 한도금액정보는, 사용처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자유 한도금액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면, 상기 구매 대금과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간의 차액을 상기 자유한도금액에서 차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 관리 방법은,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과 상기 자유한도금액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 및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이내이고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 이내인 경우,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결제승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의 가맹점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차감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결제 수단이 사용된 가맹점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승인단계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이내이고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 이내이며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가맹점의 한도금액 이내인 경우,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소정의 금액이 충전된 선불 카드이며,
    상기 한도관리장치가, 상기 충전된 금액에 대한 환불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환불 요청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별 한도금액을 차등적으로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방법.
  7. 고객이 결제 수단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 사용처별 한도금액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결제 수단을 통한 결제 승인 요청 또는 결제 취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 또는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이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사용처와 구매 대금을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결제 승인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차감한 후 상기 결제를 승인하며,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 금액을 상기 구매 대금만큼 증액하고 상기 결제를 취소하는 한도차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나타내는 자유한도금액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한도차감부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를 초과하면, 상기 구매 대금과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간의 차액을 상기 자유한도금액에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장치.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도차감부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과 상기 자유한도금액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결제 승인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결제 수단의 총한도금액에 관한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한도차감부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및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이내이고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 이내인 경우,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가맹점별 한도금액정보가 더 더 저장되고,
    상기 한도차감부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가맹점의 한도금액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사용처에 대한 한도금액 이내이고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총한도금액 이내이며 상기 구매 대금이 상기 가맹점의 한도금액 이내인 경우, 상기 결제를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은, 소정의 금액이 충전된 선불 카드이며,
    상기 한도차감부는, 상기 충전된 금액에 대한 환불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환불 요청된 금액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처별 한도를 차등적으로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도 관리 장치.
KR1020110054713A 2011-06-07 2011-06-07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24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13A KR101244765B1 (ko) 2011-06-07 2011-06-07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13A KR101244765B1 (ko) 2011-06-07 2011-06-07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97A KR20120135797A (ko) 2012-12-17
KR101244765B1 true KR101244765B1 (ko) 2013-03-19

Family

ID=4790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13A KR101244765B1 (ko) 2011-06-07 2011-06-07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822B1 (ko) * 2013-08-07 2015-01-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결제 정보 관리 서버 및 이에 의한 결제 정보 관리 방법
KR101682888B1 (ko) * 2014-07-30 2016-12-21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모바일 선불카드를 이용한 후불 청구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선불카드사 서버, 후불카드사 서버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091A (ko) * 2002-12-31 2004-07-07 김무진 안전한 상거래를 위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050095266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테고리별 결제한도 설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정보저장매체 및 기록매체
KR100836007B1 (ko) 2006-11-27 2008-06-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승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091A (ko) * 2002-12-31 2004-07-07 김무진 안전한 상거래를 위한 신용카드 결제 방법
KR20050095266A (ko) * 2004-03-25 2005-09-2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테고리별 결제한도 설정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정보저장매체 및 기록매체
KR100836007B1 (ko) 2006-11-27 2008-06-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승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97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597B1 (ko) 가맹점으로의 결제 대금 지급 보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카드 업무 프로세싱 서버
CN108305169B (zh) 预付卡交易数据保存方法及装置
US20140188643A1 (en) Transaction cost recovery for funds transfer
US11055686B2 (en) S/M for providing, reloading, and redeeming stored value cards used in transit applications
US20190108546A1 (en) Providing targeted communications based on travel related data
US20150235208A1 (en) Proof-of-verification network
KR101229329B1 (ko) 가맹점 간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KR101244765B1 (ko) 한도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572860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851325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20160033089A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JP202104375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3125308A (ja) 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決済処理方法
US20140188705A1 (en) Surcharge adverse sensitivity calculator
KR101473593B1 (ko) 전자적지불결제수단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52259B1 (ko)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적립금 지급 방법
KR101986219B1 (ko) 포인트 관리 방법
KR102079151B1 (ko) 카드사 소유 계좌를 이용한 카드 매출대금 지급 방법 및 서버
KR101697850B1 (ko)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소액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US9262756B2 (en) Point-of-sale (“POS”) controller
KR102197232B1 (ko)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KR102197233B1 (ko)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CN112884483A (zh) 一种担保方法、装置及设备
KR101882420B1 (ko) 승인요청메시지를 이용한 직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