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748B1 -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748B1
KR101244748B1 KR1020110087080A KR20110087080A KR101244748B1 KR 101244748 B1 KR101244748 B1 KR 101244748B1 KR 1020110087080 A KR1020110087080 A KR 1020110087080A KR 20110087080 A KR20110087080 A KR 20110087080A KR 101244748 B1 KR101244748 B1 KR 10124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power
subchannel
field communic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957A (ko
Inventor
이기송
윤창배
이정만
윤우열
조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8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74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266
    • H04B5/48
    • H04B5/70

Abstract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자기장 통신을 통해 수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의 파워(power)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서브채널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MAgnetic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capac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장 통신에서 대용량 정보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가스관, 전기관, 수도관 등의 많은 매립물들이 지중에 매설된다. 이러한 지중 매립물은 정확한 위치 파악이 쉽지 않아 새로운 건축물 건설 및 보수 공사 등을 수행할 때 지중 매립물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지중 매립물은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구조물로 지중 매립물의 손상은 금전적, 시간적 손해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큰 피해를 준다. 그러므로 지중 매립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모니터링 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지중 매립물 관리를 위해서는 매립물과 함께 매립물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는 지중 센서를 매립한다. 이 지중 센서는 통신을 통해 지중 매립물의 위치 정보를 지상의 리더기에 알려주어 지중 매립물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지중 매립물 뿐만 아니라 미화와 편의성을 위하여 곳곳에 센서를 매립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구현을 위해 건물벽 내부에 센서를 매립하는 경우나 능동 소음 제어를 위하여 창틀에 음향 센서를 매립하는 경우에는 센서 간에 대용량 정보 전송 지원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전자파 통신은 매질에 따라 전파 특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땅이나 건물에 매립된 센서와의 통신이 어렵다.
따라서, 자기장 통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종래의 자기장 통신에서는 대용량의 정보 전송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 kbps 정도의 통신 용량만 지원이 되면 충분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대용량 정보 전송의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자기장 통신의 통신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자기장 통신에서 송신시스템의 파워 제어를 통해 통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자기장 통신을 통해 수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의 파워(power)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서브채널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브채널들 중 제1서브채널의 서브채널 주파수와 상기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상기 서브채널들 중 제2서브채널의 서브채널 주파수와 상기 공진 주파수의 차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서브채널에 상기 제2서브채널보다 많은 파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해 상기 서브채널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1
여기서 i는 서브채널 인덱스를 나타내며,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2
는 라그랑지안 제곱수(Lagrange Multiplier)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브채널들 중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중심채널에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자기장 통신을 통해 수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의 파워(power)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서브채널들 중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중심채널에 다른 채널에 비해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나머지 서브채널 각각에는 상기 중심채널과의 주파수 차이에 반비례하도록 파워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은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통신을 수행할 주파수 또는 상기 주파수에 대응되는 서브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확인된 상기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 또는 상기 주파수에 대응되는 서브채널과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중심채널과의 채널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상기 서브채널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은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복수의 서브채널들 중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중심채널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 및 나머지 서브채널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채널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채널에 상기 서브채널들 중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서브채널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서브채널 각각에 상기 중심채널과의 주파수 차이에 반비례하도록 파워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간단하게 송신시스템의 파워를 컨트롤함으로써 전체 자기장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소정의 매질에 매립되어 있는 센서를 이용한 대용량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홈 네트워크 구현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방법을 위한 자기장 통신의 채널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을 위한 채널의 인버스 SNR(Inverse SNR(Signal to Noise Ratio))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의 성능을 종래의 통신 방식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하, 자기장 통신 시스템, 1)은 송신시스템(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소정의 수신시스템(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신시스템(100) 및 상기 수신시스템(200) 각각의 자기장 통신에 필요한 구성들의 등가 회로도 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상기 송신시스템(100) 및 상기 수신시스템(200)은 구현되는 종류 또는 기능에 따라 소정의 안테나부, 메모리부,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하기 위한 충전부, 자기장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메보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의 송신시스템(100)은 컨트롤러(110) 및 송신회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시스템(200)은 수신회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회로(120)와 상기 수신회로(210)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간략히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회로(120)에 포함된 교류전원을 전원으로 하여 교류전류(iT(w))가 상기 송신회로(120)에 흐르면 송신코일(121)에 자기장이 생성되고, 생성된 자기장은 수신회로(210)에 포함된 수신코일(221)에 자기장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수신 코일(211)에도 전류(iR(w))가 흐르게 된다. 유도되는 자기장은 두 코일(121, 211)간의 상호 인덕턴스(M)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처럼 자기장의 상호 유도적인 특성에 의해 상기 송신회로(120)와 상기 수신회로(210)는 서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신회로(120) 및 상기 수신회로(210) 각각은 소정의 저항 및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여 임피던스 매칭(impedence matching)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송신회로(120)가 사용하는 주파수(w)는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통신 효율이 좋으며, 상기 공진 주파수(w0)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3
여기서, Lt, Ct는 각각 송신회로(120)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나타내고, Lr, Cr은 각각 수신회로(210)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공진 주파수(w0)를 중심으로 B라는 사이즈의 대역폭(bandwidth)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송신시스템(100)은 상기 B라는 대역폭을 n 개의 서브채널(subchannel)로 나누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서브채널별로 소정의 파워(power)를 할당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채널별로 할당될 파워는 상기 컨트롤러(110)에 의해 결정 및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서브채널별로 할당할 파워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트롤러(110)는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의 절대 값을 조절함으로써, 서브채널별로 할당할 파워를 제어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송신회로(120)의 파워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통신의 경우 통신 경로 사이에 있는 장애물이나 건물 등과 같은 매질이 바뀜에 따라 신호의 왜곡을 심하게 겪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자기장 통신의 경우 매질에 따라 신호의 특성이 바뀌지 않는 자기장의 특성에 의해 전자파 통신과는 다르게 비교적 일정한 채널 환경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방법을 위한 자기장 통신의 채널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송신시스템(100)과 수신시스템(200)의 거리가 7m이고, 노이즈가 -103dBm이며, 대역폭 B를 17개의 서브채널로 나눈 일 예를 나타낸다. 채널 넘버 0(이하, '중심채널')은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채널 양쪽으로 채널 넘버의 절대 값이 커질수록 공진 주파수에서 채널이 멀어짐을 나타낸다. 즉, 중심채널과의 채널 거리(예컨대, (채널넘버 - 중심채널)의 절대값)가 먼 서브채널은 공진 주파수와 차이가 큰 주파수에 상응하는 대역폭을 갖는 서브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자기장 통신에서 통신 채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에서 채널특성(즉, 채널 게인)이 가장 좋게 나타나며 공진 주파수에서 멀어질수록 양쪽으로 대칭적으로 채널 특성이 나빠진다. 또한, 송신시스템(100)과 수신시스템(200)의 거리(즉, 송신 코일(121)과 수신 코일(211)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채널특성의 절대값이 커진다.
즉, 채널 게인은 서브채널에 대응되는 주파수 w(예컨대, 서브채널의 중심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w0)가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4
와는 반비례하며,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5
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6
또한, 상기 채널 게인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거리에 비례하는 커플링 계수(coupling coefficient) k와는 비례하며,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7
여기서, Q는 퀄리티 팩터(quality factor)로써 대역폭 B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채널에는 채널 특성뿐만 아니라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노이즈(noise)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채널 게인을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8
이라 하고 대역폭내에 총 노이즈를 N이라고 하면 인버스 SNR(Inverse Signal to Noise Ratio, Inverse SNR)은
Figure 112011067557691-pat00009
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인버스 SNR은 채널 특성이 좋을수록 값이 작아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을 위한 채널의 인버스 SNR(Inverse SNR(Signal to Noise Ratio))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스 SNR은 채널 게인과 반비례한 값을 갖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신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서브채널별 파워 할당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1067557691-pat00010
여기서 x+는 max(0, x)를 의미하며, i는 서브채널 인덱스를 나타내며,
Figure 112011067557691-pat00011
는 라그랑지안 제곱수(Lagrange Multiplier)로 전체 파워(전력) 제한 조건이 만족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수학식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워터필링(water-filling) 방식으로 각각의 서브채널별 파워를 할당함을 알 수 있다. 워터필링 방식으로 파워를 할당하는 경우 통신 용량을 최대화 또는 증가시킬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결국,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i 서브채널에 Pi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스 SNR(
Figure 112011067557691-pat00012
)이 작을수록, 즉, 채널게인이 큰 서브채널일수록 더 많은 파워가 할당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파 통신에서는 채널특성(게인)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각 채널별로 파워를 얼마나 할당해야할 지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장 통신의 경우 채널특성을 쉽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채널특성에 따라 수학식 4와 같이 용이하게 서브채널별로 할당할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수학식 4에 정의된 방식으로 서브채널별 파워를 할당할 수 있다. 구현 예에 의하면, 반드시 수학식 4에 따라 서브채널별 파워를 할당하지 않아도,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서브채널 즉, 중심채널에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고, 나머지 서브채널 각각에는 나머지 가용 파워를 할당하는 것으로도 어느 정도의 통신용량의 증가가 있을 수 있음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은 중심채널에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고, 나머지 서브채널 각각에는 중심채널과의 주파수 차이가 클수록(또는 중심채널과의 채널 인덱스의 차이가 클수록) 더 적은 파워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러(110)는 서브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서브채널 주파수(예컨대, 서브채널의 중심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110)는 각각의 서브채널별로 할당할 파워를 미리 결정해둘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브채널별로 할당할 파워는 반드시 수학식 4를 따르지는 않더라도 중심채널에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고, 서브채널별로 중심채널과의 주파수 차이가 클수록 보다 적은 파워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학식 4에 의해 서브채널별 파워를 할당하는 경우,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1)이 얻을 수 있는 통신용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1067557691-pat0001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의 성능을 종래의 통신 방식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에 모든 서브채널별로 동일한 파워를 할당하는 방식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파워를 할당한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각의 송신코일(121)과 수신코일(211)은 10cm 길이의 반지름을 가지며 5번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노이즈 레벨은 토양 안에서의 평균 노이즈 레벨인 -103dBm을 가정하였다.
또한, 노이즈 레벨이 높은 경우도 가정하여 노이즈 레벨이 -83dBm일 때도 성능을 검증하였다. 중심 주파수는 6.78MHz로 하였으며 대역폭의 사이즈는 30kHz로 하였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전파연구소에서 할당한 자기장통신 주파수대역이다.
본 결과에서 사용한 성능 지표는 정규화 처리량 이득(normalized throughput gain)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신용량/모든 서브채널별로 동일한 파워를 할당했을 때의 용량의 비로 표현된다.
이에 따라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거리를 변화시켜가며 성능을 확인한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가 짧을 경우는 전체적인 채널 특성 값이 노이즈 레벨에 비해 너무 높아져서 전체적인 인버스 SNR값이 작아진다. 즉, 서브채널 별로 인버스 SNR값의 차이(variation)가 작아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통신용량과 종래방식의 용량이 큰 차이가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해 노이즈 레벨이 -103dBm인 경우에는 짧은 거리에서는 이득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반면, 거리가 멀어질수록 채널특성 값이 안 좋아지면서 노이즈 레벨과의 크기가 비슷해 지는 경우, 인버스 SNR 값 사이에도 서브채널별로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되고, 이에 따라 각 서브채널별로 할당되는 파워 양의 차이도 커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존 방안에 비해 이득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노이즈 레벨이 높은 환경에서 높은 환경에서 더 좋은 성능 이득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노이즈 레벨이 높은 환경일수록, 또는 송신시스템(100)과 수신시스템(200)의 거리가 먼 환경일수록 통신용량의 증가가 기존의 방식에 비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자기장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은,
    자기장 통신을 통해 수신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의 파워(power)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상응하는 서브채널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채널들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며,
    상기 서브채널들 중 제1서브채널의 서브채널 주파수와 상기 공진 주파수의 차이가 상기 서브채널들 중 제2서브채널의 서브채널 주파수와 상기 공진 주파수의 차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서브채널에 상기 제2서브채널보다 많은 파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해 상기 서브채널 각각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Figure 112012102795393-pat00014

    여기서 i는 서브채널 인덱스를 나타내며,
    Figure 112012102795393-pat00015
    는 라그랑지안 제곱수(Lagrange Multiplier)를 나타낸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브채널들 중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중심채널에 가장 많은 파워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자기장 통신 방법에 있어서,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통신을 수행할 주파수 또는 상기 주파수에 대응되는 서브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확인된 상기 주파수와 공진 주파수의 차이 또는 상기 주파수에 대응되는 서브채널과 상기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중심채널과의 채널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장 통신 시스템이 상기 서브채널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채널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채널에 할당할 파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방법.
    Figure 112012102795393-pat00022

    여기서 i는 서브채널 인덱스를 나타내며,
    Figure 112012102795393-pat00023
    는 라그랑지안 제곱수(Lagrange Multiplier)를 나타낸다.
  8. 삭제
  9. 삭제
KR1020110087080A 2011-08-30 2011-08-30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80A KR101244748B1 (ko) 2011-08-30 2011-08-30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80A KR101244748B1 (ko) 2011-08-30 2011-08-30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57A KR20130023957A (ko) 2013-03-08
KR101244748B1 true KR101244748B1 (ko) 2013-03-25

Family

ID=4817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080A KR101244748B1 (ko) 2011-08-30 2011-08-30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7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247A (ja) * 2000-08-23 2002-03-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磁場受信装置
KR20070035590A (ko) * 2004-07-30 2007-03-30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송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247A (ja) * 2000-08-23 2002-03-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磁場受信装置
KR20070035590A (ko) * 2004-07-30 2007-03-30 마쓰시다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컴패니 리미티드 무선 송신 장치 및 무선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957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Increasing the capacity of magnetic induction communications in RF-challenged environments
EP3288152A1 (en) Network-based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and wireless power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Tariq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leakage detection in underground pipelines: a survey paper
KR102329581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방법
EP3387526B1 (en) Environment-aware cross-layer communication protocol in underground oil reservoirs
CN110504726B (zh) 无线充电磁耦合装置的结构参数优化方法及装置
US20130334894A1 (en) Device for transfer of electrical signals and/or electrical energy
US11418235B2 (en) Variable ratio near field wireless device
KR101339691B1 (ko)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EP3342027A1 (en) Authentication to enable/disable guided surface wave receive equipment
KR101244748B1 (ko) 통신용량 증가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Salam et al. Underground wireless channel bandwidth and capacity
Silva et al. Strategic frequency adaptation for mid-range magnetic induction-based wireless underground sensor networks
KR101232806B1 (ko)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Menon et al. Efficient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underground relay coils
KR101192414B1 (ko) 자기장 통신을 위한 신호전송 방법, 송신코일장치, 수신코일 장치, 및 자기장 통신 시스템
KR101694521B1 (ko) 전파지문지도 생성 장치 및 방법
Agbinya Performance of magnetic inductio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induction factors
WO1997027645A1 (en)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communication system and antenna therefor
JP6842885B2 (ja) 無線給電装置、及び無線給電方法
KR20040100349A (ko) 매설 장치를 이용한 차량 정보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181752B1 (ko) 자기장 통신을 위한 리더기, 릴레이 센서, 매립센서 및 릴레이 센서를 이용한 자기장 통신 방법
Silva et al. Adaptive sub-MHz magnetic induction-based system for mid-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soil
KR101350356B1 (ko) 자기장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andu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layer coil based mi waveguid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