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212B1 - coupling work platform for the train - Google Patents
coupling work platform for the t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4212B1 KR101244212B1 KR1020110022194A KR20110022194A KR101244212B1 KR 101244212 B1 KR101244212 B1 KR 101244212B1 KR 1020110022194 A KR1020110022194 A KR 1020110022194A KR 20110022194 A KR20110022194 A KR 20110022194A KR 101244212 B1 KR101244212 B1 KR 1012442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vehicle
- pedestal
- center
- lower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정비를 위하여 차량을 상호 분리 및 조립 시 차량과 차량을 상호 연결해 주는 연결기를 지지하는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을 분리 및 조립 시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연결기와 상크가이드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하므로 연결기의 하중이 상크가이드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상크가이드 전체에 일정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크가이드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고, 상대 차량과 연결기의 높이를 수평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for support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vehicle and a vehicle to each other when the vehicle is separated and assembled for maintenance of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pedestal for a connector work when separating and assembling a railway vehicle. Is insert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shank guide to prevent the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shank guide by uniformly disper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nnector on the part of the shank guide,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ther vehicle and the connector horizontally. This allows the car to be removed and assembled quickly and saf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정비를 위하여 차량을 상호 분리 및 조립 시 차량과 차량을 상호 연결해 주는 연결기를 지지하는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을 분리 및 조립 시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연결기와 상크가이드 사이에 삽입하여 사용하므로 연결기의 하중이 상크가이드 일부에 집중되는 것을 상크가이드 전체에 일정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크가이드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하고, 상대 차량과 연결기의 높이를 수평으로 조절함으로써 차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for support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vehicle and a vehicle to each other when the vehicle is separated and assembled for maintenance of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pedestal for a connector work when separating and assembling a railway vehicle. Is insert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shank guide to prevent the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shank guide by uniformly disper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nnector on the part of the shank guide, an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ther vehicle and the connector horizontally. This allows the car to be removed and assembled quickly and safely.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차량과 차량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연결기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간에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간에 접촉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동력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각 차량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기장치는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각각의 연결기가 레일 상면으로부터 동일 높이에 구성되어 동 평면상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기장치(100)는 도 4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의 차량에 각각 고정되는 완충기(24)와, 각 차량을 일정거리로 유지시키는 연결기(21)와, 완충기(24)와 연결기(21) 사이를 결합하는 유니버셜조인트(23)로 구성된다.
한편, 장시간 차량 운행시 레일과 차륜과의 마찰에 의해 차륜이 마모됨에 따라 각 차량 간의 높이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정기적인 점검을 위해서 차량과 차량을 분리하여 점검하고 있는데, 철도차량의 정비를 위하여 차량과 차량 간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철도 차량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연결기장치(100)는 양측 차량에 차량 차체와 상호 결합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23) 중 일측 차량에서만 분리하고 타 측은 차량 측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분리된 측의 연결기(21)는 연결기 지지대가 없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연결기(21)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기(21)와 상크가이드(60) 사이에 각목 및 합판 등과 같은 삽입물을 삽입하여 차량 분리작업을 시행하고, 차량의 정비완료 후 차량의 조립시에는 일측의 차량 유니버셜조인트(23)에 연결기(21)를 삽입한 후 연결핀(22)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 작업공간에 들어가 손으로 연결기(21)를 들어서 연결기(21)와 차량의 유니버셜조인트(23) 간의 높이를 맞추면서 차량 간의 연결 작업을 시행해야 한다. In general, a railroad vehicle uses a coupling device as an auxiliary means for coupling the vehicle and the vehicle, which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leading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t all times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leading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t is used as a medium for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ed vehicle to each vehicle.
Such a connector device serves as a means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connector of each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s configur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and is coupled on the same plane, and the
On the other hand, as the wheels are worn out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rails and the wheels when driving the vehicle for a long tim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each vehicle is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sagging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 작업공간에 들어가 손으로 연결기를 들어서 차량의 연결기(21)와 유니버셜조인트(23)를 연결핀(22)으로 상호 결합하여 연결할 경우, 연결기(21)를 유니버셜조인트(23)에 삽입할 때 외부에서의 충격 및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연결기(21)와 상크가이드(60)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기(21)를 지지하고 있는 각목 및 합판 등이 이탈하게 되면, 연결기(21)의 하중이 상크가이드(60)의 일정부분에 집중되면서 상크가이드(21)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상우려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worker enters the lower work space of the vehicle and lifts the connector by hand,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기를 지지하면서 상크가이드의 일부분에 실리는 연결기 하중을 상크가이드 전체로 분산시키는 두 개의 받침대 및 두 개의 받침대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로 이루어진 차량 연결용 작업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을 분리 및 조립 시 연결기 받침대에 부착되어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차량과 연결기의 수평 높이를 확인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량 분리 및 조립 작업을 시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크가이드의 일부에 가해지는 연결기의 하중을 상크가이드 전체로 분산시킴으로써 상크가이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supporting the connector as a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can adjust the height between the two pedestal and the two pedestal to distribute the connector load carried on a portion of the shank guide as a whole of the guide guide By providing a work stand for connect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etachment and assembly of the vehicle quickly and accurately while checking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vehicle and the coupler by using the height adjuster attached to the coupler when the vehicle is separated and assembled. It is possible not only to greatly improve workability, but also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hank guide by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connector applied to a part of the shank guide to the whole shank guide. Shall b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면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면의 하측 중심부에는 하면돌출부가 형성되는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면의 중심부에는 중앙에 나사공이 구비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지지 받침대와, 상기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와 하부지지 받침대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는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의 하면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upper connector support bas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a screw in the center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urfac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oupled between the lower support pedestal and the upper connector support base and the lower support pedestal is formed with a ball,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bottom projection of the upper connector support base is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device is formed with a screw portion fastened to the screw hole of the support b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에는,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의 일측면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이탈방지 가이드와,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의 타측면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면 중심부에 핀삽입공이 관통형성된 L형강과, 상기 L형강의 수평면 중심부에 관통형성된 핀삽입공에 삽입되는 이탈방지용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pport pedestal, the anti-separation guide is fixed to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edestal, and the pin insertion hole penetrat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urface to b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edestal And a separation preventing pin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L-shaped steel.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분리 및 조립 시 연결기와 상크가이드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이용하여 종래에 연결기의 하중이 상크가이드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상크가이드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상크가이드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장시간 차량운행으로 인해 차량 바퀴가 마모되어 차량간 높이차가 발생할 경우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에 구성되어 있는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연결기 높이를 조절하여 차량간 연결기의 분리 및 조립 작업을 시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pair of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top guide when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railway vehicle, the load of the connector is conventionally It is possible to disperse the central part of the guide guide to concentrate the entire guide guide, and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guide guide, and the height of the rail vehicle coupler working bracket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vehicles due to the wear of the vehicle wheel due to long running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nnector by using the control device to perform the separation and assembly work between the connector between the vehicle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safety of the worker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work efficiency.
도 1은 종래 받침대 미 부착시 연결기 부착상태를 도시한 사진.
도 2은 본 발명의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차량연결기 하부에 부착을 도시한 사진.
도 4는 철도차량용 연결장치의 개요도 및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조립상태로 도시한 전체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를 분리상태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는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에 의해 분리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nector attached state when not attached to the conventional pedestal.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a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ttachment of the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under the vehi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and detailed view of the connection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Figure 5 is an overall assembly view showing a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in an assembl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ilway vehicle coupler is separated by a work stan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FIG.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5,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6 and 7.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2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 하부지지 받침대(50),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와 하부지지 받침대(50) 사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vehicle
상기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는 철도차량의 분리시 일측의 차량과 유니버셜조인트(23)로 결합되어 있는 연결기(21)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는 상면(31)의 양측 끝단부에 상면돌출부(32)가 형성되어 연결기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면(31)의 하측 중심부에는 하면돌출부(33)가 형성되어 높이조절장치(4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상기 높이조절장치(40)는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의 하측 중심부에 돌출된 하면돌출부(33)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면 중심부에 결합홈(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42)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수평면(51)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52)과 결합하여 연결기의 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는 상크가이드(60)와의 밀착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수평면(51)의 중심부에 나사공(52)이 형성되어 높이조절장치(40)와 결합하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지지 받침대(50)는 상크가이드(60)의 상부에 밀착되어 연결기의 하중을 상크가이드(60)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크가이드(60)에 밀착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를 상크가이드(60) 상부에 밀착시킬 때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일측면 양측에는 이탈방지 가이드(53)가 고정설치되며, 타측면 양측에는 L형강(54)이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L형강(54)의 수평면 중심에는 핀삽입공(5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삽입공(56)에는 이탈방지용 핀(55)이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와 이탈방지 가이드(53) 및 L형강(55)은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의 사용을 도 6과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use of the vehicle connector wor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200)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을 분리할 경우에는, 일측 차량의 연결기(21)와 상크가이드(60) 사이에 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200)를 삽입하여 하부지지 받침대(50)를 상크가이드(60) 상부에 위치시키고, 높이조절장치(40)를 이용하여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를 연결기(21)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밀착시켜 연결기(21)를 안전하게 지지한 다음, 타측의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기장치(100)에서 연결기(21)와 유니버셜조인트(23)를 상호 결합하고 있는 연결핀(22)을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성 및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the railway vehicle is separated using the railway vehicle
상기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의 상면(31)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상면돌출부(32)는 연결기(21)와의 결합 시 연결기(21)가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좌우로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의 하측 중심부에 형성된 하면돌출부(33)는 높이조절장치(40)의 상부면 중심부의 결합홈(41)과 결합하여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와 높이조절장치(40)와의 이탈을 방지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The
Then, the
상기 높이조절장치(40)의 나사부(42)는 일반적인 볼트와 같이 오른나사를 채용하게 되며, 오른쪽 방향으로 돌리면 상승하게 되어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는 연결기(21)에 밀착 지지하게 되며, 반대로 왼쪽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하강하게 되어 연결기(21)와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와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200)를 연결기(21)와 상크가이드(60) 사이에서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는 연결기(21)의 하중을 상크가이드(60)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크가이드(60) 상부에 밀착시키며,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중량을 고려하여 하부지지 받침대(50)의 형상은 사각형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크가이드(60) 상부에 놓여지는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일측면 양측에는 이탈방지 가이드(53)가 설치되고, 타측면 양측에는 L형강(54)이 설치되며, L형강(54)의 수평면 중심부에는 핀삽입공(56)이 형성되어 이탈방지용 핀(55)이 삽입되어 있다. The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한편, 차량 정비 후 차량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차량 정비를 위해 일측 차량에서 분리한 연결기(21)를 타측 차량에 체결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23)에 연결핀(22)으로 결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장시간 차량 운행 등으로 인한 레일과 차륜과의 마찰에 의해 차륜 마모가 발생하여 차량간의 높이차가 발생할 경우, 높이조절장치(40)로 연결기(21)의 높이를 조절하여 연결기(21)와 타측 차량에 결합되어 있는 유니버셜조인트(23)와의 높이를 수평으로 맞추어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interconnected after the vehicle maintenance, th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에 의하면, 연결기의 하중을 상크가이드 전체로 분산시켜 작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크가이드 및 연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 연결기 분리 및 결합 작업 시 연결기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능률향상 및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ailway vehicle coupler working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shank guide and the coupler by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coupler to the whole of the guide guide, and the coupler when disconnecting and coupling It is possible to work by keeping the horizontal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100 : 연결기장치 200 : 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
21 : 연결기 22 : 연결핀
23 : 유니버셜조인트 24 : 완충기
30 :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 40 : 높이조절장치
50 : 하부지지 받침대 60 : 상크가이드100: connector 200: vehicle connector work support
21: connector 22: connecting pin
23: universal joint 24: shock absorber
30: upper connector support base 40: height adjustment device
50: lower support base 60: upper guide
Claims (2)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면(51)의 중심부에는 중앙에 나사공(52)이 구비된 돌출부(57)가 형성되는 하부지지 받침대(50)와,
상기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와 하부지지 받침대(50)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는 상부 연결기 지지받침대(30)의 하면돌출부(33)가 삽입되는 결합홈(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의 나사공(52)에 체결되는 나사부(42)가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An upper connector support base 30 having upper surface protrusions 32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31 and a lower surface protrusion 33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upper surface 31;
A lower support pedestal 50 having a protruding portion 57 having a screw hole 52 at the center thereof in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surface 51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coupler support base 30 and the lower support pedestal 50,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groove 41 is inserted into the lower projection 33 of the upper connector support support 30 is formed There is a railway vehicle connector working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device 40 is formed with a screw portion 42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52 of the lower support pedestal (50).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의 일측면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이탈방지 가이드(53)와,
상기 하부지지 받침대(50)의 타측면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면 중심부에 핀삽입공(56)이 관통형성된 L형강(54)과,
상기 L형강(54)의 수평면 중심부에 관통형성된 핀삽입공(56)에 삽입되는 이탈방지용 핀(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연결기 작업용 받침대.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upport pedestal 50,
A separation prevention guide 53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edestal 50,
L-shaped steel 54 is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pport pedestal 50, the pin insertion hole 56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urface,
Pedestal for connecting the railway vehic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parture preventing pin (55)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56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L-shaped steel (5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2194A KR101244212B1 (en) | 2011-03-14 | 2011-03-14 | coupling work platform for the t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2194A KR101244212B1 (en) | 2011-03-14 | 2011-03-14 | coupling work platform for the trai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4661A KR20120104661A (en) | 2012-09-24 |
KR101244212B1 true KR101244212B1 (en) | 2013-03-25 |
Family
ID=4711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2194A KR101244212B1 (en) | 2011-03-14 | 2011-03-14 | coupling work platform for the t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421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8345B1 (en) * | 2013-11-07 | 2015-01-30 | 현대로템 주식회사 | Bogie of the active damper safely device and rail vehicle hav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33080A (en) * | 1994-11-11 | 1996-05-28 | East Japan Railway Co | Coupler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
KR100383562B1 (en) | 2000-11-08 | 2003-05-1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he hight control equipment for a train connector |
JP2005225408A (en) | 2004-02-16 | 2005-08-25 | East Japan Railway Co | Low noise connecting device for rolling stock |
-
2011
- 2011-03-14 KR KR1020110022194A patent/KR1012442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33080A (en) * | 1994-11-11 | 1996-05-28 | East Japan Railway Co | Coupler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
KR100383562B1 (en) | 2000-11-08 | 2003-05-12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he hight control equipment for a train connector |
JP2005225408A (en) | 2004-02-16 | 2005-08-25 | East Japan Railway Co | Low noise connecting device for rolling st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4661A (en) | 2012-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45137B2 (en) | Monorail vehicle | |
MX2014002911A (en) | Stabilized railway freight car truck. | |
CN205220689U (en) | Motor car bogie frame and motor car bogie | |
EP3807140A1 (en) | Train coupler arrangement with axial expansion module | |
US8763536B2 (en) | Truck lateral motion restricting device | |
KR101244212B1 (en) | coupling work platform for the train | |
CN207376376U (en) | Top locking type bilayer nonlinear vibration reduction fastener | |
CN206317819U (en) | A kind of rail examination vehicle carriage of Portable detachable | |
JP2010285071A (en) | Truck for railway vehicle | |
KR100924059B1 (en) | Support Device of universaljoint for Electric train | |
JP2005297682A (en) | Vehicle body connecting method and device | |
CN209835562U (en) | Trolley for tunnel construction | |
CN108890577B (en) | Hanger for emergency replacement of bogie axle box spring | |
CN106185708A (en) | High ferro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taken turns hoistable platform | |
KR101201846B1 (en) | lower part machinery fixing devide of Railway vehicle | |
US10315671B2 (en) | Restricting member and railcar including restricting member | |
CN218931610U (en) | Secondary lifter and four-column lifter for automobile maintenance using same | |
CN205801111U (en) | A kind of cab apron device for brake car | |
CN215332621U (en) | Special frame for overhauling three-way baffle | |
CN221138178U (en) | Transportation device for building heating and ventilation production | |
CN217260357U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semitrailer carriage and chassis frame | |
CN203267969U (en) | Special vehicle guard railing | |
CN219993602U (en) | Head car track maintenance platform of high-speed railway motor train unit | |
CN215829155U (en) | Gauge apron for heavy freight railway fastener | |
CN112009519B (en) | Suspension frame dismou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