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525B1 - 수저보관랙 - Google Patents
수저보관랙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3525B1 KR101243525B1 KR1020120078375A KR20120078375A KR101243525B1 KR 101243525 B1 KR101243525 B1 KR 101243525B1 KR 1020120078375 A KR1020120078375 A KR 1020120078375A KR 20120078375 A KR20120078375 A KR 20120078375A KR 101243525 B1 KR101243525 B1 KR 1012435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drainage
- storage rack
- cutlery
- side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보관랙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 구조로서 수저가 놓여지는 공간인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변에서 상기 바닥부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박스(box)형 구조물을 형성하며, 부분적인 이중벽체로 마련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최외곽을 형성하는 외측 벽체; 및 상기 외측 벽체와의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 벽체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외측 벽체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벽체와 함께 부분적인 이중벽체를 형성하는 내측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내측 벽체가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내측 벽체를 일부 절취하여 형성된 배수로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차폐판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로와 상기 차폐판부를 거쳐 이동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저보관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전처럼 젓가락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서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수저보관랙에 관한 것이다.
수저보관랙(storage rack for spoon and chopsticks)은 수저, 포크, 나이프 등을 식기세척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박스형의 플라스틱 바구니의 일종이다.
수저보관랙은 학교 혹은 회사 식당 등 수저, 포크, 나이프의 수요가 많은 곳에 주로 사용되며, 수저보관랙에 수저 등이 담긴 후에 식기세척기에 들어간 후에는 세척에서부터 건조까지 한번에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의 이용이 상용화됨에 따라 이러한 수저보관랙에 대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기는 하지만 현재까지는 단순히 수입 수저보관랙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입 수저보관랙은 바닥면에 배수를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처럼 젓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젓가락이 바닥면의 통공들을 통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게 되어 사용 중 식기세척기의 고장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왔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작은 통공이 형성된 두부판 등을 대체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두부판 등은 배수 및 이물질 제거에 커다란 한계가 있어,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수저를 세척 및 보관할 수 있는 수저보관랙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전처럼 젓가락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서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수저보관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판상 구조로서 수저가 놓여지는 공간인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변에서 상기 바닥부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박스(box)형 구조물을 형성하며, 부분적인 이중벽체로 마련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최외곽을 형성하는 외측 벽체; 및 상기 외측 벽체와의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 벽체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외측 벽체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벽체와 함께 부분적인 이중벽체를 형성하는 내측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내측 벽체가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내측 벽체를 일부 절취하여 형성된 배수로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차폐판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로와 상기 차폐판부를 거쳐 이동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수로는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로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상기 내측 벽체의 상단부와 상기 외측 벽체의 내측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 사이에는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저보관랙의 적층 시 상기 외측 벽부의 상단부가 맞닿는 다수의 격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다수의 소형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는 다수의 요철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배수 용이를 위해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 주변의 상기 측벽부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젓가락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서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C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저보관랙(100)은 바닥부(110)와, 부분적인 이중벽체로 마련되는 측벽부(120)를 포함하는 박스(box)형 구조물로서 다량의 수저 등을 담아 식기세척기에서 세척 및 건조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수저보관랙(100)을 통해 세척될 수 있는 세척 대상물은 숟가락, 젓가락을 비롯하여 포크, 나이프 등이나 이들 외의 주방용품 역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는 넓고 평평한 판상체로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수저보관랙(100)의 바닥부(110)는 통공이 없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부(110)에 숟가락, 포크, 나이프, 젓가락 등을 담아 둘 때, 특히 얇은 젓가락이 바닥부(110)를 통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부(110)의 배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11)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20)는 부분적인 이중벽체로 마련되어 바닥부(110)와 함께 박스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네 변에서 바닥부(110)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측벽부(120)는, 최외곽을 형성하는 외측 벽체(121)와, 외측 벽체(121)와의 이격공간(S, 도 4 및 도 6 참조)을 사이에 두고 외측 벽체(121)의 내측에서 외측 벽체(12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외측 벽체(121)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외측 벽체(121)와 함께 부분적인 이중벽체를 형성하는 내측 벽체(122)와, 내측 벽체(122)의 상단부와 외측 벽체(121)의 내측면 중앙 영역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1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저보관랙(100)을 배면에서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측벽부(120)의 하부 영역이 이중벽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실시예의 수저보관랙(100)은 다단으로 적층이 유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 사이에는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를 가로지르도록 다수의 격벽(128)이 형성된다.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128)은 경사부(123)에 이르기까지 상부로 계속 연장된다. 따라서 다수의 격벽(128) 사이의 공간은, 외측 벽체(121), 내측 벽체(122) 및 경사부(123)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동을 이룬다. 이러한 다수의 격벽(128)은 수저보관랙(100)을 다수개 적층할 때, 아래쪽 수저보관랙(100)의 외측 벽부(121)의 상단부가 맞닿는 장소를 이룬다. 따라서 다수의 격벽(128)은 도 6처럼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의 하단부보다 상측으로 함입된 위치에 배치된다.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의 각 코너 영역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외측 벽체(121)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풍공(121a)이 형성된다. 통풍공(121a)은 수저보관랙(100)의 적층 시 공기가 통과되어 수저 등이 보관 중에도 통풍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 벽체(121)의 하단부에는 수저보관랙(100)을 파지하는 손잡이홈(121b)이 형성된다. 손잡이홈(121b)은 외측 벽체(121)의 둘레변 모두, 즉 네 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벽체(122)와 바닥부(110)가 맞닿는 코너 영역에는 배수로(127)가 관통 형성된다. 배수로(127)는 내측 벽체(122)와 바닥부(110)가 맞닿는 코너 영역에서 내측 벽체(122) 일부를 절취함으로써 마치 터널처럼 형성될 수 있는데,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배수에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수저보관랙(100)의 각 코너 영역의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 사이의 이격공간(S)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판부(125)가 형성된다.
차폐판부(125)는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바닥부(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측 벽체(121)와 내측 벽체(122) 사이의 이격공간(S)을 통해서도 젓가락 등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폐판부(125)에는 수저,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의 세척 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공(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세서 배수공(126)은 배수로(127)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배수가 좀 더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수저보관랙(100)에 유입된 세척수는 세척 후 배수로(127)를 통해 빠져나가 차폐판(125)을 거친 후 배수공(126)을 통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다. 물론, 세척 시의 이물질 역시 동일한 경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바닥부(110)를 막힌 구조로 형성하더라도 세척수 또는 이물질이 배수로(127)를 통해 빠져나가 차폐판(125)을 거쳐 배수공(126)을 통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기 때문에,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배수로(127)를 통해 배수된 세척수가 차폐판(125)을 거쳐 배수공(125)으로 진행함으로써 젓가락이 유실되거나 빠져 나올 공간이 아예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젓가락 세척시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를 판상의 구조로 형성하는 한편 측벽부(120)를 부분적인 이중벽체 구조로 형성하면서 측벽부(120)에 배수로(127)와 차폐판(125) 및 배수공(126)을 순차 형성시킴으로써 종전의 수입 제품과는 달리 젓가락이 주로 사용되는 나라에서 젓가락 사용으로 인한 문제들, 예컨대 식기세척기의 고장 유발 문제, 배수 문제,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 등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젓가락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서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수저보관랙(100)의 외측 벽체(121)에는 다수의 통풍공(121a)이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200)의 측벽부(220)를 이루는 외측 벽체(221)에는 통풍공(121a)이 없이 형성된다. 나아가 도 7과 같이 배수로(127a)가 코너 영역이 아니 측벽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4개의 측벽부를 따라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과 같이 배수로(127a)의 주변으로 소형 배수홀(128)들을 형성시킨다면,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수로(127a) 역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조로서, 차폐판부 그리고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배수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코너 영역에 배수로(127)가 형성되며, 측벽부를 따라 소형의 배수홀(128)들이 추가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닥부(110)에는 소형의 통공(110a)이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10)를 통공이 없는 판상 구조로만 적용하였으나, 도 10과 같이 다수의 배수로(127)와 더불어 젓가락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소형 통공(110a)을 바닥부(110)에 형성한다면, 배수가 더욱 용이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저보관랙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닥부(110)에는 다수의 요철돌기(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요철돌기(110b)가 형성되면 바닥부(110)가 미끄럽지 않아 세척 후 바닥부에 놓여진 수저를 꺼내기 용이해질 것이다. 요철돌기(110b)의 형상은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돌기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닥부(110)는 중앙부가 볼록해지도록 형성한다면, 배수를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11과 같은 형태의 수저보관랙(200)이 사용되더라도 종전처럼 젓가락이 빠져 나가거나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서 배수 문제와 세척 시 이물질 잔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바닥부 111 : 보강리브
120 : 측벽부 121 : 외측 벽체
121a : 통풍공 121b : 손잡이홈
122 : 내측 벽체 123 : 경사부
125 : 차폐판부 126 : 배수공
127, 127a : 배수로 110a : 통공
110b : 요철돌기
120 : 측벽부 121 : 외측 벽체
121a : 통풍공 121b : 손잡이홈
122 : 내측 벽체 123 : 경사부
125 : 차폐판부 126 : 배수공
127, 127a : 배수로 110a : 통공
110b : 요철돌기
Claims (7)
- 판상 구조로서 수저가 놓여지는 공간인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각 변에서 상기 바닥부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박스(box)형 구조물을 형성하며, 부분적인 이중벽체로 마련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최외곽을 형성하는 외측 벽체; 및
상기 외측 벽체와의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 벽체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외측 벽체보다는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벽체와 함께 부분적인 이중벽체를 형성하는 내측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와 상기 내측 벽체가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내측 벽체를 일부 절취하여 형성된 배수로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바닥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차폐판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차폐판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수로와 상기 차폐판부를 거쳐 이동되는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에는 다수의 소형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배수로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내측 벽체의 상단부와 상기 외측 벽체의 내측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 사이에는 상기 외측 벽체와 상기 내측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저보관랙의 적층 시 상기 외측 벽부의 상단부가 맞닿는 다수의 격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다수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배수 용이를 위해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주변의 상기 측벽부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보관랙.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8375A KR101243525B1 (ko) | 2012-07-18 | 2012-07-18 | 수저보관랙 |
PCT/KR2013/001544 WO2013137570A1 (ko) | 2012-03-12 | 2013-02-26 | 수저보관랙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8375A KR101243525B1 (ko) | 2012-07-18 | 2012-07-18 | 수저보관랙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3525B1 true KR101243525B1 (ko) | 2013-03-19 |
Family
ID=4818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8375A KR101243525B1 (ko) | 2012-03-12 | 2012-07-18 | 수저보관랙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35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7038A (ko) | 2019-02-07 | 2020-08-18 | 류재성 |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964U (ko) | 1980-07-11 | 1982-02-03 | ||
KR200402095Y1 (ko) | 2005-09-12 | 2005-11-25 | 이창용 |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
WO2012018580A1 (en) | 2010-07-24 | 2012-02-09 | Alexandra Laray Abraham | Basin for use with commercial dish and glassware racks |
KR101171731B1 (ko) * | 2012-03-12 | 2012-08-06 | 김동명 | 수저보관랙 |
-
2012
- 2012-07-18 KR KR1020120078375A patent/KR1012435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964U (ko) | 1980-07-11 | 1982-02-03 | ||
KR200402095Y1 (ko) | 2005-09-12 | 2005-11-25 | 이창용 | 수저통과 이를 포함하는 수저 세정장치 |
WO2012018580A1 (en) | 2010-07-24 | 2012-02-09 | Alexandra Laray Abraham | Basin for use with commercial dish and glassware racks |
KR101171731B1 (ko) * | 2012-03-12 | 2012-08-06 | 김동명 | 수저보관랙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7038A (ko) | 2019-02-07 | 2020-08-18 | 류재성 |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
KR20210130689A (ko) | 2019-02-07 | 2021-11-01 | 류재성 |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
KR20230053572A (ko) | 2019-02-07 | 2023-04-21 | 류재성 |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6467B2 (en) | Dishwasher | |
US20110253648A1 (en) | Combination bussing and washing tray and method therefor | |
US20140332479A1 (en) | Sink Dish Drainer Set | |
US4058233A (en) | Utensil basket for institutional dishwashing machines | |
US3245548A (en) | Commercial dish washer rack | |
US4339051A (en) | Silverware basket | |
EP2124702A1 (en) | Dishwasher and rack assembly therefor | |
US20040079713A1 (en) | Dishwasher utility basket | |
KR101243525B1 (ko) | 수저보관랙 | |
KR101171731B1 (ko) | 수저보관랙 | |
US9516992B2 (en) | Multipurpose household appliance for complete cleaning and organizing to help improve the hygiene of baby bottles and also more distinct washable items used for babies and toddlers | |
US3367529A (en) | Bus box | |
RU2514746C2 (ru) | Штабелируемое ведро для мытья | |
US1484291A (en) | Dish-holding basket | |
WO2013137570A1 (ko) | 수저보관랙 | |
US20110290747A1 (en) | Dish rack | |
EP3282920B1 (en) | Dishwashing accessory for holding a dishwasher basket inclined in relation to the horizontal and a dishwashing method | |
JP3201994U (ja) | 流し台用シンク及びその装置 | |
KR20100006522U (ko) | 식기건조대 | |
KR20070062294A (ko) |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 |
CN211381221U (zh) | 餐具篮 | |
KR200468769Y1 (ko) | 매립형 식기 건조대 | |
KR101561822B1 (ko) | 식기 건조 장치 | |
EP2368479A1 (en) | Dishwasher with additional basket | |
JP6027595B2 (ja) | ホル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