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046B1 -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046B1
KR101243046B1 KR1020120041673A KR20120041673A KR101243046B1 KR 101243046 B1 KR101243046 B1 KR 101243046B1 KR 1020120041673 A KR1020120041673 A KR 1020120041673A KR 20120041673 A KR20120041673 A KR 20120041673A KR 101243046 B1 KR101243046 B1 KR 101243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observation
windshield
grou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재현
Original Assignee
(주)정한전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한전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정한전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4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0084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for measuring volu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설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설량 관측기로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 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측정판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는, 지면에 설치하는 적설측정판과, 상기 적설측정판의 상부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하여 상기 적설측정판과 일정거리를 두고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며,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팔각통형의 공간부를 이룬 몸체 하단에 지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지면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SNOW WIND SHIELD APPARATUS FOR SNOWFALL OBSERVED OBSERVATION QUALITY IMPROVEMENT}
본 발명은 적설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설량 관측기로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 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측정판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설이란 지면에 쌓인 눈을 말한다. 눈이 내려 쌓인 기간에는 관계없이 관측 시에 실제 지면에 쌓여 있는 눈의 깊이 전부를 뜻한다. 기상관측을 할 때 관측노장의 2분의 1 이상이 눈으로 덮여 있어야 적설이라 관측하며, 싸락눈이나 가루눈 등도 포함된다.
적설관측이란 일반적으로 적설측정판을 사용하여 판의 면과 지면이 같아지도록 수평하게 설치해 두고, 그 위에 쌓인 눈의 깊이를 자로 측정하여 단위로 표시한다. 일최심적설은 언제 내린 눈이든 00~24시 중 실제 지표면에 쌓인 눈의 최대 깊이를 말하며, 일최심신적설은 00~24시 중 새로 내려 쌓여 있는 눈의 최대 깊이를 말한다. 적설판은 여러 개를 적당한 장소에 놓고 적설면이 고르지 않을 때에 참고한다.
일반적으로 겨울에 눈이 내려 쌓인 적설량과 단위시간당 눈이 내리는 적설 정도인 적설강도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량계(雪量計) 등을 사용한 사람의 육안에 의한 계측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기상의 관측 및 예측을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하여 산간오지의 적설등의 기상관련 자료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매순간마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으며, 사람이 매번 일일이 관측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정확한 기상 자료를 관측 및 축적하는 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정확한 기상 관측자료가 관측 및 축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기초자료로 삼아 보다 과학적, 통계적인 기상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그 정확도, 정밀도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적설은 기상현상 분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상요소 중 하나로서, 통상 0.1cm단위로 측정되며, 강우나 온도, 습도, 풍속 등의 타 기상요소와는 달리 측정의 자동화가 용이하지 않아서, 대부분 목측(目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적설은 강우와 함께 기상분석은 물론 이수(利水) 및 치수(治水) 관련 계획수립 등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특히 갈수기인 봄철 하천유출(流出) 및 지하수유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융설(融雪)을 예측 및 분석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 매우 높은 중요성을 가진다.
이러한 적설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타 기상요소에 비하여 정량화된 자동계 측 및 이를 통한 전기신호로의 변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목측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관측소의 무인화를 통한 관측지점의 확대는 물론 실시간 계측을 통한 양질의 관측자료 확보에 있어서도 많은 애로점이 있었다.
그런데, 적설량 관측기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측정할 경우에는, 적설계의 주변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적설량의 측정에 오차가 발생된다.
즉 적설계의 주변에서 바람이 불 경우에는 적설측정판의 상부에 적설량이 차이가 생겨 적설량의 관측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설측정판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상황에서 바람에 의한 영향으로 적설이 한쪽으로 편중되거나, 적설된 상부면이 지나치게 불균등하게(물결모양) 되지 않도록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바람막이를 통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적설되는 상부면의 평탄도를 일정하고 고르게 함을 통해 적설관측의 샘플링 품질을 높여, 적설면의 패턴이 다양해서 사람에 의해 경험이 고려된 목측을 할 수 밖에 없던 현 실정을 근원적으로 해결하여, 자동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목적은 적설량 관측기의 적설측정판 주위에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함으로써, 적설량을 정밀 관측시 바람막이를 통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적설되는 상부면의 평탄도를 일정하고 고르게 함으로서 측정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므로 상부에서 거리측정방식으로 일점 또는 다점 관측을 통해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관측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바람 등의 영향을 고려한 관측결과의 부가적인 보정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관측자료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는, 지면에 설치하는 적설측정판과, 상기 적설측정판의 상부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하여 상기 적설측정판과 일정거리를 두고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며,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팔각통형의 공간부를 이룬 몸체 하단에 지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지면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는, 적설량 관측기의 관측지주에 제어장치와, 상기 관측지주의 상측에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적설측정판과 거리를 측정하는 적설계와, 상기 적설계가 설치된 하측에 지면과 일치하도록 설치된 적설측정판과, 상기 적설측정판과 일정거리를 두고 몸체에 수직장공이 다수개 형성된 적설 바람막이가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팔각통형의 공간부를 이룬 몸체 하단에 지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지면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몸체가 지면으로 부터 2cm가 이격된 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높이가 28cm로 하단에서 8cm 높이에 4cm간격으로 가로 2cm 세로 8cm 크기의 수직장공이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설측정판은 사각형으로 상기 적설측정판의 외측에 인조잔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금속플레이트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적설측정판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상황에서 바람에 의한 영향으로 적설이 한쪽으로 편중되거나, 적설된 상부면이 지나치게 불균등하게(물결모양) 되지 않도록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바람막이를 통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적설되는 상부면의 평탄도를 일정하고 고르게 함을 통해 적설관측의 샘플링 품질을 높여, 적설면의 패턴이 다양해서 사람에 의해 경험이 고려된 목측을 할 수 밖에 없던 현 실정을 근원적으로 해결하여, 자동관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량 관측기의 적설측정판 주위에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함으로써, 적설량을 정밀 관측시 바람막이를 통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적설되는 상부면의 평탄도를 일정하고 고르게 함으로서 측정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므로 상부에서 거리측정방식으로 일점 또는 다점 관측을 통해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관측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바람 등의 영향을 고려한 관측결과의 부가적인 보정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관측자료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수동목측을 하더라도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의 경우 관측장소에 따라 판이한 적설패턴을 보이므로, 상기 적설 바람막이를 통해 표준화된 관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 바람막이는 적설상황시의 바람의 영향뿐 아니라, 기온의 변화에 따라 눈이 녹을때도 적절한 통기성으로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가능토록 하며, 적설 바람막이에 의한 그늘에 의해 적설판의 눈이 대기중보다 더디게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태양에 의한 그늘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고려하였으며, 표준샘플링이 가능하도록 적설 바람막이는 적설측정판의 중앙 관측점에서 적설 바람막이 높이의 3배를 이격거리로 설치하여 바람에 의한 적설측정판에 직접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설 바람막이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보다 넓은 장소에서 사용시 보다 넓고 높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설 바람막이 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에 적설 바람막이 장치가 장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에 적설 바람막이 장치가 장착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에 적설 바람막이 장치가 장착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설 바람막이 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에 적설 바람막이 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에 적설 바람막이 장치가 장착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에 적설 바람막이 장치가 장착된 평면도 이다.
본 발명은 적설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설량 관측기로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 적설측정판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 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적설측정판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설량 관측기의 적설 바람막이 장치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는, 지면(60)에 설치하는 적설측정판(20)과, 상기 적설측정판(20)의 상부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하여 상기 적설측정판(20)과 일정거리를 두고 적설 바람막이(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팔각통형의 공간부(16)를 이룬 몸체(11) 하단에 지면(60)과 이격된 틈(14)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3)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15)로 지면(60)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11)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1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몸체(11)가 지면(60)으로 부터 2cm가 이격된 틈(14)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1)는 높이가 28cm로 하단에서 8cm 높이에 4cm간격으로 가로 2cm 세로 8cm 크기의 수직장공(12)이 상,하로 다수개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팔각통형으로 최대지름이 196cm이고 최소지름이 181cm이며 지면(60)으로 부터 높이가 30cm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설량 관측기의 관측지주(40)에 제어장치(42)와, 상기 관측지주(40)의 상측에 고정프레임(41)과, 상기 고정프레임(41)에는 적설측정판(20)과 거리를 측정하는 적설계(50)와, 상기 적설계(50)가 설치된 하측에 지면(60)과 일치하도록 설치된 적설측정판(20)과, 상기 적설측정판(20)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적설 바람막이(10)와,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팔각통형의 공간부(16)를 이룬 몸체(11) 하단에 지면(60)과 이격된 틈(14)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1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3)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15)로 지면(60)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11)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1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의 몸체(11) 상측에 다수개의 수직장공(12)을 형성한 것은 미세한 바람이 공간부(16)의 내부로 들어가 적설(눈)이 녹게 하기 위한 것이고, 몸체(11)의 하단에 틈(14)이 형성된 것은 적설이 녹은 물이 빠져나오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금속플레이트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적설측정판(20)은 사각형으로 상기 적설측정판(20)의 외측에 인조잔디(30)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적설측정판(20)은 판으로 가로, 세로가 50cm이고 두께가 1cm인 것을 설치한다. 상기 적설측정판(20)의 외측에 인조잔디(30)를 가로, 세로가 50cm이고 두께가 0.8cm인 것을 설치한다. 상기 적설계(50)는 적설판(30)과 250cm 상부에서 관측하는 것이다.
상기 적설계(50)는 하나 또는 세개를 설치하여 적설측정판(20)의 한지점 또는 세지점을 측정하며, 상기 적설계(50)는 적설판(20)으로 부터 높이의 총거리에서 적설에 의해 거리가 감소한 현재거리를 뺀 관측거리를 적설높이로 관측하여 평균을 내에 초기 적설량을 관측하는 것이다.
상기 관측지주(40)의 상측에 고정된 고정프레임(41)에는 상기 적설계(50)의 브라켓을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설량 관측기의 적설량 정밀 관측은 관측지주(40)의 상측 고정프레임(41)에 설치된 적설계(50)를 통하여 지면(60)에 설치된 적설측정판(20)과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장치(42)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42)는 적설계(50)와 적설측정판(20)사이의 높이 총거리에서 적설에 의해 거리가 감소한 현재거리를 뺀 관측거리를 적설높이로 관측하여 평균을 내어 적설량을 관측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41)에서 원격지인 관측소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적설량 관측기로 적설량 정밀 관측시 적설측정판(20)에 쌓이는 적설이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적설측정판(20)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10)를 설치하여 적설측정판(20)에 적설 바람막이(10)에 의해 바람을 막아주므로 적설측정판(20)의 상부에 적설이 일정하게 쌓이게 되므로 거리측정방식의 적설계(50)를 통하여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적설측정판(20)의 주위에 적설 바람막이(10)를 설치하므로 상부에서 거리측정방식으로 일점 또는 다점 관측을 통해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관측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바람 등의 영향을 고려한 관측결과의 보정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관측자료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10)는 적설측정판(20)의 주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여 수동목측으로 관측을 하더라도 적설량을 정밀 관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설의 경우 관측장소에 따라 판이한 적설패턴을 보이므로,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를 통해 표준화된 관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적설상황시의 바람의 영향뿐 아니라, 기온의 변화에 따라 눈이 녹을때도 적절한 통기성으로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가능토록 하며, 적설 바람막이(10)에 의한 그늘에 의해 적설측정판(20)의 눈이 대기중보다 더디게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태양에 의한 그늘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고려하였으며, 표준샘플링이 가능하도록 적설 바람막이(10)는 적설측정판(20)의 중앙 관측점에서 적설 바람막이 높이의 3배를 이격거리로 설치하여 바람에 의한 적설측정판(20)에 직접적인 영향을 최소화 한 것이다.
상기 적설 바람막이(10)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보다 넓은 장소에서 사용시 보다 넓고 높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설시 눈 결정의 크기가 보통 1cm라고 할 때, 고르게 쌓이지 않는다면 눈 결정 하나의 차이로 높은곳과 낮은곳은 최소 ㅁ1cm의 차이가 날 수 있어, 현재 0.1cm단위 관측자료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단순히 알고리즘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적설되는 상부면이 샘플링 품질을 개선해야 하며, 그 방법으로 적설 바람막이(10)를 통해 정밀도는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w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적설 바람막이 11: 몸체
12: 수직장공 13: 고정편
14: 틈 15: 고정볼트
16: 공간부 20: 적설측정판
30: 인조잔디 40: 관측지주
41: 프레임 42: 제어장치
50: 적설계 60: 지면

Claims (8)

  1. 지면에 설치하는 적설측정판과, 상기 적설측정판의 상부에 적설되는 적설량을 정밀 관측하기 위하여 상기 적설측정판과 일정거리를 두고 적설 바람막이를 설치하며,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팔각통형의 금속플레이트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중앙에 공간부를 이룬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지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지면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적설측정판은 사각형으로 상기 적설측정판의 외측에 인조잔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몸체가 지면으로 부터 2cm가 이격된 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높이가 28cm로 하단에서 8cm 높이에 4cm간격으로 가로 2cm 세로 8cm 크기의 수직장공이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4. 적설량 관측기의 관측지주에 제어장치와, 상기 관측지주의 상측에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적설측정판과 거리를 측정하는 적설계와, 상기 적설계가 설치된 하측에 지면과 일치하도록 설치된 적설측정판과, 상기 적설측정판은 사각형으로 상기 적설측정판의 외측에 인조잔디가 설치되고, 상기 적설측정판과 일정거리를 두고 몸체에 수직장공이 다수개 형성된 적설 바람막이가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중앙에 공간부를 이룬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지면과 이격된 틈이 형성되게 일정간격으로 절곡된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고정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지면과 고정하고, 상기 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수직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몸체가 지면으로 부터 2cm가 이격된 틈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높이가 28cm로 하단에서 8cm 높이에 4cm간격으로 가로 2cm 세로 8cm 크기의 수직장공이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7. 삭제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 바람막이는 금속플레이트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KR1020120041673A 2012-04-20 2012-04-20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KR101243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673A KR101243046B1 (ko) 2012-04-20 2012-04-20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673A KR101243046B1 (ko) 2012-04-20 2012-04-20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046B1 true KR101243046B1 (ko) 2013-03-25

Family

ID=4818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673A KR101243046B1 (ko) 2012-04-20 2012-04-20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12B1 (ko) * 2013-06-18 2014-10-30 대한민국 적설계의 바람막이
KR101563074B1 (ko) 2014-01-02 2015-10-23 김인식 강수형태 구별이 가능한 적설감지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26B1 (ko) * 2009-07-16 2009-11-11 김창구 강수량계의 바람막이
KR100963608B1 (ko) * 2009-10-07 2010-06-15 선진테크 주식회사 능동형 자동적설관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426B1 (ko) * 2009-07-16 2009-11-11 김창구 강수량계의 바람막이
KR100963608B1 (ko) * 2009-10-07 2010-06-15 선진테크 주식회사 능동형 자동적설관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212B1 (ko) * 2013-06-18 2014-10-30 대한민국 적설계의 바람막이
KR101563074B1 (ko) 2014-01-02 2015-10-23 김인식 강수형태 구별이 가능한 적설감지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0483T2 (de) Heizplattenniederschlagsmesseinheit
KR101243046B1 (ko) 적설량 관측시 관측품질 향상을 위한 적설 바람막이 장치
JP6360501B2 (ja) 植物生育条件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3901505B (zh) 一种基于湿球效应的云顶高度探测方法及装置
KR101065733B1 (ko) 초기 적설량 정밀 관측장치 및 그 방법
CN109633788A (zh) 双筒式雨雪量测量方法及装置
Shigeta et al. Capacitive-touch-based soil monitoring device with exchangeable sensor probe
KR101448885B1 (ko) 실외 실험적 온난화 및 강수조절 시스템
Brandsma Comparison of automatic and manual precipitation networks in the Netherlands
WO2011049377A3 (ko) 3차원 무선 복합 기상 측정모듈을 통한 강우량·강설량연산용 단면적 데이터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70655B1 (ko) 고정식 적설판
Prinz et al. VARIATIONS OF THE LEWIS GLACIER, MOUNT KENYA, 2004-2012
CN205246211U (zh) 冠层内光合有效辐射自动跟踪测量装置
CN112729202A (zh) 一种具有多传感器的积雪深度测量的观测检验方法技术领域
CN110133756A (zh) 一种气象站降水量修正方法
CN207816649U (zh) 一种露水测量装置
CN107464024B (zh) 基于覆冰形状试验的架空输电线路舞动预测方法及系统
CN109268067A (zh) 用于寒冷及严寒地区隧道防寒排水措施的判定方法
CN206362955U (zh) 一种用于环境监测的简易气象站
CN108592818B (zh) 一种覆冰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2156528B1 (ko) 투보수 블록 성능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KR101444212B1 (ko) 적설계의 바람막이
CN214252632U (zh) 一种带有除冰机构的降水量监测设备
CN108956357A (zh) 一种灌丛凝结水测量装置
CN215598399U (zh) 室内设计用地砖倾斜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