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907B1 -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 Google Patents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907B1
KR101242907B1 KR1020100135296A KR20100135296A KR101242907B1 KR 101242907 B1 KR101242907 B1 KR 101242907B1 KR 1020100135296 A KR1020100135296 A KR 1020100135296A KR 20100135296 A KR20100135296 A KR 20100135296A KR 101242907 B1 KR101242907 B1 KR 10124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hamfer
rolling mill
curved portion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3509A (en
Inventor
문창호
서재형
천명식
홍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907B1/en
Publication of KR20120073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907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후강판 압연공정의 거칠기 압연기 및/또는 마무리 압연기에서 백업롤 표면의 마모가 증가해도 후강판의 크라운의 제어가 가능한 압연기용 백업롤이 개시된다.
상기 압연기용 백업롤은 롤 단부로부터 제1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롤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곡면부; 상기 제1 곡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 단부로부터 제2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2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의 끝단과 상기 롤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ing roll for rolling mill which can control the crown of a thick steel plate even if the wear of the backing roll surface increases in the rough rolling mill and / or finishing rolling mill of a thick steel plate rolling process is disclosed.
The rolling mill back-up roll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ll from a point separated by a first set distance from the roll end; A second curv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extending to a point away from the roll end by a second set distance; And a chamfer portion formed between an end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roll end.

Description

압연기용 백업롤{Back Up Roll for Rolling Mill}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용 백업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강판 압연공정의 거칠기 압연기 및/또는 마무리 압연기에서 백업롤 표면의 마모가 증가해도 후강판의 크라운의 제어가 가능한 압연기용 백업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own of a thick steel sheet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back-up roll increases in the rough rolling mill and / or the finish rolling mill of the thick steel sheet rolling process. will be.

후강판 압연공정은 가열로에서 1100℃ 이상으로 가열된 슬라브를 두께 5~200mm(또는 그 이상)의 후강판으로 제조하는 공정이다. 열간가공 조건에서 압연기는 배럴 길이가 긴 롤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2.4m 이하)을 갖는 슬라브로부터 넓은 폭(1.5 ~ 5m 정도)의 후강판을 제조하게 된다.The thick steel plate rolling process is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lab heated at 1100 ° C. or higher in a heating furnace into a thick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5 to 200 mm (or more). In the hot working condition, the rolling mill uses a roll with a long barrel length to produce a thick steel plate (about 1.5 to 5 m) from a slab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less than 2.4 m).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강판 압연패스에서 롤 갭에 소재가 있을 때, 압연판(S)의 두께 감소는 소재로부터 롤로 전달되는 반력(압연하중)을 생성한다. 이것은 작업롤(T-WR, B-WR)과 백업롤(T-BUR, B-BUR)을 완전 접촉시킨다[도 1(c) 참조, 참고로 도 1(b)는 롤갭에 소재가 없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 이때, 최대 접촉응력은 작업롤(T-WR, B-WR)과 백업롤(T-BUR, B-BUR)의 접촉이 떨어지는 롤 에지부에서 발생한다. 만약, 최대 접촉응력이 허용기준보다 크다면 백업롤(T-BUR, B-BUR)은 피로에 의해 파손되고, 후강판 압연조업은 중단된다. As shown in Figs. 1 (a) and 1 (c), when there is a material in the roll gap in the thick steel plate rolling pass, the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rolled plate S produces a reaction force (rolling load) transmitted from the material to the roll. do. This makes the work rolls T-WR and B-WR completely contact the backup rolls T-BUR and B-BUR (see Fig. 1 (c), and Fig. 1 (b) shows no material in the roll gap). Shown]. At this time, the maximum contact stress occurs at the roll edge portion where the contact between the work rolls T-WR and B-WR and the backup rolls T-BUR and B-BUR is poor. If the maximum contact stress is greater than the limit, the back-up rolls (T-BUR, B-BUR) are damaged by fatigue and the thick steel rolling operation is stopped.

또한, 압연하중에 의한 작업롤(T-WR, B-WR)과 백업롤(T-BUR, B-BUR)의 탄성변형은 롤의 휨(배럴방향의 롤 굽힘)으로 나타난다. 롤의 휨량은 판의 폭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두께차인 크라운을 발생시킨다. 도 1(d)를 참조하면, 이러한 크라운은 중심부 판두께(Tc)에서 에지부 판두께(Te)를 뺀 크기로 정의된다.
In additi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work rolls T-WR and B-WR and the backup rolls T-BUR and B-BUR due to the rolling load is indicated by the warpage of the roll (roll bending in the barrel direction). The amount of warpage of the roll produces a crown which is an uneven thickness differe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Referring to Figure 1 (d), such a crown is defined as the size of the central plate thickness (Tc) minus the edge plate thickness (Te).

도 2는 롤 휨에 의해 압연재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판 크라운의 종류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2(a) 및 도 2(d)는 (+) 크라운이 나타나는 상태 및 (+) 크라운 상태의 압연판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c) 및 도 2(f)는 (-) 크라운이 나타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적절한 압연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도 2(b) 및 도 2(e)와 같이 크라운이 제로인 압연판이 생성된다.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type of a typical plate crown appearing in the rolled material by the roll bending, Figures 2 (a) and 2 (d) shows a rolled plate in the state where the (+) crown appears and the (+) crown state 2 (c) and 2 (f) show a state in which a (-) crown is shown. When an appropriate rolling load is applied, a rolled plate with zero crown is produced as shown in Figs. 2 (b) and 2 (e).

만약, 압연판(S)의 두께 편차가 두께공차의 상한 한계보다 크거나 하한 한계보다 작다면, 즉 크라운의 절대값이 크다면 해당 압연판(S)은 스크랩 처리된다. If the thickness deviation of the rolled sheet S is larg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tolerance or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that is,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crown is large, the rolled sheet S is scraped.

그리고, 도 3은 판 폭 방향의 길이 연신량의 차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판 형상의 종류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3(a)에 도시된 양파(에지부 파형), 도 3(b)에 도시된 평탄,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중파(중앙부 파형) 등이 있다. 후강판 형상 문제는 마무리 압연 과정에서 발생한다. 그 이유는 판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판 에지부와 판 중앙부의 길이 연신량이 롤의 휨에 더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즉, 길이 연신량의 평균값에 비해 판 중앙부의 길이 연신량이 크면, 중파가 되고, 에지부의 길이 연신량이 크면 양파가 된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type of the typical plate shape represented by the difference in the length drawing amount in the plate width direction, and the onion (edge portion waveform) shown in FIG. 3 (a) and FIG. 3 (b). Flat, and the middle wave (center wave) shown in FIG. 3 (c). Thick plate shape problems arise during the finish rolling process. The reason is that as the plate thickness becomes thinner, the length stretching amount of the plate edge portion and the plate center portion is more affected by the bending of the roll. That is, when the length drawing amount of a plate center part is large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length drawing amount, it becomes a medium wave, and when the length drawing amount of an edge part is big, it becomes an onion.

또한, 압연판의 입측 크라운은 두께가 얇은 판의 형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만약, 입측의 판크라운이 (+)로 크고 롤의 휨이 작다면, 판의 중앙부의 연신이 증가하여 중파가 발생한다. 반대로, 입측의 판크라운이 (-)로 크고, 롤의 휨이 크다면, 압연판의 에지부의 연신이 증가하여 양파가 발생한다. 이것은 입측 판크라운이 클 때, 압연 패스에서 폭방향으로 일정한 압하를 부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록, 압연후 판 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설비들이 구비되어 있으나, 교정 한계로 인해 교정이 불가능하거나, 교정후 미제거된 잔류응력에 의해 추가적인 판의 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가능한 한 압연과정에서 크라운이 적은 판 또는 평탄한 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inlet crown of the rolled shee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hape of the thin plate. If the plate crown on the inlet side is large (+) and the warpage of the roll is small, the extens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increases and a medium wave occurs. On the contrary, if the plate crown on the mouth side is large with (-) and the warpage of the roll is large, the stretching of the edge portion of the rolled plate increases and onions are generated. This is because, when the side plate crown is large, it is impossible to impart a constant reduction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rolling pass. Although correction facilities are provided for correcting the shape of the plate after rolling, additional correction of the plate may occu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correction, or due to unremoved residual stress after the correction. Therefore, in the rolling process, a plate with few crowns or a flat plate is required.

한편, 접촉부의 최대접촉 응력의 감소, 판 크라운 및 판 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롤의 휨량을 제어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4와 같은 형상을 가진 백업롤이 사용되어 왔다. 도 4는 백업롤의 1/4 단면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롤 단부를 강조 도시하기 위하여 반경 및 길이방향의 길이는 과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L1은 백업롤 길이의 1/2을 나타내고, R은 백업롤의 반경, R'은 초기크라운량의 1/2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trol the reduction of the maximum contact stress of the contact portion, the amount of warpage of the roll having a direct influence on the plate crown and plate shape, a back-up roll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4 has conventionally been used. Fig. 4 shows only one-quarter cross section of the backup roll, in which the radial and longitudinal lengths are exaggerated to highlight the roll end. In FIG. 4, L1 represents 1/2 of the length of the backup roll, R represents the radius of the backup roll, and R 'represents 1/2 of the initial crown amount.

이러한 백업롤은 일측 롤 에지부(A1)에서 배럴 중앙부를 거쳐 타측 롤 에지부(미도시)를 연결하는 초기 크라운 곡선(CR)으로 이루어진 크라운 곡면을 갖고, 롤 단부에는 초기 크라운 곡선(CR)의 챔퍼 시작점(A2)으로부터 롤 단부측으로 모따기를 한 챔퍼부(CF)를 갖는다. This back-up roll has a crown curved surface consisting of an initial crown curve (CR) connecting the other roll edge portion (not shown) from one roll edge portion (A1) to the barrel center portion, and at the roll end portion of the initial crown curve (CR). It has the chamfer part CF which chamfered from the chamfer start point A2 to the roll end side.

그러나, 백업롤의 마모로 인해 압연재의 판 크라운을 제어하기 위해 부여한 초기 크라운(백업롤의 압연전 가공크라운)이 압연 중 마모되므로, 롤 마모에 의한 판 크라운 및 판 형상이 나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백업롤은 일정 시간 사용 후 교체된다. However, since the initial crown (the processing crown before rolling of the backup roll) given to control the plate crown of the rolling material due to the wear of the backup roll is worn during rolling, in order to prevent the plate crown and plate shape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roll wear. The backup roll is replaced after a certain time of use.

종래 거칠기 압연기에서 백업롤의 교체주기는 6주 이상이고, 마무리 압연기에서는 8주 이상이다. 최근 불규칙적인 롤 마모에 의해 롤의 교체주기는 계속 짧아지고 있으며, 이것은 압연 정지 시간을 증가시켜 압연 생산성을 하락시킨다.In the conventional roughness rolling mill,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backup roll is 6 weeks or more, and in the finishing mill is 8 weeks or more. In recent years, the roll replacement cycle continues to be shortened by irregular roll wear, which increases the rolling stop time and lowers the rolling productivity.

또한, 거칠기 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에서 백업롤의 교체 주기의 차이로 인하여 거칠기 압연기의 백업롤과 마무리 압연기의 백업롤의 챔퍼부에는 마모량의 차이가 발생한다(예를 들어, 거칠기 압연의 경우에는 160㎛, 마무리 압연의 경우에는 60㎛). 이러한 롤의 마모에 의한 챔퍼 길이의 감소는 판의 크라운을 개선하는 장점을 갖지만, 이로 인해 롤의 파손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압연기에서는 거칠기 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를 위한 백업롤이 교체를 위해 각각 준비되고, 보관되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backup roll in the rough rolling mill and the finish rolling mill, a difference in abrasion occurs in the chamfer portion of the backup roll of the rough rolling mill and the backup roll of the finish rolling mill (for example, in the case of rough rolling, 160 µm). In the case of finish rolling). This reduction in chamfer length due to wear of the roll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rown of the plate, but this increases the risk of breakage of the roll. Therefore, the conventional rolling mill had a disadvantage in that the backup rolls for the rough rolling mill and the finish rolling mill should be prepared and stored for replacement, respectiv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압연기에서 압연하중에 의해 백업롤의 마모가 증가해도 후강판의 크라운의 제어가 가능한 압연기용 백업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capable of controlling the crown of the steel plate even if the wear of the backup roll increases by the rolling load in the rolling mill.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백업롤의 마모에 의한 롤의 휨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압연기용 백업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that can minimize the bending change of the roll due to wear of the backup roll.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작업롤과 백업롤 사이의 접촉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연기용 백업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that can reduce the contact stress between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거칠기 압연과 마무리 압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압연기의 백업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up roll of a rolling mill that can be used in both rough rolling and finish roll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 단부로부터 제1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롤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곡면부; 상기 제1 곡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 단부로부터 제2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2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의 끝단과 상기 롤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부;를 포함하는 압연기용 백업롤을 제공한다.As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oll from the point separated by the first set distance from the roll end; A second curv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extending to a point away from the roll end by a second set distance; And a chamfer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roll en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곡면부는 상기 롤 단부로부터 제1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롤 중앙측으로 연장하는 크라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of a crown curve starting at a point separated by the first set distance from the roll end and extending toward the roll center sid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설정거리는 180 내지 220mm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first set distance may be determined in a range of 180 to 220 mm.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곡면부는 20,000mm 이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curved portion may have a curvature of 20,000 mm or mor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설정거리는 상기 챔퍼부의 챔퍼길이에 해당하며, 100 내지 150mm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second set distance corresponds to the chamfer length of the chamfer portion, and may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100 to 150 mm.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챔퍼부의 챔퍼각은 0.015 내지 0.023(rad)의 값을 가질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hamfer angle of the chamfer portion may have a value of 0.015 to 0.023 (ra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백업롤의 마모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압연판(후강판)의 크라운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crown of the rolled plate (thick steel plate) can be controlled even when the wear of the backup roll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 단부에서 라운드 곡선(곡면)을 부여함으로써 백업롤의 마모에 의한 롤의 휨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ound curve (curved surface) at the end of the roll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bending change of the roll due to the wear of the backup roll.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 단부에서 라운드 곡선(곡면)을 부여하고 챔퍼부를 형성함으로써 작업롤과 백업롤 사이의 접촉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ound curve (curved surface) at the roll end and forming a chamf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tact stress between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롤과 백업롤 사이의 접촉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거칠기 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에 관계없이 백업롤의 교체주기를 동일하게, 그리고 길게 가져감으로써 압연정지시간 감소에 따른 압연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contact stress between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to reduce the rolling stop time by having the same and longer replacement cycle of the backup roll irrespective of the rough and finish rolling mi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rolling productivity.

도 1은 후강판 압연의 대표적인 압연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압연소재의 인입에 의한 반력을 도시한 개념도, (b)는 압연소재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c)는 압연소재가 인입된 상태에서의 작업롤과 백업롤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d)는 크라운의 설명을 위한 설명도.
도 2는 후강판 압연공정에 있어서, 상하부의 작업롤 및 백업롤의 휨에 의해 압연재의 폭방향 두께변화(크라운)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롤 휨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판형상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종래기술의 의한 백업롤의 단부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연기용 백업롤의 단부 형상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판폭에 따른 판 크라운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챔퍼각에 따른 접촉부 최대응력을 도시한 비교 도시한 그래프.
Figure 1 shows a typical rolling method of thick steel plate rolling, (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action force by the introduction of the rolled material,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rolled material is drawn, (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in the rolled material is inserted state, (d)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crow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thickness change (crow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d material due to the bending of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thick steel plate rolling step.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typical plate shape exhibited by roll bending.
Figure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nd shape of the backup ro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nd shape of the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the plate crown according to the plate width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nd the prior art shown in FIG.
FIG. 7 is a graph showing a maximum contact stress according to the chamfer angle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4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have" and the like have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and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Used only for the purpo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연기용 백업롤(100)의 단부 형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nd shape of the backup roll 100 for a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업롤(100)은 1/4 단면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롤 단부를 강조 도시하기 위하여 반경 및 길이방향의 길이는 과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L1은 백업롤 길이의 1/2을 나타내고, R은 백업롤의 반경, R'은 초기크라운량의 1/2을 나타낸다. The backup ro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is shown only a quarter cross-section, the length in the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is shown in an exaggerated state to highlight the roll end. In Fig. 5, L1 represents 1/2 of the length of the backup roll, R represents the radius of the backup roll, and R 'represents 1/2 of the initial crown amou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백업롤(100)은 축방향 길이의 절반만을 놓고 볼 때, 두 개의 곡면부(C1, C2)와 하나의 챔퍼부(CF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백업롤은 크라운 곡면에 해당하는 하나의 곡면부와 하나의 챔퍼부를 구비하는 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업롤(100)은 백업롤(100)의 마모에 의한 롤의 휨 변화를 최소화하고 작업롤과의 접촉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나의 곡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5, the backup ro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ly two curved portions C1 and C2 and one chamfer CF1 when viewed from only half of an axial length. It is characterized by. That is, the conventional backup roll shown in FIG. 4 has one curved portion and one chamf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own curved surface, whereas the backup rol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ckup roll 100. In order to minimize the bending change of the roll due to the wear and to minimize the contact stress with the work roll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further surface is form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연기용 백업롤(100)은, 롤 중앙측에서 롤 단부(E)측으로 순서대로, 제1 곡면부(C1), 제2 곡면부(C2) 및 챔퍼부(CF1)를 갖는다.
Looking specifically, the back-up roll 100 for a rolling m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C1),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and in order from the roll center side to the roll end (E) side in order It has a chamfer part CF1.

먼저, 상기 제1 곡면부(C1)는 롤 단부(E)로부터 제1 설정거리(X1)만큼 떨어진 지점(B1)으로부터 롤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곡면부(C1)는 상기 롤 단부(E)로부터 제1 설정거리(X1)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롤 중앙측으로 연장하는 초기크라운곡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곡면부(C1)는 초기크라운 곡면을 형성하며, 초기크라운량은 제1 곡면부(C1)의 수직 높이(R')의 2배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업롤(100)은 초기 크라운 곡선이 롤 단부(E)가 아니라 롤 몸체 내부에서 형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First, the first curved portion C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ll from the point B1 spaced apart from the roll end E by the first set distance X1. In this case, the first curved portion C1 may be formed by an initial crown curve starting from a point separated by the first set distance X1 from the roll end E and extending toward the roll center side. Thus, the first curved portion C1 forms an initial crown curved surface, and the initial crown amount is twice the vertical height R 'of the first curved portion C1. As such, the backup ro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crown curve is formed inside the roll body, not the roll end E.

또한, 제2 곡면부(C2)는 상기 제1 곡면부(C1)와 지점 B1에서 연결되며, 상기 롤 단부(E)로부터 제2 설정거리(X2)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2 곡면부(C2)는 챔퍼부(CF1) 가공전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통하여 지점 B3까지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지만, 후술하는 챔퍼부(CF1)의 가공을 통하여 지점 B2를 넘어선 부분은 제거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is connecte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C1 at the point B1 and extends to a point away from the roll end E by a second set distance X2. In this case,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is formed to extend to the point B3 through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before the chamfer portion CF1 is processed, but the portion beyond the point B2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chamfer portion CF1 described later. Is removed.

즉, 상기 제2 곡면부(C2)는 챔퍼부(CF1) 가공후에는 롤 단부(E)로부터 제1 설정거리(X1)(지점 B1)에서 제2 설정거리(X2)(지점 B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That is,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t distance X1 (point B1) and the second set distance X2 (point B2) from the roll end E after the chamfer portion CF1 is processed. Is formed in space.

이러한 제2 곡면부(C2)는 백업롤의 마모에 의한 롤의 휨 변화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serves to minimize the bending change of the roll due to wear of the backup roll.

아울러, 상기 챔퍼부(CF1)는 상기 제2 곡면부(C2)의 끝단(B2 지점)과 상기 롤 단부(E) 사이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hamfer (CF1) is formed between the end (B2 point)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and the roll end (E).

이러한 챔퍼부(CF1)는 작업롤과 백업롤 사이의 접촉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chamfer (CF1) is formed in a chamfer shape in order to minimize the contact stress between the work roll and the backup roll.

한편, 제1 곡면부(C1)가 시작되는 제1 설정거리(X1)는 180 내지 220mm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et distance X1 at which the first curved portion C1 starts is determined in the range of 180 to 220 mm.

만약, 롤 단부(E)로부터의 거리가 220mm보다 큰 경우에는 동일한 압연하중이 주어질 때 롤의 굽힘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압연판의 크라운의 변동을 크게 만들어 최종제품의 판형상 결함, 즉, 도 3(a)에 도시된 중앙부 파형, 또는 도 3(c)에 도시된 에지부 파형의 원인이 된다. 또한, 압연과정 중에는 챔퍼부(CF1)의 마모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If the distance from the roll end E is greater than 220 mm, the bending of the roll increases when given the same rolling load. This phenomenon increases the fluctuation of the crown of the rolled plate and causes the plate-shaped defect of the final product, that is, the center waveform shown in Fig. 3 (a), or the edge waveform shown in Fig. 3 (c).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wear of the chamfer (CF1) during the rolling process.

반대로, 롤 단부(E)로부터의 거리가 180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거칠기 압연기에서 요구되는 사용기간 동안의 마모량에 의해 챔퍼부(CF1)가 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마모량이 증가할수록 작업롤과의 접촉부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백업롤(100)의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stance from the roll end E is smaller than 180 mm, the chamfer CF1 disappears due to the amount of wear during the service period required in the roughness rolling mill. The stress concentration is generated, which leads to breakage of the backup roll (100).

따라서, 상기 제1 설정거리(X1)를 180 내지 220mm로 함으로써 백업롤(제1 곡면부)의 마모와 롤의 굽힘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by setting the first set distance X1 to 180 to 220 mm,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with abrasion of the backup roll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and bending of the roll.

그리고, 상기 제2 곡면부(C2)는 20,000mm 이상의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preferably has a curvature of 20,000 mm or more.

즉, 제1 곡면부(C1)와 챔퍼부(CF1)를 연결하는 완만한(또는 연속적인) 곡면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20,000mm 이상의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o have a curvature of 20,000 mm or more so that the first curved portion C1 and the chamfer portion CF1 can be connected in a gentle (or continuous) curved surface.

만약, 제2 곡면부(C2)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면 제1 곡면부(C1)와 연속적인 면으로 이어질 수 없고 따라서 지점 B1에서 응력집중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제2 곡면부(C2)에 제1 곡면부(C1)와 챔퍼부(CF1)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큰 곡률을 부여함으로써 지점 B1에서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곡률이 무한대로 커지는 경우에는 평면과 동일하게 되므로 제 2 곡면부(C2)의 곡률은 제2 곡면부(C2)의 크라운량, 챔퍼부(CF1)의 챔퍼길이(X2), 챔퍼높이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If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has a flat surface,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ntinuous surface with the first curved portion C1, and thus stress concentration occurs at the point B1. However, stress concentration does not occur at the point B1 by giving a large curvature to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so that the first curved portion C1 and the chamfer CF1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However, if the curvature increases infinity,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is equal to the curvature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the chamfer length X2 of the chamfer portion CF1, and the chamfer height. It can be adjusted accordingly.

또한, 상기 제2 설정거리(X2)는 상기 챔퍼부(CF1)의 챔퍼길이에 해당하며, 100 내지 150mm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챔퍼부(CF1)의 챔퍼각은 0.015 내지 0.023(rad)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t distance X2 corresponds to the chamfer length of the chamfer portion CF1, and may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100 to 150 mm, and the chamfer angle of the chamfer portion CF1 is 0.015 to 0.023 (rad). It can have a value of.

압연하중이 일정할 때 챔퍼길이가 작을수록 압연판의 크라운은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연판의 크라운 제어는 백업롤의 챔퍼의 길이에 연관되지만 동일한 챔퍼높이를 기준으로 할 때 챔퍼길이를 작게 하면 챔퍼각이 커지게 된다.When the rolling load is constant, the smaller the chamfer length, the smaller the crown of the rolled plate. In this way, the crown control of the rolled plate is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chamfer of the backup roll, but when the chamfer length is reduced when the same chamfer height is referenced, the chamfer angle becomes large.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각이 커지는 경우 종래기술로 표시한 곡선과 같이 백업롤과 작업롤의 접촉부에서의 접촉응력이 계속 증가하여 롤파손영역(S1 라인의 상부)에 해당하게 된다. 이는 오히려, 챔퍼각이 없는 것을 도시한 S1 라인보다 열악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7, when the chamfer angle is increased, the contact stress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backup roll and the work roll continues to increase as shown by the curve indicated in the prior art, which corresponds to the roll failure region (upper part of the S1 line). . Rather, this results in a worse situation than the S1 line, which shows no chamfer angle.

따라서, 마무리 압연기에서 요구되는 마모량(예를 들어, 60mm)에 압연조업 패턴변화에 따른 안전길이를 감안하여 상기 제2 설정거리(챔퍼길이)(X2)는 100 내지 150mm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econd set distance (chamfer length) X2 is preferably determined in the range of 100 to 150 mm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length according to the rolling operation pattern change to the amount of wear required (eg, 60 mm) in the finish mill. Do.

즉, 상기 제1 설정거리(X1)는 거칠기 압연기에서 요구되는 마모조건(예를 들어, 160mm의 마모량 발생시 롤 교체)에 대응하도록, 그리고 제2 설정거리(X2)는 마무리 압연기에서 요구되는 마모조건(예를 들어, 60mm의 마모량 발생시 롤 교체)에 대응하기 위해 결정된 값이다.That is, the first set distance X1 corresponds to the wear condition required in the roughness mill (for example, roll replacement when a wear amount of 160 mm occurs), and the second set distance X2 corresponds to the wear condition required in the finish mill. (E.g., roll replacement when a wear amount of 60 mm occur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연기용 백업롤(100)은 제1 설정거리(X1)와 제2 설정거리(X2) 및, 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곡면부(C2)의 구성을 통하여 마무리 압연기뿐만 아니라 거칠기 압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동일한 백업롤을 거칠기 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에서 동일한 교체주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측 백업롤의 교체를 위한 압연정지시간을 줄일 수 있어 압연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Thus, the backup roll 100 for rolling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nish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t distance (X1) and the second set distance (X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formed in the space therebetween. Not only rolling mill but also rough rolling mill can be used. Through this, the same backup roll can be used in the rough rolling mill and the finish rolling mill in the same replacement cycle, so that the rolling stop time for the replacement of the one side backup roll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rolling productivity.

또한, 상기 챔퍼부(CF1)의 챔퍼각은 0.015 내지 0.023(rad)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hamfer angle of the chamfer (CF1) preferably has a value of 0.015 to 0.023 (rad).

도 7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A2 지점에서 응력집중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챔퍼각이 증가하게 되면 크라운곡선과 챔퍼직선이 좁은 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조업을 위한 허용응력을 표시하는 S2 라인을 훨씬 벗어나 롤 파손 영역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오히려 챔퍼가 없는 경우(S1 라인)보다 더 열악한 조건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안정조업을 위한 허용응력을 표시하는 S2 라인을 기준으로 할 때, 대략 0.01 내지 0.017(rad) 정도의 챔퍼각이 허용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prior art, stress concentration occurs at A2 illustrated in FIG. 4. As a result, when the chamfer angle increases, the crown curve and the chamfer straight line form a narrow angle, so as to enter the roll failure region far beyond the S2 line indicating the allowable stress for stable operation. This is a worse condition than without the chamfer (S1 line). Therefore, in the prior art, a chamfer angle of about 0.01 to 0.017 (rad) is allowed based on the S2 line indicating the allowable stress for stable operation.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는 제2 곡면부(C2) 전체 또는 대부분이 작업롤에 의한 접촉응력을 받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각이 커지는 경우에도 접촉응력이 증가하지 않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우의 접촉응력은 안정적인 조업을 위한 허용응력의 대략 82% 수준이므로 안정적인 조업이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ll or most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is subjected to contact stress due to the work roll, as shown in FIG. 7, the contact stress increases even when the chamfer angle is increased. You will not. Referring to Figure 7, the contact stress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roximately 82% of the allowable stress for a stable operation is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경우에는 제2 곡면부(C2)의 구성으로 인하여 챔퍼각을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0.015 내지 0.023(rad), 또는 종래기술의 챔퍼각을 벗어나 0.017 내지 0.023(rad)의 챔퍼각을 가질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fer angle can be increased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C2, and therefore, 0.017 to 0.023 (rad) outside the chamfer angle of 0.015 to 0.023 (rad) or the prior art. It may have a chamfer ang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우 큰 챔퍼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챔퍼길이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연판의 크라운을 작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fer length can be made small because the chamfer angle can be large, and thus the crown of the rolled plate can be made small.

물론,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챔퍼각을 더 크게 하여도 접촉응력이 크게 증가하지 않지만, 챔퍼각을 너무 크게 하는 경우 롤 강성이나 롤 단부의 파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hamfer angle is larger, the contact stress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but if the chamfer angle is too large, it may not be preferable because it may affect the roll stiffness or breakage of the roll end.

한편,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판폭에 따른 판 크라운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인 도 6을 참조하면, 폭이 좁은 후강판의 (+) 크라운은 종래에 비해 33% 정도(66㎛에서 44㎛로 변화) 개선되고, 폭이 넓은 후강판의 (-) 크라운은 종래에 비해 25% 정도(-120㎛에서 -90㎛로 변화)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which is a graph illustrating a comparison of the plate crown according to the plate width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 crown of the narrow thick steel plate is about 33% (66 μm to 44 μm)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Change) and the (-) crown of the wide thick steel sheet is about 25% (change from -120 ㎛ to -90 ㎛) compared to the prior art can be confirmed.

특히, 폭이 넓은 후강판의 경우, 종래기술에서는 후강판의 목표 크라운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본 발명에서는 목표 크라운을 만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경우에는 폭이 넓은 후강판에서도 안정적인 조업이 가능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ide thick steel plate, in the prior art, it is outside the range of the target crown of the thick steel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target crow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even in a wide thick steel sheet.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0... 백업롤 C1... 제1 곡면부
C2... 제2 곡면부 CF1... 챔퍼부
E... 롤 단부 R... 롤 반경
R'... 초기크라운량의 1/2 X1... 제1 설정거리
X2... 제2 설정거리(챔퍼길이)
100.Backup roll C1 ... 1st curved part
C2 ... 2nd curved part CF1 ... Chamfer part
E ... roll end R ... roll radius
R '... 1/2 of the initial crown amount X1 ... 1st set distance
X2 ... 2nd setting distance (chamfer length)

Claims (6)

롤 단부로부터 제1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부터 롤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곡면부;
상기 제1 곡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 단부로부터 제2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2 곡면부; 및
상기 제2 곡면부의 끝단과 상기 롤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챔퍼부;
를 포함하는 압연기용 백업롤.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ll from a point away from the roll end by a first set distance;
A second curved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extending to a point away from the roll end by a second set distance; And
A chamfer portion formed between an end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and the roll end;
Backup roll for rolling mil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는 롤 단부로부터 제1 설정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롤 중앙측으로 연장하는 크라운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백업롤.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has a crown curve starting at a point separated by a first set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roll and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ro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거리는 180 내지 220mm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백업롤.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et distance is a rolling roll for a rolling mill, characterized in that set in the range of 180 to 22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는 20,000mm 이상의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백업롤.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urved portion has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of 20,000m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거리는 상기 챔퍼부의 챔퍼길이에 해당하며, 100 내지 150mm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백업롤.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et distance corresponds to the chamfer length of the chamfer portion, the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characterized in that set in the range of 100 to 150m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퍼부의 챔퍼각은 0.015 내지 0.023(ra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백업롤.
The method of claim 5,
The chamfer angle of the chamfer portion is a backup roll for a rolling mill, characterized in that 0.015 to 0.023 (rad).
KR1020100135296A 2010-12-27 2010-12-27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KR1012429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296A KR101242907B1 (en) 2010-12-27 2010-12-27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296A KR101242907B1 (en) 2010-12-27 2010-12-27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509A KR20120073509A (en) 2012-07-05
KR101242907B1 true KR101242907B1 (en) 2013-03-12

Family

ID=4670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296A KR101242907B1 (en) 2010-12-27 2010-12-27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9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489A (en) 1976-04-10 1978-04-25 Laeis-Werke Ag. Process for fabricating hollow races or wheels provided at their lateral ends with axle stumps in which process substantially no chips are produced; and races and wheel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is process
JPH0679322A (en) * 1992-09-02 1994-03-22 Nisshin Steel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plate crown in rolling of single-sided crown strip metal by tandem mill
JPH0691309A (en) * 1992-09-11 1994-04-05 Nippon Steel Corp Work roll and cold tandem mill using the same
KR19990050909A (en)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Prediction method of plate crown change according to backup roll chamfer amount in thick plate rol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489A (en) 1976-04-10 1978-04-25 Laeis-Werke Ag. Process for fabricating hollow races or wheels provided at their lateral ends with axle stumps in which process substantially no chips are produced; and races and wheel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is process
JPH0679322A (en) * 1992-09-02 1994-03-22 Nisshin Steel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plate crown in rolling of single-sided crown strip metal by tandem mill
JPH0691309A (en) * 1992-09-11 1994-04-05 Nippon Steel Corp Work roll and cold tandem mill using the same
KR19990050909A (en) * 1997-12-17 1999-07-05 이구택 Prediction method of plate crown change according to backup roll chamfer amount in thick plate rol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509A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2669C2 (en) Roll housing for strips or plates manufacturing
KR101299955B1 (en) Method for providing at least one work roll for rolling rolling stock
KR20110083721A (en) Roll stand for rolling a product, in particular made of metal
US9719596B2 (en) Piston r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with increased fatigue strengt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42907B1 (en) Back Up Roll for Rolling Mill
JP2008018468A (en) Method for production of flat wire for ring gear
KR20120092699A (en) Roll stand for producing rolled strip
EP3257597B1 (en) H-shaped steel production method
KR100657564B1 (en) Method for reducing edge drop of hot rolling using taper roll
JP5343957B2 (en) Strip production equipment and method
JP2009006336A (en) Hot-rolling method using cemented carbide work roll
JP2013111648A (en) Method of rolling metal strip
JP5163417B2 (en) Rolling method for section steel with flange
KR101259288B1 (en) Back-Up Roll for Finish-Rolling Mill
JP5682401B2 (en) Method for producing hot-rolled H-section steel and universal edger mill rolls
JP2005021960A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teel plate
JPS63177902A (en) Method for hot finish rolling of checkered steel plate
KR20100050941A (en) Work roll for abrasion in hot rolling process and method for handling thereof
JP2019107657A (en) Caliber pressure roll, rolling mill, caliber roll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ape steel
JP5831139B2 (en) Rough rolling mill for H-section steel production
RU2093285C1 (en) Backup rolling roll operation method (its variants)
JP2005095957A (en) Method for hot forming of flange from h-section steel by rolling
JPS60250806A (en) Hot rolling method
KR10032809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de hot-rolled strip with low crown
JPS62263805A (en) Structure of rolling r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