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648B1 -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648B1
KR101242648B1 KR1020110002371A KR20110002371A KR101242648B1 KR 101242648 B1 KR101242648 B1 KR 101242648B1 KR 1020110002371 A KR1020110002371 A KR 1020110002371A KR 20110002371 A KR20110002371 A KR 20110002371A KR 101242648 B1 KR101242648 B1 KR 10124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pipe
inlet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902A (ko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to KR102011000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6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구(10)와 유출구(30) 사이에 분기구(40)가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유입구(10)와 유출구(20) 사이에 분기구(30)가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유입구(10)의 물이 유출구(20) 방향으로 직선으로 바로 빠져나가지는 것을 방해함과 더불어 분기구(30)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판(40)이 설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분기구 내의 물과 섞여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인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관 말단부에 설치되는 수전을 열어주면 본 발명의 관연결구를 포함한 배관 내에 항상 새 물이 공급되므로 위생적이고 깨끗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한 소방용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을 이중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상수도 배관 내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할 수 있어 배관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PIPE CONNECTOR WITH STAGNANT WATER PREVENT FUNCTION}
본 발명은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분기구가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분기구에 화재시에만 작동하는 스프링쿨러나 자주 사용하지않는 수도꼭지 등을 직접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되, 유입구(10)의 물이 유출구(20)로 방향으로 직선으로 바로 빠져나가지는 것을 방해함과 더불어 분기구(30)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판(40)을 설치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분기구 내의 물과 섞여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인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는 소방용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과 수도용 배관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다.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화재 시에만 작동되기 때문에 소방용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 내의 물은 정체되어 있어서 음용수로서 부적합한 물이다. 따라서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과 수도 배관을 이중으로 설치하는 데 따른 비용 부담이 심대한 실정이었다.
또한, 큰 건물 내의 수도 배관에는 여러 개의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데, 이 여러 개의 수도꼭지 중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수도꼭지의 정체수에서 미생물이 번식하여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을 생략하고 수도 배관 내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쿨러를 직접 설치할 수 있는 분기구가 형성된 관연결구를 제공하되 분기구 측의 정체수를 강제로 순환시켜 유출구측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는,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분기구가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유입구(10)의 물이 유출구(20)로 방향으로 직선으로 바로 빠져나가지는 것을 방해함과 더불어 분기구(30)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판(40)을 설치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분기구 내의 물과 섞여 유출구로 배출되므로서 정체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판(40)은 분기구 반대쪽의 관연결구 몸체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기구측의 정체수를 강제로 유출구측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는 배관 말단부에 설치되는 수전을 열어주면 본 발명의 관연결구를 포함하여 배관 내에 항상 새 물이 공급되므로 위생적이고 깨끗한 수도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소방용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을 이중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상수도 배관 내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할 수 있어 배관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의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의 실시예 좌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의 실시예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의 구체적 내용을 제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10)와 유출구(20) 사이에 분기구(30)가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유입구(10)의 물이 유출구(20) 방향으로 직선으로 바로 빠져나가지는 것을 방해함과 더불어 분기구(30)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판(40)이 설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분기구 내의 물과 섞여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인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이다.
상기 유도판(40)은 분기구 반대쪽의 관연결구 몸체에 구멍을 형성하고 유도판 본체를 구멍 내로 삽입하여 몸체 내의 유로 일부를 차단하고 분기구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게 구성된다.
상기 유도판(40)은 분기구 반대쪽의 관연결구 몸체에 형성된 구멍에 일측이 고정설치되고 타측은 분기구를 향하여 돌출된 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판(40)은 분기구(30) 반대쪽의 관연결구 몸체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되, 상기 구멍의 내측면 하단에 단이 형성되어, 이 단진 부분에 유도판의 머리부가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구성되고, 유도판의 머리부 위에 하단면이 밀착되는 덮개(50)가 유도판 위에 설치되되, 덮개의 외주면과 구멍의 내주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나사 결합 대신에 용접으로 덮개를 구멍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주로 천장에 설치되는 바, 본 발명의 관연결구의 몸체 외주면에 볼트 구멍이 뚫여있는 고정설치돌부(60)를 형성하여 두면 천장에 설치할 때 편리하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소방용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한 배관과 상수도용 배관을 건물 내에 이중으로 설치하여 왔다. 이는 소방용 스프링쿨러는 화재 시에만 작동되기 때문에 소방용 스프링쿨러 전용 배관 내의 물이 정체되어 있어서 배관 내의 물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상수도용 배관을 별도로 설치하여 온 것이며, 따라서 이중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데 따른 비용이 매우 부담스러운 실정이었다.
그러므로, 소방용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 배관을 별도로 설치하지않고 상수도 배관 내에 통합하여 설치하면 배관 설치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지만, 정체수(흐르지 않는 물)에는 미생물이 번식하는 등과 같은 위생상의 문제가 있으므로, 화재 시에만 작동되어 물이 흐르는 스프링쿨러를 상수관에 연결하려면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큰 건물 내의 상수도 배관에는 여러 개의 수도꼭지가 설치되며, 이 여러 개의 수도꼭지 중에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것도 있을 수 있는 데, 이 장기간 사용하지않는 수도꼭지의 정체수에 미생물이 번식하여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정체수 방지기능을 가진 관연결구의 분기구에 수도꼭지를 직접 설치하여 배관을 연결하면 정체수를 방지하여 다른 곳의 수도꼭지에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입구와 유출구는 배관의 일측과 연결 설치되는 부분으로 용접이나 나사 결합 등과 같은 관용의 방법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배관과 결합되는 부분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기구와 스프링쿨러의 결합 방법도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 유입구
20 : 유출구
30 : 분기구
40 : 유도판
50 : 덮개
60 : 고정설치돌부

Claims (4)

  1. 유입구(10)와 유출구(20) 사이에 분기구(30)가 형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유입구(10)의 물이 유출구(20)로 방향으로 직선으로 바로 빠져나가지는 것을 방해함과 더불어 분기구(30)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판(40)이 유로 내에 설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된 물이 분기구 내의 물과 섞여 유출구로 배출되되, 상기 관연결구의 몸체 외주면에 볼트 구멍이 뚫여있는 고정설치돌부(60)가 형성된 것이 특징인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40)은 분기구 반대쪽의 관연결구 몸체에 형성된 구멍에 일측이 고정설치되고 타측은 분기구를 향하여 돌출된 판인 것이 특징인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측면 하단에 구멍이 좁아지는 단이 형성되어, 이 단진 부분에 유도판의 머리부가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구성되고, 유도판의 머리부 위에 하단면이 밀착되는 덮개(50)가 구멍에 설치된 것이 특징인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4. 삭제
KR1020110002371A 2011-01-10 2011-01-10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KR10124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71A KR101242648B1 (ko) 2011-01-10 2011-01-10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71A KR101242648B1 (ko) 2011-01-10 2011-01-10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02A KR20120080902A (ko) 2012-07-18
KR101242648B1 true KR101242648B1 (ko) 2013-03-19

Family

ID=4671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371A KR101242648B1 (ko) 2011-01-10 2011-01-10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6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08Y1 (ko) * 1992-03-11 1994-06-25 이상희 전환용 분기관
KR20000005488U (ko) * 1998-08-31 2000-03-25 정태희 상수도용 사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308Y1 (ko) * 1992-03-11 1994-06-25 이상희 전환용 분기관
KR20000005488U (ko) * 1998-08-31 2000-03-25 정태희 상수도용 사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902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214546T3 (pl) Prowadzące wodę urządzenie gospodarstwa domowego z rozdzielaczem wody
US9533893B2 (en) Faucet with built-in filter units
US9988796B2 (en) Pull-out sprayhead with improved magnetic coupling system
US20130015388A1 (en) Valve for integrating into a sanitary appliance
CA2793061C (en) Method for circulating water through the inside of a pipeline
TW200745474A (en) Internal housing for a sanitary fitting and sanitary fitting
KR101242648B1 (ko)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US20190344314A1 (en) Fixture flush apparatus and method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JP2006207371A (ja) 排水管掃除装置
KR101243929B1 (ko)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KR101517696B1 (ko) 세면대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KR20200000222U (ko) 정수기 설치용 원홀 씽크 수전
ATE516462T1 (de) Hahn
KR101449897B1 (ko) 엘보형 절수장치
US20090255860A1 (en) Greywater diversion and hair catcher assembly for baths that is comprised of the novel assembly of a hair catcher mesh cup, a two-port valve, a direct-drain waste-overflow assembly, and an indirect-drain waste-overflow assembly
KR20120000619U (ko) 이중 배출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101434410B1 (ko) 정체수 방지 기능을 가진 관연결구
JP4536589B2 (ja) 食器洗浄機
JP2013113377A (ja) 減圧弁及び減圧弁の取付方法
JP4657133B2 (ja) 水栓
KR101449896B1 (ko) 니플형 절수장치
JP2008101413A (ja) 排水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大曲継手
KR200407194Y1 (ko)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수전밸브
US20070246675A1 (en) Sill co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