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43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438B1
KR101242438B1 KR1020080084571A KR20080084571A KR101242438B1 KR 101242438 B1 KR101242438 B1 KR 101242438B1 KR 1020080084571 A KR1020080084571 A KR 1020080084571A KR 20080084571 A KR20080084571 A KR 20080084571A KR 101242438 B1 KR101242438 B1 KR 101242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key
movement
moving
movement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5849A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438B1/en
Publication of KR2010002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위치 이동 장치는 위젯 위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이동 간격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위젯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젯의 위치 결정 동작 및 상기 위젯의 위치가 결정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moving a widget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signal for moving a widget position, a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moving a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and the set movement. And a widget positio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by moving the widget at intervals,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idle screen on which the widget positioning oper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widget are determined.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대기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구성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 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분화된 이동 간격 설정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standby screen configuration operation by moving the widget included in the idle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dle screen by moving the widget with the granular movement interval setting. .

위젯, 대기화면, 위치 이동, 이동 간격, 이동 단말기 Widget, idle screen, position movement, movement interval,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본 발명은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위젯의 이동 간격을 설정하여 대기화면 상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widget 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setting a movement interval of a widget constituting the idle screen.

더욱 상세하게는, 세분화된 이동 간격을 설정하여 대기화면 상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dget position movement device and a method for moving a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setting a granular movement interval.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는 기존의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기기로 진화하였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단순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방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면서 이동 단말기는 디자인, 성능, 크기 등이 점차 진화하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는 해상도, 크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성능이 크게 증가되었다. In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terminal has evolved into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s well as a voice call service between existing users. Accordingly, mobile terminal users can us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broadcasting service as well as simple voice calls. As various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s gradually evolving in design, performance, and size. In particular,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has greatly increased display performance such as resolution and size.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중에서 대기화면은 사용 자가 처음으로 이동 단말기를 부팅하였을 때 제공되는 화면으로 아무런 키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다. 현재 대기화면은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문구, 시간, 날짜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가장 많은 횟수로 접근되는 화면이다. Among the screen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the standby screen is a screen provided when the user first boots the mobile terminal and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without any key input. Currently, the standby screen displays an image, text, time, date, etc. set by the user, and is the screen which is accessed the most times by the mobile terminal user.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의 다양화와 더불어, 이동 단말기에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대기화면을 통해 인터페이스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였다. In addition to the diversification of functions provid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interfacing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upported internally or externally through the standby screen.

이로 인해,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추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대기화면에 각 응용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사용자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위젯을 디스플레이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려는 추세에 있다. As a result, various functions are developed / added to meet these demands.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tends to perform an interface with an application by displaying a widget that can interface with a user in association with each application on an idle screen.

특히, 위젯 서비스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위젯 엔진 및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자신이 원하는 위젯을 다운받아 설치하여 사용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는 여타 대기화면 서비스가 이미 철저히 계획되고 검증된 상태로 서비스를 개발하여 개별 컨텐츠 및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레이아웃이 고정되어 향후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위젯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설치한 위젯들을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설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소 특징적인 성격을 갖는다.  In particular, the widget service has a feature that a user arbitrarily downloads and installs a desired widget on a widget engine and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an operator. This is because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with other idle screen services already thoroughly planned and verified, and the layout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dividual content and screens is fixed so that it cannot be changed in the future. It is somewhat characteristic in that it can be set by moving to a location.

하지만 아직까지 대기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여러 위젯이 사용자에 의해 추가/제거된 이후 키패드에 의해 위치이동이 필요한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식이 개발되지 못한 상황이다.However, in the aspect of providing a standby screen service, an interface method for efficiently moving a widget when a location is required by a keypad has been developed since several widgets have been added / removed by the user.

하지만, 현재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효율적인 동작 방안이 존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n efficient operation method for constituting a standby screen by moving a current widget does not exi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분화된 이동 간격 설정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widget position for moving a widget with a granular movement interval setting.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젯 위치 이동 장치에 있어서, 위젯 위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이동 간격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위젯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젯의 위치 결정 동작 및 상기 위젯의 위치가 결정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dget position movement device, comprising: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signal for widget position movement, and a movement interval for moving a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An interval setting unit, a widget positioning unit for determin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and displaying a positioning operation of the widget and an idle screen on which the position of the widget is determined It includes a display unit.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젯 위치 이동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dget position movement method, comprising: (a)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positioning a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and (b) a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And moving the position to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locating a widget is recorded, the method comprising: (a)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locating a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b)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standby screen by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is recorded.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구성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세분화된 이동 간격 설정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an idle screen configuration operation by moving a widget included in the idle scree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idle screen by moving the widget in the granular movement interval sett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위젯의 이동 간격을 설정하여 대기화면 상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the widget posi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idget position shif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setting a movement interval of a widget constituting the idle scree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위젯 위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이동 간격 설정부와,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위젯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젯의 위치 결정 동작 및 상기 위젯의 위치가 결정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signal for moving a widget position, a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moving the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and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And a widget positio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by moving the position,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idle screen on which the widget positioning oper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widget are determined.

상기 이동 간격 설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사이드 키와 볼륨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을 통해 상기 이동 간격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sets the movement interval through key input of at least one of a side key and a volume key of the input unit.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방향 이동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dget positioning unit may move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through the direction movement key input of the input unit.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를 상기 방향 이동키와 조합 입력을 통해 위젯을 위치 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may position the widget by combining a preset key with the direction movement key.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상태에서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과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dget positioning unit may move the widget by using one of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in a predetermined key input state of the input unit and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after a predetermined key input. It features.

또한, 본 발명의 위젯 위치 이동 방법은 (a)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idget position mov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position movement of the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and (b) position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on the idle screen Determin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상기 (a) 단계는 (c) 사이드 키와 볼륨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tep (a) includes (c)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using at least one of a side key and a volume key.

상기 (b) 단계는 (d) 방향 이동 키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b) includes the step of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using the (d) direction movement key.

상기 (b) 단계는 (e)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를 상기 방향 이동키와 조합 입력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tep (b) includes the step of (e) moving the widget by inputting one preset key in combination with the direction movement key.

상기 (e) 단계는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상태에서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과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e) includes moving the widget by using one of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in a predetermined key input state and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after a predetermined key input. do.

본 발명의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a)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locating a widg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includes (a)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locating a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and (b)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A program is recorded for executing the step of moving the position to determin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위젯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 위젯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이동 단말기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dget to interface with a mobile terminal user. The widget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supports interaction between an application running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컨텐츠 서비스/부가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과 이동 단말기 제어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분된다. 컨텐츠 서비스/부가 서비스 응용 프로그램은 증권, 교육, 뉴스, 방송, 검색, 교통, 음악, 게임, 운세, 쇼핑, 이메일 등에 관한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제어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은 시계, 전화번호부, 카메라, 메시지, 전자 다이어리, 벨소리, 화면설정 등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The application program is divided into a content service / additional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he content service / additional service application program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securities, education, news, broadcasting, search, transportation, music, games, fortune telling, shopping, email,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a clock, a phone book, a camera, a message, an electronic diary, a ringtone, a screen setting, and the like.

한편, 상기 위젯은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아이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get is displayed in the mobile terminal may have a variety of icons including a still image and a video.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기화면에서 위젯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상기 위젯뿐만 아니라 대기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행이 가능한 모든 인터페이스 도구들에 본 발명이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interface with a mobile terminal user is performed using a widget on an idle screen, but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ll the interface tools capable of performing the user interface through the idle screen as well as the widget. The invention can be extended and applied.

그러면 다음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구조를 하기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widget nex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통신부(111), 오디오부(113), 메모리(115), 입력부(117), 표시부(119), 이동 간격 설정부(121), 위젯 위치 결정부(12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1, an audio unit 113, a memory 115, an input unit 117, a display unit 119, a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121, and a widget positioning unit 123. It includes.

상기 통신부(111)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1 i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오디오부(113)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The audio unit 113 reproduces an audio signal and outputs it through a speaker, or processes a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상기 메모리(115)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된다. 특히, 상기 메모리(115)는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저장하며, 위젯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간격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5)는 위치 이동을 위해 설정된 이동 간격이 저장될 수도 있다. The memory 115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Programs are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programs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ata memory. In particular, the memory 115 stores at least one widget, and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widget is stored. In addition, the memory 115 may store a movement interval set for position movement.

상기 입력부(117)는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눌려지거나 터치되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입력부(117)는 위젯의 위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사이드 키, 볼륨 키, 방향 키, 숫자 키 등을 포함한다. 상기 숫자 키에는 위젯의 위치 이동에 따른 이동 방향이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일예로, '상/하/좌/우' 방향에 대응하여 '2/8/4/6', '5/0/7/9', '1/4/2/3'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매핑 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17 may be configured as a keypad or a touch screen, and when a button is pressed or touched by the user, the input unit 117 receives a user input signal. The input unit 117 receives a user input sign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widget, and includes a side key, a volume key, a direction key, a numeric key, and the like. The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dget may be mapped to the numeric key. For example, in various ways such as '2/8/4/6', '5/0/7/9', and '1/4/2/3' corresponding to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Can be mapped.

상기 표시부(119)는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 기능 수행 중 발생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 시부(119)는 위젯의 위치 이동에 따른 위치 결정 동작과 위젯의 위치가 결정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119 may be configur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displays display data generated while performing a mobile terminal function. The display unit 119 displays a position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dget and a standby scree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idget is determined.

상기 이동 간격 설정부(121)는 그리고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한다. 초기에 상기 이동 간격은 이동 단말기 내부에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간격은 일예로, 하나의 픽셀 단위 또는 미리 결정된 크기 단위(일예로, '1mm') 등과 같은 기본 단위를 기준으로 다양한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간격 설정부(121)는 상기 기본 단위가 픽셀 단위인 경우 '1', '5', '10' 픽셀 등으로 위젯 위치 이동에 따른 이동 간격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e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121 and the widget position determination unit 123 set a movement interval for positioning the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Initially, the movement interval may be set to a default value inside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movement interval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sizes based on a basic unit such as one pixel unit or a predetermined size unit (for example, '1 mm'). Therefore, when the basic unit is a pixel unit, the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121 may set various movement intervals according to widget position movement to '1', '5', and '10' pixels.

상기 이동 간격 설정부(121)는 일예로, 상기 입력부(117)의 사이드 키와 볼륨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통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간격을 결정하는 키가 볼륨 키인 경우 볼륨 업 기능을 수행하는 키는 이동 간격을 크게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볼륨 다운 기능을 수행하는 키는 이동 간격을 작게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For example, the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121 may receive a user input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a side key and a volume key of the input unit 117 to determine the movement interval. For example, when the key for determining the movement interval is a volume key, a key for performing a volume up function receives a user control signal for setting a large movement interval, and a key for performing a volume down function sets a small movement interval. Receive a user input signal for

상기 이동 간격 설정부(121)는 상기 사이드 키 또는 볼륨 키의 키입력이 존재하면, 상기 표시부(119)에 이동 간격 설정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f there is a key input of the side key or the volume key, the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121 may display a screen for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on the display unit 119.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위치 이동을 위한 위젯을 선택하고, 선택된 위젯을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치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입력부(117)의 방향 이동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한다. 상기 방향 이동 키는 이동 방향(상/하/좌/우)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키이고, 상기 방향 이동 키는 방향 키 또는 이동 방향이 매핑된 숫자 키를 포함한다.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123 selects a widget for position movement and moves the selected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123 moves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through the direction movement key input of the input unit 117. The direction movement key is a key capable of position movement in a movement direction (up / down / left / right), and the direction movement key includes a direction key or a numeric key to which a movement direction is mapped.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위젯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방향 이동 키를 사용하여 위치 이동을 수행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이동 간격이 매핑된 방향 이동 키를 사용하여 위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123 may perform a position movement using a direction movement key at a movement interval set as described above, or perform a position movement using a direction movement key to which a preset movement interval is mapped. have.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방향 키와 숫자 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향 키와 숫자 키에 서로 다른 이동 간격이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방향 키와 숫자 키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방향 키와 상기 숫자 키를 동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이동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 키에 '5' 픽셀이 설정되고 상기 숫자 키에 '1' 픽셀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방향 키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큰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숫자 키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작은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방향 키에 작은 이동 간격을 설정하고 와 상기 숫자 키에 큰 이동 간격을 설정하여 위치 이동을 할 수도 있다. The widget positioning unit 123 may use both the direction key and the number key, and different movement intervals may be mapped to the direction key and the number key. In this case, the widget positioning unit 123 may use both the direction key and the numeric key.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123 may set different movement intervals when the direction key and the numeric key are us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assume that '5' pixels are set in the direction key and '1' pixels are set in the numeric key.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123 may move the widget at a large movement interval through the user input of the direction key, and may move the widget at a small movement interval through the user input of the numeric key. On the contrary, the position movement may be performed by setting a small movement interval on the direction key and a large movement interval on and the numeric keys.

또한,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입력부의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를 상기 방향 이동 키와 조합 입력을 통해 위젯을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는 상기 입력부(117)의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일예로, '*', '#' 등) 입력 상태에서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과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123)가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와 상기 방향 이동 키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미세 조정 등과 같은 특정 기능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와 상기 방향 이동 키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미세 이동, 즉 미리 설정된 작은 이동 간격 또는 최소 이동 간격 등의 위치 이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의 큰 이동 간격 또는 최대 이동 간격 등의 위치 이동 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123 may move the widget through a combination input of a predetermined key of the input unit with the direction movement key. For example, the widget positioning unit 123 uses a direction movement key in a state of inputting one preset key (eg, '*', '#', etc.) of the input unit 117 and one preset. After the key input, the widget may be moved by using one of the methods of using the navigation keys. When the widget positioning unit 123 combines one preset key and the direction movement key, the widget positioning unit 123 may be applied to a specific function such as fine adjustment. When combining the one preset key and the direction movement key, a fine movement, that is, a position movement method such as a preset small movement interval or minimum movement interval may be applied.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position movement method such as a large movement interval or a maximum movement interval.

그러면 다음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구조를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widget nex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211단계에서 이동 단말기는 위젯의 이동 간격을 설정할 것인지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2, in step 211,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set a movement interval of the widget.

상기 확인결과 이동 간격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213단계로 진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interval is not se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3.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이동 간격을 위젯의 이동 간격으로 설정하고 217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디폴트 값으로 저장된 이동 간격을 위젯의 이동 간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In step 213, the mobile terminal sets a preset movement interval as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widget and proceeds to step 217. Here, the mobile terminal may set the movement interval stored as a default value as the movement interval of the widget.

상기 확인결과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215단계로 진행한다. In case of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5.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위젯의 이동 간격을 설정하고 2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이동 간격은 다양한 크기로 설정이 가능하며, 위젯을 사용자가 원하는 In step 215, the mobile terminal sets a movement interval of the widget and proceeds to step 217. The movement interval can be set to various sizes, the user wants the widget

상기 217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위치 이동할 위젯을 선택하고 2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 이동을 위한 위젯을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211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In step 217, the mobile terminal selects a widget to move the position and proceeds to step 219. The operation of selecting a widget for moving the location by the mobile terminal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211.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대기화면에 위젯의 위치를 결정하고 2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에 위젯의 위치를 결정한다. In step 219,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and proceeds to step 221.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by moving the selected widget.

상기 221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위젯의 위치 이동을 종료할 것인지 판단한다. In step 221,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end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dget.

상기 판단결과 위젯의 위치 이동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211단계로 진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widget does not e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1.

상기 판단결과 위젯의 위치 이동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widget is terminated, the procedure ends.

그러면 다음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표시부를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display unit constituting the standby screen by moving the widget nex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standby screen by moving a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a'는 위젯의 위치 이동을 위한 메뉴 선택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기화면은 다수개의 대기화면 패널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대기화 면 패널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대기화면 패널에 대한 '1. 패널 설정(311)' 메뉴를 이동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Referring to FIG. 3, 'a' shows a menu selection for moving a position of a widget. The standby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one standby screen panel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standby screen panels.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1. The panel setting 311 'menu is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user.

'b'는 대기화면 또는 대기화면 패널에 대해서 위젯의 위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선택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패널 설정 메뉴 입력에 따라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2. 위젯 위치 변경(321)' 메뉴를 이동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b' shows a menu selection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widget with respect to the idle screen or the idle screen panel.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move the widget according to the panel setting menu input. The widget location change 321 'menu is input from the mobile terminal user.

'c'는 위젯의 위치 이동을 위한 이동 간격의 설정 또는 위젯의 위치 이동을 위한 알림 메시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알림 메시지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사용자는 사이드 키 또는 볼륨 키를 선택하여 이동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c' shows a notification message for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widget 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widget. In the notification message state, the mobile terminal user may select a side key or a volume key to set a movement interval.

상기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것은 하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알림 메시지에서 방향 이동 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화면으로 전환된다. 만약, 상기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일예로 타임아웃 시간(일예로, 2초)을 설정하여 타임아웃 시간 동안 별도의 키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화면으로 전환한다. When the direction movement key is selected in the notification message, the widget is switched to a screen for moving the position. If the notification message is displayed, for example, a timeout time (for example, 2 seconds) is set to switch the widget to a screen for moving the position if a separate key input does not exist during the timeout time.

'd'는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위치 이동 위젯(341)을 상/하/좌/우 방향 이동 키를 사용하여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에서 위젯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하단의 '저장' 메뉴를 선택하여 위젯의 위치 결정이 완료되면 해당 대기화면 또는 대기화면 패널을 저장할 수 있다. 'd' illustrates a drawing of moving the widget. The position movement widget 341 may be moved by using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 movement key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idget on the idle screen. When the location of the widget is completed by selecting the 'Save' menu at the bottom, the corresponding idle screen or idle screen panel can be saved.

그러면 다음으로 위젯의 위치 이동을 위해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표시부를 하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display unit for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for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dg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for setting a moving interv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a'는 사이드 키 또는 볼륨 키를 사용하여 위젯의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위젯의 이동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볼륨 키 중에서 볼륨 업 키(411)가 입력되고 있다. Referring to FIG. 4, 'a' is a diagram for setting a moving interval of a widget by using a side key or a volume key. In the mobile terminal, a volume up key 411 is input among volume keys for setting a movement interval of a widget.

'b'는 상기 볼륨 업 키 설정에 따른 이동 간격(421)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이동 간격(421)은 픽셀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동 간격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 볼륨 업 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간격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b' displays a movement interval 421 according to the volume up key setting. In this case, the movement interval 421 may be set in pixels, and the movement interval 421 is numerically displayed. Therefore, the movement interval can be set large using the volume up key.

본 발명은 위젯이 이동할 이동 간격(또는 이동 폭)을 설정함으로서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대기화면 상에 원하는 위치로 위젯을 이동하고 위젯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대기화면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user can move the widget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idle screen and position the widget by setting a movement interval (or movement width) to move the widge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ized standby screen for a mobile terminal user.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된 키패드를 이용한 위젯의 위치 이동의 경우 가장 편리한 위치 이동 방식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입력 회수를 최소화하고, 제공 가능한 최소 이동 단위를 여러 단계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서 조작 편의성을 증가시킨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widget using the keypa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convenient position movement method is provided, and the operation convenience is increased by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inputs of the user and setting the minimum movement unit that can be provided in several steps. Let's do i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 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수준에까지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claims not only extends to the scope of the claims, but also to the equivalents thereof.

상술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위젯 위치 이동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대기화면에 포함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widget location mo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can configure a standby screen by moving a widget included in the idl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moving a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3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constituting a standby screen by moving a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for setting a moving interv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 통신부 113: 오디오부 111: communication unit 113: audio unit

115 : 메모리 117 : 입력부 115: memory 117: input unit

119 : 표시부 121 : 이동 간격 설정부 119: display unit 121: moving interval setting unit

123 : 위젯 위치 결정부123: widget positioning unit

Claims (17)

위젯 위치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signal for moving the widget position;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이동 간격 설정부와,A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moving the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위젯 위치 결정부와,A widget position determiner which determines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상기 위젯의 위치 결정 동작 및 상기 위젯의 위치가 결정된 대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position determining operation of the widget and a standby screen on which the position of the widget is determined;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방향 이동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시키되, 방향 키와 이동 방향이 매핑된 숫자 키를 동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이동간격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widget position determiner may move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through the direction movement key input of the input unit, but different movement intervals are set when the direction key and the numeric key mapped with the movement direction are simultaneously used.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간격 설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사이드 키와 볼륨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을 통해 상기 이동 간격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ovement interval setting unit sets the movement interval through key input of at least one of a side key and a volume key of the input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 이동 키는 방향 키와 이동 방향이 매핑된 숫자 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direction movement key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number key mapped with the direction key and the movement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를 상기 방향 이동키와 조합 입력을 통해 위젯을 위치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nd the widget positioning unit moves the widget by combining a preset key of the input unit with the direction movement key. 제 5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위젯 위치 결정부는 상기 입력부의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상태에서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과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widget positioning unit may move the widget by using one of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in a predetermined key input state of the input unit and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after a predetermined key input.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간격은 픽셀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nd the movement interval is in units of pixels. (a)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a)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positioning the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b)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b) determin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상기 (b) 단계는, In step (b), (d) 방향 이동 키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d) position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by using the direction movement key, 상기 방향 이동 키는 방향 키와 이동 방향이 매핑된 숫자 키를 동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이동 간격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위치 이동 방법.The direction movement key is a widget position mov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movement intervals are set when a direction key and a numeric key mapped with the movement direction are used at the same tim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a) 단계는 The step (a) (c) 사이드 키와 볼륨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위치 이동 방법. (c) setting the movement interval using at least one of a side key and a volume key.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방향 이동 키는 방향 키와 이동 방향이 매핑된 숫자 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위치 이동 방법. And the direction movement key is at least one of a number key mapped with a direction key and a movement dir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b) 단계는 Step (b) is (e)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를 상기 방향 이동키와 조합 입력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위치 이동 방법. and (e) positioning the widget by inputting a predetermined key in combination with the direction movement key.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e) 단계는 Step (e) is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상태에서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과 미리 설정된 하나의 키 입력 이후에 방향 이동키를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위치 이동 방법. And positioning the widget using one of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in a preset key input state and a method of using a direction key after a predetermined key input.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이동 간격은 픽셀 단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젯 위치 이동 방법. And the movement interval is a pixel unit.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In th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moving the widget position, (a) 적어도 한 개의 이동 간격들 중에서 위젯을 위치 이동하기 위한 이동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와,(a) setting a movement interval for positioning the widget among at least one movement interval, (b)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b) determin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widget on a standby screen by mov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상기 (b) 단계는, In step (b), (d) 방향 이동 키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된 이동 간격으로 위젯을 위치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향 이동 키는 방향 키와 이동 방향이 매핑된 숫자 키를 동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이동 간격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d) positioning the widget at the set movement interval by using the direction movement key, wherein the direction movement ke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direction key and the numeric key mapped with the movement direction are simultaneously used.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teps is recorded.
KR1020080084571A 2008-08-28 2008-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KR101242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71A KR101242438B1 (en) 2008-08-28 2008-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571A KR101242438B1 (en) 2008-08-28 2008-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849A KR20100025849A (en) 2010-03-10
KR101242438B1 true KR101242438B1 (en) 2013-03-12

Family

ID=4217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571A KR101242438B1 (en) 2008-08-28 2008-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4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469A (en) * 2006-02-23 2007-08-28 이의복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pointer processing modu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7469A (en) * 2006-02-23 2007-08-28 이의복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pointer processing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849A (en)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650B1 (en)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in idle screen of mobile terminal
KR101640460B1 (en) Operation Method of Split Window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855452B1 (en)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KR101841574B1 (en) Detecting method for a certain cut of Moving Image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2151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idle screen
EP1926294A1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chancing display screen using the same
JP2007251920A (en) High-speed application access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device required thereby
KR201200797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KR201100930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of list in portable terminal
US20180232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KR1006509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lural screens at the same time in the mobile phone
KR20010054523A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keypad selection method
JP2007141064A (en) Portable terminal and menu display switching method
KR1012424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idget location 0n a idle screen
KR10070501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sk Manager ind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7226712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language selection method thereof
KR100783114B1 (en) Method for scanning a list in mobile phone
KR1012238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acity scacle of widget loading
JP2003174497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0757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character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3437B1 (en) Method for standby scree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JP2012203769A (en) Electronic apparatus, appli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pplication determination program
KR100791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upply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command input window
KR100619947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terminal
KR10072371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Menu list by contents dynamic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