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01B1 -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01B1
KR101242101B1 KR1020110113686A KR20110113686A KR101242101B1 KR 101242101 B1 KR101242101 B1 KR 101242101B1 KR 1020110113686 A KR1020110113686 A KR 1020110113686A KR 20110113686 A KR20110113686 A KR 20110113686A KR 101242101 B1 KR101242101 B1 KR 10124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time
progra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현
윤홍수
김철민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채널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예: 디지털 TV, 셋톱박스)에서 종래에 단순히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오프시에 제공되던 채널의 프로그램을 다시 전원을 온으로 한 경우 그대로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다시 채널을 재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그동안의 사용 행태를 누적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때그때 가장 적합한 방송 채널을 자동 제공해줄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채널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예: 디지털 TV, 셋톱박스) 상에서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으로 된 경우 시청자에게 가장 적합한 채널을 자동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단순히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오프시에 제공되던 채널을 단순히 제공하여 시청자가 다시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대 별로 세분화된 채널 자동설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채널 자동설정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channels as to power on/off of broadcasting receiver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utomatic channel sett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수의 채널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상에서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으로 된 경우 시청자에게 적합한 채널을 자동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단순히 방송쉰장치의 전원 오프시에 제공되던 채널의 프로그램을 다시 전원을 온으로 한 경우 그대로 제공하여 시청자가 다시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방송 환경은 풍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여러 전송 옵션에 의해 사용자에게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다. 케이블이나 위성 텔레비전(이하, TV)에서는 대략 수백 개의 채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 다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사용자들은 각자 자신의 기호에 따라 채널을 선택한다. 공중파, 케이블, 인터넷 방송을 포함하여 수백 내지 수천 개의 상이한 프로그램 채널들이 방송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 디지털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종래에는 비교적 제한되었던 채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HD-TV, SD-TV, 그 밖의 스마트 TV와 같은 디지털 TV가 보편화 되면서 이러한 방송수신장치는 수많은 채널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편리하게 선택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불필요한 채널을 채널리스트 상에서 지울 수 있는 기능이 적용되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채널 업/다운키를 조작하여 채널을 전환하게 되면 지움 채널을 건너뛰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방송채널 중에서 사용자들이 각자 선호하는 채널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아이디어가 나름대로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방송수신장치를 시청하다가 동작 전원을 오프(OFF)하고 다시 온(ON)으로 하면 그 오프시키기 전에 시청하던 채널이 다시 나온다. 예를 들어 방송채널 11번을 시청하던 중에 동작전원을 끄고, 한참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동작전원을 켜면 다시 11번으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다시 자기가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방송 채널의 개수가 적을 경우에는 이처럼 채널을 재설정하더라도 별달리 불편함이 없으나, 디지털 방송,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에서와 같이 채널 개수가 다수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최대한 보조해줄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관련기술문헌]
1. TV 방송채널 변경 방법 및 그를 채용한 디지털 TV(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43237호)
2. 티브이 방송 채널간의 선호 채널 알람 방법(특허출원번호 제10-1999-00027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채널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예: 디지털 TV, 셋톱박스)에서 종래에 단순히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오프시에 제공되던 채널의 프로그램을 다시 전원을 온으로 한 경우 그대로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다시 채널을 재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그동안의 사용 행태를 누적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때그때 가장 적합한 방송 채널을 자동 제공해줄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은,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의 방송채널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채널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채널 네비게이션에 대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2 단계; 방송수신장치가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에 다시 전원이 온 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제 4 단계; 방송수신장치가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최대선호 채널로 자동 설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에서, 제 2 단계는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날짜와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구축하고, 제 4 단계는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 된 시점의 날짜와 시간을 고려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단계는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요일 정보를 더 반영하여 구축하고, 제 4 단계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 된 시점의 요일 정보를 더 고려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은,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현재 시간에서의 최대선호 채널을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최대선호 채널에 따른 현재 방송프로그램(이하,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체크 결과로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원래 방송시간에 따른 채널 선호도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원래 방송시간에 따른 채널 선호도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은, 제 4 단계와 제 5 단계 사이에,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프로그램 시간정보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에 따른 현재의 방송프로그램(이하,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을 획득하는 단계와,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동된 경우에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원래 방송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와, 원래 방송 시간에서 최대선호 채널에 대한 채널 선호도(이하, '과거 선호도')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단계와,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시간에 대한 차선호 채널을 획득하는 단계와, 과거 선호도와 차선호 채널의 선호도를 비교하여 더 높은 채널로 최대선호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4-5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은, 제 3 단계와 제 4 단계 사이에, 방송수신장치가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에 다시 전원이 온 될 때까지의 인터벌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인터벌 시간과 미리 설정된 임계간격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로 인터벌 시간이 임계간격 이하인 경우에 방송수신장치가 동작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에 설정되었던 채널을 복원하여 자동 설정하고 종료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로 인터벌 시간이 임계간격 이상인 경우에는 제 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3-4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채널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예: 디지털 TV, 셋톱박스) 상에서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으로 된 경우 시청자에게 가장 적합한 채널을 자동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단순히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오프시에 제공되던 채널을 단순히 제공하여 시청자가 다시 채널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대 별로 세분화된 채널 자동설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채널 자동설정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이 제공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셋톱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이 제공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 1 셋톱박스(20-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이 제공되는 시스템은 다수의 디지털 TV(10-1 내지 10-n, n은 자연수), 다수의 셋톱박스(20-1 내지 20-n, n은 자연수), 통신망(30), 컨텐츠 제공서버(40)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에 따른 본 실시예는 통신망(30)을 통해 셋톱박스(20-1 내지 20-n)와 컨텐츠 제공서버(40)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비롯한 각종 데이터가 제공되고, 셋톱박스(20-1 내지 20-n)와 디지털 TV(10-1 내지 10-n)가 결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구성한 후에 사용자가 디지털 TV의 동작 전원을 온/오프하는 이벤트를 셋톱박스에서 검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는 상이한 구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상파, 케이블, 인공위성 방송 등에서는 방송국으로부터 일방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이 브로드캐스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지털 TV 일체형으로 방송수신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고, 셋톱박스에서 디지털 TV의 동작 전원이 아닌 자체(즉, 셋톱박스)의 동작 전원을 온/오프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셋톱박스에서 디지털 TV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동기화하는 기술수단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하, [도 1]과 [도 2]에 따른 제 1 셋톱박스(20-1)의 구성을 중심으로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이 제공되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셋톱박스(20-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 2 셋톱박스(20-2) 내지 제 n 셋톱박스(20-n)도 공통적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한다.
제 1 셋톱박스(20-1)는 송수신부(21), I/O 인터페이스(22), 카메라(23), 제어부(24), 저장부(2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I/O 인터페이스(22)는 제 1 디지털 TV(10-1)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주변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로 일 실시예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BS)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계정 설정수단(23a), 프로그램 수집수단(23b), 채널정보 수진수단(23c),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을 포함한다.
각 모듈(23a 내지 23d) 또는 각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23)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계정 어플리케이션(이하, APP) 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계정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계정 설정수단(23a)은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며, 제 1 디지털 TV(10-1), 제 1 디지털 TV(10-1)와 연결된 제 1 셋톱박스(20-1)의 동작 전원이 온(ON)으로 되면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의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이때, 계정 설정수단(23a)에 의해 수행되는 로그인은 사용자로부터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에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거나, 제 1 디지털 TV(10-1)와 제 1 셋톱박스(20-1)의 전원 온에 따자 자동적인 로그인을 수행한다. 방송수신장치의 사용자에 따라서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계정 설정수단(23a)이 필요하다. 하지만, 개별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계정 설정수단(23a) 내지 사용자 계정에 관련된 기술적 수단은 불필요하게 된다.
프로그램 수집수단(23b)은 로그인이 완료되면 혹은 로그인과는 무관하게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채널별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프로그램 수집수단(23b)은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의 요청에 따른 채널(이하, '요청 채널')의 프로그램을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제 1 디지털 TV(10-1)로 제공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IPTV 등과 같이 인터넷 기술 기반의 경우에 적합하며, 지상파 방송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로 주파수를 튜닝하고 그에 따라 해당 채널로 제공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수집한다.
채널정보 수집수단(23c)은 제 1 디지털 TV(10-1)로 요청 채널의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요청 이벤트를 채널별로 카운팅하여, 채널별 카운팅 수를 채널별로 저장부(24)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채널정보 수집수단(23c)에 의해 수행되는 채널별 카운팅 수행은 제 1 디지털 TV(10-1) 또는 제 1 셋톱박스(20-1)의 전원이 오프(OFF) 될 때까지 수행되며, 제 1 디지털 TV(10-1) 사용자의 특정 채널 요청에 의한 요청 이벤트에 따른 빈도수가 최대인 채널을 실시간 업데이트 되어 저장부(24)에 저장된다.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제 1 디지털 TV(10-1)의 동작 전원이 오프 된 뒤에 다시 전원이 온 되는지 여부를 I/O 인터페이스(22)를 모니터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 1 셋톱박스(20-1)의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에서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다. 방송수신장치의 자체 동작전원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방식에서는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불필요한 구성요소이다.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모니터링에 따라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 된 뒤, 다시 전원이 온으로 된 경우 저장부(23)에 업데이트 되어 저장된 최대 빈도수의 채널에 해당하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통신망(4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요청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 1 디지털 TV(10-1)로 제공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채널정보 수집수단(23c)은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OFF) 될 때까지 요청 이벤트에 따른 각 채널별 빈도수를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저장부(24)에 저장한다. 이후, 채널정보 수집수단(23c)은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 된 뒤에 다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다시 온 되는 시간대의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을 저장부(24)에서 독출한다.
채널정보 수집수단(23c)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이 있는 경우에는 채널정보 수집수단(23c)은 그 최대 빈도수를 갖는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요청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요청한 채널의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 뒤, 그 프로그램을 수신한 후에는 그 방송 프로그램을 제 1 디지털 TV(10-1)에 제공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컨텐츠 제공서버(40)는 최대 빈도수를 갖는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방송시간이 지연되지 않은 경우 방송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대체하여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하여 제 1 디지털 TV(10-1)로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위 판단 결과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 된 시점에 시청한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요청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이후, 디지털 TV 동기화수단(23d)은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요청한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 1 디지털 TV(10-1)에 제공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이나 디지털 지상파 방송과 같은 환경을 가정한 것으로, 방송수신장치가 자신의 동작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먼저, 방송수신장치의 사용자가 예컨대 리모컨을 사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조작하며, 이러한 조작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는 다수의 채널 간에 채널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게 된다(S31).
이러한 채널 네비게이션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채널 사용에 따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S32).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는 방송수신장치 내부에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된 외부의 별도 서버에서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방송수신장치에서 방송 채널의 사용 빈도수를 기준으로 구축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 빈도수에 더하여 사용 시간, 즉 개별 채널을 얼마나 오랫동안 시청하고 있었는지에 관한 정보도 함께 반영하여 구축한다.
추가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날짜, 시간, 요일 등과 같은 캘린더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은 일주일을 주기로 편성되며, 사람들의 생활 패턴은 한달을 주기로 대략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에 있어서 단순히 몇번 채널을 가장 많이 시청한다는 것에서 더 나아가, 날짜, 요일, 시간대 별로 채널의 선호도(사용 빈도수)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프로그램이 일주일 주기로 편성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주로 요일과 시간을 기준으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날짜 정보까지 더 반영한다면 더욱 정확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 계정 서비스(예: 댁내 사용자별 로그인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에 관한 정보도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 계정 서비스를 적용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별달리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반영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데, 이를 통해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S33). 각종 행사나 운동경기와 같은 이벤트로 인하여 프로그램 편성 시간은 가끔씩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디지탈 방송환경에서 방송사는 프로그램 편성시간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한다. 프로그램 편성시간이 변경된 동안에는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실제 방송되는 프로그램 상황과 일시적으로 부정확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반영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반영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전원을 오프로 하였다가 다시 온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방송수신장치가 방송 채널을 자동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S34 ~ S38).
먼저, 방송수신장치는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에 다시 전원이 온 되는 이벤트를 검출하고(S34), 방송수신장치의 동작 전원이 오프에서 온되는 시점 사이의 인터벌 시간(interval time)을 측정한다(S35).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벌 시간이 상당히 짧을 때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잘못 조작한 후에 이를 정정하는 동작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생각하고 그 직전의 채널을 복원해준다. 이를 위해, 인터벌 시간과 미리 설정된 임계치(예: 10초)를 비교하고(S36), 만일 인터벌 시간이 임계치에 비해 작으면 전원오프 직전의 채널을 복원해준다(S39).
반면, 인터벌 시간이 임계치에 비해 큰 경우에는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고(S37) 방송수신장치의 방송 채널을 그 최대선호 채널로 자동 설정해준다(S38). 즉,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주로 많이 시청하는 방송채널에 대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그러한 정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가장 시청할 확률이 높은 채널로 자동 설정해주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패턴은 요일, 시간, 날짜에 따라 변동을 보이므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는에 대해서 날짜, 요일,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계정까지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제공받는다(S41). 방송프로그램 편성 시간은 가끔씩 변동되므로 그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이다. 이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변동 이후의 전체적인 방송 편성시간을 제공받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해당 변동되는 방송시간에 관한 정보만 선별하여 제공받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현재 시간에서의 최대선호 채널을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데(S42),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방송 편성시간이 변동된 경우에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전체적으로 재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시청할 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먼저 최대선호 채널을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최대선호 채널에 따른 현재 방송프로그램(이하,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43). 즉, 최대선호 채널에 대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이 원래부터 그 시간에 방송되어왔던 것인지 아니면 원래는 다른 시간대에 편성되었다가 갑자기 방송시간이 변동되어 지금 방송되고 있는 것인지를 확인한다.
그 체크 결과,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는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원래 방송시간에 따른 채널 선호도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다(S44). 즉, 당해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진정한 채널 선호도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어서, 원래 방송시간에 따른 채널 선호도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해주며(S45), 이를 통해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를 항상 높게 유지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이와 같은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 재설정 동작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를 오프에서 온으로 설정하였을 때에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오프에서 온으로 설정했을 때에는 신속히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시간을 소요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 재설정 동작을 가끔씩 수행해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제공받고(S51), 프로그램 시간정보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에 따른 현재의 방송프로그램(이하,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을 획득하며(S52),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동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S53),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그 결과,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동된 경우에는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원래 방송 시간을 획득하고(S54), 원래 방송 시간에서 최대선호 채널에 대한 채널 선호도(이하, '과거 선호도')를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다(S55).
그리고 나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시간에 대한 차선호 채널(즉, 현재 시간에 대해 사용자의 채널 선호도가 2번째로 높은 방송 채널)을 획득하고(S56), 최대선호 채널의 과거 선호도와 차선호 채널의 현재 선호도를 비교하여(S57) 더 높은 채널로 최대선호 채널을 설정한다(S58).
이는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설정한 경우에 즉시 시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한 동작이다. 현재 시간에 대한 방송 편성 시간이 변동된 경우에는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최대선호 방송 프로그램이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차순위 채널로 방송채널을 자동 변경하려는 것이며, 다만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를 감안하여 최대선호 채널의 과거 선호도와 차선호 채널의 현재 선호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방송 채널을 설정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비교적 특수하게 구성한 실시예를 [도 6]과 [도 7]을 통해 제시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이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되었던 예컨대 IPTV 등의 기술적 구성에 적합한 방식이며, 특히 셋톱박스에서 디지털 TV의 동작 전원을 모니터링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디지털 TV(10-1)와 제 1 디지털 TV(10-1)에 연결된 제 1 셋톱박스(20-1)의 동작 전원이 온(ON)된다(S1).
단계(S1)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사용자로부터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에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거나, 단계(S1)의 제 1 디지털 TV(10-1)와 제 1 셋톱박스(20-1)의 전원 온에 따자 자동적인 로그인을 수행한다(S2).
단계(S2)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채널별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수신한다(S3).
단계(S3)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요청 채널의 프로그램을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제 1 디지털 TV(10-1)로 제공하며, 요청 채널에 대한 카운팅을 수행한다(S4).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셋톱박스(20-1)는 제 1 디지털 TV(10-1)로 요청 채널의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요청 이벤트를 채널별로 카운팅하여, 채널별 카운팅 수를 채널별로 저장부(24)에 저장한다.
단계(S4)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까지 단계(S4)에 의한 요청 이벤트에 따른 빈도수가 최대인 채널을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지정한 뒤, 저장부(24)에 저장한다(S5).
단계(S5)에서의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된 뒤, 다시 전원이 온되는 경우, 제 1 셋톱박스(20-1)는 단계(S5)에서 지정된 최대 빈도수의 채널에 해당하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통신망(4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요청한다(S6).
단계(S6)에 따라, 제 1 셋톱박스(20-1)는 단계(S6)에서 수신된 프로그램을 제 1 디지털 TV(10-1)로 제공한다(S7).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단계(S11) 내지 단계(S14)는 단계(S1) 내지 단계(S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S14)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OFF) 될 때까지 단계(S14)에 의한 요청 이벤트에 따른 각 채널별 빈도수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며, 저장부(24)에 저장한다(S15).
단계(S15)에서의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 된 뒤, 다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제 1 셋톱박스(20-1)는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온 되는 시간대의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을 저장부(24)에서 독출한다(S16).
단계(S16)에 따라, 제 1 셋톱박스(20-1)는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단계(S17)의 판단결과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이 있는 경우, 제 1 셋톱박스(20-1)는 최대 빈도수를 갖는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요청한다(S18).
이에 따라, 제 1 셋톱박스(20-1)는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단계(S18)에서 요청한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 1 디지털 TV(10-1)에 제공한다(S19).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컨텐츠 제공서버(40)는 최대 빈도수를 갖는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방송시간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방송시간이 지연되지 않은 경우 방송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대체하여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하여 제 1 디지털 TV(10-1)로 제공되도록 한다.
한편, 단계(S17)의 판단결과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채널이 없는 경우, 제 1 셋톱박스(20-1)는 제 1 디지털 TV(10-1)의 전원이 오프 된 시점에 시청한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통신망(30)을 통해 컨텐츠 제공서버(40)로 요청한다(S20).
단계(S20)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컨텐츠 제공서버(40)로부터 단계(S20)에서 요청한 채널의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 1 디지털 TV(10-1)에 제공한다(S21).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 10-n: 제 1 내지 제 n 디지털 TV
20-1 ~ 20-n: 제 1 내지 제 n 셋톱박스
21: 송수신부
22: I/O 인터페이스
23: 제어부
23a: 계정 설정수단
23b: 프로그램 수집수단
23c: 채널정보 수집수단
23d: 디지털 TV 동기화수단
24: 저장부
30: 통신망
40: 컨텐츠 제공서버

Claims (7)

  1.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의 방송채널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채널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채널 네비게이션에 대한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 2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에 다시 전원이 온 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에 다시 전원이 온 될 때까지의 인터벌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인터벌 시간과 미리 설정된 임계간격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로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임계간격 이하인 경우에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동작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에 설정되었던 채널을 복원하여 자동 설정하고 종료하는 반면, 상기 비교 결과로 상기 인터벌 시간이 상기 임계간격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제 4 단계;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제 5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전원이 온 되었을 때 상기 최대선호 채널로 자동 설정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요일과 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구축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 된 시점의 요일과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날짜 정보를 더 반영하여 구축하고,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전원이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 된 시점의 날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최대선호 채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제공받고, 현재 시간에서의 최대선호 채널을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최대선호 채널에 따른 현재 방송프로그램(이하,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로 상기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 상기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원래 방송시간에 따른 채널 선호도를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원래 방송시간에 따른 채널 선호도를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를 재설정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시간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프로그램 시간정보로부터 상기 최대선호 채널에 따른 현재의 방송프로그램(이하,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을 획득하고, 상기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방송편성 시간이 변동된 경우에 상기 최대선호 방송프로그램의 원래 방송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원래 방송 시간에서 상기 최대선호 채널에 대한 채널 선호도(이하, '과거 선호도')를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채널사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시간에 대한 차선호 채널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선호도와 상기 차선호 채널의 선호도를 비교하고, 상기 선호도 비교 결과 더 높은 선호도를 갖는 채널로 상기 최대선호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113686A 2011-11-03 2011-11-03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24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86A KR101242101B1 (ko) 2011-11-03 2011-11-03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86A KR101242101B1 (ko) 2011-11-03 2011-11-03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101B1 true KR101242101B1 (ko) 2013-03-11

Family

ID=4818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86A KR101242101B1 (ko) 2011-11-03 2011-11-03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975A (ko) * 1999-01-28 2000-08-16 구자홍 티브이(tv) 방송 채널간의 선호 채널 표시방법
KR20060035286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전환방법 그리고 선호채널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70013065A (ko) * 2005-07-25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경 채널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975A (ko) * 1999-01-28 2000-08-16 구자홍 티브이(tv) 방송 채널간의 선호 채널 표시방법
KR20060035286A (ko) * 2004-10-22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전환방법 그리고 선호채널 표시방법 및 장치
KR20070013065A (ko) * 2005-07-25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경 채널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9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imes to perform software updates on receiving devices
US90157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ic television channel change
CN1157056C (zh) 在多制式数字电视产品中自动设置时间信息的方法和装置
US9723371B2 (en) Systems and method for timing commercial breaks
US20120002111A1 (en) Synchronization of 2nd screen applications
US8285814B2 (en) Generation of data concerning reception of media content at a communication device
US9749689B2 (en) Intelligent recording of favorite video content using a video services receiver
US201402083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interrupted broadcast content provisioning
CA3047655C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ng content based on time of day
US20140101682A1 (en) Television auto-tune based on habitual viewing behaviors
KR20150111760A (ko) 사용자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영상 서비스를 연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2355498A1 (en) Receiving external recording commands at a television receiver
KR101242101B1 (ko) 방송수신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채널 자동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채널 자동설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2217323A (zh) 用于经由交互式触发器来设置计时器的系统和方法
US10506194B2 (en) Enhanced display panels of television receiving devices and methods
WO2018121934A1 (en)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hav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KR102606088B1 (ko) 선호채널 제공 시스템
US202203302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ignal analysis and reporting among rf receiver devices
KR1006530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프로그램 가이드 제어 방법
KR102269928B1 (ko)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5167664A (ja) 番組情報システム
EP2929692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preferred television networks
EP2891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dvertising into a video signal at a receiving device not having a digital video recorder ( non-dvr) receiver
JP2003503916A (ja) テレビ番組ガイド
KR19980038721A (ko) 유럽향 브이시알의 국가간 이동시 예약녹화 시스템을 이용한 시차 자동 보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