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919B1 -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919B1
KR101241919B1 KR1020110053633A KR20110053633A KR101241919B1 KR 101241919 B1 KR101241919 B1 KR 101241919B1 KR 1020110053633 A KR1020110053633 A KR 1020110053633A KR 20110053633 A KR20110053633 A KR 20110053633A KR 101241919 B1 KR101241919 B1 KR 101241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data
display device
user
displa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600A (ko
Inventor
박순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9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84Data processing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제1서버에 액세스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제2서버에 다운로드 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1메시지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 시키는 컨펌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제1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2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CONNECTED TO AT LEAST TWO SERV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SERVER CONNECTED TO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 해당한다.
최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 등에 접속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TV가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TV(예를 들어, 스마트 TV)의 사용자가 웹서핑을 하다가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TV의 메모리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나아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동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TV를 이용하여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TV의 메모리 용량과 관계없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웹서핑 과정에서 검색한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간 프로토콜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전술한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저에 대한 디렉토리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에 대한 디렉토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서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액세스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제1서버에 액세스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데이터를 제2서버에 다운로드 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1메시지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 시키는 컨펌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제1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2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TV의 메모리 용량과 관계없이 대용량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웹서핑 과정에서 검색한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버와 디스플레이 장치간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개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개의 서버들간 전송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스텝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가 디스플레이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휴대폰, 스마트폰 등) 또는 여러가지 타입의 TV 등에 해당한다. 전술한 TV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네트워크 TV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TV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자명하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개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복수개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TV(101)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해당한다. 제1서버(110)는, 예를 들어 웹서버에 해당한다. 상기 웹서버는, 웹 페이지(HTML 파일)를 제공해 주는 서버를 말하는 것으로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도메인 이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2서버(120)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해당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유저별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서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는 유저가, 웹서핑을 하다가 상기 제1서버(110)에 존재하는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 싶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서버(110)의 URL 정보를 상기 제2서버(120)에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파일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제2서버(120)는, 상기 제1서버(110)에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또한, 데이터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2서버(120)는 이를 고지하는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반드시 온 상태일 필요가 없으며, 유저는 다른 프로그램 또는 다른 기능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 나아가,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 용량이 작아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클라우드 서버에 별도의 웹브라우져가 필요 없는 장점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개의 서버들간 전송되는 데이터를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2를 참조(도 1 보조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개의 서버들간 전송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웹브라우져를 이용하여 웹서핑을 수행한다(S201).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유저가 제1서버(210)에서 제공하는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서버(220)에 접속하여 디렉토리 구조를 요청한다(S202). 전술한 S202 단계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데이터 포맷은 도 3과 같이 설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상기 제2서버(220)를 사용하는 유저에게 사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ID 및 패스워드 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2서버(220)는 각각의 사용자별로 별도의 데이터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서버(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디렉토리 구조에 대한 정보를 리턴한다(S203). 전술한 S203 단계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데이터 포맷은 도 4와 같이 설계 가능하다. 도 4의 (b)에 도시된 디렉토리 구조를, XML 형태로 표현하면 도 4의 (a)와 같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유저가, 디렉토리 구조에서 어떤 폴더에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스텝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제2서버(220)에게 URL 정보와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위치를 설정한 정보를 전송한다(S204). 상기 URL 정보는, 예컨대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서버(210)의 어드레스 정보에 해당한다. 전술한 S204 단계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데이터 포맷은 도 5와 같이 설계 가능하다. 도 5에서 LOCATION 값에 해당하는 "2"는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디렉토리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ID 값이, 전술한 디렉토리 위치를 식별한다. 즉, 도 4 및 도 5를 해석하면, download.zip 파일을 root 디렉토리 하위에 위치하고 있는 game 디렉토리에 다운로드 하라고 명령하는 것이다.
상기 제2서버(220)는, 지정된 URL에 접속하여 상기 제1서버(210)로부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도 5에서 지정한 game 디렉토리에 저장한다(S205). 다운로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http 또는 ftp 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데이터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2서버(220)는 다운로드 완료를 고지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S206). 전술한 S206 단계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데이터 포맷은 도 6과 같이 설계 가능하다. 또한, 상기 S206 단계를 생략하고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권리범위에 속한다.
나아가, 전술한 S206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제2서버(220)가 통신 연결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한 설계이다. 상기 제2서버(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폴링(polling)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RL 정보를 S206 단계에서 전송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에러 등 문제가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직접 이용하여 다시 URL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서는 제1서버에 위치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 제1서버에 대한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제1서버에 대한 로그인도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아래와 같은 정보를 제2서버(220)로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ftp:://username:password@naver.com/Alzip.zip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서버(예를 들어, 웹 서버)에 액세스 하여 웹서핑 등을 수행한다(S701).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저가 웹서핑 중 써치한 특정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저장하고자 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S702).
상기 S702 단계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제2서버를 사용하는 수많은 유저들 각각을 구별하고, 개별적인 디렉토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S701 단계 및 상기 S702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S701 단계 수행 중 제1서버에서 다운로드할 데이터가 특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3). 상기 판단 결과(S703) 특정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서버에 디렉토리 정보를 요청한다(S704). 전술한 S702 단계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저가 식별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서버는 해당 유저에 대한 고유의 디렉토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서버의 데이터를 어떤 위치의 디렉토리에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신호를, 상기 제2서버에 전송한다(S705).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된 데이터 다운로드를 위한 제1서버의 URL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 전송한다(S706). 물론, 도 7에서는 S705 단계 및 S706 단계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스텝으로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2서버에 상기 특정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언제든지 상기 제2서버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가 있다(S707). 한편,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S706 단계 및 S707 단계 사이에, 제2서버가 특정 데이터 다운로드를 완료하였음을 안내하는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도록 설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서버의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제2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의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스텝들은 일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사용자 디렉토리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801). 또한, 서버는, 전술한 S801 단계에 대한 응답으로서, 사용자 디렉토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S802).
상기 서버는, 외부 다른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기 위한 URL 정보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3). 상기 판단 결과(S803) 수신한 경우, 상기 서버는 해당 URL에 접속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S804). 도 8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디렉토리에 상기 파일이 저장되도록 설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또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겠다.
상기 서버는, 폴링 신호(polling) 등을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를 판단한다(S805). 상기 판단 결과(S805)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전술한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하였음을 고지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S806).
이상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정리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저에 대한 디렉토리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신호는, 예를 들어 상기 유저를 식별하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에 대한 디렉토리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서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액세스 하고, 또한 상기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음을 인디케이트 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실행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의 주소 정보는, 예를 들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타입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TV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킹이 가능한 TV에 해당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방송 수신부(9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935), 저장부(9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950), 제어부(970), 디스플레이부(980), 오디오 출력부(985), 전원공급부(9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905)는, 튜너(910), 복조부(9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배제하고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복조부(9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9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9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9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9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9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935)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9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9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940)는, 제어부(9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9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9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9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9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9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9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901)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9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901)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80)는, 제어부(9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9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985)는, 제어부(9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990)는, 디스플레이 장치(9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9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9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9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70)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으며, 상기 원격제어장치(901)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9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다중화부(1010), 영상 처리부(1020), OSD 생성부(1040), 믹서(10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055), 및 포맷터(10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0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0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1020)는, 영상 디코더(1025), 및 스케일러(103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10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10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10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1050)는, OSD 생성부(10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10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10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10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그리고, 포맷터(10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0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요소별 기능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930)는,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제1서버에 액세스 한다. 제어부(970)내의 OSD 생성부(1040)는, 상기 데이터를 제2서버에 다운로드 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1메시지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970) 및 상기 OSD 생성부(1040)를 별도의 모듈로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950)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 시키는 컨펌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어부(970)는, 상기 제1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2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930)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980)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930)을 통해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930)이, 상기 제2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하였음을 인디케이트 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OSD 제너레이터(1040)는,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실행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2메시지를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930)은, 상기 제2서버의 사용을 인증하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제어부(970)의 컨트롤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900)는, 상기 제2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에이전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에이전트 모듈은, 전술하여 설명한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로서, 기존의 웹서핑을 유지하면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신속히 수신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클라우드 서버에 웹브라우져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0)에 원격제어장치(1101)에 대응하는 포인터(1102)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1101)를 상하, 좌우(도 11의 (b)), 앞뒤(도 11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된 포인터(1102)는 원격제어장치(110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1101)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1102)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1101)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100)에 표시된 포인터(1102)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11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11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제어장치(11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1102)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의 (c)는, 원격제어장치(1101)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1101)를 디스플레이부(110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110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10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1101)를 디스플레이부(110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110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10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1200)는 무선통신부(1225), 사용자 입력부(1235), 센서부(1240), 출력부(1250), 전원공급부(1260), 저장부(1270), 제어부(1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201)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225)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01)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221)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01)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2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센서부(1240)는 자이로 센서(1241) 또는 가속도 센서(12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자이로 센서(1241)는 원격제어장치(1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1241)는 원격제어장치(1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243)는 원격제어장치(1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201)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특히, 도 11 및 도 12에 따라 설계된 원격제어장치(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롤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가 디스플레이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V가 디스플레이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프로시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서버와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설계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300)는, 일반 방송 화면(1301)을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일반 방송 화면(1301) 대신 웹서핑 화면이 출력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또는, 일반 방송 화면과 웹서핑 화면이 모두 디스플레이 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0)의 유저가 웹서핑을 하다가,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기로 선택한 경우, 저장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가이드 하는 제1OSD(1302)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1OSD(1302)는, TV 자체에 저장할지(로컬 저장)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옵션 리스트(1303)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리모트 컨트롤러(1304)를 이용하여, 상기 유저는 어떤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 또는 도 1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4)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1300) 화면상에서 움직인다. 따라서, 전술한 옵션 리스트(1303)가 다소 작은 영역으로 설계되어도, 원하는 서브 영역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3a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서버(external server)" 에 데이터를 저장하기로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3a를 전제로 하여, 도 13b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310)는, 외부 서버의 디렉토리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OSD(1312)를 출력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외부 서버에서 자신이 다운로드한 파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0)는 기존 방송 화면(1311) 또는 다른 웹서핑 화면과 함께, 전술한 제2OSD(1312)를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제2OSD(1312)를 확인한 유저가 리모트 컨트롤러(1314)를 이용하여, 특정 디렉토리(게임, 1313)를 선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0)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확정된 특정 디렉토리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외부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10)로부터 수신한 특정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및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도 13b를 전제로 하여, 도 13c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b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 정보까지 선택한 경우,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320)는, 임의의 기능에 대한 화면(1321)을 출력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TV를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동안에는, 다른 웹서버에 접속하거나 다른 기능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서버가 다른 서버에 직접 액세스 하여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서버내 디렉토리 위치만 지정하면, 다른 기능을 임의로 실행할 수가 있다.
도 13c를 전제로 하여, 도 13d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a 내지 도 13c 과정을 통해 특정 파일이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다운로드 완료된 경우,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330)는 특정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하였음을 안내하는 제3OSD(1332)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3OSD(1332)가 출력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외부 서버가 데이터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를 전송한다.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330)는 데이터 다운로드와 무관한 기능을 실행하는 메인 화면(1331)을 출력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OSD(1332)는, 다운로드 완료된 파일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옵션 리스트(1333)를 포함하고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334)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 내지는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므로, 상기 옵션 리스트(1333)에서 자신이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3d에서는, 사용자가 "Yes(실행)" 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3d를 전제로 하여, 도 13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340)는, 기존 기능의 실행을 중지하고,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실행된 화면(1341)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화면(1341)에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40)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이 아니고, 외부 서버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도 처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종래 기술과 달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단말기에 존재할 필요가 없으며, 클라우드 서버가 반드시 웹브라우져를 가지고 있을 필요도 없다. 또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동안, 단말기의 파워가 계속 on 상태로 유지될 필요도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예컨대 3G 망을 이용하는 경우, 비용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4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일반 휴대폰 등에 해당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400)는, 무선 통신부(1410), A/V(Audio/Video) 입력부(1420), 사용자 입력부(1430), 센싱부(1440), 출력부(1450), 메모리(1460), 인터페이스부(1470), 제어부(1480) 및 전원 공급부(1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400)와 모바일 디바이스(14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410)는 방송 수신 모듈(1411), 이동통신 모듈(1412), 무선 인터넷 모듈(1413), 근거리 통신 모듈(1414) 및 위치정보 모듈(1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421)와 마이크(1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40)는 모바일 디바이스(1400)의 개폐 상태, 모바일 디바이스(14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4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출력부(1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451), 음향 출력 모듈(1452), 알람부(1453), 및 햅틱 모듈(1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60)는 제어부(1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70)는 모바일 디바이스(1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4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모바일 디바이스(1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400)는, 무선 통신부(1410)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413)은,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제1서버(예를 들어, 웹 서버)에 액세스 한다.
상기 제어부(1480)는, 상기 데이터를 제2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다운로드 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1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센싱부(1440)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 시키는 컨펌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80)는, 상기 제1서버의 주소 정보를 상기 제2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413)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51)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413)을 통해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TV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 등)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특히, 메모리 용량이 크지 않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디렉토리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저장 및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a 내지 도 1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이 TV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반면, 도 15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 이다. 도 13에 도시된 TV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사용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손 터치만으로 간단히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4에 도시된 센싱부(1440) 등을 포함하고 있도록 설계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500)는, 일반 대기 화면(1501)을 디스플레이 한다. 물론, 일반 대기 화면(1501) 대신 웹서핑 화면이 출력되도록 설계 가능하다. 도 15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도 14에 도시된 무선 통신부(14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00)의 유저가 웹서핑을 하다가,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기로 선택한 경우, 저장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가이드 하는 제1OSD(1502)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1OSD(1502)는,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에 저장할지(로컬 저장)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할지 여부를 질의하는 옵션 리스트(1503)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00)의 유저는 손가락(1504)을 이용하여, 어떤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15a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서버(external server)" 에 데이터를 저장하기로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5a를 전제로 하여, 도 15b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510)는, 외부 서버의 디렉토리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제2OSD(1512)를 출력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외부 서버에서 자신이 다운로드한 파일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10)는 기존 대기 화면(1511) 또는 다른 웹서핑 화면과 함께, 전술한 제2OSD(1512)를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제2OSD(1512)를 확인한 유저가 손가락(1514)을 이용하여, 특정 디렉토리(게임, 1513)를 선택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10)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확정된 특정 디렉토리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외부 서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10)로부터 수신한 특정 디렉토리에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및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도 15b를 전제로 하여, 도 15c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5b에서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 정보까지 선택한 경우,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520)는, 임의의 기능에 대한 화면(1521)을 출력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동안에는, 다른 웹서버에 접속하거나 다른 기능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서버가 다른 서버에 직접 액세스 하여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하므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서버내 디렉토리 위치만 지정하면, 다른 기능을 임의로 실행할 수가 있다.
도 15c를 전제로 하여, 도 15d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5a 내지 도 15c 과정을 통해 특정 파일이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다운로드 완료된 경우,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530)는 특정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하였음을 안내하는 제3OSD(1532)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3OSD(1532)가 출력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외부 서버가 데이터 다운로드 완료 이벤트를 전송한다.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530)는 데이터 다운로드와 무관한 기능을 실행하는 메인 화면(1531)을 출력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OSD(1532)는, 다운로드 완료된 파일을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옵션 리스트(1533)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1534)을 이용하여, 상기 옵션 리스트(1533)에서 자신이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5d에서는, 사용자가 "Yes(실행)" 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하였다. 도 15d를 전제로 하여, 도 15e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540)는, 기존 기능의 실행을 중지하고,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실행된 화면(1541)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화면(1541)에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540)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이 아니고, 외부 서버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도 처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01 : TV
102 : 모바일 디바이스
110 : 제1서버
120 : 제2서버

Claims (14)

  1.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저에 대한 디렉토리 구조(structure)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에 대한 디렉토리 구조(structure)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서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 구조(structure)내 특정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액세스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렉토리 구조(structure)내 특정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유저를 식별하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음을 인디케이트 하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실행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주소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타입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한 제1서버에 액세스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데이터를 제2서버에 다운로드 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1메시지를 생성하는 OSD 제너레이터;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 시키는 컨펌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1서버의 주소 정보 및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 구조(structure)내 특정 위치 정보를 상기 제2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상기 디렉토리 구조(structure) 정보를 상기 제2서버로부터 수신함-;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이, 상기 제2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하였음을 인디케이트 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OSD 제너레이터는, 상기 제2서버에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실행할지 여부를 가이드 하는 제2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2서버의 사용을 인증하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디렉토리의 특정 위치 정보를 상기 제2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에이전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웹 서버에 대응하고, 상기 제2서버는 클라우드 서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주소 정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타입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53633A 2011-06-03 2011-06-03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41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633A KR101241919B1 (ko) 2011-06-03 2011-06-03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633A KR101241919B1 (ko) 2011-06-03 2011-06-03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600A KR20120134600A (ko) 2012-12-12
KR101241919B1 true KR101241919B1 (ko) 2013-03-11

Family

ID=4790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633A KR101241919B1 (ko) 2011-06-03 2011-06-03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9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016A (ko) * 2001-08-31 2004-04-09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콘텐트 전달 시스템
KR20100025768A (ko) * 2008-08-28 2010-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016A (ko) * 2001-08-31 2004-04-09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콘텐트 전달 시스템
KR20100025768A (ko) * 2008-08-28 2010-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600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338B1 (ko) 이동 단말기
EP2464084B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304879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5634881B (zh) 应用场景推荐方法及装置
JP2019185733A (ja) 音声制御方法、端末機器、クラウドサーバ及びシステム
US99925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744218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N110784771B (zh) 一种视频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08738374B (zh) 图像显示装置
JP6997338B2 (ja) 動画プレビュー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CN103391473B (zh) 一种提供及获取音视频的方法和装置
KR20160029551A (ko) 전자 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945813B1 (ko) 영상표시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N107948278B (zh)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设备及系统
KR20130019260A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056188B1 (ko) 미디어 공유 제어장치, 미디어 재생장치, 미디어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20022156A (ko)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CN108549807B (zh) 一种屏幕解锁方法及移动终端
KR102340231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5122179A (zh) 显示接收的用户界面的设备
KR1012419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적어도 2개의 서버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05318A (ko)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20130278397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device of the system
CN111818368B (zh) 管理显示设备权限的方法、移动终端以及服务器
KR102444150B1 (ko)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