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640B1 -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640B1
KR101241640B1 KR20100136946A KR20100136946A KR101241640B1 KR 101241640 B1 KR101241640 B1 KR 101241640B1 KR 20100136946 A KR20100136946 A KR 20100136946A KR 20100136946 A KR20100136946 A KR 20100136946A KR 101241640 B1 KR101241640 B1 KR 10124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elica
root
neck
diameter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951A (ko
Inventor
안미정
배지영
박종희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13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6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ngelica속 식물의 뿌리로, 외부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참당귀와 강활, 지리강활을 내부형태학적 방법에 의하여 판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도의 형태와 목부섬유의 형태 등에 의해서 각각의 종(種)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참당귀, 강활, 지리강활의 판별법은 내부형태학적인 방법에 따른 과학적 판별기준이 될 수 있으며, 세 생약의 판별기준 정립을 통한 유통질서 확립과 국민보건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A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oot of Angelica purpuraefolia from similar crude drugs belonging to the genus Angelica by morphological studies}
본 발명은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 구체적으로는 외부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참당귀와 강활로부터 지리강활을 내부형태학적 방법에 의하여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도의 형태와 목부섬유의 형태 등에 의해서 각각의 종(種)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森立之重輯, 1955, 神農本草經, 35. 中國古典醫學叢刊, 群聯出版社, 上海
[문헌 2] 박종희, 배지영, 2007, 한국강활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8, 305-307
[문헌 3] 林泰治, 鄭台鉉, 1936, 朝鮮産野生藥用植物, 171. 朝鮮印刷株式會社, 서울
[문헌 4] 申佶求, 1982, 申氏本草學 各論, 283. 壽文社, 서울
[문헌 5] 박종희, 이유진, 권성재, 2005, 한국산 당귀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6, 141-144
[문헌 6]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회 편, 2008, 제9개정 대한약전 해설서, 1111. 도서출판신일북스, 서울
[문헌 7] 박종희, 2004, 한국약초도감, 991.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문헌 8] 육창수, 1997, 아세아 생약도감, 383. 도서출판 경원, 서울
[문헌 9] 이형규, 민병선, 이중구, 문형인, 김두영, 김태진, 2003, 특허출원번호 10-2003-0089513
[문헌 10] Lee HK, Oh SR, Kwon OK, Ahn KS, Lee J, Kim JC, Min BS, Joung H, 2007, Phytotherapy Research, 21, 406-409
[문헌 11] Esau K, 1976, Plant anatomy, 183. John Willey & Sons, New York
[문헌 12] 약품식물학연구회, 1991, 신약품식물학, 56. 학창사, 서울
[문헌 13] 木島正夫, 1980, 植物形態學の實驗法, 84. 廣川書店, 東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미나리과(Umbelliferae)의 다년생 식물인 Angelica속 식물에는 지통약으로 사용되는 강활(森立之重輯, 1955, 神農本草經, 35. 中國古典醫學叢刊, 群聯出版社, 上海; 박종희, 배지영, 2007, 한국강활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8: 305-307; 林泰治, 鄭台鉉, 1936, 朝鮮産野生藥用植物, 171. 朝鮮印刷株式會社, 서울; 申佶求, 1982, 申氏本草學 各論, 283. 壽文社, 서울)과 보혈, 활혈, 지통약으로 사용되는 참당귀(박종희 등, 2005, 한국산 당귀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6: 141-144;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회편, 2008, 제9개정 대한약전 해설서, 1111. 도서출판 신일북스, 서울), 신경통과 관절통의 치료에 사용되는 지리강활(박종희, 2004, 한국약초도감, 991.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육창수, 1997, 아세아 생약도감, 383. 도서출판 경원, 서울)이 있다.
이 중에서 강활(Angelica koreanum Maxim. = Ostericum koreanum Maxim.)과 참당귀(A. gigas Nakai)는 생약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지리강활(A. purpuraefolia Chung)의 경우, 남강활 또는 개당귀, 남당귀라고도 불리며, 해발 1000m 이상의 고도에서 많이 서식하고, 유독(有毒)식물로서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으나, 일부 민간에서는 피부염, 염증의 치료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이형규 등, 2003, 특허출원번호 10-2003-0089513; Lee HK et al., 2007, Phytotherapy Research 21, 406-409).
한편, 참당귀와 강활, 지리강활은 특히, 참당귀와 지리강활은 꽃을 제외한 식물학적 특성도 유사한 데다 뿌리의 외부형태 또한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채약자들이 혼동하여 채집하여 약물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현재까지 Angelica속에 속하는 위 세 가지 생약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이루어져 왔으나, 세 가지 생약을 내부형태학적으로 비교하는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Angelica속 식물 중에서 생약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강활, 참당귀와 지리강활의 혼란을 예방하고, 약물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참당귀와 강활, 지리강활의 뿌리를 비교조직학적으로 검토하여 그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ngelica속 유사생약, 구체적으로는 외부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참당귀와 강활로부터 지리강활을 내부형태학적 방법에 의하여 판별하는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활과 참당귀 및 지리강활의 뿌리의 내부형태학적인 정보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정보를 해독하여 개개생약을 비교분석하여 구분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참당귀와 강활로부터 지리강활을 내부형태학적 방법에 의하여 판별하는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생약으로서의 강활은 Angelica koreanum Maxim. = Ostericum koreanum Maxim.의 뿌리를 의미하며, 참당귀는 A. gigas Nakai의 뿌리를, 지리강활은 A. purpuraefolia Chung의 뿌리를 각각 의미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외부형태학적인 정보는 뿌리의 길이와 주름모양, 표면의 색깔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내부형태학적인 정보는 상기 생약의 코르크층의 수, 세포간극, 피층의 유세포의 지름, 수지도의 지름, 수지도를 이루고 있는 분비세포의 수, 수지도의 출현빈도, 사부섬유의 출현빈도, 도관의 지름, 및 목부의 출현빈도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 바람직하게는, 수지도의 형태와 목부섬유의 형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2단계에서 외부형태학적으로 유사한 강활과 참당귀, 지리강활 중에서 지리강활을 내부형태학적 방법에 의하여 판별하는 판단 요건은 (a) 강활은 수지도의 직경이 70~200㎛로 가장 크며, 수지도를 이루고 있는 분비세포의 수가 6~12개로 가장 많고, 특징적으로 목부섬유가 관찰되지 않으며, (b) 참당귀의 경우에는 세포간극이 가장 크고, 수지도의 분포도 가장 많으며, 목부섬유도 가장 많이 분포하는데 반하여 (c) 지리강활의 경우, 참당귀와 강활의 경우에는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는 사부섬유의 존재가 뚜렷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본 발명의 판별 방법은 외부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한 참당귀, 강활, 지리강활의 내부형태학적 정보, 즉 수지도의 직경과 분비세포의 수, 사부섬유의 존재, 목부섬유의 형태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외부형태학적인 유사성으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유통상의 혼란과 지리강활을 참당귀로 오인하여 일어나는 약물사고 및 이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즉, 기술적 측면에서는 내부형태학적 정보에 따른 세 가지 Angelica속 식물의 뿌리인 참당귀, 강활, 지리강활의 과학적 판별기준이 될 수 있으며, 경제적, 보건적 측면에서는 세 생약의 판별기준 정립을 통한 유통질서 확립과 국민보건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내부형태학적 정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참당귀와 강활, 지리강활의 내부형태학적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외부형태학적으로 유사한 세 생약을 판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외부형태학적인 유사성으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유통상의 혼란과 지리강활을 참당귀로 오인하여 일어나는 약물사고 및 이에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즉, 기술적 측면에서는 내부형태학적 정보에 따른 세 가지 Angelica속 식물의 뿌리인 참당귀, 강활, 지리강활의 과학적 판별기준이 될 수 있으며, 경제적, 보건적 측면에서는 세 생약의 판별기준 정립을 통한 유통질서 확립과 국민보건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참당귀(A)와 강활(B), 지리강활(C) 뿌리의 전(全)생약의 외부형태학적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고,
도 2는 참당귀(A)와 강활(B), 지리강활(C) 뿌리의 횡절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내는 도이다. List of abbreviations: c; cambium (형성층), i; intercellular space (세포간극), kl; cork layer (코르크층), mph; phloem medullary ray (사부수선), mxy; xylem medullary ray (목부수선), rc; resin canal (분비도), s; sieve tube (사관), v; vessel (도관).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비교식물들의 채집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경상남도 밀양시 천황산(No. 13106~13110)과 강원도 양양군 점봉산(No. 13106~13110)에서 각각 채집하였다. 강활(Angelica koreanum Maxim.(= Ostericum koreanum Maxim.))은 강원도 계방산(No. 21100~21105)과 강원도 점봉산(No. 21106~21110)에서 채집하였다. 비교식물들은 부산대학교 박종희 교수가 동정하였으며, 각각의 표본을 만들어 표본번호를 부여한 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생약학교실(http://pharmacy.pusan.ac.kr/)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1. 동정용 식물의 채집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 Chung)은 경상남도 지리산(No. 23110~23115)과 강원도 오대산(No. 23116~23120)에서 채집하였다. 비교식물은 부산대학교 박종희 교수가 동정하였으며, 각각의 표본을 만들어 표본번호를 부여한 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생약학교실(http://pharmacy.pusan.ac.kr/)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외부형태학적 연구방법
비교식물의 뿌리 중에서 가장 큰 것의 상부 3㎝ 부위의 횡절면과 종절면을 광학현미경(Olympus A041, Olympus, Japan)과 입체현미경(Olympus SZH10, 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이전에 보고한 방법(박종희, 배지영, 2007, 생약학회지 38:305-307; 박종희 등, 2005, 한국산 당귀의 생약학적 연구, 생약학회지 36:141-144)에 따라서 비교 검토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생약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표 1, 도 1, 및 2 참조).
2-1. 참당귀의 뿌리
(1) 외부형태학적으로는 뿌리의 직경이 1~2.5㎝이며, 주근(主根)과 함께 원주형이다. 뿌리의 상부에서 5~13개의 지근(支根)으로 나누어지며, 지근은 직경 0.2~0.8㎝, 길이 10~20㎝이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가늘다. 표면은 전체가 황갈색~흑갈색이며, 종(縱)으로 된 주름이 있다. 질(質)은 부드럽고, 당귀 특유의 향기가 있다. 맛은 처음은 달고 나중에 맵다(도 1-A 참조).
(2) 내부형태학적으로는 횡절면은 유원형으로 직경 0.2~0.8㎝이었다. 최외층은 3~5세포층의 코르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르크세포는 접선방향 직경 30~50㎛, 방사방향 직경 5~15㎛ (이하 간단히 직경 30~50×5~15㎛으로 표기함)이다. 코르크세포 아래에 후각성 조직이 1~2층 존재하며, 대형의 세포간극(Esau K., 1976, Plant anatomy, 183. John Willey & Sons, New York)이 존재한다. 피층의 유세포(柔細胞)는 유원형으로 직경 20~60㎛이며, 사부방사조직은 피층의 중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개열하며 주의의 사부유조직과 구별되지 않는다. 피층 및 사부에 수지도(약품식물학연구회, 1991, 신약품식물학, 56. 학창사, 서울)가 산재하며, 수지도의 직경은 20~60㎛이었다. 수지도 주위의 분비세포는 5~8개이며, 형성층은 명료하였다. 목부는 도관, 목부섬유, 목부유조직 및 목부방사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관은 공문도관 또는 계문도관이며, 직경은 20~80㎛이었다. 목부섬유가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발달되어 있으며, 직경 10~20㎛이었다. 사부 및 목부유조직에 직경 10㎛이하의 전분립이 충만되어 있으며, 때로는 복합전분립이 존재하였다. 분비세포에 수지상물질이 존재하며 수단-Ⅲ(木島正夫, 1980, 植物形態學の實驗法, 84. 廣川書店, 東京)에 염색이 잘 되었다(도 2-A 참조).
2-2. 강활의 뿌리
(1) 외부형태학적으로는 근경에서 10~20개의 지근(支根)으로 나누어지며, 지근(支根)은 직경 5~8㎜, 길이 15~25㎝이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표면은 황갈색~갈색이며, 종(縱)으로 된 주름이 있다. 질(質)은 부드럽고, 특이한 향기가 있다. 맛은 처음에는 약간 달고 나중에 쓰다(도 1-B 참조).
(2) 내부형태학적으로는 횡절면이 유원형으로 직경 5~8㎜이었다. 최외층은 3~5 세포층의 코르크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르크세포는 직경 30~50×5~15㎛이었다. 코르크층 아래에 후각성 조직이 1~2층 존재하며, 대형의 세포간극이 존재하였다. 피층의 유세포(柔細胞)는 유원형으로 직경 20~60㎛ 이며, 사부방사조직은 피층의 중부에서 바깥방향으로 개열하였다. 피층 및 사부에는 대형의 수지도가 산재하며, 수지도의 직경은 70~200㎛이며, 비교식물 중에서 가장 대형이었다. 수지도의 분비세포는 6~12개이며, 형성층은 명료하였다. 목부는 도관, 목부유조직 및 목부방사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관의 직경은 30~60㎛이며, 목부섬유는 관찰되지 않았다. 피층, 사부의 유조직 및 목부유조직에 직경 10㎛ 이하의 전분립이 충만되어 있었다(도 2-B 참조).
2-3. 지리강활의 뿌리
(1) 외부형태학적으로는 주근에서 2~5개의 측근으로 나누어지며, 주근(主根)은 직경 1~2㎝, 길이 15~25㎝이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표면은 흑갈색이며, 횡으로 된 주름이 있다. 질(質)은 부드럽고 특이한 향기가 있다. 맛은 약간 쓰다(도 1-C 참조).
(2) 내부형태학적으로는 횡절면이 유원형으로 직경 1~2㎝이며, 최외층은 2~4세포층의 코르크층으로 되며, 코르크세포는 직경 20~40×5~20㎛이었다. 코르크층 아래에 후각성 조직이 2~3층 존재하며, 대형의 세포간극이 존재하였다. 피층의 유세포(柔細胞)는 유원형으로 직경 30~70㎛이며, 사부방사조직은 피층의 중부에서 바깥방향으로 개열하였다. 피층 및 사부에는 수지도가 산재하며, 수지도의 직경은 50~70㎛이었다. 수지도의 분비세포는 4~7개이었다. 피층에는 섬유속이 존재하며, 섬유는 직경 10~20㎛이었다. 형성층은 명료하였다. 목부는 도관, 목부섬유, 목부유조직과 목부방사조직으로 되며, 목부섬유는 참당귀보다 발달이 좋지 못하였으며, 도관의 직경은 25~80㎛이었다. 피층, 사부의 유조직 및 목부유조직에 직경 10㎛ 이하의 전분립이 충만되어 있었다(도 2-C 참조).
본 실험 결과, 강활과 참당귀, 지리강활 중에서 수지도의 직경이 70~200㎛으로 가장 크며, 수지도를 이루고 있는 분비세포의 수가 6~12개로 가장 많으며, 특징적으로 목부섬유가 관찰되지 않는 생약은 강활이었다. 지리강활의 경우, 참당귀와 강활의 경우에는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는 사부섬유의 존재가 뚜렷한 것이 다른 생약과 특징적으로 구별되는 점이었다. 참당귀의 경우에는 세포간극이 가장 컸으며, 수지도의 분포도 가장 많았으며, 목부섬유도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이로써, 강활과 참당귀, 지리강활은 외부형태학적으로 아주 유사하지만 수지도의 직경과 분비세포의 수, 사부섬유의 존재, 목부섬유의 형태로써 명확하게 동정이 가능하였다.
Figure 112010086871623-pat00001

Claims (5)

  1. 삭제
  2. 강활, 참당귀 및 지리강활의 뿌리의 수지도의 형태 및 목부 섬유의 형태를 포함하는 내부형태학적인 정보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제 1단계; 및 상기 정보를 해독하여 (a) 강활은 수지도의 직경이 70~200㎛으로 가장 크며, 수지도를 이루고 있는 분비세포의 수가 6~12개로 가장 많고, 특징적으로 목부섬유가 관찰되지 않으며, (b) 참당귀의 경우에는 세포간극이 가장 크고, 수지도의 분포도 가장 많으며, 목부섬유도 가장 많이 분포하는데 반하여 (c) 지리강활의 경우, 참당귀와 강활의 경우에는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는 사부섬유의 존재가 뚜렷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분석하여 구분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참당귀(Angelica koreanum Nakai의 뿌리)와 강활[Angelica koreanum Maxim.(= Osteriucum koreanum Maxim.)의 뿌리]로부터 지리강활(Angelica purpureafolia Chung의 뿌리)을 내부형태학적 방법에 의하여 판별하는 판별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00136946A 2010-12-28 2010-12-28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KR101241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946A KR101241640B1 (ko) 2010-12-28 2010-12-28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946A KR101241640B1 (ko) 2010-12-28 2010-12-28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951A KR20120074951A (ko) 2012-07-06
KR101241640B1 true KR101241640B1 (ko) 2013-03-11

Family

ID=4670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6946A KR101241640B1 (ko) 2010-12-28 2010-12-28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515B1 (ko) * 2014-03-05 2016-10-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참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를 구별하기 위한 다형성 분자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참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 구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12, 1968 (pp.50-58) *
생약학회지, I(1), 1970 (pp. 19-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951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abang et al. Ethnopharmacological survey of Annonaceae medicinal plants used to treat malaria in four areas of Cameroon
Betti et al. An ethnobotanical and floristical study of medicinal plants among the Baka Pygmies in the periphery of the Ipassa-Biosphere Reserve, Gabon.
Jasinski et al. Morpho-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Baccharis glaziovii in support of its pharmacobotany
Sothers et al. Towards a monophyletic Licania: a new 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polyphyletic Neotropical genus Licania (Chrysobalanaceae)
KR101241640B1 (ko) 형태학적 방법에 의한 Angelica속 유사생약으로부터 지리강활을 판별하는 판별방법
Wangchuk et al. Three medicinal Corydalis species of the Himalayas: their ethnobotany, pharmacognos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Soares Neto et al. New combinations and taxonomic notes for Tarenaya (Cleomaceae)
Schwartsburd et al.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outh American species of Hypolepis (Dennstaedtiaceae), Part I
Hernandez et al. Anatomical and chemical analysis in Solidago chilensis var. chilensis (Asteraceae)
O'Leary Taxonomic revision of Ocimum (Lamiaceae) in Argentina1
Periyanayagam et al. Pharmacognostical, SEM and EDAX profile of the leaves of Citrus aurantium L.(Rutaceae)
Bécquer Calycogonium pseudofloribundum, a new species of Melastomataceae, Miconieae, from eastern Cuba
Hu et al. Cremastra malipoensis (Orchidaceae), a new species from Yunnan, China
Bergene et al. Dordrechtites arcanus sp. nov., an anatomically preserved gymnospermous reproductive structure from the Middle Triassic of Antarctica
Albesiano A new taxonomic treatment of the genus Trichocereus (Cactaceae) in Chile
Dhivya et al.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Sarcostemma brevistigma, Wight. & Arn.–An Ethnomedicinal Plant
Pool A review of the genus Distictella (Bignoniaceae) 1, 2
Sobrado et al. Intraspecific variation of insertion/length of stamens in homostylous flowers of a new species and three other species of Borreria: An unusual case in Rubiaceae
Kolanowska et al. Synopsis of the genus Campylocentrum (Orchidaceae) in Colombia1
Lara-Cabrera et al. Salvia tonaticensis (Lamiaceae), a rare new species from Mexico
Mehregan Notes on the taxonomy of Cousinia sect. Haussknechtianae (Asteraceae, Cardueae)
Wen et al. Spiradiclis detianensis (Rubiaceae, Ophiorrhizeae), a new species from south-western Guangxi, China. PhytoKeys 184: 103–110
Cruz et al. Bioknowledgy of the Ecuadorian Flora. Some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Abdulrahman Standardization of Jatropha curcas. L
Chalise¹ et al. Anatomical Study of Shorea robusta Gaert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