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603B1 -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603B1
KR101241603B1 KR1020080037704A KR20080037704A KR101241603B1 KR 101241603 B1 KR101241603 B1 KR 101241603B1 KR 1020080037704 A KR1020080037704 A KR 1020080037704A KR 20080037704 A KR20080037704 A KR 20080037704A KR 101241603 B1 KR101241603 B1 KR 10124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detachable
groove
removable
cover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034A (ko
Inventor
국영호
양성만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3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6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6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1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 E05Y2201/612Cooperation between 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between carriers and rails
    • E05Y2201/614Anti-derai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커버 프로파일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창틀에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시공 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 프로파일을 목재질 무늬로 형성함으로써 창틀 전체를 목재질 무늬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실내 거주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커버 프로파일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형성함으로써 창짝의 무게 또는 중량 등의 하중에 따라 설치되는 각 커버 프로파일의 설치 시 작업자가 쉽게 식별가능하고, 이로 인해 시공작업이 간단용이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창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착탈홈 및 제2 착탈홈; 상기 제1 착탈홈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형 레일부재; 및 상기 제2 착탈홈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 프로파일, 착탈형 레일부재, 커버부재, 레일본체, 착탈편, 착탈홈, 레일편

Description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Cover profile system of window}
본 발명은 창틀의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커버 프로파일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창틀에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커버 프로파일을 목재질 무늬로 형성함으로써 창틀의 하부를 목재질 무늬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틀 전체를 목재질 무늬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실내 거주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시공 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호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의 종류는 개/페 방법에 따라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붙박이 창호, 겹창호, 기타 특수한 창호 등이 있다.
여기서, 미서기 창호(Double Sliding Window)은 창틀에 설치되는 창짝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일반적으로 창짝의 갯수에 따라 2짝, 4짝 등으로 이루 어져 창틀에 설치되며, 2짝으로 이루어질 경우, 통상 외부 창짝이 사용자 측에 근접되게 위치하고, 내부 창짝이 사용자 측에 멀리 위치한다.
여기서, 미서기 창호의 창틀과 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의 결합은 통상 창짝의 하부면에 레일홈을 형성하고,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레일편을 돌출형성시킨 후 창짝의 레일홈과 창틀의 레일편을 결합시킴으로써 창틀에서 창짝이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들어,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측면 및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서기 창호의 창틀에 목재질 무늬를 설치 및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미서기 창호의 창틀에 목재질 무늬를 설치 및 형성할 경우,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미서기 창호(미도시)의 창틀(100)에 목무늬 작업 시 창짝(미도시)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하여 창짝의 레일홈(미도시)에 결합되는 창틀(100)의 레일편(101)은 목재질 무늬로 형성하기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목재질 무늬로 형성되는 커버 프로파일(CP : 105))를 제작하여 창틀(100)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커버 프로파일(105)이 결합되는 레일편(101)의 외부면에 돌출부(107)이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커버 프로파일(105)의 내측면 양 측에 단차지게 걸림턱(108)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프로파일(105)은 상기 레일편(10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를 갖는 커버 프로파일을 창틀의 하부 상측면 에 설치 및 조립 시 커버 프로파일을 밀링가공을 통해 별도로 작업한 후 창틀에 조립하여야 하는 등 설치를 위한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롭고,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창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착탈형 레일부재 및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 프로파일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창틀에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시공 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 프로파일을 목재질 무늬로 형성함으로써 창틀의 하부를 이루는 금속 재질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창틀의 하부에 목재질 무늬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틀 전체를 목재질 무늬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및 실내 거주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커버 프로파일의 크기에 따라 색상을 달리형성함으로써 창짝의 무게 또는 중량 등의 하중에 따라 설치되는 각 커버 프로파일의 설치 시 작업자가 쉽게 식별가능하고, 이로 인해 시공작업이 간단용이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착탈홈 및 제2 착탈홈; 상기 제1 착탈홈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형 레일부재; 및 상기 제2 착탈홈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는 상기 제1 착탈홈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착탈편과 상기 착탈편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그 중심에 중공을 갖는 레일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착탈편의 양 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착탈홈의 내부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의 레일본체 상부면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편이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목재질 무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는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되되, 색상에 따라 레일본체의 크기가 달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의 양 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착탈홈의 내부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커버 프로파일을 탈부착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 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조립성 및 우수한 가공성을 제공하고, 커버 프로파일을 목재질 무늬로 형성하여 창틀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창틀의 하부에 금속 재질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창틀 전체를 목재질 무늬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 및 실내 거주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틀 전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목재질 무늬의 커버 프로파일을 특정부위에 탈부착시킴으로써 목재질 무늬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창틀 전체를 고비용의 목재질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창틀 제작 시 제작비용 및 제품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형 레일부재가 단품으로 제작가능하여 제품 단가 및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창틀 설치 시 창틀의 하부 상측면에 노출되는 비스 등의 체결부재 및 앙카볼트의 머리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커버 프로파일에만 다양한 색상, 무늬를 부가함으로써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 프로파일을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부가함으로써 각기 다른 하중을 갖는 창짝에 커버 프로파일 설치 시 창짝의 하중에 대응되는 색상을 갖는 커버 프로파일의 선택 및 설치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보다 쉽게 창짝의 하중에 적합한 커버 프로파일의 선별 및 식별이 가능하여 시공작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 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커버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와 커버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탈부착 레일 시스템은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어 창틀(10)에 설치되는 창짝(미도시)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은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착탈홈(11)과 제2 착탈홈(16)과 상기 착탈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각각 이루어지는 착탈형 레일부재(30) 및 커버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은 창틀(10)의 하부 상측면 길이방향에 창짝의 레일홈(미도시)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위치에 제1 착탈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착탈홈(11)의 일측에 제2 착탈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착탈홈(11)에 착탈형 레일부재(30)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착탈홈(16)에 커버부재(50)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는 상기 제1 착탈홈(11)에 탈부착가능하게 삽입설치되기 위해 상기 제1 착탈홈(1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착탈편(31)과 상기 착탈편(31)의 상부에 연장구비되되, 그 중심에 중공(36)을 갖는 레일본체(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착탈형 레일부재(30)에 창짝(미도시)의 레일홈(미도시)이 결합되고, 이로 인해 창짝이 창틀(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착탈형 레일부재(30)를 목재질 무늬로 형성하여 창틀(10)의 전체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만 목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를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되, 그 외부면에 목재질 무늬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가 목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그 외부면에 목재질 무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가 기타 다양한 재질, 다양한 무늬 또는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 레일본체(35)의 색상을 달리 형성하되, 색상에 따라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창짝의 무게 또는 중량 등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된느 착탈형 레일부재(30)의 식별이 용이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창짝의 하중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는 착탈형 레일부재(30)의 시공작업이 간단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형성되는 제1 착탈홈(11)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1 착탈홈(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본체(35)의 착탈편(31)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32)이 돌출형성되되, 상기 착탈편(31)은 상기 걸림편(3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착탈홈(11)의 걸림홈에 상기 착탈편(31)의 걸림편(32)이 탈부착가능하게 걸림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착탈홈(11)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레일본체(35) 착탈편(31)에 형성되는 걸림편(32)은 상호 결합가능하되, 쐐기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착탈홈(11)의 걸림홈에 레일본체(35) 착탈편(31)의 걸림편(32)을 결합시킬 경우, 제1 착탈홈(11)의 걸림홈에 레일본체(35) 착탈편(31)의 걸림편(32)이 용이하게 삽입결합되도록 이루어지나, 제1 착탈홈(11)의 걸림홈에 레일본체(35) 착탈편(31)의 걸림편(32)을 해제할 경우, 제1 착탈홈(11)의 걸림홈의 단부에 레일본체(35) 착탈편(31)의 걸림편(32)의 단부가 간섭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걸림홈에 걸림결합된 걸림편(32)의 결합 및 고정이 견고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착탈홈(11)에 2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본체(35) 착탈편(31)에 2개의 걸림편(32)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착탈홈(11)에 레일본체(35)의 결합 및 고정이 용이하다면 상기 걸림홈의 갯수 및 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걸림편(32)의 갯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착탈홈(11)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레일본체 착탈편(31)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편(32)이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착탈홈(11)에 형성되는 걸림홈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레일본체 착탈편(31)의 걸림편(32)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1 착탈홈(11)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상기 레일본체 착탈편(31)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편(32)이 걸림결합되기 용이하다면 상기 걸림홈과 걸림편(32)이 삼각형상, 사각형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의 레일본체 상부면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편(37)을 상향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의 레일본체에 레일편(37)을 돌출형성할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형성되는 제1 착탈홈(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50)는 상기 제2 착탈홈(16)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50)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51)이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50)가 설치되는 제2 착탈홈(16)은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가 설치되는 제1 착탈홈(1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50) 또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50)가 설치되는 제2 착탈홈(16)의 내부 양 측면에 상기 커버부재(50)의 걸림편(51)이 결합되기 위한 걸림홈(18)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50)의 양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편(51)과 상기 커버부재(50)가 설치되는 제2 착탈홈(16)의 내부 양 측면에 걸림홈(18)이 1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커버부재(50)의 양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편(51)과 상기 커버부재(50)가 설치되는 제2 착탈홈(16)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8)의 갯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50)는 목재질 무늬로 형성하여 창틀(10)의 전체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부재(50) 또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의 레일본체(35)와 같이 목재질로만 이루어지거나, 그 외부면에만 목재질 무늬를 형성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50)가 기타 다양한 재질 및 기타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부재(50)와 상기 커버부재(50)가 결합되는 제2 착탈홈(16)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편(51)과 걸림홈(18)은 상호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걸림홈(18)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 림홈(18)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편(51)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걸림홈(18)에 걸림편(51)이 걸림결합되기 용이하다면 상기 걸림홈(18)과 걸림편(51)의 형상은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미서기 창호의 창틀의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커버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와 커버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의 착탈형 레일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창틀, 11 : 제1 착탈홈,
13 : 걸림홈, 16 : 제2 착탈홈,
18 : 걸림홈, 30 : 착탈형 레일부재,
31 : 착탈편, 32 : 걸림편,
35 : 레일본체, 36 : 중공,
37 : 레일편, 50 : 커버부재,
51 : 걸림편.

Claims (7)

  1. 창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틀(10)에 있어서,
    상기 창틀(10)의 하부 상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착탈홈(11) 및 상기 두 개의 제1 착탈홈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착탈홈(16);
    상기 제1 착탈홈(11)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착탈형 레일부재(30); 및
    상기 제2 착탈홈(16)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부재는 양 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5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착탈홈(16)의 내부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1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51)이 상기 걸림홈(18)에 걸림 결합되고,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 및 커버부재는 목무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는 상기 제1 착탈홈(11)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착탈편(31)과 상기 착탈편(3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되, 그 중심에 중공(36)을 갖는 레일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탈부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편(31)의 양 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편(3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착탈홈(11)의 내부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32)이 상기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탈부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의 레일본체 상부면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편(37)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레일 탈부착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레일부재(30)는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되되, 색상에 따라 레일본체의 크기가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탈부착 레일 시스템.
  7. 삭제
KR1020080037704A 2008-04-23 2008-04-23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KR10124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04A KR101241603B1 (ko) 2008-04-23 2008-04-23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704A KR101241603B1 (ko) 2008-04-23 2008-04-23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34A KR20090112034A (ko) 2009-10-28
KR101241603B1 true KR101241603B1 (ko) 2013-03-08

Family

ID=4155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704A KR101241603B1 (ko) 2008-04-23 2008-04-23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6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549Y1 (ko) * 1994-06-20 1998-04-17 박원배 창문용 프레임
KR200175710Y1 (ko) * 1999-09-14 2000-03-15 이재협 후레임용 공틀바
KR200434720Y1 (ko) * 2006-09-29 2006-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거실 확장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 시스템
KR100817228B1 (ko) *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549Y1 (ko) * 1994-06-20 1998-04-17 박원배 창문용 프레임
KR200175710Y1 (ko) * 1999-09-14 2000-03-15 이재협 후레임용 공틀바
KR200434720Y1 (ko) * 2006-09-29 2006-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거실 확장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 시스템
KR100817228B1 (ko) *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34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678B1 (ko) 구조 변경이 용이한 창호장치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200465656Y1 (ko) 분할식 창호
KR101643646B1 (ko) 창문용 방범 방충창
KR101202186B1 (ko) 다기능 방범창호
KR200419186Y1 (ko) 붙박이장용 가이드레일 및 롤러의 구조
KR101241603B1 (ko) 창틀의 착탈형 커버 프로파일 시스템
KR101254366B1 (ko) 입면 분할 시스템 창호
KR100691406B1 (ko) 건축용 안전창문 구조
KR100784982B1 (ko) 고층용 창호
CN205908227U (zh) 可更换门面板的钢木质隔热防火门
JP2003176667A (ja) 上げ下げ窓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20090076184A (ko) 문틀구조
ITMI20040083U1 (it) Serramento di sicurezza con blindatura scorrevole sull&#39;anta per finestre porte o simili
KR200419187Y1 (ko) 붙박이장의 도어 구조
KR200465325Y1 (ko) 방화문 프레임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JP6647928B2 (ja) 建具
KR101032732B1 (ko) 방범 창호프레임
KR102457522B1 (ko)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구조
CN203603691U (zh) 组合式带纱外平开窗
JP3416814B2 (ja) 段窓サッシ
CN105064899B (zh) 一种具有组装式卷帘抗风轨道的一体化窗
KR200186929Y1 (ko) 교체형 패널을 갖는 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