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239B1 -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239B1
KR101240239B1 KR1020110048398A KR20110048398A KR101240239B1 KR 101240239 B1 KR101240239 B1 KR 101240239B1 KR 1020110048398 A KR1020110048398 A KR 1020110048398A KR 20110048398 A KR20110048398 A KR 20110048398A KR 101240239 B1 KR101240239 B1 KR 101240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water
drainage pipe
intake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461A (ko
Inventor
남덕현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2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수직하게 신축되는 배수관과 스컴 유입 방지용 배플(baffle)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반응조의 수위에 맞추어서 안정적으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디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상등수가 유입되어 반응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신축배수관(30)과, 상기 취수구의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며 최하단이 상기 취수구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 이상의 위치에 있도록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 위쪽에서 취수구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통형상의 배플부재(10)와,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관 신축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가 수면에 위치하게 되어 반응조(100) 내의 정화된 상등수가 취수구를 통해서 신축배수관(3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관 신축장치(40)는 상등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하게 신축시키고,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가 수면에 위치할 때, 상기 배플부재(10)는 최하단이 수면에 닿거나 수면 위에 위치하고 있어, 부유 오염물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켄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Vertical Movable Decanter}
본 발명은 연속회분식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 처리수를 반응조의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하는 디켄터(Decanter)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수직하게 신축되는 배수관과 스컴 유입 방지용 배플(baffle)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반응조의 수위에 맞추어서 안정적으로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디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회분식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를 이용하는 SBR공정이 하수고도처리 공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SBR공정에서는 반응조에서 고액분리(固液分離)공정이 진행되며, 그에 따라 오염물은 반응조의 바닥으로 침전되며 정화된 처리수는 상등수(上等水)로서 수면부근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등수는 반응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디켄터(Decanter)"장치가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디켄터장치로서, 국내의 등록특허 제10-685319호에 개시되어 있는 디켄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디켄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식으로 구성되어, 액츄에이터(230)에 의해 배수관(220)이 회동하면서 상등수를 취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배수관이 회동식으로 작동하는 종래의 디켄터장치는, 반응조의 상등수 수위에 맞추어서 작동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상등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배수관(220) 단부의 취수구가 반응조의 벽체로부터 멀어지면서, 정화되지 않은 신규 유입수가 반응조로 공급되는 급수구에 더욱 가까워지게 되어, 신규 유입수가 정화되지 않은 채 디켄터장치의 배수관으로 흘러들어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등수에는 스컴(scum) 등의 오염물이 부유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종래의 디켄터장치에는 부유 오염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충분히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여, 정화처리가 완료된 상등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부유 오염물도 함께 배수관(220)의 취수구로 유입되어, 정화된 상등수와 함께 배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반응조에서의 상등수 수위에 맞추어서 처리수의 취수구를 승하강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상등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취수구가 반응조의 급수구에 접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정화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등수에 부유하는 스컴 등의 오염물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디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반응조에 배치되어 상등수를 반응조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디켄터장치로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상등수가 유입되어 반응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신축배수관과, 상기 신축배수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취수구의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며 최하단이 상기 취수구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 이상의 위치에 있도록 상기 신축배수관의 취수구 위쪽에서 취수구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통형상의 배플부재와, 상기 신축배수관을 수직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관 신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취수구가 수면에 위치하게 되어 반응조 내의 정화된 상등수가 상기 취수구를 통해서 상기 신축배수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관 신축장치는 상등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신축배수관을 수직하게 신축시키고, 상기 취수구가 수면 에 위치할 때, 상기 배플부재는 최하단이 수면에 닿거나 수면 위에 위치하고 있어, 부유 오염물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켄터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하로 개방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콘 취수부재가 상기 신축배수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콘 취수부재는 상기 개방된 상단의 입구가 하단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콘 취수부재의 입구가 취수구를 형성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에서는, 반응조 내의 정화수 수위에 따라 신축배수관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가 승하강하게 되어 취수구의 높이가 변화되므로, 반응조 내의 수위에 맞추어 상등수가 용이하게 취수구로 유입되어 신축배수관을 통해 반응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신축배수관은 수직한 직선을 따라 그 길이가 신축하게 되므로, 반응조의 아래쪽에 침전되어 있던 침전물은 신축배수관의 신축에 의해 교란되지 않으며, 따라서 침전물이 교란되어 처리수가 다시 혼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반응조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신축배수관의 취수구가 급수구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정화되지 아니한 신규 유입수가 신축배수관으로 흘러들어 오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국내 등록특허 제10-685319호에 개시된 종래의 회동식 디켄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가 반응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의 원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1)가 반응조(100)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2의 원 A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에는 디켄터장치(1)의 배플(baffle)부재(10) 및 콘 취수부재(2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는 도 3a에 도시된 배플부재(10)와 콘 취수부재(20)의 구성을 바라보는 각도를 달리하여 도시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a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1)가 반응조의 수면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1)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며 상단에는 직경이 확장된 취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신축배수관(30)과, 상기 취수구의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 위쪽에 구비되어 있는 통형상의 배플부재(10)와,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관 신축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배수관(30)은, 그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취수구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취수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정화된 상등수를 반응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관인데, 상기 신축배수관(30)은 신축이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신축배수관(30)은, 하부관의 내부에 상부관이 삽입되어 있고, 상부관이 하부관으로부터 뽑혀서 전체 관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또는 상부관이 하부관내로 더 깊게 삽입되어 전체 관의 길이가 줄어드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신축배수관(30)이 하부관과 상부관의 2개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더 많은 개수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는 단순히 신축배수관의 상단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직경이 신축배수관의 직경보다 더 커져서 확장되어 있는 콘(cone) 형상의 콘 취수부재(20)가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콘 취수부재(20) 상단의 개방된 입구가 취수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콘 취수부재(20)는 그 하단이 상기 신축배수관(30)과 연결되며, 개방되어 있는 상기 콘 취수부재(20)의 상단 즉, 입구는 상등수가 쉽게 신축배수관(3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있다. 즉, 상기 콘 취수부재(20)는 상단 입구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 취수부재(20)를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에 구비하여 취수구를 형성함으로써, 작은 직경의 신축배수관(30)일지라도 상등수가 쉽게 유입될 수 있는 취수구를 용이한 방법으로 더 크게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콘 취수부재(2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신축배수관(30)의 상단이 확장되어서 취수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신축배수관(30)의 하단은 반응조(100)와 연결되어 있어, 신축배수관(30)으로 유입된 상등수는 반응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플부재(10) 역시 상하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관 부재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배플부재(10)는 그 직경이 상기 취수구보다 더 크며, 상기 배플부재(10)는 상기 취수구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배플부재(10)의 최하단이 상기 취수구의 최상단과 동일 높이에 있거나 또는 그 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볼 때에는 관 형상의 상기 배플부재(10)의 내부 중앙에,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에 의해 만들어지는 취수구가 위치하지만, 수직방향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배플부재(10)가 상기 취수구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플부재(1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콘 취수부재(20)의 상단 입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교부재(11)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후술하는 연결봉(42)에 반경방향으로 상기 가교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가교부재의 외측 단부를 배플부재(10)와 결합함으로써 상기한 위치에 배플부재(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입구에 의해 형성된 취수구로 상등수가 유입될 때, 상기 배플부재(10)는 상등수에 부유하고 있던 스컴 등의 부유 오염물(200)이 상등수와 함께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입구가 수면보다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상등수가 유입되기 시작하는데, 이 때 배플부재(10)의 하단은 수면에 닿거나 또는 수면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컴 등과 같이 상등수에 부유하고 있던 부유 오염물(200)이 배플부재(10)에 의해 가로 막히게 되며, 그에 따라 부유 오염물(200)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 곡선형태의 화살표는 상등수가 취수구로 유입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관 신축장치(40)는,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와 연결되는 연결봉(42)과, 상기 연결봉(42)을 당기거나 밀게 되는 승하강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부재(41)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압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피니언과 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승하강부재(41)가 피니언과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봉(42)에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래크부를 형성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피니언이 회동함으로써 피니언-래크 작동에 의해 상기 연결봉(42)이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연결봉(42)의 하단이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에는 관 중앙으로 돌출되는 결합부재(12)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12)에 연결봉(42)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배플부재(10)를 연결하기 위한 가교부재(11)를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관 중앙 위치로 더 연장하여, 상기 연장된 부분을 결합부재로 삼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신축배수관(30), 부유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배플부재(10) 및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 승하강시키는 관 신축장치(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반응조(100)의 일측벽에서 연장된 설치대(110)를 이용하여 수직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반응조(100)의 일측벽에는 설치대(110)가 돌출된 상태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설치대(110)의 아래쪽으로 배플부재(10)와 신축배수관(30)이 위치하고, 관 신축장치(40)의 승하강부재(41)는 상기 설치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봉(42)은 설치대(110)를 지나 신축배수관(30)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켄터장치(1)가 설치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입구에 의해 만들어지는 취수구는 수면 또는 수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반응조(100) 내의 정화된 상등수가 취수구를 통해서 신축배수관(30)으로 유입된다. 이 때, 배플부재(10)는 그 최하단이 수면에 닿거나 또는 수면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참고로 도 4에서는 편의상 연결봉(42)의 위쪽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가교부재(11) 및 결합부재(12)의 도시 역시 생략하였다.
상등수가 취수구를 통해서 신축배수관(30)으로 유입될 때 반응조(100)의 수면에 부유하고 있던 부유 오염물(200)도 상등수와 함께 취수구 방향으로 몰려오게 되는데, 위와 같이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입구 위쪽에서 취수구의 주변을 감싸면서 그 최하단이 수면에 닿거나 수면 위에 있도록 배플부재(1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수면에 있는 부유 오염물(200)은 배플부재(10)에 가로막혀서 취수구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스컴 등의 부유 오염물(200)이 취수구로 유입되어 신축배수관(3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만일 배플부재(10)의 하단이 수면에 잠긴 상태가 되면, 상등수는 수중에 위치하는 배플부재(10)의 하단을 넘어야 취수구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등수가 수중에 위치한 배플부재(10)의 하단을 넘어서 흘러가는 과정에서, 반응조(100) 내에는 물의 흐름 즉, 수류가 발생하게 되고, 반응조(100)의 아래쪽에 침전되어 있던 침전물이, 위와 같은 새로 발생된 수류에 의해 교란되어 부유되면서 처리수가 다시 혼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등수가 유입되도록 취수구가 수면에 또는 수면 바로 아래에 위치할 때, 배플부재(10)의 최하단은 수면 위에 있거나 수면에 닿은 상태가 된다. 즉, 취수구로 상등수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배플부재(10)의 최하단이 수중에 잠긴 상태에 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배플부재(10)가 상등수에 부유하고 있는 부유 오염물(200)의 유동은 저지하고 있지만, 상등수가 취수구로 유입되기 위하여 배플부재(10)의 최하단을 타고 넘어갈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플부재(10)의 하단이 수중에 잠겨있는 경우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반응조(100) 내에 배플부재(10)로 인한 수류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새로운 수류 발생으로 인한 반응조(100) 하부의 침전물 교란과 처리수의 혼탁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디켄터장치(1)는, 반응조(100) 내의 수위에 따라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가 승하강하게 된다. 즉, 반응조(100)의 수위가 변함에 따라, 관 신축장치(40)의 승하강부재(41)가 작동하여, 연결봉(42)이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를 승하강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신축배수관(30)의 길이가 수직방향으로 신축하면서 취수구의 높이가 반응조(100)의 상등수 수위에 맞추어서 변화되어, 항상 취수구의 높이가 수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응조(100) 내의 수위에 맞추어 상등수가 용이하게 취수구로 유입되어 신축배수관(30)을 통해 반응조(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신축배수관(30)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직하게 신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승하강에 따라 신축배수관(30)의 길이가 신축될 때, 신축배수관(30)은 단지 수직한 직선을 따라 그 길이가 신축하게 될 뿐이므로, 반응조(100)의 아래쪽에 침전되어 있던 침전물은 신축배수관(30)의 신축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배수관(30)의 상단 또는 콘 취수부재(20)의 승하강에 따른 배수관의 움직임 때문에 침전물이 교란되어 처리수가 다시 혼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종래의 디켄터장치에서는 반응조의 수위가 낮아질 때, 그에 따라 배수관의 회동에 의해 취수구가, 신규 유입수가 반응조로 유입되어 오는 반응조의 급수구에 더욱 가까워지게 되고, 정화되지 않은 신규 유입수가 정화된 상등수와 함께 디켄터장치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반응조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신축배수관(30)은 단지 수직한 직선을 따라 그 길이가 수축하게 될 뿐이어서,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가 급수구에 가까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정화되지 아니한 신규 유입수가 신축배수관(30)으로 흘러들어 오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디켄터장치
10: 배플부재
20: 콘 취수부재
30: 신축배수관
40: 관 신축장치

Claims (2)

  1. 반응조(100)에 배치되어 상등수를 반응조(100)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디켄터장치(1)로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상등수가 유입되어 반응조(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신축배수관(30)과, 상기 신축배수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취수구의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며 최하단이 상기 취수구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 이상의 위치에 있도록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 위쪽에서 취수구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통형상의 배플부재(10)와,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방향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관 신축장치(40)를 포함하며;
    취수구를 이루는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은 그 직경이 신축배수관(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확장되어 있고;
    상기 배플부재(10)는 취수구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교부재(11)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배플부재(10)의 최하단은 상기 취수구의 최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응조(100) 하부의 침전물 교란과 처리수의 혼탁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가 상등수의 수면 또는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반응조(100) 내의 정화된 상등수가 상기 취수구를 통해서 신축배수관(3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관 신축장치(40)는 상등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신축배수관(30)을 수직하게 신축시키고,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가 수면에 위치할 때, 상기 배플부재(10)는 최하단이 상등수의 수면에 닿거나 수면 위에 위치하고 있어, 반응조(100) 하부의 침전물 교란과 처리수의 혼탁 현상을 유발하지 아니하면서도 상등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오염물이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로 개방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콘 취수부재(20)가 상기 신축배수관(3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콘 취수부재(20)는 상기 개방된 상단의 입구가 하단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콘 취수부재(20)의 입구가 취수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켄터장치.
KR1020110048398A 2011-05-23 2011-05-23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KR101240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98A KR101240239B1 (ko) 2011-05-23 2011-05-23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98A KR101240239B1 (ko) 2011-05-23 2011-05-23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61A KR20120130461A (ko) 2012-12-03
KR101240239B1 true KR101240239B1 (ko) 2013-03-07

Family

ID=4751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398A KR101240239B1 (ko) 2011-05-23 2011-05-23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103B1 (ko) * 2016-06-20 2017-01-06 김승제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
KR101868975B1 (ko) * 2017-07-31 2018-07-23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하수처리장 처리수 자동배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520A (ko) * 2001-01-02 2001-04-06 김성홍 처리수 배출장치
KR200259022Y1 (ko) * 2001-07-30 2002-01-18 세림제지주식회사 하수처리시스템의 배수장치
KR200368799Y1 (ko) * 2004-08-27 2004-12-03 프리마에이텍(주) 스컴제거기능이 구비된 처리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520A (ko) * 2001-01-02 2001-04-06 김성홍 처리수 배출장치
KR200259022Y1 (ko) * 2001-07-30 2002-01-18 세림제지주식회사 하수처리시스템의 배수장치
KR200368799Y1 (ko) * 2004-08-27 2004-12-03 프리마에이텍(주) 스컴제거기능이 구비된 처리수 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103B1 (ko) * 2016-06-20 2017-01-06 김승제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
KR101868975B1 (ko) * 2017-07-31 2018-07-23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하수처리장 처리수 자동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61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0023B1 (en) Adjustable floating weir apparatus
KR101813546B1 (ko)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CN102092816B (zh) 浮油回收装置
JP2011101855A (ja) 汚濁水流入装置、及び沈殿槽
CN103818996B (zh) 浮筒式滗水器
CN111494993B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环形多级沉降池
KR101240239B1 (ko) 수직 승하강에 의한 처리수 배출 및 스컴유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하수고도처리공정에서의 디켄터장치
KR100902188B1 (ko) 맨홀
CN207286828U (zh) 一种应用于造纸污水处理的过滤装置
CN203716951U (zh) 一种三相分离装置
CA1065765A (en) Sludge removal system and settling tank combination
KR102574690B1 (ko) 하수처리 침전조의 스컴 제거시스템
CN210331780U (zh) 一种全桥式中心传动刮泥机
JP4544522B2 (ja) スカム排出装置
JP2014132851A (ja) 水田用落水量調整装置
KR100856851B1 (ko) 침전지의 스컴배출장치
RU21047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очищенной сточной воды из круглого бассейна
KR200259022Y1 (ko) 하수처리시스템의 배수장치
KR20090126685A (ko) 회분식 활성 슬러지 반응조의 상징수 배출 장치
JP4798523B2 (ja) 濁らせずに長い範囲の沈澱物を回収除去する装置。
CN208442445U (zh) 一种生活污水排水管
CN108626415B (zh) 一种滤池用的浮筒式升降阀
KR101057465B1 (ko) 원수 협잡물 분리장치
JP2015116533A (ja) スローダウン洗浄ろ過装置及びそのろ過方法
JP2012077568A (ja) 逆流防止機能付き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