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024B1 - 무전동식 코털깎기 - Google Patents

무전동식 코털깎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024B1
KR101240024B1 KR1020100127230A KR20100127230A KR101240024B1 KR 101240024 B1 KR101240024 B1 KR 101240024B1 KR 1020100127230 A KR1020100127230 A KR 1020100127230A KR 20100127230 A KR20100127230 A KR 20100127230A KR 101240024 B1 KR101240024 B1 KR 10124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andle
cutting plate
handle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890A (ko
Inventor
박호종
동은주
Original Assignee
동은주
박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은주, 박호종 filed Critical 동은주
Priority to KR102010012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024B1/ko
Priority to US13/574,749 priority patent/US20120285021A1/en
Priority to CN2011800069529A priority patent/CN102741023A/zh
Priority to PCT/KR2011/000426 priority patent/WO2011093618A2/ko
Publication of KR2012006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66Twee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전동식 코털깎기는 파지를 위한 제 1 의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커팅링부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에서 상기 커팅링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 의 커팅부재와, 파지를 위한 제 2 의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팅판부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에서 상기 커팅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 의 커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1 의 결합부와 상기 제 2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2 의 결합부는 상호 용접 접합되며,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의 커팅링부의 면과 상기 커팅판부의 면은 상호 미리 설정된 각도 만큼 기울어져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팅판부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의 결합부의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은 모두 횡단면 상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코털깎기의 전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코털깎기 작동 방식에 따른 작동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작 공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조 과정을 자동화할 경우에도, 정밀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전동식 코털깎기{NOSE HAIR CUTTER}
본 발명은 코털깎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털의 절삭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제조 공차를 감소시키고 아울러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무전동식 코털깎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자라는 여러 종류의 털 중에서 코털의 경우 타인이 이를 잘라주기 보다는 대부분 본인이 직접 다듬게 된다.
종래, 개발된 코털 깎는 장치들의 경우,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절삭날을 회전시켜 코털을 깎는 방식과 소형의 가위를 이용하여 코털을 깎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그런데, 배터리 및 모터를 이용한 코털깎는 장치의 경우 잦은 고장과 배터리의 교체 문제로 그 사용이 번거로우며, 코털의 경우 그 성질 상 일정한 방향이 아닌 불규칙한 방향으로 자라나므로, 효율적인 절삭을 이루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절삭날 회전을 위해 구동되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진동으로 인해 기침 및 콧물을 유발하므로, 사용자에게 유쾌하지 못한 기분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동식 코털깎기의 장치 내로 콧물 및 코털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각종 세균의 번식을 초래하고 자칫 인체 감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한편, 소형의 가위 식 코털깎기의 경우 그 특성 상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자르지 않을까하는 불안감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소형의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비공 내를 관찰하며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가위질 시 매우 주의하게 되며, 만약 부주의할 경우에는 비공 내에 상처를 유발할 수 있어 이는 각종 세균의 감염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2010년 7월 22일자로 무전동식 코털깎기를 출원하여 특허 등록 받았다.
그런데, 도 1 에 도시된 상기 등록 특허에 관한 코털깎기의 제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상기 등록 특허의 무전동식 코털깎기는 강선과 같은 단일 선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바, 금속 선재의 특성 상 상기 등록 특허의 손잡이부 외면이 단면 상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하게 만곡된 곡선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작동하는 유형에 따라 상기 커팅판부와 커팅링부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의 외면이 만곡된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정확히 수직하게 상기 커팅링부와 커팅판부에 작용되는 경우(Fv)보다는, 상기 커팅링부와 커팅판부의 측부에서 작용되는 경우(Fs)가 많았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손잡이부의 정확한 중심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링부와 커팅판부가 상호 만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Fv)보다는,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을 벗어난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링부와 커팅판부가 만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Fs)가 더욱 많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의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부분에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만곡된 단면 형태로 인해 상기 커팅판부와 커팅링부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작동 방식에 따라 커팅링부와 커팅판부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커팅링부와 커팅판부 사이의 간격이 원주 방향을 따라 미세하게 달라지고, 이러한 현상은 코털의 미절삭 또는 끼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코털깎기의 제조 공정에서 약간의 제조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도, 상기 커팅링부 내로 원활히 상기 커팅판부가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결국 코털을 절삭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코털깎기의 전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코털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털깎기 개별 사용자의 코털깎기 작동 방식이 상이할 경우에도, 작동 방식에 따른 작동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코털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털깎기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작 공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코털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과정을 자동화할 경우에도, 정밀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가 가능한 코털깎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동식 코털깎기는 파지를 위한 제 1 의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커팅링부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에서 상기 커팅링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1 의 커팅부재와, 파지를 위한 제 2 의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팅판부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에서 상기 커팅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 2 의 커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1 의 결합부와 상기 제 2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2 의 결합부는 상호 용접 접합되며,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의 커팅링부의 면과 상기 커팅판부의 면은 상호 미리 설정된 각도 만큼 기울어져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팅판부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의 결합부의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은 모두 횡단면 상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판부가 상기 커팅링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판부와 상기 커팅링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은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와 제 2 의 커팅부재는 모두 금속 판재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의 최대 폭부분에서의 상기 직선의 영역은 3 mm 이상 2 cm 이하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의 최대 폭부분에서의 상기 직선의 영역은 5 mm 이상 1.5 cm 이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팅판부와 커팅링부의 내면은 연마가공된다.
한편,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과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지 않는 내면은 횡단면 상 상호 평행한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의 최대 두께 부분에서의 두께는 0.1 mm 이상 2 m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동식 코털깎기.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팅판부는 그 내부의 단면 하부가 직선적으로 형성된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2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을 유도하는 파지유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코털깎기의 전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코털깎기 개별 사용자의 코털깎기 작동 방식이 상이할 경우에도, 작동 방식에 따른 작동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코털깎기 제조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작 공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을 자동화할 경우에도, 정밀한 위치 정밀도를 확보가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 무전동식 코털깎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동식 코털깎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동식 코털깎기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전동식 코털깎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기는 파지를 위한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커팅링부(20)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에서 상기 커팅링부(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의 결합부(30)를 포함하는 제 1 의 커팅부재와, 파지를 위한 제 2 의 손잡이부(40)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40)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팅판부(50)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상기 커팅판부(5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의 결합부(60)를 포함하는 제 2 의 커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상기 제 2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2 의 결합부(60)는 상호 용접 접합되며,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의 커팅링부(20)의 면과 상기 커팅판부(50)의 면은 상호 미리 설정된 각도 만큼 기울어져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팅판부(50)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의 결합부(60)의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30)와 제 2 의 손잡이부(60)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은 모두 횡단면 상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는 사용자의 엄지 및 검지의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부분으로서, 측면도를 기준으로 직선적으로 형성되거나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팅링부(2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코털의 절삭 시 사용자의 부주의한 사용의 경우에도 비강 내부 피부에 상처를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의 결합부(30)는 상기 제 2 의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측면도를 기준으로 일정 길이의 직선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커팅링부(20) 및 제 1 의 결합부(30)는, 판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등에 의해 가공된다.
상기 커팅판부(50)는 상기 커팅링부(20)의 내부 원형 개구에 삽입되어 코털을 절삭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40)와 상기 커팅판부(50) 및 제 2 의 결합부(60) 역시 판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등에 의해 가공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출원 제 2010-7060 호에 개시된 발명의 경우, 상기 제 1, 2 커팅부재가 모두 단일의 선재를 이용하여 가공되며,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와 커팅판부의 외면이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선재를 이용하여 곡면 형상의 외면을 갖도록 구성할 경우,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고급스러움을 부여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작동 방식에 따라 상기 커팅링부 내부로 커팅판부가 원활히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작동 방식이 개개인마다 다를 경우에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2 손잡이부(10, 40)를 작동할 경우 작동력이 상기 제 1, 2 손잡이부(10, 40)에 대해 수직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2 손잡이부(10, 40)의 단면이 직사각형 단면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 1, 2 손잡이부(10, 40)의 횡단면이 직사각형 단면이 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2 커팅부재를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성형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Sp, Sr)은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상호 평행하게 형성한다.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최대의 폭을 가지는 부분(Mwa, Mwb)에서의 직선 영역이 최소 3 mm 이상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최대 폭 부분에서의 직선 영역이 3 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전달되는 조작력이 상기 손잡이부(10, 40)의 모서리에 작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두 손잡이부(10, 40)가 서로를 향하도록 하는 방향 이외의 힘 성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커팅판부(50)가 원활히 진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최대의 폭을 가지는 부분(Mwa, Mwb)에서의 직선 영역은 2 cm 이하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 영역이 2 cm 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전체 금속 판재의 양 및 무게가 증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과도한 힘을 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와 제 2 의 손잡이부의 최대 폭부분에서의 상기 직선의 영역은 5 mm 이상 1.5 cm 이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의 최대 두께 부분에서의 두께는 0.1 mm 이상 2 mm 이하로 구성된다.
만약, 상기 두께가 0.1 mm 미만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10, 20)가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커팅판부(50)가 원활히 진입되지 못하게 된다.
만약, 상기 두께가 2 mm 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 금속 판재의 양 및 무게가 증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과도한 힘을 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Sr, Sp)과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지 않는 내면(Ir, Ip)은 횡단면 상 상호 평행한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력이 상기 두 손잡이부를 서로를 향해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면 상 상호 평행한 직선의 영역 역시 상기된 바와 같은 이유로, 3 mm 이상 2 cm 이하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1.5 cm 이하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제 1, 2 손잡이부(10, 4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을 유도하는 파지유도부(12, 42)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유도부(12, 42)는 상기 손잡이부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유도부(12, 42)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파지유도부(12, 42)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조작력을 인가하도록 유도되므로, 보다 정확히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커팅판부(50)가 원활히 진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의 결합부(60)는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같이 측면도를 기준으로 일정 길이의 직선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와 제 2 의 커팅부재는 각각 독립된 부재로써 별개로 가공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가 상호 접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팅링부(20)와 커팅판부(50) 가 상호 정확히 교합될 수 있도록 상대적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선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접합되므로, 상기 두 부재간의 충분한 접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에 의한 장기간의 사용 이후에도, 선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 간의 접합력에 의해 상기 커팅링부(20)와 커팅판부(50) 간의 상대적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는 상호 용접 접합되어 충분한 접합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를 상호 접합하기 위한 용접의 방식으로서는 스팟 용접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 간의 충분한 접합력을 확보하면서도, 자동화 공정에 의한 접합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팟 용접에 의해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와 제 2 의 커팅부재의 외면에 일체의 용접 흔적을 남기지 않고,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 간의 접합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의 커팅링부(20)의 내면(22)과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은 상호 미리 설정된 각도(a) 만큼 상호 기울어져 만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팅판부(50)가 상기 커팅링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코털을 깎을 경우, 상기 커팅판부(50)의 표면과 상기 커팅링부(20)의 표면이 순차적으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가위의 양 표면이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물건을 자르는 듯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종래 무동력식 코털깎기의 경우 다수의 코털이 일시에 커팅링과 커팅판 사이에 끼일 경우, 코털들의 저항에 의해 잘려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깎기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커팅링부(20)와 커팅판부(50) 사이에 코털이 다수 끼일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커팅링부(20)와 커팅판부(50)가 가위와 같이 순차적으로 다수의 코털에 접촉하여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무동력식 코털깎기와 같이 일시에 모든 코털에 접촉하여 가압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무동력식 코털깎기의 경우 일시에 모든 코털에 접촉하여 가압하는 경우가 발생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코털깍기의 경우 각 코털을 개별적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깎게 된다.
그러므로, 코털의 절삭력 또는 절삭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팅판부(50)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의 결합부(60)의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2 의 결합부(60)에 대해 가까운 쪽에 배치된 상기 커팅판부(50)가 먼저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진입된 이후, 상기 커팅링부(20)의 원주에 의해 상기 커팅판부(50)의 외주면이 접촉 안내되며 전체 커팅판부(50)가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진입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링부(20)의 외단부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외단부가 상기 커팅링부(20)의 상부 내면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코털의 경우 그 두께가 얇으며, 따라서 원활히 코털을 깎기 위해서는 상기 커팅링부(20)의 내면과 상기 커팅판부(50)의 외면 사이에 매우 정밀한 면접촉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제 2 커팅부재가 작동될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60)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커팅판부(50)는 상기 제 2 결합부(60)에 대해 일정 반경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판부(50)의 외단부 두께가 두꺼울 경우, 상기 커팅판부(50)의 외단부 각 지점은 상기 제 2 결합부(60)의 고정 위치에 대해 각각 다른 회전반경을 가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황이 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판부(50)가 상기 커팅링부(20)에 원활히 진입하면서도 상기 두 요소간의 간격이 매우 미세하도록 가공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가공이 필요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커팅판부(50)의 외단부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이러한 가공이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판부(50)의 외단부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 2 결합부(60)의 고정된 위치에 대해 상기 커팅판부(50)의 외단부가 거의 일정한 회전반경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커팅판부(50)가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원활히 진입 가능하면서도, 상기 두 요소간의 틈이 매우 작게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커팅판부(50)가 상기 커팅링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판부와 상기 커팅링부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판부(50)의 경우 인체 비공 내에 삽입될 경우, 주로 상기 커팅판부(50)의 상부 및 측부가 코털의 절삭에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커팅판부(50)를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와 일체로 일차 가공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판부(50)의 전체적인 형상을 원호의 형상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커팅판부(50)가 용이하게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진입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의 하부를 없애 턱(5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 하부에 턱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 하부가 상기 커팅링부(20)의 하부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커팅판부(50)가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간섭없이 진입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원형으로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턱(5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의 하부와 상기 커팅링부(20)의 내면 하부가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팅판부(50)가 상기 제 2 결합부(6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턱(54) 부분이 먼저 상기 커팅링부(20) 내부로 진입하고, 이후에는 상기 커팅링부(20)에 의해 상기 커팅판부(50)가 안내되어 상기 커팅링부(20) 내부로 일정 깊이 간섭 없이 진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결합부(60)를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가장 작은 상기 턱(54)부분이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진입되기만 하면, 이후에는 상기 커팅링부(20)의 테두리에 의해 상기 커팅판부(50)가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발휘하므로, 상기 커팅판부(50)가 자연스럽게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안내되면서 뭉텅이진 코털에 대해서도 강력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다.
왜냐하면, 뭉텅이진 코털을 절삭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커팅판부(50)가 정확히 진입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상기 커팅판부(50)의 턱(54) 부분이 먼저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진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팅링부(20)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커팅판부(50)를 지지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커팅판부(50)의 내면(52)의 하부를 없애 턱(54)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등에 의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팅판부를 성형하거나, 별도의 절삭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팅판부(20)와 상기 커팅링부(50) 사이의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부 단면(52) 하부(54)가 직선적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커팅판부가 상기 커팅링부(50)의 내면에 접촉되는 부분이 원호가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제 2 의 결합부(6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두 결합부는 상호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평행한 직선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링부(20) 및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은 연마가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팅링부(20) 및 커팅판부(50)의 내면 모서리부분이 직각에 가깝도록 가공함으로써, 코털의 절삭에 보다 유리하도록 최종적으로 정밀하게 다듬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제 1 의 손잡이부 20: 커팅링부
30: 제 1 의 결합부 40: 제 2 의 손잡이부
50: 커팅판부 60: 제 2 의 결합부

Claims (11)

  1. 파지를 위한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커팅링부(20),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에서 상기 커팅링부(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의 결합부(30)를 포함하는 제 1 의 커팅부재와;
    파지를 위한 제 2 의 손잡이부(40)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40)의 단부에 형성되는 커팅판부(50)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상기 커팅판부(5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 의 결합부(60)를 포함하는 제 2 의 커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1 의 결합부(30)와 상기 제 2 의 커팅부재의 상기 제 2 의 결합부(60)는 상호 용접 접합되며,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원형의 커팅링부(20)의 내면(22)과 대면하는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은 상호 미리 설정된 각도(a) 만큼 기울어져 만나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팅판부(50)는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의 결합부(60)의 타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Sr, Sp)은 모두 횡단면 상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상기 직선의 영역은 가공오차 범위 내에서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의 최대 폭부분에서의 상기 직선의 영역은 3 mm 이상 2 cm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의 최대 두께 부분에서의 두께는 0.1mm 이상 2mm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에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는 외면(Sr, Sp)과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되지 않는 내면(Ir, Ip)은 횡단면 상 상호 평행한 직선의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 하부와 상기 제 2 의 손잡이부(40)의 내면 상부(56) 사이에는 프레스 성형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한 턱(54)이 형성되어, 상기 커팅판부(50)가 커팅링부(20) 내로 진입할 경우, 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커팅판부(50)에서 상기 턱(54) 부분이 상기 커팅링부(20) 내로 먼저 진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팅판부(50)에서 상기 턱(54) 부분의 폭은 상기 커팅판부(50)의 내면(5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동식 코털깎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커팅부재와 제 2 의 커팅부재는 모두 금속 판재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동식 코털깎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손잡이부(10)와 제 2 의 손잡이부(40)의 최대 폭부분에서의 상기 직선의 영역은 5mm 이상 1.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동식 코털깎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판부(50)와 커팅링부(20)의 내면(52, 22)은 연마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동식 코털깎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손잡이부(30, 6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접촉을 유도하는 파지유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동식 코털깎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27230A 2010-01-26 2010-12-13 무전동식 코털깎기 KR10124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30A KR101240024B1 (ko) 2010-12-13 2010-12-13 무전동식 코털깎기
US13/574,749 US20120285021A1 (en) 2010-01-26 2011-01-22 Non-electric nose hair clipper
CN2011800069529A CN102741023A (zh) 2010-01-26 2011-01-22 非电动式鼻毛修剪器及其制造方法
PCT/KR2011/000426 WO2011093618A2 (ko) 2010-01-26 2011-01-22 무전동식 코털깎기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230A KR101240024B1 (ko) 2010-12-13 2010-12-13 무전동식 코털깎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90A KR20120065890A (ko) 2012-06-21
KR101240024B1 true KR101240024B1 (ko) 2013-03-06

Family

ID=4668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230A KR101240024B1 (ko) 2010-01-26 2010-12-13 무전동식 코털깎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0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856B1 (ko) * 1997-06-19 2000-10-16 박호종 무동력식 코털깍기
KR200306867Y1 (ko) * 2002-09-10 2003-03-10 강석조 압지형 코털깎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856B1 (ko) * 1997-06-19 2000-10-16 박호종 무동력식 코털깍기
KR200306867Y1 (ko) * 2002-09-10 2003-03-10 강석조 압지형 코털깎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90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4560C2 (ru) Неподвижный нож, набор ножей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US8726528B2 (en) Electric head shaver
CN107635733B (zh) 固定刀片的制造方法和固定刀片
JP6253791B2 (ja) 刃のセット、ヘアカット機器、及び、関連する製造方法
US20050144783A1 (en) Shearing device including ridges
JP2017536948A (ja) ドライシェーバー
US20160176060A1 (en) Electric hair clipper
US4651761A (en) Electric high comb-clipper
CN102528830B (zh) 理发器
US20130255455A1 (en) Hair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12059815B2 (en) Blade set and hair cutting appliance
US9878457B2 (en) Electric hair clipper
KR101240024B1 (ko) 무전동식 코털깎기
KR20130005377A (ko) 무전동식 코털깎기
US20120285021A1 (en) Non-electric nose hair clipper
KR101217613B1 (ko) 무전동식 코털깎기
KR100972030B1 (ko) 무전동식 코털깎기
KR20120084094A (ko) 무전동식 코털깎기의 제조방법
JP3245700U (ja) 挟み具
CA2814453C (en) Electric head shaver
JP2000051545A (ja) 鼻毛専用安全カミソリ
KR20130084195A (ko) 무전동식 코털깎이
JP2018149243A (ja) ピンセット型の無駄毛切り
JPH09313751A (ja) 理美容はさみ型毛髪レザー
JPH038406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