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971B1 -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 Google Patents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971B1
KR101239971B1 KR1020060010819A KR20060010819A KR101239971B1 KR 101239971 B1 KR101239971 B1 KR 101239971B1 KR 1020060010819 A KR1020060010819 A KR 1020060010819A KR 20060010819 A KR20060010819 A KR 20060010819A KR 101239971 B1 KR101239971 B1 KR 10123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tem
items
displaying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9827A (en
Inventor
권용환
임진호
김성우
이금구
성기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971B1/en
Publication of KR20070079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9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3Ladder stabilis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4Means for mounting ladders on uneven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은, 가상의 일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브영역을 갖는 상기 메인항목이 3D 환경으로 표시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항목에 대응하는 제2 서브항목이 상기 제1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3차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메뉴항목의 경로와 그에 따른 메뉴항목들 간의 관계 및 전체적인 메뉴구조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method of a menu screen.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having a main item and a sub-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the main item having a sub-area extending in a virtual one axis direction in a 3D environment; Stack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first sub-item on another layer in an upper layer of the sub-regio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items; And displaying a second sub-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tem stacked in another layer on an upper end of the sub-region in which the first sub-item is displayed. As a result, the menu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re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menu more easi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path of the selected menu item, the relation between the menu items and the overall menu structure.

Description

메뉴화면의 표시방법{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Display Method of Menu Pi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to which a menu screen display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에서 서브항목이 선택될 때마다 변경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2A to 2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creen that is changed every time a sub-item is selected in the menu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튜너 30 : 신호 프로세서부10: tuner 30: signal processor

35 : 신호 처리부 37 : UI 생성부35: signal processor 37: UI generation unit

50 : 디스플레이부 70 : 제어부50: display unit 70: control unit

80 : 사용자 선택부 80: user selection unit

본 발명은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항목을 검색하는 경우,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개선한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in which a menu screen to be displayed is improved when a menu item having a main item and a sub item is searched.

텔레비전, 모니터, PDP장치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하게 변하는 신호 처리부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A general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television, a monitor, or a PDP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screen,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 input image signal, and converting the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ir operation.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조정항목을 포함하는 사용자조정메뉴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고 함)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조정메뉴를 보면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Such a display device displays a user adjustment menu including various adjustment items for adjusting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on an on screen display (OSD) screen. Thus, the user can adjust the state of the display apparatus while viewing the user adjustment menu.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다양한 기능의 조정을 충족시키기 위해,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조정하기 위한 메뉴항목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또는 해당 메뉴항목의 세부적인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서 Depth개념이나 페이지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eet the adjustment of various functions that increase as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diversified and the user's demand increases, the number of menu items for adjustment by the user to be displayed is increased or the detailed setting of the menu items is increased. We use the Depth concept or the Page concept to control this.

예를 들면,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되는 사용자조정메뉴의 메뉴항목들 중 소정의 메뉴항목에 해당하는 세부 설정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소정의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소정의 메뉴항목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항목, 즉 상기 메뉴항목의 서브항목을 표시하게 된다. 즉, 표시되던 메뉴항목은 하위메뉴항목으로 전환되어 표시된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when the predetermined menu item is selected to adjust detailed setting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menu item among the displayed menu items of the user adjustment menu,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menu item. A sub menu item, that is, a sub item of the menu item is displayed. That is, the displayed menu item is converted to the lower menu item and displayed.

하지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자조정메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Depth개념이나 페이지개념을 활용하여 메뉴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이해한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users who use the custom menu on the display device may not understand how the menu screen is switched by using the depth concept or the page concept, or even if the user understands the instruction or the selected item accurately. There is.

이에, 최근에는 상기의 사용자조정메뉴와 같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하는 방법이 등장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지시된 항목의 사이즈 및 색상 또는 휘도레벨을 조정하여 지시되지 않은 항목과 지시된 항목을 사용자가 구별하기 쉽도록 하거나, 지시된 항목의 표시톤을 낮춰 배경화면과 사용자조정메뉴를 겹쳐서 동시에 보이도록 표시하는 하프톤방식을 들 수 있다.Recently, a method of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such as the above-described user adjustment menu so as to be easily understood by a user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method, a method of adjusting the size and color or luminance level of an indicated item is not indicated. A halftone method may be used to make it easier for a user to distinguish between an item that is not indicated and an indicated item, or to display a background image and a user adjustment menu by overlapping the displayed item by lowering a display tone of the indicated item.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여전히 2D(2-Dimension)로 처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지시 또는 선택된 항목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However, this is still a 2D (2-Dimension) process, which may limit the user visually distinguish from the indicated or selected i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3차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nu screen display method in which a user can select a menu more easily by displaying menu item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in three dimensi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된 메뉴항목의 경로와 그에 따른 메뉴항목들 간의 관계 및 전체적인 메뉴구조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which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path of the selected menu item, the relation between the menu items and the overall menu structur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가상의 일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브영역을 갖는 상기 메인항목이 3D 환경으로 표시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 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서브항목에 대응하는 제2 서브항목이 상기 제1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having a main item and a sub-item,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the main item having a sub-area extending in a virtual one axis direction in a 3D environment; Displaying at least one first sub-item stacked on top of the sub-area in another layer;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items; A second sub-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tem is displayed by being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top of the sub-area where the first sub-item is displayed. do.

여기서, 상기 제1 서브항목 및 상기 제2 서브항목은 복수개 마련되고, 제1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 복수의 상기 제1 서브항목은 상호 하나의 층에 서로 원근감 있게 나열되며, 제2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 복수의 상기 제2 서브항목은 상호 하나의 층에 서로 원근감 있게 나열될 수 있다.The first subitem and the second subitem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first subitem may be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an upper end of the subregion. The second sub-items may be arranged in perspective on each other, and the second sub-items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layer on the top of the sub-region.

그리고, 상기 메인항목이 3D 환경으로 표시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항목의 복수개로 표시되며, 복수개 마련된 상기 메인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는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선택된 메인항목이 다른 메인항목과 다르게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main item in a 3D environment,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displayed as a plurality of the main items and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main items; The selected main item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isplaying differently from other main items.

또한, 선택신호가 수신된 후, 선택된 상기 제1 서브항목이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다른 제1 서브항목 보다 거리가 가깝게 나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는, 원근감 있게 마련된 복수의 상기 제2 서브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제2 서브항목이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다른 제2 서브항목 보다 거리가 가깝게 나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selected first sub-item further comprises a step in which the distance is arranged closer than the other first sub-item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sub-item, perspective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b-items; The selected second subitem may be arranged to have a closer distance than other second subitems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여기서, 상기 서브영역의 최상단에 나열된 서브항목에 소정의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최상단에 나열된 서브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선택된 상기 서브항목의 상기 순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a predetermined rank is given to sub-items listed at the top of the sub-area;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sub-items listed at the top; And displaying the ranking of the selected sub-item.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디지털 텔레비전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반드시 디지털 텔레비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1 illustrates that a display apparatus applied to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television as an example. Howev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digital televis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 프로세서부(30)와, 디스플레이부(50)와, 사용자 선택부(80)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필요에 따라 도면과 같이 방송국 등의 외부소스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5) 및 방송신호를 채널에 따라 튜닝하는 튜너(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or 30, a display 50, a user selector 80, and a controller 70 for controlling them.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receiver 15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such as a broadcast station and a tuner 10 for tuning the broadcast signal according to a channel as necessary. .

디스플레이부(50)는 후술할 신호 프로세서부(3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미도시)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모듈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모듈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50 receive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s an image on the screen. The display unit 50 includes a display module (not shown)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module driver (not shown) for processing an input image signal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은 CRT(Cathode Ray Tube),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 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이 DLP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광학엔진을 포함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모듈이 LCD인 경우 모듈구동부는 신호 프로세서부(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데이터신호 및 게이트신호로 변환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각 디스플레이부(50)는 각 디스플레이모듈의 유형에 따라 대응하는 모듈구동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display modules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the like. Herein, when the display module is DLP, the module driver includes an optical engine. When the display module is an LCD, the module driver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for converting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processor unit 30 into a data signal and a gate signal. It will include. Similarly, each display unit 50 may have a configuration of a corresponding module driver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display module.

튜너(10)는 안테나 등의 신호수신부(15)를 통해 수신된 복수 채널 중 후술할 제어부(70)로부터의 선국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채널을 튜닝한다.The tuner 10 tunes a predetermined channel according to the pre-international language signal from the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s received through the signal receiver 15 such as an antenna.

신호 프로세서부(3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50)가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한다. 여기서, 신호 프로세서부(30)는 UI 생성부(37)와 신호 처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프로세서부(30)는 방송신호가 디지털신호인 경우, 필요에 따라 역다중화부(31) 및 디코더(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30 processes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display unit 50 can display and outputs the image signal to the display unit 50. Here, the signal processor 30 may include a UI generator 37 and a signal processor 35. When the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signal, the signal processor 30 may further include a demultiplexer 31 and a decoder 33 as necessary.

역다중화부(31)는 튜너(10)로부터 선국된 디지털 방송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입력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로 분리하여 출력하며, 디코더(33)는 역다중화부(31)에서 분리된 각각의 신호를 디코딩하여 신호 처리부(35)에 출력한다.When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tuned from the tuner 10 is applied, the demultiplexer 31 separates and outputs the digital broadcast signal input in the form of a transport stream into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and data, and the decoder 33 Each signal separated by the demultiplexer 31 is decoded and output to the signal processor 35.

UI(User Interface) 생성부(37)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신호 처리부(35)에 출력한다. 여기서, UI 생성부(37)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한 OSD생성부, 그래픽카드의 일 영역, 영상을 3D(3-Dimension)로 처리할 수 있는 3D 그래픽 엔진 및 해당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UI (User Interface) generation unit 37 generates a predetermined interface screen and outputs i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35. Here, the UI generator 37 may include an OSD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interface screen, a region of the graphics card, a 3D graphics engine capable of processing an image in 3D (3-Dimension), and a corresponding program. Can be implemented.

그리고, UI 생성부(37)는 후술할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메뉴를 갖는 인터페이스 화면(메뉴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는 복수의 메인항목과 메인항목에 대한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I generator 37 may generate an interface screen (menu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menu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menu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in items and a plurality of sub items for the main items.

여기서, UI 생성부(37)가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를 후술할 바와 같이 원근감을 갖도록 3D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UI 생성부(37)는 2차원좌표에서 메뉴를 처리하며, 사용자가 3차원으로 느낄 수 있도록 거리에 따른 표시상태를 달리할 수 있다.Here, the UI generating unit 37 may display the menu having the main item and the sub item in the display unit 50 by 3D processing to have a perspective as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the UI generator 37 processes the menu in two-dimensional coordinates, and may change the display state according to the distance so that the user may feel in three dimensions.

또는, UI 생성부(37)는 3차원엔진을 포함하여, 컨텐츠정보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하여 모델링(Modeling)하고, 3 차원 형상을 2 차원 평면에 투영(Projection)하고, 생성된 3 차원 형상의 색상과 명암을 추가(Rendering)하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랜더링과정은 그래픽에 그림자나 색채의 변화와 같은 3 차원적인 질감을 더하여 현실감을 추가하는 과정으로서, 감추어진 면의 제거(Hidden Surface Removal), 쉐이딩(Shading), 텍스쳐 매핑(Texture Mapp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UI generator 37 may model a geometric shape of the content information us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engine, project the three-dimensional shape on a two-dimensional plane, and generate the same. The process of rendering the color and contrast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is processed. The rend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adding realism by adding three-dimensional textures such as shadows or color changes to graphics, such as hidden surface removal, shading, texture mapping, and the like. It may include.

이와 같이, UI 생성부(37)가 3차원 엔진을 포함하여 3차원 좌표계로 각 컨텐츠정보의 표시상태를 산출하여 각 컨텐츠정보를 원근감을 갖는 3차원 좌표로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하면, 2차원좌표로 처리한 것보다 보다 개선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UI generator 37 calculates a display state of each piece of content information in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engine and displays each piece of content information in the display unit 50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having a perspective, 2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n improved interface screen than the one processed by the dimensional coordinates.

신호 처리부(35)는 UI 생성부(37)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신호 처리부(35)에서 별도로 처리한 화면과 UI 생성부(37)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할 수도 있다.The signal processor 35 may process the interface screen generated by the UI generator 37 and output the processed interface screen to the display unit 50. Alternatively, the signal processor 35 may separately process the screen and the UI generator 37 separately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35. The generated interface screen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50.

사용자 선택부(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70)에 소정의 키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선택부(80)는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입력키, 버튼, 리모콘 및 마우스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선택부(8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제어부(70)에 출력할 수 있으며, 메뉴의 항목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 역시 제어부(70)에 출력할 수 있다.The user selector 80 outputs a predetermined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70 to be described later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The user selector 80 is used by a user to input or select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us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buttons, a remote controller, a mouse, and the like. Here, the user may operate the user selector 80 to output a selection signal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50 to the controller 70, and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items of the menu is also included in the controller 70. ) Can be printed.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50)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70 controls each unit of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어부(70)는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하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메뉴를 생성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70)는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뉴가 선택된 경우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는 복수의 서브항목이 상호 원근감 있게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signal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display unit 50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selector 80,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UI generator 37 to generate a menu. can do. At this time,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signal processor 30 to display a menu screen having a main item and a sub item on the display unit 50 when a menu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selector 80.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signal processor 30 to display a plurality of sub-items in perspective with each other.

이 때, 제어부(70)는 복수의 메인항목 중 일부가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이 다른 메인항목 및 다른 메인항목에 대 한 서브항복과 구별되어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선택된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의 높이 또는 휘도 등이 다른 메인항목 및 다른 메인항목에 대한 서브항복들과 다르게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 is a signal so that when some of the plurality of main items are selected through the user selection unit 80, the selected main item and sub-items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sub-yields for other main items and other main items. The processor unit 30 may be controlled. In detail, 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signal processor 30 such that the selected main item and the subitem height or luminance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other main items and the sub-yields for the other main items.

즉, 제어부(70)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메인항목 및 복수의 메인항목 각각에 대응되는 서브항목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displaying the menu is received,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signal processor 30 to display the plurality of main items and sub-item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ain items on the display unit 50. Can be controlled.

이 때, 제어부(70)는 가상의 일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브영역을 갖는 메인항목이 3D 환경으로 표시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항목이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어 표시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70)는 메인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제1 서브항목이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0)는 메뉴화면을 표시하라는 신호가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수신되면, 메인항목과 각 메인항목에 대한 제1 서브항목이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측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UI generator 37 to display a main item having a sub-region extending in one virtu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in a 3D environment.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UI generator 37 to display at least one first sub-item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the top of the sub-region. In this case, when one of the main items is selected, the controller 70 may display the first sub-item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ain item by being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the top of the sub-region. Alternatively, when a signal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selector 80, the controller 70 may allow the main item and the first sub-item for each main item to be displayed on the other side at the top of the sub-region. .

그리고, 제어부(70)는 제1 서브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사용자 선택부(80)로부터 수신되면, 제1 서브항목에 대응하는 제2 서브항목이 제1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게 표시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items is received from the user selector 80, the controller 70 displays the first subitem as the second sub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tem. The UI generator 37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 area to be stacked in different layers.

여기서, 제1 서브항목은 메뉴항목에 대한 서브항목으로서, 메인항목과 다른 계층이며 종속적인 하위항목이다. 그리고, 제2 서브항목은 제1 서브항목에 대한 서브항목으로서, 제1 서브항목과 다른 계층이며 종속적인 하위항목이다.Here, the first sub-item is a sub-item for the menu item, and is a sub-item different from the main item and dependent. The second sub-item is a sub-item for the first sub-item, and is a sub-item different from the first sub-item and dependent.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항목은 "Input(53a)", "Picture(53b)", "Sound(53c)", "Channel(53d)" 및 "Setup(53e)"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항목인 "Input(53a)"항목의 서브항목은 "Source list", Edit Name", Anynet", "D-Net", "Wiselink"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항목인 "Setup(53e)"의 서브항목은 "Language(55a)", "Time(55b)", "V-chip(55c)", "Caption(55d)" 및 "Menu Transparency(55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항목인 "Sound(53c)"의 서브항목은 "Mode", "Equalizer", "SRS Trusurround XT", "Auto Stereo" 및 "Multi-Track Op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항목인 "Picture(53b) 및 "Channel(53d)"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items are "Input (53a)", "Picture (53b)", "Sound (53c)", "Channel (53d)", and "Setup (53e)". It may include a menu. Sub-items of the main item “Input 53a” may include “Source list”, Edit Name ”, Anynet,“ D-Net ”, and“ Wiselink ”. Sub-items of the main item "Setup (53e)" are "Language (55a)", "Time (55b)", "V-chip (55c)", "Caption (55d)" and "Menu Transparency (55e). ) ". Sub-items of the main item "Sound 53c" may include "Mode", "Equalizer", "SRS Trusurround XT", "Auto Stereo", and "Multi-Track Option". As shown in FIG. 2, the main items "Picture 53b and" Channel 53d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sub-items as shown.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항목 및 서브항목은 3D환경으로 표시된다. 이 때, 복수의 메인항목이 디스플레이부(50)의 일 영역에 일 축(도 2의 x축 참조)으로 나란히 표시되고, 서브항목은 메인항목이 나란히 표시된 전술한 일 축(x축)과 교차하는 축(도 2a의 z축 참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서브항목은 메인항목이 나란히 표시된 전술한 일 축(x축)과 교차하는 축(z축) 방향으로 상호 원근감 있게 나열될 수 있다. 즉, 메인항목인 "Input(53a)", "Picture(53b)", "Sound(53c)", "Channel(53d)" 및 "Setup(53e)" 항목이 서로 나란히 일 축(x축)에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Setup(53e)"에 대한 서브항목인 "Language(55a)", "Time(55b)", "V-chip(55c)", "Caption(55d)" 및 "Menu Transparency(55e)" 항목이 전술한 일 축(x축)과 교차하는 축(z축)을 따라 원근감 있게 나열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main item and the sub item are displayed in a 3D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main items are displayed side by side on one axis (see x axis of FIG. 2) in one region of the display unit 50, and the sub items intersect with the aforementioned one axis (x axis) in which the main items are displayed side by side. It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see z-axis of Figure 2a). At this time, the sub-items may be arranged in a perspective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z-axis) intersecting the aforementioned one axis (x-axis) in which the main items are displayed side by side. That is, the main items "Input (53a)", "Picture (53b)", "Sound (53c)", "Channel (53d)", and "Setup (53e)" items are parallel to each other on one axis (x-axis). Is displayed. For example, "Language (55a)", "Time (55b)", "V-chip (55c)", "Caption (55d)", and "Menu Transparency () which are sub-items for" Setup (53e) ". 55e) "items may be arranged in perspective along the axis (z axis) intersecting with the aforementioned one axis (x axis).

여기서, 제어부(70)는 서브항목들 각각에 소정의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70)는 메인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항목 중 하나가 지시되면, 서브영역의 한 층에 지시된 제1 서브항목의 순위를 표시하고, 다른 층에 제1 서브항목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a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후, "Time(55b)"이 선택되면, 서브영역의 1층에 메인항목인 "Setup(53e)" 항목이 표시되고, 2층에 후술할 순위항목(57), 예를 들어 2/5가 표시되고, 3층에 제1 서브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70 may assign a predetermined rank to each of the subitems. Although not shown, if one of the main items is selected and one of the at least one first subitem is indicated, the controller 70 displays the rank of the first subitem indicated on one floor of the subregion, and the other. The first subitems may be indicated in the layer. That is, although not shown, after the screen shown in FIG. 2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when "Time 55b" is selected, the main item "Setup (53e)" is displayed on the first floor of the sub-area. On the second floor, the ranking item 57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2/5, may be displayed, and the first sub item may be displayed on the third floor.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부(70)는 제1 서브항목 중 "Time(55b)" 항목이 선택되면, "Time(55b)" 항목에 대한 제2 서브항목이 서브영역에 대한 제1 서브항목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게 표시되도록 UI 생성부(37)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Time(55b)" 항목에 대한 제2 서브항목은 "Clock(55f)" 항목과 "Alarm(55g)" 항목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Clock(55f)" 항목에 1번 "Alarm(55g)" 항목에 2번의 순위가 설정되어 있고, "Clock(55f)" 항목이 지시된 경우, 제어부(70)는 1번에 대한 순위를 디스플레이부(5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when the item “Time 55b” is selected among the first sub items,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that the second sub item for the “Time 55b” item is the first sub item for the sub area. The UI generator 37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to be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the top. Here, the second sub-item for the item "Time 55b" may be provided with an item "Clock 55f" and an item "Alarm 55g". At this time, when the rank No. 1 is set in the item "Alarm (55g)" No. 1 in the "Clock (55f)" item and the "Clock (55f)" item is instructed,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The ranking may be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50.

이 때, 순위항목(5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순위는 전체 해당 서브항목의 개수와 지시된 서브항목의 순위를 모두 표시해줄 수 있다. 따라서, 도시 된 바와 같이, 제2 서브항목의 개수인 2개와 지시된 "Clock(55f)" 항목의 순위인 1을 모두 표시하기 위하여 1/2를 표시하였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ranking item 57 may be provided in the sub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king may display both the total number of corresponding subitems and the order of indicated subitems. Accordingly, 1/2 is displayed to display both the number of the second subitems and the number 1 of the indicated "Clock 55f" item.

그리고, 도 2c를 참조하면, "Clock(55f)" 항목이 선택된 경우, "Clock(55f)" 항목에 대한 제3 서브항목이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항목과 적층되게 표시된다. 여기서, 제3 서브항목은 "Clock Mode(55h)", "Clock Set(55i)", "Time Zone(55j)" 및 "DST(55k)" 항목이 마련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2C, when the item "Clock 55f" is selected, the third sub-item for the item "Clock 55f" is displayed to be stacked on top of the sub-region. Here, the third sub-item is an example in which items "Clock Mode 55h", "Clock Set 55i", "Time Zone 55j", and "DST 55k" are provided.

즉, 도 2a 내지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메인항목에서 "Setup(53e)" 항목을 선택한 후, 제1 서브항목에서 "Time(55b)" 항목을 선택하고, 제2 서브항목에서 "Clock(55f)" 항목을 선택한 후, 제 3 서브항목에서 "Clock Mode(55h)" 항목이 지시됐다.That is, as shown in Figs. 2A to 2C, after selecting the "Setup (53e)" item in the main item in the present embodiment, select the "Time (55b)" item in the first sub-item, the second sub After selecting the "Clock (55f)" item in the item, the "Clock Mode (55h)" item is indicated in the third sub-ite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As shown in Fig. 3, the method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은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항목은 메인항목의 서브항목이며, 메인항목의 다음 계층에 속하는 제1 서브항목과, 제2 서브항목의 서브항목이며, 제1 서브항목의 다음 계층에 속하는 제2 서브항목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서브항목들은 각 계층 순서로, 제1 서브항목, 제2 서브항목, 제3 서브항목 순으로 필요한 만큼 마련될 수 있다.The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item and a sub item. Here, the sub-item is a sub-item of the main item, and includes a first sub-item belonging to the next layer of the main item, a sub-item of the second sub-item, and a second sub-item belonging to the next layer of the first sub-item. . Here, each subitem may be provided as necessary in order of each hierarchical order, first subitem, second subitem, and third subitem.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 표시방법에 따라, 사용자 선택부(80)를 통해 메뉴화면의 표시가 선택되는 경우(S11), 제어부(70)는 메인항목을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한다. 이 때, 메인항목은 가상의 일 축(도 2a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브영역을 갖으며, 3D환경으로 표시된다(S13).According to the menu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of the menu screen is selected through the user selection unit 80 (S11), the control unit 70 displays the main item on the display unit 50. At this time, the main item has a sub-reg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one virtual axis (z-axis of FIG. 2A) and is displayed in a 3D environment (S13).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항목이 서브영역의 상단에 메인항목과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된다. 이 때, 제1 서브항목이 복수개 마련된 경우, 복수의 제1 서브항목은 상호 원근감 있게 3D 처리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15). 여기서, 각 서브항목들이 적층되는 방향은 도 2a 내지 도 2c에서 y축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least one first subitem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bregion in a different layer from the main item.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first sub-items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first sub-items are displayed by being 3D processed with a perspective in each other (S15).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items are stacked is preferably the y-axis direction in FIGS. 2A to 2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S15단계는 S11 단계 이후에 S13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S13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S15단계는 S13 단계 이후에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으며, S13단계 이후에 메인항목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메인항목에 대응하는 제1 서브항목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step S15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step S13 after step S11, or may be performed after step S13. In addition, step S15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after step S13, or if one of the main items is selected after step S13, it may be performed only for the first sub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ain item.

그 후, 제1 서브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지시되는 경우(S17), 지시된 제1 서브항목은 소정의 축(z축)을 기준으로 다른 제1 서브항목보다 거리가 가깝게 나열될 수 있다(S19). 즉,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서 "Language(55a)" 항목 뒤에 "Time(55b)" 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서, "Time(55b)" 항목이 지시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Time(55b)" 항목은 제1 서브항목 중 맨 앞에 표시되게 된다.Thereafte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items is indicated (S17), the indicated first sub-items may be arranged closer to a distance than other first sub-items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z-axis) (S19). ). That is,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item "Time 55b" is displayed after the item "Language 55a" in FIG. 2A. Here, when the item "Time 55b" is indicated, as shown in FIG. 2B, the item "Time 55b" is displayed first in the first subitem.

그리고, 사용자가 지시된 제1 서브항목의 서브항목인 제2 서브항목을 보기 위하여, 제1 서브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S20). 그러면, 제1 서브항목에 대응하는 제2 서브항목이 제1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제2 서브항목이 복수개 마련되는 경우, 복수개의 제2 서브항목은 서로 동일한 층에 상호 원근감 있게 나열된다(S21).In addition, in order to view a second subitem that is a subitem of the first subitem indicated by the user, the first subitem may be selected (S20). Then, the second sub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tem is stacked and displayed in another layer on the upper end of the subregion in which the first subitem is displayed. When a plurality of second sub-items is provided, the plurality of second sub-items are arranged on the same floor with each other in perspective (S21).

그리고, 제2 서브항목에 대하여도 제1 서브항목과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The second subitem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bitem.

즉, S17단계와 동일하게, 제2 서브항목이 지시되는 경우(S23), 지시된 제2 서브항목은 하나의 층에서 소정의 축(z축)을 기준으로 다른 제2 서브항목 보다 거리가 가깝게 나열된다(S25). 그리고, 제2 서브항목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제2 서브항목의 서브항목인 제3 서브항목이 제2 서브항목의 상단에 적층되어 표시된다.That is, as in step S17, when the second subitem is indicated (S23), the indicated second subitem is closer than the other second subitem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z-axis) in one layer. It is listed (S25). When the second subitem is selected, the third subitem, which is a subitem of the selected second subitem, is stacked and displayed on top of the second subite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0)는 각 서브항목에 소정의 순위를 부여하고, 소정의 서브항목이 선택된 경우 서브항목에 부여된 순위를 디스플레이부(50)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b 및 도 2c에 순위항목(57) 역시 서브영역에 하나의 층으로서 마련될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순위항목(57)은 디스플레이상의 일 영역에 마련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순위항목(57)은 사용자에게 선택된 서브영역과 다른 서브영역간의 관계 또는 위치를 알려줄 수 있으면 충분하여, 해당 서브영역의 전체 개수와 전체 개수 중 부여된 순위를 표시하는데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70)는 서브영역의 최상단에 나열된 서브항목에 대해서면 전술한 순위항목(57)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 controller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ssign a predetermined rank to each sub-item, and display the rank given to the sub-item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50 when the predetermined sub-item is sel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king item 57 is also provided as a layer in the subregion in FIGS. 2B and 2C. However, it is sufficient if the ranking item 57 is provided in one area on the display. The ranking item 57 is sufficient to inform the user of the relationship or position between the selected subregion and the other subregions, and is not limited to displaying the ranking given among the total number and the total number of the subregions. Here, the controller 70 preferably displays the above-described ranking item 57 for the subitems listed at the top of the subreg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복수의 메인항목 중 서브항목이 표시되도록 선택된 항목은 다른 메인항목과 디스플레이 상에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메인항목은 다른 메인항목과 비교하여 높이가 다르게 표시되거나, 휘도가 다르게 표시되는 등, 다른 항목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an item selected to display a sub item among the plurality of main items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display from other main items. For example, the selected main item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from other items, such as different heights or different luminances than other main item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제어부(70)는 본 발명에 따라 메뉴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50) 의 일 영역에 소정의 화면(51)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메뉴의 선택에 따라 화면(51)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70)는 변경된 표시상태를 반영하여 화면(51)의 표시상태가 변경되도록 신호 프로세서부(3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enu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7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screen 51 on one area of the display 50. When the display state of the screen 5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enu, the controller 70 may control the signal processor 30 to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screen 51 to reflect the changed display state.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은 사용자가 메뉴항목을 선택하면, 상위 항목 위에 선택한 서브항목이 적층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메뉴항목을 선택할 때까지, 선택한 경로를 할 수 있으며, 각 항목 간의 종속 관계 및 전체적인 메뉴구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a menu item, the selected sub-items are stacked and displayed on the upper item. Therefore, the user can follow the selected path until the menu item is finally selected, and can easily grasp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and the overall menu structure.

도 2a 내지 도 2c에서 메인항목, 제1 서브항목, 제2 서브항목, 제3 서브항목 및 순위항목(57)이 상호 계단 모양으로 적층 표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각의 항목은 서로 적층되게 표시되면 충분하며 계단 모양으로 적층 표시될 필요는 없다.In FIG. 2A to FIG. 2C, the main item, the first subitem, the second subitem, the third subitem, and the rank item 57 are stacked and stacked in a mutual step shape.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each item is sufficient to be stacked on each other and does not need to be stacked on a staircase.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항목을 3차원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이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in which a user can select a menu more easily by displaying menu items in three dimensions.

또한, 본 발명은 선택된 메뉴항목의 경로와 그에 따른 메뉴항목들 간의 관계 및 전체적인 메뉴구조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뉴화면이 제공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screen that can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ath of the selected menu i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u items and the overall menu structure.

Claims (5)

메인항목과 서브항목을 갖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displaying a menu screen having a main item and a sub item, 가상의 일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브영역을 갖는 상기 메인항목이 3D 환경으로 표시되는 단계와;Displaying the main item having a sub-area extending in one virtual direction in a 3D environment;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와;Stack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first sub-item on another layer in an upper layer of the sub-region; 상기 제1 서브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items; 상기 제1 서브항목에 대응하는 제2 서브항목이 상기 제1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게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And displaying a second sub-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item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an upper end of the sub-region in which the first sub-item is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서브항목 및 상기 제2 서브항목은 복수개 마련되고,The first subitem and the second subitem are provided in plural, 제1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 복수의 상기 제1 서브항목은 상호 하나의 층에 서로 원근감 있게 나열되며,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first sub-items stacked on top of the sub-regions in different layers, the plurality of the first sub-items are arranged in perspective with each other on one layer, 제2 서브항목이 상기 서브영역의 상단에 다른 층으로 적층되어 표시되는 단계에서, 복수의 상기 제2 서브항목은 상호 하나의 층에 서로 원근감 있게 나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And displaying the second sub-items stacked in different layers on top of the sub-area,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sub-items are arranged in a perspective with each other on one layer.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항목이 3D 환경으로 표시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항목의 복수개로 표시되며,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main item in a 3D environment, it is displayed as a plurality of the main item, 복수개 마련된 상기 메인항목 중 하나가 선택되는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main items provided; 선택된 메인항목이 다른 메인항목과 색상, 명암, 높이, 휘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color, contrast, height, and luminance different from the selected main item differently from the other main item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선택신호가 수신된 후, 선택된 상기 제1 서브항목이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다른 제1 서브항목 보다 거리가 가깝게 나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After th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selected first subitems are further arranged to have a closer distance than the other first subitems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상기 제2 서브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는,The step of displaying the second sub-item, 원근감 있게 마련된 복수의 상기 제2 서브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sub-items provided in perspective; 선택된 상기 제2 서브항목이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다른 제2 서브항목 보다 거리가 가깝게 나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And arranging the selected second sub-items closer to each other than other second sub-items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서브영역의 최상단에 나열된 서브항목에 소정의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와;Assigning a predetermined rank to the subitems listed at the top of the subregion; 상기 최상단에 나열된 서브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sub-items listed at the top; 선택된 상기 서브항목의 상기 순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의 표시방법.Displaying the rank of the selected sub-item.
KR1020060010819A 2006-02-03 2006-02-03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KR1012399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819A KR101239971B1 (en) 2006-02-03 2006-02-03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819A KR101239971B1 (en) 2006-02-03 2006-02-03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827A KR20070079827A (en) 2007-08-08
KR101239971B1 true KR101239971B1 (en) 2013-03-06

Family

ID=3860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819A KR101239971B1 (en) 2006-02-03 2006-02-03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9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080B2 (en) 2013-09-27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246A (en) 2007-10-17 2009-05-07 Hitachi Ltd Display device
KR101598916B1 (en) * 2010-01-27 201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digital broadcast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625A (en) * 1989-11-28 1991-07-19 Casio Comput Co Ltd Menu display system
JPH1198431A (en) * 1997-09-16 1999-04-09 Victor Co Of Japan Ltd Program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000061224A (en) * 1999-03-24 2000-10-16 구자홍 Method for Displaying Menu Picture of video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625A (en) * 1989-11-28 1991-07-19 Casio Comput Co Ltd Menu display system
JPH1198431A (en) * 1997-09-16 1999-04-09 Victor Co Of Japan Ltd Program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000061224A (en) * 1999-03-24 2000-10-16 구자홍 Method for Displaying Menu Picture of video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080B2 (en) 2013-09-27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827A (en)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17B1 (en) Display apparatus and searching method
KR100711264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056002B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9909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85246B2 (en) Video mix program guide
US200700060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49300B2 (en) Display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14014373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03325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040071945A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subpicture and method thereof
CN103024410B (en) Imag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4013272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239971B1 (en)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US20110149173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8122800A (en) Image display device
CN111064983B (en) Display device
KR101239970B1 (en) Displaying Method Of Menu Picture
KR101239972B1 (en) Display apparatus
JP2006352511A (en) Display device
KR101737832B1 (en) A method for providing an user interface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2012006915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698787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23039712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10766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87269A (en) Image display appar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