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390B1 -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390B1
KR101239390B1 KR1020120124185A KR20120124185A KR101239390B1 KR 101239390 B1 KR101239390 B1 KR 101239390B1 KR 1020120124185 A KR1020120124185 A KR 1020120124185A KR 20120124185 A KR20120124185 A KR 20120124185A KR 101239390 B1 KR101239390 B1 KR 10123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creen
filtration
intermediate wal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12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며 전후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측벽에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벽체, 중간벽체, 제2 벽체 및 상기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로 공간부를 분할하는 가로벽체로 이루어지며, 상방으로 개구된 몸체부와; 제1 벽체와 중간벽체 사이의 공간에는 스크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벽체 하부로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는 하부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의 상부로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는 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벽체에는 스크린부로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체에는 스크린부와 여과부로 연통되는 상부통로와 스크린부와 하부유입부로 연통되는 하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여과부와 하부유입부를 연통시키는 유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유입구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부통로를 덮도록 스크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에는 상부로부터 유통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가 구비된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Up Flow Filtering}
본 발명은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부의 설치와 인양이 용이하여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설치되고 여과부재의 보수 교체가 용이하며, 하류 유수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이라 함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쉬운 오염물질 배출원을 의미하며,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관리하기가 용이한데 비하여, 비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이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점오염원은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등으로서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흘러내리는 특성이 있다. 상기 비점오염원들을 구체적으로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등으로 구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다.
비점오염물질은 우천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우수에 포함된 양이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비점오염원의 이동 동태를 살펴보면, 초기 우수시 지표면에 퇴적된 입자성 오염물질이 빗물에 쓸려 한꺼번에 하천에 유입됨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강우가 지속되면서 농도가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비점오염 설비에 관한 법규에는 집중 강우시 유량이 크게 증가되면 비점오염물질의 제거 필요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점과 우수의 양이 증가하였을 시에 비점오염설비가 우수의 원활한 배수에 장애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반영하여, 반드시 우회 수로를 설치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점 오염설비의 이러한 특색을 반영한 것으로서, 협잡물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시와 협잡물 농도가 낮으면서 유량이 크게 증가되는 집중 강우시에 우수의 이동 경로가 자동으로 변경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부의 수위가 저수위에서 고수위로 변경되어 우수의 이동 경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부유성 협잡물은 항상 스크린 챔버의 상부에 모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비점 오염 저감 장치의 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침사용 챔버(10), 스크린 챔버(20), 여과용 챔버(30)로 구성된다. 침사용 챔버(10)의 일측벽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를 통하여 침사용 챔버(10)로 우수가 유입되며, 침사용 챔버(10)에서 자갈, 모래 등의 침강성 물질들이 하부에 집적된다. 침사용 챔버(10)는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침사용 챔버(10)를 이루는 벽체 중 하나의 벽체가 제1격벽(13)이다. 제1격벽(13)은 침사용 챔버(10)와 스크린 챔버(20) 사이에 형성된다. 제1격벽(13)은 침사용 챔버(10)의 다른 벽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침사용 챔버(10)로 유입된 우수는 1차로 제1격벽(13)을 월류하여 스크린 챔버(20)로 이동하게 되며, 제1격벽(13)으로 인하여 침사용 챔버(10)는 초기 유입수의 침사가 일어나는 된다. 통상적으로 유입수에 포함된 오염물은 가라앉는 물질과 크게 걸려지는 물질과 작게 포집되는 물질로 구분될 수 있는데, 침사용 챔버(10)에서는 유입수에 포함되어 들어오는 오염물 중에서 자갈, 모래 등과 같이 가라앉는 무거운 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제1격벽(13)은 침사용 챔버(10)를 통과하는 무거운 물질이 상기 스크린 챔버(20)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스크린 챔버(20)는 제1격벽(13)을 사이에 두고 침사용 챔버(10)와 이웃하며, 스크린 챔버(20)에는 그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스크린 부재(21)가 마련된다. 스크린 부재(21)는 스크린 통공이 형성된 판재로 제작된 바스킷으로서, 우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은 우수가 스크린 부재(21)를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면서 그 협잡물이 스크린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 버킷(20)에 포집된다. 스크린 부재(21)는 본 장치의 청소시에 상기 스크린 부재(21)만 들어올려 폐기 또는 청소하면 되므로, 스크린 챔버(20)의 세척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우수는 스크린 챔버(20)에서 하향 흐름을 형성하고, 우수에 부유하는 부유성 협잡물은 침사용 챔버(10)로부터 스크린 챔버(20)로의 흐름에 따라 부유할 뿐이므로, 부유성 협잡물은 스크린 챔버(20)의 상부에 모이게 된다. 침사용 챔버(10)와 스크린 챔버(20)의 일측에 여과용 챔버(30)가 마련된다. 여과용 챔버(30)의 일측벽에는 유출구(37)가 형성되어 우수가 방출된다. 여과용 챔버(30)의 벽체 중 하나로서 제2격벽(33)이 마련된다. 제2격벽(33)을 사이에 두고, 여과용 챔버(30)와 침사용 챔버(10)가 이웃하며, 아울러 여과용 챔버(30)와 스크린 챔버(20)가 서로 이웃한다.
상기 제2격벽(33)은 침사용 챔버(10)의 벽체로서 기능하며, 아울러 스크린 챔버(20)의 벽체로서도 기능한다. 제2격벽(33)에는 고수위용 연통구(31)와 저수위용 연통구(315)가 각각 형성된다.
고수위용 연통구(31)는 침사용 챔버(10)와 여과용 챔버(30)를 서로 연통시키며, 아울러 제1격벽(13)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저수위용 연통구(35)는 스크린 챔버(20)의 하부와 여과용 챔버(30)의 하부를 서로 연통시킨다. 여과용 챔버(30)에는 저수위용 연통구(35)와 유출구(37)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면서 여과 장치(32)가 마련된다. 따라서 저수위용 연통구(35)를 통하여 유입된 우수는 반드시 여과 장치(32)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후 유출구(37)를 통하여 유출되게 된다. 여과 장치(32)는 섬유막으로 형성된 여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과 장치(32)는 미세 정화를 실행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침사용 챔버(10)와 스크린 챔버(20)는 제1격벽(13)의 상부 공간을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통되어 있는 높이의 공간에 부유물 저지판(12)이 마련된다. 부유물 저지판(12)은 제1격벽(13)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수직 방향의 자세를 가지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유물 저지판(12)은 고수위용 연통구(3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유물 저지판(12)은 그 배치 높이로 인하여 우수가 저수위일 경우에는 우수가 제1격벽(13)을 월류하는 경우에도 우수와 접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우수가 고수위일 경우에 우수의 수면은 부유물 저지판(12)과 접촉하며, 부유물 저지판(12)은 고수위용
연통구(31)가 형성된 침사용 챔버(10)와, 스크린 챔버(20)를 구획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여 유입수의 양이 비교적 적으면서 협잡물이 집중적으로 몰려오는 초기 우수시에, 즉 저수위인 경우 침사용 챔버(10), 스크린 챔버(20), 여과용 챔버(30)로 이루어지는 흐름 경로를 형성시키며, 초기 우수 정화 작업(협잡물 제거)을 실행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점 오염 저감 시설은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저지하기 위한 부유물 저지판을 구비하여야 하며, 스크린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여과장치의 분리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013113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 스크린으로 유동하는 부유물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며, 스크린과 여과부재의 설치와 인양이 용이하여 교체와 보수가 용이한 한편,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며 전후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측벽에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벽체, 중간벽체, 제2 벽체 및 상기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로 공간부를 분할하는 가로벽체로 이루어지며, 상방으로 개구된 몸체부와; 제1 벽체와 중간벽체 사이의 공간에는 스크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벽체 하부로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는 하부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의 상부로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는 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벽체에는 스크린부로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체에는 스크린부와 여과부로 연통되는 상부통로와 스크린부와 하부유입부로 연통되는 하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여과부와 하부유입부를 연통시키는 유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유입구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하부통로를 덮도록 스크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에는 상부로부터 유통로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가 구비된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스크린부에는 하부통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간벽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으로부터 제1 벽체를 향하여 이격되어 제1 지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하부통로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외향 오목하게 걸림고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수단은 하단이 바닥부재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는 지지대와 지지대 상부에 구비되어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원호형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부재는 고정수단에 걸리어 단부가 중간벽체에 접착한 상태로 고정되며 타측은 원호형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 스크린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크린부재는 링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부재로부터 연장되며 타측이 막힌 단면이 원형인 컵 형태로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스크린 본체와, 상기 스크린본체의 외면에 구비된 걸림고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고리부재는 스크린본체의 제1 힌지부에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에 구비된 제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걸림고리로 이루어져; 플랜지를 중간벽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고리부에 삽입하고, 제1 회전부재를 회전시며 걸림고리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플랜지가 중간벽체에 가압되면서 스크린부재가 하부통로를 덮도로 구비되며; 스크린 본체의 타측은 제1 지지수단의 원호형 지지부재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여과부재는 상하로 적층되며 내부에 여과재가 구비된 복수의 여과수단으로 이루어지며; 가장 상부의 여과수단의 상단에 인양수단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를 이루는 중간벽체, 제2 벽체 및 측벽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는 인양수단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인양걸림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여과부재를 이루는 복수의 여과수단에서 가장 상부의 여과의 상부에는 인양수단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걸림고리가 그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고 하단은 단면적이 감소한 형태를 가지며; 가장 하부의 여과수단은 상부 외면에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된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걸림고리부재로 이루어진 제1 걸림고리부재를 구비하며, 하단은 단면적이 감속한 형태를 가지며, 상단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오목한 안착홈에 형성되며; 중간에 위치하는 여과수단은 상부 외면에 복수의 제1 걸림고리부재를 구비하고 하부 외면에 복수의 제1 걸림고리를 구비하여; 서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의하면, 스크린부재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며, 여과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있으며 설치와 보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이루는 몸체부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설치 및 교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여과수단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구비되는 여과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이루는 몸체부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설치 및 교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여과수단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구비되는 여과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유입구에서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그리고 중간벽체를 따르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중간벽체 폭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판상의 바닥부재(109)와, 상기 바닥부재(109)의 상부로 구비되며 전후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측벽(102-1)과, 상기 바닥부재(109)의 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측벽(102-1)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벽체(101), 중간벽체(103), 제2 벽체(105) 및 상기 중간벽체(103)와 제2 벽체(103)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로 공간부를 분할하는 가로벽체(107)로 이루어진 몸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벽체(101), 중간벽체(103), 제2 벽체(105) 및 가로벽체(107)의 폭방향 양단은 측벽(102-1)에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방향으로 개구되어,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커버(1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10)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벽체(101)와 중간벽체(103) 사이의 공간에는 스크린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벽체(107) 하부로 중간벽체(103)와 제2 벽체(105) 사이에는 하부유입부(104)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107)의 상부로 중간벽체(103)와 제2 벽체(105) 사이에는 여과부(106) 형성된다.
상기 제1 벽체(101)에는 스크린부(102)로 연통된 유입구(101a)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체(103)에는 스크린부(102)와 여과부(106)로 연통되는 상부통로(103a)와, 스크린부(102)와 하부유입부(104)로 연통되는 하부통로(103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107)에는 상하 방향으로 여과부(106)와 하부유입부(104)를 연통시키는 유통로(107a)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부(102)에는 유입구(101a)와 하부통로(103b) 사이에 판상의 스크린지지부재(129)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지지부재(129)는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변은 2개의 측벽(102-1), 제1 벽체(101) 및 중간벽체(103)에 접하여 고정되다. 상기 스크린지지부재(129)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삽입공(129b)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지지부재(129)는 가장 자리에서 상부로 또는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고정연장부(129a)가 구비되어 각각 2개의 측벽(102-1), 제1 벽체(101) 및 중간벽체(103)에 접하여 고정된다. 스크린지지부재(129)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연장부(129a)에 통공을 형성하고 볼트로 삽입하여 측벽(102-1), 제1 벽체(101) 및 중간벽체(10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지지부재(129)는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크린지지부재(129)는 유입구(101a)와 하부통로(103b) 사이에 위치한다.
스크린부재(120)은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판상의 플랜지부(121)와, 상기 플랜지부(121) 하부에 결합된 컵 형의 타공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부재(120)는 상부로부터 스크린지지부재(129)에 설치된다. 상부에서 스크린부재(120)를 하강시켜 타공부(123)가 관통삽입공(129b)으로 삽입되며, 스크린부재(120)의 플랜지부(121)는 관통삽입공(129b)에 걸리어 스크린부재(120)의 상부면과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부재(120)의 플랜지부(121)는 관통삽입공(129b)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타공부(123)의 상단 둘레는 관통삽입공(129b)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린부재(120)의 타공부(123) 만이 관통삽입공(129b)을 삽입하여 스크린지지부재(129)의 하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타공부(123)는 상방으로 개구된 컵형으로 형성되며, 단면은 관통삽입공(129b)의 관통 형태에 따라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지지부재(129)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스크린부재(120)도 복수로 구비되어, 각 스크린지지부재(129)마다 하나의 스크린부재(1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스크린지지부재(129)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부에 구비된 스크린지지부재(129)의 관통삽입공(129b)은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120)의 플랜지부(121)가 통과될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부재(12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인양수단(127)이 연결된다. 상기 인양수단(127)은 링상의 고리가 복수로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120)가 상하로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하 스크린부재(120)에 상단과 하단이 연결된 연장인양수단(127-1)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인양수단(127-1)의 상단과 하단은 상하로 위치하는 스크린부재(120)의 플랜지부(12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스크린부(102)를 이루는 측벽(102-1), 제1 벽체(101) 및 중간벽체(103)에는 스크린부(102)를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인양걸림고리(128)가 구비된다. 상기 인양걸림고리(128)는 상부통로(103a)의 상부로 구비된다.
스크린지지부재(129)에 스크린부재(120)를 상부로부터 삽입시키고 난 후, 하단이 스크린부재(120), 특히 스크린부재(120)의 플랜지부(121)에 고정 연결된 인양수단(127)의 상부를 인양걸림고리(128)에 걸어 놓게 된다.
상기 인양걸림고리(128)는 벽체에 고정된 고정부(1281)와, 상기 고정부(1281)로부터 돌출되며 상향 절곡된 걸림부(128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상 고리를 걸림부(1283)에 삽입시킴으로써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스크린부재(120)의 교체시 인양수단(127)을 인양걸림고리(128)로부터 분리하여 상향 인양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과부재(130)를 이루는 복수의 여과수단(131, 133, 135)에서 가장 상부의 여과수단(135)의 상부에는 인양수단(137)이 구비된다. 여과부재(130)에 구비되는 인양수단(137)은 스크린부재(120)에 구비되는 인양수단(127)과 형태,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벽체(170)에는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유통로(107a)가 형성되며, 여과부재(130)는 상부로부터 유통로(107a)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로벽체(107)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삽입부재(107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형성한다. 상기 삽입부재(1071)는 상하 방향으로 유통로(107a)가 관통 형성된 링상으로서 상부는 단면적이 크고, 하부는 단면적이 적은 유통로(107a)가 형성되어 중간에 상향하는 면을 가지는 유통턱부(107b)가 형성된다.
여과부재(130)를 이루는 가장 하부의 여과수단(131)은 하향하는 면을 가지는 여재턱부(1318)를 가지며, 그 하부로는 망체인 스크린부(1311)를 가진다. 상부로부터 삽입되면서 여재턱부(1318)가 유통턱부(107b)에 걸리면서 설치되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형태인 상기 스크린부(1311)는 가로벽체(107)의 하부로부터 노출된다.
여과부재(130)를 이루는 여과수단(131, 133)은 상단에 플랜지(1315, 1335)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1315, 1335)는 상하 이중 벽체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틈새를 형성하고 내향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향 개구된 삽입개구부(1316, 1336)가 복수로 형성된다. 여과부재(130)를 이루는 여과수단 중 가장 하부의 여과수단을 제외한 여과수단은 하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삽입돌기부(1337)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부(1337)는 삽입개구부(1316, 1336)와 동수로 구비되며, 상기 삽입돌기부(1337)의 원주방향 길이는 삽입개구부(1316, 1336)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여과수단을 상하 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킬 때, 상부에 위치하게 될 여과수단의 삽입돌기부를 삽입개구부에 삽입시킨 후, 상부의 여과수단을 회전시켜 삽입돌기가 플랜지의 상하 이중 벽체 사이에 위치시켜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서로 결합된 여과수단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형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수개의 여과수단을 결합하여 상부로부터 유통로(107a)에 삽입시켜 설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가장 하부에 결합되는 여과수단에는 하부로 스크린부가 구비되고, 삽입돌기부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장 상부에 결합되는 여과수단의 상부에는 플랜지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인양수단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여과부(130)를 이루는 측벽(102-1), 중간벽체(103) 및 제2 벽체(105)에는 여과부(130)를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인양걸림고리가 구비된다. 상기 인양걸림고리는 상부통로(103a)나 유출구(105a)의 상부로 구비된다.
여과부(130)의 가로벽체(107)에 여과부재를 상부로부터 삽입시키고 난 후, 하단이 여과부재, 특히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수단(135)에 고정 연결된 인양수단의 상부를 인양걸림고리에 걸어 놓게 된다.
유입구(101a)를 통한 유량이 적은 초기에는 유입구(101a), 스크린부재(120), 하부통로(103b), 유통로(107a), 여과부(130)를 거쳐서 유출구(105a)로 유출되며, 유량이 중가하는 경우 유입구(101a)를 통한 일부의 유량은 상부통로(103a)를 통하여 바로 유출구(105a)를 통하여 유출된다.
상기 여과부재(130)는 상하로 적층되며 내부에 여과재(예, 제올라이트, 안트라사이트, 활성탄 등,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 복수의 여과수단(133)으로 이루어지며; 가장 상부의 여과수단(135)의 상단에 인양수단(137)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130)를 이루는 중간벽체(103), 제2 벽체(105) 및 측벽(102-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는 인양수단(137)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인양걸림고리가 고정 구비된다.
사용자는 여과부재(130)의 교체시 인양수단(137)을 인양걸림고리(139)로부터 분리하여 상향 인양하여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110: 커버
120: 스크린부재 130: 여과부재

Claims (4)

  1.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며 전후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측벽과,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로 구비되며 상기 측벽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 벽체, 중간벽체, 제2 벽체 및 상기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하로 공간부를 분할하는 가로벽체로 이루어지며, 상방으로 개구된 몸체부와; 제1 벽체와 중간벽체 사이의 공간에는 스크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로벽체 하부로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는 하부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의 상부로 중간벽체와 제2 벽체 사이에는 여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벽체에는 스크린부로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벽체에는 스크린부와 여과부로 연통되는 상부통로와 스크린부와 하부유입부로 연통되는 하부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벽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여과부와 하부유입부를 연통시키는 유통로가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부에는 유입구와 하부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삽입공이 판상의 스크린지지부재에 형성되고, 스크린부재는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판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하부에 결합된 컵형의 타공부로 이루어져, 상부로부터 관통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설치되어 타공부는 관통삽입공을 관통하여 스크린지지부재 하부로 위치하고 플랜지부는 스크린지지부재에 걸리어 스크린지지부재 상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를 이루는 측벽, 제1 벽체 및 중간벽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스크린부를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인양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스크린부재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인양수단이 연결 구비되어, 스크린부재가 스크린지지부재에 삽입되고, 인양수단의 상부는 인양걸림고리에 걸리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에는 상부로부터 유통로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여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부재를 이루는 여과수단은 상단에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는 상하 이중 벽체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틈새를 형성하고 내향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상향 개구된 삽입개구부가 복수로 형성되며; 하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삽입돌기부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부의 원주방향 길이는 삽입개구부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여과수단을 상하 방향에서 서로 결합시킬 때, 상부에 위치하게 될 여과수단의 삽입돌기부를 삽입개구부에 삽입시킨 후, 상부의 여과수단을 회전시켜 삽입돌기가 플랜지의 상하 이중 벽체 사이에 위치시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를 이루는 측벽, 중간벽체 및 제2 벽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여과부를 이루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인양걸림고리가 구비되고, 여과부재의 상부에는 인양수단이 구비되어, 가로벽체에 여과부재를 상부로부터 삽입시키고 난 후, 여과부재에 고정 연결된 인양수단의 상부를 인양걸림고리에 걸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0120124185A 2012-11-05 2012-11-05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23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85A KR101239390B1 (ko) 2012-11-05 2012-11-05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85A KR101239390B1 (ko) 2012-11-05 2012-11-05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390B1 true KR101239390B1 (ko) 2013-03-05

Family

ID=4818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185A KR101239390B1 (ko) 2012-11-05 2012-11-05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3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501A (ko) * 2006-06-27 2008-01-02 김현주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090120986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자연과건설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KR20100130346A (ko) * 2009-06-03 2010-12-13 블루그린링크(주)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20100130352A (ko) * 2009-06-03 2010-12-13 블루그린링크(주)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501A (ko) * 2006-06-27 2008-01-02 김현주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090120986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자연과건설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KR20100130346A (ko) * 2009-06-03 2010-12-13 블루그린링크(주)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20100130352A (ko) * 2009-06-03 2010-12-13 블루그린링크(주)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049B1 (ko) 초기우수 정화장치
KR101400257B1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US8221632B2 (en) Surface water filtration device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59175B1 (ko) 이물질유입 방지용 맨홀
CN109372087B (zh) 一种面源控污雨水井
KR1017941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RU25483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нтируемое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036018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장치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0891940B1 (ko)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US20080164190A1 (en) Curbside gross pollution trap
KR10114332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304648B1 (ko)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239390B1 (ko) 상향류 여과용 비점오염 저감시설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846404B1 (ko) 지능형 분리장치가 추가된 교량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