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131B1 -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131B1
KR101237131B1 KR1020100092788A KR20100092788A KR101237131B1 KR 101237131 B1 KR101237131 B1 KR 101237131B1 KR 1020100092788 A KR1020100092788 A KR 1020100092788A KR 20100092788 A KR20100092788 A KR 20100092788A KR 101237131 B1 KR101237131 B1 KR 10123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experimental
test
nebulizer
sub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1327A (ko
Inventor
조명행
권정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1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ir or other gas pressure applied to the liquid or other product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testing or calibration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38Investigating 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에 있어서,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로 제조하는 네블라이저(100); 미세 입자로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 실험 챔버(200); 실험 챔버에 연결되어 실험 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300); 및 유량조절장치(300)에 청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400); 를 포함하는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 물질의 손실이 감소하여, 피실험체로의 실험 물질 전달 효율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험 장치의 제작 및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켜 흡입을 이용한 치료 또는 액상 물질의 유해성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An Improved Apparatus for Treating or Testing Toxic Properties by Inhaling a Liquid-Phase Material}
본 발명은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체 물질을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분자로 발생시키고, 실험체의 호흡기를 통해 이를 흡입시켜 치료 또는 유해성을 실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블라이저(nebulizer)는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치료 약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치료 부위까지 전달해 주는 장치를 말한다.
네블라이저는 보통 컴프레서(compressor) 모터의 분출 압력을 실험 물질 탱크에 가하여 약물을 미세한 입자의 크기로 만들어 분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액상 물질의 유해성 실험 장치로도 네블라이저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액상 물질을 에어로졸화하여 마우스 피스 또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코나 입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상 물질이 실험체의 기관지 말초까지 이르러 액상 물질의 유해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네블라이저는 통상적으로 고압의 공기압으로 액상 물질을 분사시키기 때문에 실험 물질의 소모가 많은 점이 있고, 또한 1대의 네블라이저는 1대의 호흡을 위한 장치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하고 있어 다수의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네블라이저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다수의 호흡을 위한 장치에 관한 발명(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02-0059051호)이 있지만, 이는 고체상 입자(dust)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실험 물질이 호흡을 위한 장치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후 호흡을 위한 장치 내에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면서 배기되지 않아 실험체의 호흡기에의 노출도 일정하지 못하여 치료 또는 유해성 평가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고, 다양한 조건이나 환경에서의 실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실험체에 균등한 농도로 미세 입자를 공급하여 다양한 치료 또는 유해성 평가를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에 있어서,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로 제조하는 네블라이저(100); 미세 입자로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 실험 챔버(200); 실험 챔버에 연결되어 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300); 및 유량조절장치(300)에 청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400);를 포함하는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험 물질의 손실이 감소하여, 피실험체로의 실험 물질 전달 효율이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험 장치의 제작 및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켜 흡입을 이용한 치료 또는 액상 물질의 유해성을 실험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에 포함된 연결관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에 포함된 실험 챔버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를 사용한 경우 실험 챔버중에서 발생된 입자의 크기 및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를 사용한 경우 실험 물질의 전달 효율을 나타낸 공초점형광현미경 사진(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이다.
도 6은 도 5의 사진에 나타난 형광의 세기를 수치화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는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로 제조하는 네블라이저(100)를 포함한다.
상기 네블라이저(100)에 의해 제조되는 미세 입자는 피실험체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에 적합한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MD(Geometric Mean Diameter)로 0.2 내지 0.5 μm의 크기, 바람직하게 0.3 내지 0.4 μ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네블라이저(100)는 예를 들어, 실험 물질이 저장되는 실험물질탱크(110); 미세 입자의 발생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가 장착되고, 주파수를 조절하여 미세 입자의 발생량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콘트롤(120); 및 가변 콘트롤(120)에 의해 구동되어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미세 입자의 형태로 발생시키는 압전 진동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험물질탱크(110)는 가변 콘트롤(120)과 어떠한 형태로 배치되어도 무방하나, 가변 콘트롤(120)과 결합 또는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별가변 콘트롤(120)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변 콘트롤(120)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실험물질탱크(110)는 실험물질에 대한 용량 감지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 감지 장치(140)는 실험물질탱크(110) 중 포함된 실험 물질의 용량이 정해진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실험물질탱크(110) 하부에 설치된 압전 진동체(130)에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압전 진동체(130)에 포함된 진동자를 보호하고,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는 미세 입자로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 실험 챔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실험 챔버(200)는 예를 들어,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유입된 실험 물질이 유입되는 투입구(210);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메인 챔버(220) 내부에 형성된 서버 챔버(230); 실험 물질을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시키기 위한 연결장치(600)와 결합되는 유도 파이프(240); 실험 물질을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 챔버(220); 상기 메인 챔버(2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배출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파이프(240)는 서버챔버(2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 예를 들어 2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어 메인챔버(2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실험 챔버(200)의 외부에는 시험자 보호를 위한 보호박스(5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보호박스(500)를 통해 시험결과에 영향을 주는 외부 환경조건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는 실험 챔버에 연결되어 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300)를 포함한다. 유량조절장치(300)는 예를 들어, 전자식으로 제어되는 공기 유량 조절기(BROOKS MASS FLOW METERS AND CONTROLLERS, MODEL 5850TR)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유량조절장치(300) 내 밸브 조절을 통하여 공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를 통한 시험물질(치료물질 또는 독성평가물질) 전달에 있어, 공기의 유량은 필수조건이며 이러한 유량은 고정밀기계로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사람 또는 시험동물과 같은 피실험체는 시간당 일정한 호흡량이 있으며 이러한 호흡량을 기준으로 유량을 조절하여만 최적의 전달효율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여, 공기의 유량은 예를 들어 10 ml/min 내지 20 L/min의 범위, 구체적으로 1 내지 10L/min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는 유량조절장치(300)에 청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400)를 포함한다.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로써, 이는 반도체회사 등의 크린룸에서 사용하는 특수 섬유를 그 소재로 하여 제조되며, 강한 흡착력에 의해 0.3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미세먼지를 99.9%까지 걸러지도록 하여, 곰팡이, 진드기 등을 제거해주는 필터로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장치는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생성된 실험 물질은 실험 챔버(2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수평방향을 유지하여 실험 챔버(200)로 유입될 수 있다.
종래에는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생성된 실험 물질이 실험 챔버(200)와 수직 방향으로 놓여져, 실험물질이 실험 챔버(200)의 상하 방향으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자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실용등록공고 제 30496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실험 물질을 피실험체에 노출하는 과정에서 누수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생성된 실험 물질은 실험 챔버(200)와 수평방향을 유지하여 실험 챔버(200)의 좌우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기 실험예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누수량이 적고, 피실험체에의 실험 물질 전달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실험 물질의 양 또는 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전달 효율 면에서 종래와 동등 또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는 장치 외부에서 공급된 공기에 의해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로 제조하는 네블라이저(100), 미세 입자 형태로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 실험 챔버(200), 실험 챔버에 연결되어 챔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300) 및 유량조절장치(300)에 청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400)를 포함한다.
이 때,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생성된 실험 물질은 실험 챔버(2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수평방향을 유지하여 실험 챔버(200)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누수량이 적고, 피실험체에의 실험 물질 전달 효율이 매우 우수한 실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헤파필터(400)를 통해 정화되고, 유량조절장치(300)를 통해 에어로졸 미세입자 제조에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된 공기가 실험 챔버로 공급되어 네블라이저(100)에서 제조된 미세 입자 형태의 실험 물질이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로 된다. 이러한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 실험 물질이 실험 챔버(200) 내로 유입되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된다.
네블라이저(100)는 네블라이저(100)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실험 물질이 저장되는 실험물질탱크(110), 미세 입자의 발생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타이머(도면 미도시)가 장착되며, 주파수를 조절하여 미세 입자의 발생량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콘트롤(120) 및 가변 콘트롤(120)에 의해 구동되어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미세 입자의 형태로 발생시키는 압전 진동체(130)를 포함하며, 실험물질탱크(110)는 가변 콘트롤(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실험물질탱크(110)는 유해 가스를 포함한 각종 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고자 테플론 등으로 코팅한 소재를 사용하여 자극 물질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킨 것일 수 있다.
또한, 실험물질탱크(110)는 실험물질에 대한 용량 감지 장치(140)를 포함하여, 실험물질탱크(110) 중 포함된 실험 물질의 용량이 정해진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실험물질탱크(110) 하부에 설치된 압전 진동체(130)에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압전 진동체(130)에 포함된 진동자를 보호하고, 손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네블라이저(100) 중 실험물질탱크(110)와 이에 결합된 압전 진동체(130)은 실험 챔버(200)와 이동 파이프(140)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험물질탱크(110)와 압전 진동체(130)는 실험 챔버(200) 외부의 보호박스(500) 내부에 존재한다. 네블라이저(100) 중 가변 콘트롤(120)은 실험물질탱크(110)와 이에 결합된 압전 진동체(130)로부터 이격되어 별도의 이동 파이프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보호박스(500)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실험 챔버(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헤파필터(400)가 설치되며, 헤파필터(400)와 실험 챔버(200)의 사이에 공기의 유입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장치(300)가 포함된다. 실험 챔버(200)의 외부에는 시험자 보호를 위한 보호박스(5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실험 챔버(200)는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유입된 실험 물질이 유입되는 투입구(210),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메인 챔버(220) 내부에 형성된 서버 챔버(230), 실험 물질을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시키기 위한 연결 장치(600)와 결합되는 유도 파이프(240), 실험 물질을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 챔버(220), 메인 챔버(2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배출구(250)를 포함한다.
투입구(210)는 실험 챔버(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어 서버 챔버(2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유도 파이프(240)는 서버 챔버(2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메인 챔버(2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각각 연결 장치(600)와 결합된다. 유도 파이프(240)는 피실험체가 동시에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동일한 조건으로 치료 또는 유해성 평가가 가능하다.
유도 파이프는 도 2에서와 같이 서버챔버(2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유도 파이프(241)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어 메인챔버(22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미세 입자의 동일한 조건으로 치료 또는 유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서버 챔버(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공기는 화살표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험 장치에 포함된 실험 챔버(200)의 예시도이다. 유도 파이프(240)와 연결 장치(600)를 결합할 때 이격되게 결합시켜, 메인 챔버(220)로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챔버(200)의 서버 챔버(230), 메인 챔버(220), 유도 파이프(240) 및 이동 파이프(140)는 모든 실험 물질에 부식되지 않는 테플론 등으로 코팅한 소재의 재질을 사용하였다.
연결 장치(600)의 연결관(610) 일측은 실험 챔버(200)의 유도 파이프(240)에 연결되고 내면에는 일정한 경사면(620)이 형성된 결합부(630)가 설치되며, 타측으로는 피실험체의 용이한 사용을 위해 필요한 마우스 피스 또는 마스크 등이 부착될 수 있다. 연결관(610)의 재질은 모든 실험물질에 부식되지 않게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기존의 실험장치(vertrical type의 챔버 포함; 실용등록공고 제 304964호의 실험장치 참조)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수평형 챔버를 포함하는 실험장치의 효율성 평가를 위하여 시험조건을 설정하였다. 유전자는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를 사용하였으며, 유전자 전달체는 polyethylenimine (PEI 25K)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C57BL/6 수컷 6~8 주령 마우스로, 각군당 4마리씩 설정하였으며, 기존 실험장치는 1회 노출시 1000ug 을 50ml 용액에 분산시켜 30분씩 실험동물에게 노출하였다. 반면, 시험군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를 사용하고, 유전자양을 100ug 또는 200ug으로 설정하였으며, 기존 50ml의 용액량의 저감하면서 누수량을 줄이기 위하여 용액량 20ml, 유량(air flow) 2 lpm(Liter/Minute)으로 설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0061457547-pat00001
각 챔버에서 발생된 입자의 크기 및 패턴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Horizontal; low) 및 실시예 2(Horizontal; High)에서 발생된 입자의 크기 및 패턴은 비교예 1(기존 장치: Vertical)에서 발생된 입자의 크기 및 패턴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입자가 피실험체인 실험동물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였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액상 물질 전달체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에게 흡입노출 시켰을 경우, GFP의 폐내 발형 양상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서는 실시예 1(Horizontal; low) 및 실시예 2(Horizontal; High)와 비교예 1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녹색형광이 발현되는 것은 유전자가 폐내로 전달되어 발현됨을 의미하는 것인데, con (대조군), VC(기존 챔버 조건; 비교예 1), low (100ug DNA: 실시예 1), High (200ug DNA: 실시예 2)을 관찰하였을 때, 본 발명에 의해 개선된 실험 장치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경우 기존방식에 비해 유전자 전달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실험 장치에서 형광세기가 비교예 1에 비해 4~7%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DNA 양을 비교예 1에서 사용된 1000ug에 비해 현저하게 작은 양인 100 또는 200ug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DNA 양을 80% 내지 90%로 감소시킨 경우에도 효율성이 오히려 증가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누수량이 많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효율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액상의 실험 물질을 실험체에 흡입시키기 위한 실험 장치로서,
    상기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형태의 미세 입자로 제조하는 네블라이저(100);
    네블라이저(100)와 연결되어,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유입된 미세 입자화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된 실험 챔버(200);
    실험 챔버(200)에 연결되어 실험 챔버(2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300); 및
    유량조절장치(300)에 청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헤파필터(HEPA filter; 400)를 포함하고,
    실험 챔버(200)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험 챔버(200)의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여 실험 챔버(200)로 유입되며,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생성된 실험 물질은 실험 챔버(2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수평방향을 유지하여 실험 챔버(200)의 좌우방향으로 실험 챔버(200)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블라이저(100)는 실험 물질이 저장되는 실험물질탱크(110);
    미세 입자의 발생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가 장착되고, 주파수를 조절하여 미세 입자의 발생량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콘트롤(120); 및
    실험물질탱크(110)와 결합되며, 가변 콘트롤(120)에 의해 구동되어 실험 물질을 에어로졸 미세 입자의 형태로 발생시키는 압전 진동체(130)를 포함하며,
    실험물질탱크(110)는 가변 콘트롤(1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물질탱크(110)는 실험물질에 대한 용량 감지 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챔버(200)의 외부에는 시험자 보호를 위한 보호박스(50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챔버(200)는 네블라이저(100)로부터 유입된 실험 물질이 유입되는 투입구(210);
    유입된 실험 물질이 실험체의 호흡기에 균등한 농도로 배분되어 노출되도록 메인 챔버(220) 내부에 형성된 서버 챔버(230);
    실험 물질을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시키기 위한 연결장치(600)와 결합되는 유도 파이프(240);
    실험 물질을 실험체의 호흡기에 노출시킨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메인 챔버(220);
    상기 메인 챔버(2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배출구(250)를 포함하며,
    유도 파이프(240)는 서버 챔버(230)의 외측둘레에 배열되며, 메인 챔버(2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연결 장치(6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파이프(240)는 서버챔버(230)의 외측둘레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600)의 연결관(610) 일측은 실험 챔버(200)의 유도 파이프(240)에 연결되고, 연결 장치(600)의 내면에는 일정한 경사면(620)이 형성된 결합부(6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 장치.
KR1020100092788A 2010-09-24 2010-09-24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KR10123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788A KR101237131B1 (ko) 2010-09-24 2010-09-24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788A KR101237131B1 (ko) 2010-09-24 2010-09-24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327A KR20120031327A (ko) 2012-04-03
KR101237131B1 true KR101237131B1 (ko) 2013-02-25

Family

ID=4613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788A KR101237131B1 (ko) 2010-09-24 2010-09-24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770B1 (ko) 2018-02-08 2019-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생성을 통한 대기질 환경 모사 시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64Y1 (ko) * 2002-11-09 2003-02-19 조명행 액상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US20090064995A1 (en) * 2007-09-06 2009-03-12 Activaero Gmbh Inha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64Y1 (ko) * 2002-11-09 2003-02-19 조명행 액상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US20090064995A1 (en) * 2007-09-06 2009-03-12 Activaero Gmbh Inhal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770B1 (ko) 2018-02-08 2019-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생성을 통한 대기질 환경 모사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327A (ko)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7948B2 (ja) エアロゾルを発生させる方法
CN101247898B (zh) 超音波气雾产生器
Park et al. Filtration and inactivation of aerosolized bacteriophage MS2 by a CNT air filter fabricated using electro-aerodynamic deposition
US201002429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in a breathing assistance system
US20090114218A1 (en) Electrotherapeutic treatment device and method
US8720439B1 (en) Humidification for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systems
AU73883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ulmonary gene delivery
EP1539283A4 (en) PULMONARY DOSING SYSTEM AND METHOD
WO1998010796A9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ulmonary gene delivery
KR101237131B1 (ko) 개량된 액체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US8869796B2 (en) Filter
CA1266286A (en) Nebuliser for homogenous micro-aerosol
US11123513B2 (en) Humidifier for humidifying an aerosol
H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novel nanofiber nasal filter (NNF) to improve respiratory health
KR102144901B1 (ko) 공기 정화장치
KR200304964Y1 (ko) 액상 물질의 흡입에 의한 치료 또는 유해성 실험 장치
JP2020014535A (ja) 吸入器
Kang et al. Antimicrobial air filter fabrication using a continuous high-throughput aerosol-based process
CN110812628A (zh) 一种基于多微米孔阵列静电雾化的医用雾化装置
CN103432662A (zh) 医用雾化吸入器
US20230137540A1 (en) Filter
Mazela Aerosolization and Nebulization 61
Henderson Characterization of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s For Use With Nanoaerosols
Gradoń et al. Pulse nebulization in pneumatic devices
YEVTIN et al. Research Institute of Aerobiology of State Research Center of Virology & Biotechnology" V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