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918B1 -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918B1
KR101234918B1 KR1020110023910A KR20110023910A KR101234918B1 KR 101234918 B1 KR101234918 B1 KR 101234918B1 KR 1020110023910 A KR1020110023910 A KR 1020110023910A KR 20110023910 A KR20110023910 A KR 20110023910A KR 101234918 B1 KR101234918 B1 KR 10123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ervice
mb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915A (ko
Inventor
테밍 첸
Original Assignee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0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모듈 및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모드를 떠나라는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 컨트롤러 모듈은,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MBMS 서비스가 아닌 다른 모든 무선 자원을 해제한다. 그 후에, 컨트롤러 모듈은 유휴 모드로 진입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NETWORK INITIATED CONNECTION RELEASE PROCEDURES}
본 발명은 2010년 3월 17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314,697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접속 해제(connection release) 절차를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서비스를 수신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네트워크 개시(network initiated)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이동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셀룰러 스테이션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서비스 네트워크와 음성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UE와 서비스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기술,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기술,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CDMA 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기술,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기술,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 및 기타와 같은 다양한 무선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사용자 기기(UE)의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상태는 유휴(idle) 모드(RRC_IDLE)이거나 접속 모드(RRC_CONNECTED)일 수 있다. RRC 접속이 확립되면 UE는 유휴 모드를 떠나 접속 모드로 진입하며, RRC 접속이 해제되면 UE는 접속 모드를 떠나 유휴 모드로 진입한다. 다시 말하자면, RRC 접속이 확립되었을 때 UE는 접속 모드에 있고, 어떠한 RRC 접속도 확립되지 않는다면 UE는 유휴 모드에 있다.
유휴 모드의 UE는 어느 셀에 캠프온(camp on)할 지 결정하기 위해 셀 선택 및 재선택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셀 (재)선택 프로세스는 각각의 적용가능한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의 각각의 적용가능한 주파수의 우선순위, 무선 링크 품질 및 셀 상태(즉, 셀이 제외되어 있는지 아니면 예약되어 있는지)를 고려한다. 유휴 모드의 UE는 또한 인입 호를 검출하도록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고 또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한다. 시스템 정보는 주로 그에 의해 네트워크가 셀 (재)선택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LTE 기술을 고려하자. UE가 전원이 켜진 후에, UE는 LTE 네트워크로부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도록 LTE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확립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접속 확립 절차의 목적은 (RRC) 접속을 확립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확립 절차는 UE가 RRC 접속의 확립을 요청하도록 LTE 네트워크에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시작된다(단계 S110).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LTE 네트워크는 확립 이유 및 네트워크의 로딩, 예를 들어 eNB의 로드가 부합되는지(match) 여부를 체크한다. 어떠한 체크도 실패하지 않는다면, LTE 네트워크는 UE에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단계 S130). CONNECTION SETUP 메시지에 응답하여, UE는 구성 정보에 따라 논리 링크 및 베어러를 확립하고(단계 S140),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확인응답하도록 LTE 네트워크에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150), RRC 접속 확립의 성공적인 완료를 확인한다.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접속 확립 절차는 종료한다. 나중에, LTE 네트워크로부터의 확립된 접속을 해제하도록 접속 해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UE가 접속 모드에 있든 유휴 모드에 있든, MBMS 서비스에 관심있는 UE는 MBMS 무선 자원을 구성하는데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에 기초할 것이다. 특히, UE는 먼저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MCCH 구성을 얻고, MCCH를 통해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를 획득한 다음, 이 메시지로부터 MBMS 무선 자원 구성, 즉 MTCH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LTE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되는 접속 해제 절차를 도시하는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접속 해제 절차는 다양한 이유로,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트랜잭션의 완료, 지정되지 않은 장애, 사용자 비활동, UE와의 무선 접속 손실 등으로 인해, LTE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처음에, LTE 네트워크는 먼저 UE에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하여 LTE 네트워크로부터의 RRC 접속을 해제하도록 UE에 요청한다(단계 S210).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면, UE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하여 확립된 논리 링크 및 베어러를 해제한다(단계 S220).
접속 해제 절차는 확립된 무선 베어러 뿐만 아니라 모든 무선 자원의 해제를 비롯하여 확립된 접속을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다시 말하자면, UE는 접속 모드를 떠날 때 모든 무선 자원을 해제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서, 무선 모듈 및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모듈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모드를 떠나라는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 컨트롤러 모듈은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MBMS 서비스가 아닌 다른 모든 무선 자원을 해제한다. 그 후에, 컨트롤러 모듈은 유휴 모드로 진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모드를 떠나라는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MBMS 서비스가 아닌 다른 모든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 및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detachment)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특정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여 본 발명의 기타 양상 및 특징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예를 읽음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UE에 의해 LTE 네트워크에의 액세스를 위해 수행되는 접속 확립 절차를 도시하는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2는 LTE 네트워크에 의해 개시되는 접속 해제 절차를 도시하는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해제 절차를 도시하는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한정하는 의미로 간주되서는 안 된다. 3GPP 사양이 본 발명의 진정한 의미를 교시하는데 사용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WCDMA 네트워크 또는 LTE 네트워크는 거주지 또는 소형 비즈니스 환경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설계되는 팸토셀(femtocell)을 포함할 수 있으며, UE와 통신하기 위한 WCDMA 기술 또는 LTE 기술 그리고 백홀(backhaul)을 위한 기존의 광대역 인터넷 접속(예를 들어,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UE에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가 LTE 사양에 도입되었으며, 그리하여 디지털 형태의 신문 및 기타 매체의 무료 오버나이트 전송과 같은 정보, TV, 영화가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되거나 멀티캐스트될 수 있다. MBMS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다수의 사용자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점 대 다중점(point to multipoint) 서비스이다. MBMS는 네트워크(코어 네트워크 및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함)의 자원의 공유를 구현할 수 있고,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면서 동일한 요구를 갖는 가능한 많은 멀티미디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BMS PTM 무선 베어러 구성 절차는 MRB를 수신하는 것을 시작하거나 정지하면 무선 자원, 예를 들어, RLC, MAC 및 물리 계층을 구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데 관심있는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UE는 관심있는 서비스의 세션을 수신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MRB 확립 절차를 적용할 수 있고 세션을 수신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MRB 해제 절차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BMS 세션의 중단시, 대응하는 MBSFN 서비스 영역을 떠나면, MBMS 서비스에의 관심을 잃으면, 또는 성능 제한으로 인해 관심있는 서비스의 수신이 억제되기 시작하면, MRB 해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종래의 접속 해제 절차 동안, UE는 접속 모드를 떠날 때 모든 무선 자원을 해제할 것임을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UE는 접속 모드(즉, RRC_CONNECTED) 및 유휴 모드(즉, RRC_IDLE) 둘 다에서 MBMS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접속 모드에서 MBMS 서비스를 획득한 UE가 유휴 모드로 진입할 때 동일한 MBMS 서비스를 획득하기를 원한다면, UE는 MBMS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 동일한 MBMS 자원을 다시 재설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UE는 보통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고 어떠한 추가의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경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휴 모드에서 2시간 길이의 영화를 보고 있고 주기적인 추적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UE는 자신의 현재 추적 영역을 떠날 때마다 접속 모드에 진입해야 하며 UE가 자신의 새로운 위치에 대해 네트워크를 업데이트하는 절차인 추적 영역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추적 영역 업데이트 절차 후에, UE는 다시 유휴 모드로 돌아갈 것이다. 주기적인 추적 영역 업데이트 타이머의 디폴트 값이 약 58 분이므로, 영화는 적어도 2번 또는 3번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UE가 접속 모드를 떠나는 동안 MBMS 서비스를 활성화된 채 유지하도록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UE에 대한 개선된 접속 해제 절차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환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 환경(300)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무선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서비스 네트워크(320)의 셀룰러 스테이션(322)에 무선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스테이션(322)은 기지국 또는 액세스 스테이션으로 칭해질 수 있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셀룰러 스테이션(322)에 대하여 무선 전송 및 수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모듈(312)을 포함한다.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무선 모듈(312)은 기저대역 유닛(도시되지 않음) 및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유닛은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sion)/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DAC;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이득 조정, 변조/복조, 인코딩/디코딩 등을 포함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F 유닛은 RF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RF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 유닛에 의해 처리되는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또는 기저대역 유닛으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나중에 전송되는 RF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RF 유닛은 또한 무선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유닛은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주파수에서 발진하는 반송파와 승산할 믹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는 사용 중인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따라, WCDMA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900 MHz, 1900 MHz, 또는 2100 Mhz일 수 있거나, LTE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900 MHz, 2100 MHz, 또는 2.6 GHz이거나, 또는 기타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무선 모듈(312), 및 MMI(man-machine interface)로서 작용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키패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나 통신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 등과 같은 기타 기능적 컴포넌트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모듈(314)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네트워크(320)는 WCDMA 네트워크일 수 있고,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24.008 사양 및 WCDMA 기술의 기타 관련 사양에 따르는 UE일 수 있으며, 또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네트워크(320)는 LTE 네트워크일 수 있고,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3GPP TS 24.301 사양 및 LTE 기술의 기타 관련 사양에 따르는 UE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WCDMA 및 LTE 통신 프로토콜의 사양 둘 다에 따르는 UE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 모듈(314)은 셀룰러 스테이션(322)을 통하여 서비스 네트워크(320)와의 접속 해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무선 모듈(312)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해제 절차를 도시하는 메시지 시퀀스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해제 절차는 셀룰러 스테이션(322)으로부터 해제의 이유를 포함할 수 있는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시작된다(단계 S410). 다음으로, 컨트롤러 모듈(314)은 MBMS 서비스에 대응하는 임의의 무선 자원이 확립되었는지, 즉 임의의 MBMS 서비스가 진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접속 해제 절차 전에, 컨트롤러 모듈(314)은 무선 모듈(312)을 통하여 셀룰러 스테이션(322)으로부터 WCDMA 네트워크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1 및 SIB 3 또는 LTE 네트워크의 SIB-1과 같은 시스템 정보를 수신했을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이 실시예에서, MBMS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자원이 확립되었다고 결정되며(단계 S420), 그리하여 컨트롤러 모듈(314)은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이 아닌 다른 모든 기타 확립된 무선 자원을 해제한다(단계 S430). MBMS 서비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자원이 확립되었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는 것 이외에도(단계 S420), 컨트롤러 모듈(314)은 접속의 해제를 완료하도록 보통의 접속 해제 절차로 진행한다. 즉, 컨트롤러 모듈(314)은 MBMS 컨텍스트를 제외하고 확립된 PDP 컨텍스트 및 논리 링크를 해제하도록 자원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확립된 무선 자원의 해제는 모든 확립된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RLC 엔티티, MAC 구성 및 연관된 PDCP 엔티티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확립된 무선 자원의 해제에 더하여, 접속 해제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예를 들어, MAC를 재설정하고, 특정 타이머, 예를 들어 타이머 T320을 제외하고 진행되고 있는 모든 타이머를 중지하고, 3GPP TS 36.331에 명시된 바와 같은 해제의 이유와 함께 RRC 접속의 해제를 상위 계층에 나타낼 수 있다. 자원 해제 절차가 끝난 후에, 컨트롤러 모듈(314)은 유휴 모드로 진입하고(S440), 접속 해제 절차는 종료된다. 해제된 PDP 컨텍스트 및 논리 링크는 접속 해제 절차 전에 접속 확립 절차 동안 미리 확립된 것임을 유의한다. 전원이 켜진 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310)는 접속 확립 절차를 수행하여 서비스 네트워크(320)에 접속하고 PDP 컨텍스트, MBMS 컨텍스트, 및 논리 링크를 확립하며, 그리하여 서비스 네트워크(320)로부터 관련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개시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접속 해제 절차를 개시하는 서비스 네트워크의 셀룰러 스테이션에 무선 접속된다. 서비스 네트워크는 다양한 이유로,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트랜잭션의 완료, 지정되지 않은 장애, 사용자 비활동, UE와의 무선 접속 손실 등으로 인해 접속 해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먼저,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셀룰러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다(단계 S510).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접속 해제 절차를 수행하기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 해제 절차를 수행할 때,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MBMS 서비스에 대응하는 임의의 무선 자원이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520). 그러한 경우, 이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 적어도 하나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MBMS 서비스가 아닌 다른 모든 기타 확립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단계 S530), 단계 S550이 더 수행된다. MBMS 서비스에 대응하는 어떠한 무선 자원도 확립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단계 S520에서 no), 이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서 어떠한 MBMS 서비스도 진행 중이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모든 확립된 무선 자원을 해제하고(단계 S540), 단계 S550이 더 수행된다. 모든 확립된 무선 자원의 해제는 모든 확립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RLC 엔티티, MAC 구성 및 연관된 PDCP 엔티티의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확립된 무선 자원의 해제 이외에도, 접속 해제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MAC를 재설정하고, 특정 타이머를 제외하고 진행되고 있는 모든 타이머를 중지하고, 3GPP TS 36.331에서 지정된 바와 같은 해제의 이유와 함께 RRC 접속의 해제를 상위 계층에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모든 동작이 행해진 후에, 단계 S550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유휴 모드로 진입하고, 접속 해제 절차는 종료된다. 유휴 모드에 진입한 후에,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이 해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동일한 MBMS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의 재설정이 불필요하다.
접속 해제 절차 전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어느 셀이 어느 MBMS 서비스를 제공하였는지 나타낸 시스템 정보를 셀룰러 스테이션으로부터 수신했을 수 있음을 유의한다. 접속 모드를 떠나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적합한 셀에 캠프온하고 필요한 유휴 모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 전이하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보통 접속되었던 셀을 선택하기를 시도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접속 모드에 있었던 마지막 셀 또는 상태 전이 메시지에서 RRC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의 임의의 셀 또는 셀들 세트의 셀/임의의 셀에 캠프온하기를 시도해야 한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캠프온하는데 예를 들어 자신의 마지막 접속한 셀을 선택하거나, 또는 캠프온하는데 동일 MBMS 서비스를 제공한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이전의 측정 결과로부터 어느 셀이 동일한 MBMS 서비스를 제공했는지 알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어느 셀에 이전에 방문하였는지에 관한 정보에 의해 어느 셀이 동일한 MBMS 서비스를 제공했는지 알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 네트워크는 RRC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의해 동일한 MBMS 서비스를 제공한 셀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재지향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특정 메시지에 의해 어느 셀이 동일한 MBMS 서비스를 제공했는지 알 수 있다. 특정 메시지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 RRC 해제 메시지 또는 MBMS 전용 메시지(예를 들어,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셀이 발견되지 않으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가 캠프온할 적합한 셀을 찾기 위하여 저장된 정보 셀 선택 절차로 시작하는 셀 선택을 더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해제 메시지는 또한 특정 주파수 상의 셀을 탐색하도록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보통의 유휴 모드 동작, 즉 페이징 모니터링, 시스템 정보의 획득 및 셀 재선택의 수행을 수행한다.
본 방법은 자기 테이프, 반도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예를 들어, CD-ROM, DVD-ROM 등) 또는 기타와 같은 기계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싱 유닛, 마이크로제어 유닛(MCU; micro-control unit), 또는 도 3의 컨트롤러 모듈(314)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될 때, 프로그램 코드는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WCDMA 기술 및/또는 LTE 기술을 지원하는 임의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로써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진정한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대체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어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310: 이동 통신 디바이스
312: 무선 모듈
314: 컨트롤러 모듈
320: 서비스 네트워크
322: 셀룰러 스테이션

Claims (12)

  1.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모드를 떠나라는(leave) 접속 해제(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서비스의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상기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들을 제외한 다른 모든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고, 유휴 모드(idle mode)로 진입하는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또한 상기 접속 모드를 떠난 후에 동일한 MBMS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또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특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접속 모드를 떠난 후에 동일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선택하는 것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 또는 MBMS 전용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MBMS 전용 메시지는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인 것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모듈은 또한 상기 접속 모드를 떠난 후에 마지막 접속되었던 셀을 선택하는 것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7. 무선 네트워크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개시(network initiated)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모드를 떠나라는 접속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지 않은 채 유지하고 상기 MBMS 서비스의 무선 자원들을 제외한 다른 모든 무선 자원들을 해제하며;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의 처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휴 모드로 진입한 후에 동일한 MBMS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의 처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특정 메시지에 따라 동일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의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 상기 접속 해제 메시지, 또는 MBMS 전용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의 처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MBMS 전용 메시지는 MBSFNAreaConfiguration 메시지인 것인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의 처리 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드를 떠난 후에 마지막 접속되었던 셀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의 처리 방법.
KR1020110023910A 2010-03-17 2011-03-17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34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469710P 2010-03-17 2010-03-17
US61/314,697 2010-03-17
US13/049,306 US8515475B2 (en) 2010-03-17 2011-03-16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network initiated connection release procedures
US13/049,306 2011-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915A KR20110104915A (ko) 2011-09-23
KR101234918B1 true KR101234918B1 (ko) 2013-02-19

Family

ID=4402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10A KR101234918B1 (ko) 2010-03-17 2011-03-17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15475B2 (ko)
EP (1) EP2367395B1 (ko)
JP (1) JP5247843B2 (ko)
KR (1) KR101234918B1 (ko)
CN (1) CN102196364B (ko)
TW (1) TWI4481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475B2 (en) * 2010-03-17 2013-08-20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network initiated connection release procedures
WO2013024802A1 (ja) * 2011-08-12 2013-02-21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プロセッサ
KR101981974B1 (ko) 2011-10-04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셀 선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3113040A1 (en) * 2012-01-29 2013-08-01 Alcatel-Lucent Usa Inc.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lease for user devices out of up link time
WO2014157396A1 (ja) * 2013-03-27 2014-10-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KR101817484B1 (ko) 2013-04-11 2018-01-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 처리 방법, ue 및 통신 시스템
WO2015043779A1 (en) * 2013-09-25 2015-04-02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0057800B2 (en) * 2015-02-13 2018-08-21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UE)-initiated connection and resource release
KR102353202B1 (ko) 2015-11-06 2022-0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공 안전 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향상 방법 및 장치
EP3211961B1 (en) * 2016-02-05 2023-12-06 HTC Corporation Handling system information
KR102241735B1 (ko) * 2016-05-20 2021-04-19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비활성 사용자 장비들을 위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ue 컨텍스트들의 저장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WO2018097601A1 (ko) 2016-11-27 2018-05-31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등록 해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73167A1 (en) * 2018-10-08 2020-04-16 Qualcomm Incorporated Idle mode feedback for uplink resource release
US11129059B2 (en) 2019-02-13 2021-09-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direction for reception of broadcast content in a 5G stand alone environment
US11399406B2 (en) * 2019-10-24 2022-07-26 Qualcomm Incorporated Maintaining a multicast/broadcast radio bearer in an idle state or an inactive state
EP4176687A4 (en) * 2020-08-06 2024-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MBS SERVICE CONTINUITY FOR USER EQUIPMENT
CN117413541A (zh) * 2021-06-02 2024-01-16 夏普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2156A2 (de) * 1984-11-10 1986-05-28 KOENIG & BAUER-ALBERT AKTIENGESELLSCHAFT Offsetdruckmaschine
KR20070083093A (ko) * 2006-02-20 2007-08-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070213080A1 (en) * 2006-03-13 2007-09-13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stopping point-to-multipoint MBMS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300047D0 (sv) 2003-01-08 2003-01-08 Ericsson Telefon Ab L M MBMS in UTRAN
JP2008079311A (ja) * 2006-09-21 2008-04-03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リンク障害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381475B1 (ko) * 2007-04-13 201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단말기의 무선 자원 제어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천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단말기
CN101540951A (zh) * 2008-03-21 2009-09-23 夏普株式会社 无线资源控制状态转换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8515436B2 (en) * 2008-03-27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wireless connections
JPWO2010029798A1 (ja) * 2008-09-10 2012-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ノード、移動ノード、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404552B (zh) * 2008-11-07 2011-04-20 华为终端有限公司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系统及终端
US8515475B2 (en) * 2010-03-17 2013-08-20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network initiated connection release proced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2156A2 (de) * 1984-11-10 1986-05-28 KOENIG & BAUER-ALBERT AKTIENGESELLSCHAFT Offsetdruckmaschine
KR20070083093A (ko) * 2006-02-20 2007-08-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US20070213080A1 (en) * 2006-03-13 2007-09-13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stopping point-to-multipoint MBMS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48176B (zh) 2014-08-01
KR20110104915A (ko) 2011-09-23
TW201146043A (en) 2011-12-16
JP2011199869A (ja) 2011-10-06
JP5247843B2 (ja) 2013-07-24
EP2367395B1 (en) 2012-09-05
US8515475B2 (en) 2013-08-20
US20110230220A1 (en) 2011-09-22
EP2367395A1 (en) 2011-09-21
CN102196364B (zh) 2016-05-25
CN102196364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18B1 (ko) 네트워크 개시 접속 해제 절차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9591542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for reselection or handover to broadcast multicast cell
JP5548820B2 (ja) ネットワーク支援なしで、mbms受信継続性をサポートする方法
US100640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US93136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X2 interface setup and cell switch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989745B2 (en) Method for selecting optimal radio access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TWI478604B (zh) 行動通訊裝置及其多媒體廣播與群播服務之接收方法及處理方法
RU2456769C2 (ru) Переключение несущих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 сеансу многоадресной передачи в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08029051B (zh) 通过支持公共安全服务的终端重选空闲模式小区的方法和装置
JP2008118204A (ja) 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で使用される方法
US11496958B2 (en)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lection by user equipment in an inactive mode at a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WO2009111963A1 (zh) 一种多载波接入的方法、系统及设备
WO2024022014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40040441A1 (en) Multicast broadcast service reception availability
WO2023194215A1 (en) Reselecting a new serving cell by a ue
GB2617635A (en) Supporting cell reselection of a new serving cell for a UE
WO2023194206A1 (en) Supporting cell reselection of a new serving cell for a 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