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695B1 - 모돈 사료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모돈 사료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695B1
KR101234695B1 KR1020120068672A KR20120068672A KR101234695B1 KR 101234695 B1 KR101234695 B1 KR 101234695B1 KR 1020120068672 A KR1020120068672 A KR 1020120068672A KR 20120068672 A KR20120068672 A KR 20120068672A KR 101234695 B1 KR101234695 B1 KR 101234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amount
sows
setting
pig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12006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은 제어반 메인화면 중간에는 세로방향으로 구간 설정, 등록, 기준 설정, 사료량 조정, 사료량 설정, 사료 섭취량, 급여 시간, pc설정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하부에는 각시간대별 공급된 사료량을 표시하는 그래프가 나타나며, 상기 메인화면에는 급여시간, 중지설정, 전일사료섭취량, 1일 사료급여설정량, 1일 현재 사료 급여 총량이 표시되는 것으로, 상기 급여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공급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한 번에 일정량씩 한 번 주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한 번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여시간 동안 정해진 량을 여러 번에 걸쳐 공급하며, 만일 급여시간 내에 정해진 량을 일찍 공급하고 나면, 급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다시 공급을 시작하게 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포유 모돈이 적절하고 충분한 사료를 섭취하게 되어 건강해지고 체력 회복이 빨라, 이유 후 재발정이 빠르고 강하게 되며, 이는 연간 분만 회수와 산자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산차수도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어린 자돈에게 충분한 수유가 되어 고르고 튼튼하게 자라며, 이유 두수가 많아지는 효과가 있고, 그리고 분만실 인건비 및 사료 허실이 크게 감소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사료공급량을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의 수와 모돈의 산차에 대하여 일정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사료공급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돈 사료공급방법{meal supply method for hog}
본발명은 모돈의 관리 및 사료공급 등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을 관리하는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유 중인 모돈에게 있어 분만 일령에 따른 적절한 사료공급은 매우 어렵다. 그리고 종래에는 사료이송 컨베어를 통하여 하루 2~3번 계량통에 사료를 담아 두었다가, 일괄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량을 계량통에서 내려주는 방식의 사료공급이 이루어졌다.
한편, 적절한 사료 공급을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포유 모돈 곁에서 소량의 사료를 적절한 간격으로 자주 부어주어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상업용 양돈장에서 수십 두에서 수백 두 이상을 이런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은 인건비의 막대한 증가로 생산비용의 치명적 향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운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사료공급을 하다 보니, 한꺼번에 많은 양의 사료를 부어주게 되고, 물과 함께 공급되어 젖은 사료는 먹다가 남기게 되면 부패 되어 이를 섭취하는 모돈은 물론 이 모돈의 젖을 먹는 새끼돼지에게 까지 설사 등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먹다 남은 사료가 있을 시 반드시 퍼내고 다시 신선한 사료로 재공급할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분만실의 온도는 섭씨 30도 이상 유지되어야 하므로 부패가 빠르다).
그리고 또 중요한 요인이, 돼지는 다산 동물이므로 한꺼번에 10여두의 새끼를 낳고, 새끼들의 성장이 매우 빠르므로, 생후 일령에 따라 수유 량이 새끼의 성장과 함께 증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모돈이 충분한 젖을 생산할 수 있도록 사료 량을 적절히 증가시켜 섭취하도록 하여야 하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사람이 감각적으로 판단하여 사료 공급량을 증가시켜 주는데, 이는 오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하루 2~3번의 사료 공급하는 방식으로는 많은 양을 포유모돈에게 섭취하게 할 수 없다는데 문제가 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통 분만 다음날부터 사료공급량이 700~1,200g/일에서 출발하여 서서히 증가시켜 10 ~ 13일 이후부터는 10~15kg/일 까지 공급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방법으로 최대 6kg/일 이상은 섭취가 잘 안 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이는 모돈 산자수가 많거나 적거나에 관계없이 모두 최대 6kg/일 이상은 섭취가 잘 안 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실용신안등록공고 등록번호 20-0411081호에는 다수의 개체를 한 우리에서 사육하는 돈사에서 각 개체별 돼지가 섭취하는 사료의 량을 판별하여 측정 관리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면에 출입단속부재와 후면 내측에 사료조 및 측면에 퇴장문을 구비한 사료급여대와; 상기 사료급여대에 입장(入場)하여 사료를 섭취하는 돼지를 각 개체별로 인식하는 개체인식수단과; 상기 사료급여대에 설치된 사료조의 무게 변화량을 감지하여 각 개체의 돼지가 섭취한 사료섭취량을 측정하는 사료섭취량측정수단과; 상기 개체인식수단과 사료섭취량측정수단으로 부터 제공된 데이터신호를 기록 관리하는 주제어기 및; 상기 주제어기에 의해 취합된 정보에 의하여 각 개체별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관리용컴퓨터를 포함하며, 모돈이나 육성돈 등 다수의 개체가 함께 사육되는 돼지사육장에서 다수의 돼지가 섭취하는 사료의 섭취량을 각각 개체별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관리하도록 하는 돼지용 사료섭취량 조사기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92518호에는 군집사육되는 다수의 모돈(母豚)에게 각각 정량의 사료가 공급되게 하기 위한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유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전파를 송신하며, 모돈의 소정위치에 장착된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도록 된 RFID 판독기와; 각각의 모돈 1일 급이횟수, 급이간격, 급이상태, 급이정량 등의 급이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모돈에게 정량의 사료를 공급하도록 된 정량공급장치와; 상기 RFID 판독기에서 판독 및 식별되면, 메모리부에 저장된 해당 모돈의 급이정보에 따라 정량공급장치를 제어하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비록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돈을 관리하더라도 운영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사료허실이 많고, 관리비가 많이 들며, 또한 모돈 및 자돈이 영양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포유 모돈이 적절하고 충분한 사료를 섭취하게 되어 건강해지고 체력 회복이 빨라, 이유 후 재발정이 빠르고 강하게 되며, 이는 연간 분만 회수와 산자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산차수도 증가하게 되며, 또한 어린 자돈에게 충분한 수유가 되어 고르고 튼튼하게 자라며, 이유 두수가 많아지며, 그리고 분만실 인건비 및 사료 허실이 크게 감소되는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사료공급량을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의 수와 모돈의 산차에 대하여 일정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사료공급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모돈 사료공급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은 제어반 메인화면 좌측 상단에는 10분내 급여(사용), 1중지설정(자정), 2중지설정(정오), 전일사료섭취량, 1일 사료급여 설정량, 1일 현재 사료 급여 총량 항목이 표시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급여관리, 개체관리, 일일보고업무확인, 사료부피측정, PC설정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그리고 우측에는 기기 작동현황이 표시되는 것으로, 급여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공급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한 번에 일정량씩 한 번 주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한 번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여시간 동안 정해진 량을 여러 번에 걸쳐 공급하며, 만일 급여시간 내에 정해진 량을 일찍 공급하고 나면, 급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다시 공급을 시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포유 모돈이 적절하고 충분한 사료를 섭취하게 되어 건강해지고 체력 회복이 빨라, 이유 후 재발정이 빠르고 강하게 되며, 이는 연간 분만 회수와 산자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산차수도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 자돈에게 충분한 수유가 되어 고르고 튼튼하게 자라며, 이유 두수가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만실 인건비 및 사료 허실이 크게 감소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사료공급량을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의 수와 모돈의 산차에 대하여 일정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사료공급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 구조의 메인화면
도 2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모돈이 사료를 미섭취했을 시 나타나는 분만모돈사료급여 화면
도 3은 도2에서 ‘사료미섭취’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상태정보보기 화면
도 4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급여구간별 세부설정화면
도 5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기준설정화면
도 6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급여시간/횟수 설정화면
도 7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별섭취현황 화면
도 8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별관리 화면
도 9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관리 화면
도 10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별등록 화면
도 11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사료부피측정 화면
본발명은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은 제어반 메인화면 좌측 상단에는 10분내 급여(사용), 1중지설정(자정), 2중지설정(정오), 전일사료섭취량, 1일 사료급여 설정량, 1일 현재 사료 급여 총량 항목이 표시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급여관리, 개체관리, 일일보고업무확인, 사료부피측정, PC설정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그리고 우측에는 기기 작동현황이 표시되는 것으로, 급여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공급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한 번에 일정량씩 한 번 주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한 번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여시간 동안 정해진 량을 여러 번에 걸쳐 공급하며, 만일 급여시간 내에 정해진 량을 일찍 공급하고 나면, 급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다시 공급을 시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화면에는 일정시간에는 공급을 중지하는 것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에 따라서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수가 10마리 이내 일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적용하고, 자돈수가 1마리씩 증가할 때마다 일정량씩 증가시키며, 또한 20마리를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20마리때와 동일한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중 도태되는 자돈의 수만큼 감소하여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를 계산하고, 사료량을 감소하여 1일 사료급여설정량 을 자동계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돈의 산차수 증가에 따라 일정량씩 증가시키되, 4산을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 구조의 메인화면, 도 2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모돈이 사료를 미섭취했을 시 나타나는 분만모돈사료급여 화면, 도 3은 도2에서 ‘사료미섭취’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상태정보보기 화면, 도 4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급여구간별 세부설정화면, 도 5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기준설정화면, 도 6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급여시간/횟수 설정화면, 도 7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별섭취현황 화면, 도 8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별관리 화면, 도 9는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관리 화면, 도 10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개체별등록 화면, 도 11은 본발명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에서 사료부피측정 화면이다.
본발명은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 구조는 메인화면 좌측 상단에는 10분내 급여(사용), 1중지설정(자정), 2중지설정(정오), 전일사료섭취량, 1일 사료급여 설정량, 1일 현재 사료 급여 총량 항목이 표시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급여관리, 개체관리, 일일보고업무확인, 사료부피측정, PC설정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그리고 우측에는 기기 작동현황이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화면에는 전일사료섭취량이 %로 표시되는 것이다.
도 1은 메인화면으로서, 12시까지 일일 사료량의 50%를 분할하여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급여시간은 120분 이내이며, 120분이 경과하면 다시 재공급이 시작된다. 본발명의 도 1실시례의 경우 모돈관리장치는 한 번에 200g씩 한 번 주고 120초후에 다시 한 번 공급하는 방식으로 120분 동안 정해진 량을 여러 번에 걸쳐 공급한다. 만일 120분 내에 정해진 량을 일찍 공급하고 나면, 120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그리고 다시 공급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의 실시예에서는 8000g이상에서는 1800g만 공급하며, 8000g미만에서는 1400g만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1은 0시에서 4시30분 사이, 그리고 정오 12시와 15시는 공급을 중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일사료섭취량은 110%임을 표시하고 있다.
한편,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374.4Kg이며, 1일 현재 사료급여 총량은 117.8Kg이다.
도 2는 자정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나타나는 분만모돈 사료급여 화면으로, 모돈이 사료를 미섭취했을 경우 자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단에는 사료미섭취, 분만예정, 이유예정 및 기기고장의 메뉴가 있고, 도 2의 경우 사료미섭취의 모돈에 대한 정보가 컨트롤(1_01) 및 분만틀 번호(12-65)인 ‘(1_01):12-65로 표시된 것이다.
그리고 관리자가 ‘사료미섭취’버튼을 클릭하면, 도 3의 ‘상태정보보기’란이 나타나며, 구체적으로 컨트롤 및 분만틀 번호‘(1_01):12-65 모돈이 기준량 10000g에 대해 9000g을 먹은 것이 표시되며, 모돈의 기준량 대비 먹이섭취량이 90%인 것으로 %단위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이후, 하단의 확인버튼을 누르면 도 4가 나타난다. 도 4의 급여관리 화면은 메인화면에서 급여관리 버튼을 누를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화면이다. 도 4에는 상단에 초기화면, 급여 구간별 세부설정, 급여시간/횟수설정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중간에는 가로로, 일, 구분, 기본사료량, 1일중량, 1일감량, 최소사료량, 최대사료량, 여유분, 1회최대급여량이 기재되고, 세로로는 분만전, 분만, 포유개시, 자돈 급성장기, 최고급여량, 이유감량이 기재되어 있다.
도4의 실시례에 의하면,-7일전에 입식(또는 ‘입실’)된 모돈은 기본사료량이 2800(단위는 g단위이다. 이하 단위가 없는 수치는 g단위로 본다)이고 사료량은 매일 400씩 감소한다. 그러므로 최소사료량은 800, 최대사료량은 2800이 된다.
그리고 분만일에는 기본사료량인 200을 제공한다.
한편, 1일차인 포유개시일에는 최소사료량이 700이되고, 사료량은 매일 500씩을 증가한다. 그리고 최소사료량은 600, 최대사료량은 500과 700을 합치면 1200이 된다. 여유분은 110%로 되어, 1일 최대급여량은 1320이 된다.
그리고 자돈급성장기인 8일에서는 1일증량이 500에서 800으로 증가하여 주어지며, 여유분은 115%이며, 최대사료량이 5870이 공급된다.
13일에 최고급여량이 주어지고, 최대사료량이 10000, 여유분이 120%로서 1일 최대 급여량은 12000가 된다.
이유감량은 분만일로부터 24일째부터 시작되며, 이유감량기간은 하루로 설정하며 이유감량기간에서는 하루에 7000을 감량하여 공급한다.
그리고 화면 하단에는 분만일로부터 급여량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급여구간별 세부설정화면 또는 메인화면에서 기준설정을 누르면 나타나는 화면으로, 상부에는 가로로 초기화면, 급여구간별세부설정, 기준설정, 급여시간/ 횟수 설정 버튼이 있다. 그리고 하부에는 pc이름, 1회사료급여량, 입식의 사료급여량, 일일감소사료량, 분만일사료급여량, 포유개시일 급여량, 일일증가사료량, 최대 급여량, 일일 급여 여유분량, 총 포유일, 이유감량 사용안함, 산차별급여증가량, 자돈일두당기본사료량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준설정화면, 또는 메인화면에서 급여시간/ 횟수 설정 버튼을 누르게 되면, 도 6의 급여시간/ 횟수 설정화면이 나타난다. 상기 급여시간/ 횟수 설정화면에는 시간분할급여, 일정시간간격 1회급여량, 급여중지시간 설정 항목이 있고, 도 6의 실시례에서는 시간분할급여에서 12시까지 설정량의 50%를 급여하는 것으로 표기된다. 그리고 일정시간간격 1회급여량에서는 10분간격으로 1회급여량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정량이 1200g 이하일 때 400g 이내 급여하고, 설정량이 3000g 이하일 때 600g 이내 급여하고, 설정량이 4800g 이하일 때 800g 이내 급여하고, 설정량이 6000g 이하일 때 1000g 이내 급여하고, 설정량이 8000g 이하일 때 1400g 이내 급여하고, 설정량이 8000g 초과할 때, 1800g 이내 급여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리고 급여중지시간은 자정설정에서는 0시부터 4시30분까지로 되어 있고, 정오 설정에서는 12시부터 15시까지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개체별 섭취현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메인화면에서 개체관리버튼을 누르면 개체별 섭취현황 화면이 나타난다. 도 7에는 24개의 분만틀별 등록번호가 표기되어 있고, 각 분만틀별 등록번호를 누르면 도 8인 개체별 관리화면이 나타난다.
도 8에서 컨트롤 01 분만틀 01의 경우, 등록된 모돈번호는 12-65이며, 개체별관리에서 상단에는 초기화면, 개체별 섭취현황, 등록, 개체별관리버튼이 표시되고, 중간에는 오늘 설정량을 일정량 수정하여 오늘만 유지하는 버튼기능이 나타나 있다. 실시례에서는 오늘 설정량이 7500이고 일정량은 +-100이다.
그리고 오늘 현재까지 사료섭취량이 나타나 있으며, 기간중 총 누계 섭취량도 나타나 있다. 실시례에서는 오늘 현재까지 사료섭취량은 3600g이며, 기간중 총 누계 섭취량은 20.84kg으로 표시된다.
한편, 하단에는 좌측에 자돈현황관리, 입식기간중 일별 사료섭취량이 표기되고, 세로축으로 사고 양자(전출), 입양(전입), 조기이유, 현재포유듀수, 이유두수가 표시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등록버튼을 누르면, 도 9인 개체별 섭취 현황/ 관리 화면이 나타나며, 그중 일예로서, 컨트롤 및 분만틀 번호 01-01을 누르면 도 10인 개체별등록화면이 나타난다.
상기 개체별등록화면에는 종부일, 곧 교미일이 표기되고, 도 7의 실시례의 경우, 산차횟수는 12산차이며, 총산자두수는 16두, 사산 및 미라(태중에서 죽은 상태의 태아돼지)는 없고, 도태된 것이 1두이다. 그러므로 실산자두수는 15두가 된다. 다른 모돈에게 보낸 양자수가 2두, 그리고 다른 모돈에게서 받은 산자가 없으므로 이유두수는 0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 포유두수는 13두가 된다. 그리고 총 생시 체중은 분만틀 모두의 산자 수의 무게를 합친 것이 되며, 총 이유체중은 이유시 산자 수의 무게를 합친 것이 된다(본실시례에서는 입력되지 않았다).
도 11은 메인화면에서 사료부피측정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측정 틀 번호와 함께 1회측정사료량과 1회급여량 그리고 측정일이 나타나 있는 것으로, 1회급여량이 200g일 경우, 실제 1회측정사료량은 130g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상기와 같이 설정한 급여량보다 살제 공급된 량이 적은 점을 감안하여 사료량을 증가할 수 있게 된다.
하기 표는 본발명에서 사료량에 따라 사료공급시간과 사료량을 분할해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일일총량 일일2시간단위
분할회수
2시간 1회 분할 양 2시간 내 1번 터치로 나오는 양
1,200g 3 400 200g
2,400g 4 600 200g
4,000g 5 800 200g
6,000g 6 1,000 200g
6,000g이상 무제한
(시간, 양, 회수 조정 가능함)
한편, 본발명은 상기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에 따라서 달리하게 된다. 곧,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수가 10마리 이내 일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적용하고, 자돈수가 10마리에서 1마리씩 증가할 때마다 일정량씩 증가시키는 것으로, 상기 자돈 1마리에 대하여 500g씩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20마리를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20마리 때와 동일한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공급하게 된다. 곧, 산자수가 아무리 많아도 모돈 한 마리가 먹고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발명은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중 질병 등에 의해 도태되는 자돈의 수만큼 감소하여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를 계산하여 사료량을 자동감량시킨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모돈의 산차수 증가에 따라 일정량씩 증가시키되, 4산을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게 되는 것으로, 모돈은 새끼를 낳는 회수인 4산까지는 산차가 증가할 때마다 체중이 늘며, 1, 2, 3산을 지나 4산이 되면 성인이 되어 더 이상 체중이 늘지 않는 것으로 체성장이 멈추는 것이다. 그러므로 5산, 6산,···에서는 사료를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료량은 1산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으로 공급하고, 2산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에 100g을 증가하고, 3산때는 100g을 더 늘리게 되므로 3산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에 총 200g이 증가된다. 그리고 4산때는 300g이 증가된다. 그러나 5산때부터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에 4산때와 같은 300g으로 증가량이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발명은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사료공급방법은 제어반 메인화면 좌측 상단에는 10분내 급여(사용), 1중지설정(자정), 2중지설정(정오), 전일사료섭취량, 1일 사료급여 설정량, 1일 현재 사료 급여총량 항목이 표시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급여관리, 개체관리, 일일보고업무확인, 사료부피측정, PC설정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에는 기기 작동현황이 표시되는 것으로, 급여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공급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한 번에 일정량씩 한 번 주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한 번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여시간 동안 정해진 량을 여러 번에 걸쳐 공급하며, 만일 급여시간 내에 정해진 량을 일찍 공급하고 나면, 급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다시 공급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수가 기준 마리 이내 일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적용하고, 자돈수가 기준 마리에서 1마리씩 증가할 때마다 일정량씩 증가시키며, 또한 최대 마리수를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최대 마리수 때와 동일한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에 따라서 달리하는 것으로, 상기 자돈수는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중 도태되는 자돈의 수만큼 감소하여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를 계산하고, 모돈에게 사료공급량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모돈의 산차수 증가에 따라 일정량씩 증가시키되, 4산을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다.
또한, 메인화면에서 개체관리버튼을 누르면 개체별 섭취현황 화면이 나타나며, 상기 개체별 섭취현황 화면에서 각 분만틀별 등록번호를 누르면 개체별 관리화면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포유 모돈이 적절하고 충분한 사료를 섭취하게 되어 건강해지고 체력 회복이 빨라, 이유 후 재발정이 빠르고 강하게 되며, 이는 연간 분만 회수와 산자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산차수도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 자돈에게 충분한 수유가 되어 고르고 튼튼하게 자라며, 이유 두수가 많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만실 인건비 및 사료 허실이 크게 감소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의 수와 모돈의 산차에 대하여 일정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사료공급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사료공급방법은 제어반 메인화면 좌측 상단에는 10분내 급여(사용), 1중지설정(자정), 2중지설정(정오), 전일사료섭취량, 1일 사료급여 설정량, 1일 현재 사료 급여총량 항목이 표시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급여관리, 개체관리, 일일보고업무확인, 사료부피측정, PC설정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그리고 우측에는 기기 작동현황이 표시되는 것으로, 급여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재공급이 시작되는 것으로 설정되며, 한 번에 일정량씩 한 번 주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한 번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여시간 동안 정해진 량을 여러 번에 걸쳐 공급하며, 만일 급여시간 내에 정해진 량을 일찍 공급하고 나면, 급여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다시 공급을 시작하게 되며,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수가 기준 마리 이내 일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적용하고, 자돈수가 기준 마리에서 1마리씩 증가할 때마다 일정량씩 증가시키며, 또한 최대 마리수를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최대 마리수 때와 동일한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공급하되,
    상기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수가 10마리 이내 일때는 기준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적용하고, 자돈수가 10마리에서 1마리씩 증가할 때마다 일정량씩 증가시키며, 또한 20마리를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20마리때와 동일한 1일 사료급여설정량을 공급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에 따라서 달리하는 것으로, 상기 자돈수는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중 도태되는 자돈의 수만큼 감소하여 모돈이 양육하는 자돈 수를 계산하고, 모돈에게 사료공급량을 줄이게 되며,
    또한, 상기 1일 사료급여설정량은 모돈의 산차수 증가에 따라 일정량씩 증가시키되, 4산을 초과하면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며,
    또한, 메인화면에서 개체관리버튼을 누르면 개체별 섭취현황 화면이 나타나며, 상기 개체별 섭취현황 화면에서 각 분만틀별 등록번호를 누르면 개체별 관리화면이 나타나는 것이며,
    메인화면에서 사료부피측정 버튼을 누르면 사료부피측정 화면이 나타나며, 상기 사료부피측정 화면은 측정 틀 번호와 함께 설정한 급여량인 1회급여량, 실제공급된 량인 1회측정사료량, 측정일이 나타나므로, 관리자는 상기 설정한 급여량보다 실제 공급된 량이 적은 점을 감안하여 사료량을 증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 사료공급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068672A 2012-06-26 2012-06-26 모돈 사료공급방법 KR101234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72A KR101234695B1 (ko) 2012-06-26 2012-06-26 모돈 사료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72A KR101234695B1 (ko) 2012-06-26 2012-06-26 모돈 사료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695B1 true KR101234695B1 (ko) 2013-02-19

Family

ID=4789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672A KR101234695B1 (ko) 2012-06-26 2012-06-26 모돈 사료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6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837B1 (ko) 2013-09-03 2013-10-17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사료공급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0050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연합축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CN111539384A (zh) * 2020-05-26 2020-08-14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牧场采食监控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200003A (zh) * 2020-09-14 2021-01-0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养猪场饲料投放量的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24U (ko) * 1998-03-10 1998-10-07 이배규 개체 인식에 따른 사료 급여 방법
KR20110092518A (ko) * 2010-02-09 2011-08-18 김인전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624U (ko) * 1998-03-10 1998-10-07 이배규 개체 인식에 따른 사료 급여 방법
KR20110092518A (ko) * 2010-02-09 2011-08-18 김인전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837B1 (ko) 2013-09-03 2013-10-17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사료공급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00506A (ko) *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연합축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KR101867672B1 (ko) * 2016-06-23 2018-06-14 주식회사 연합축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습식형 급이기의 자동 급이 제어방법
CN111539384A (zh) * 2020-05-26 2020-08-14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牧场采食监控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200003A (zh) * 2020-09-14 2021-01-08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养猪场饲料投放量的方法及装置
CN112200003B (zh) * 2020-09-14 2024-02-20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养猪场饲料投放量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6767T2 (de) Verfahren zur steuerung der aufzucht von freilaufenden tieren
Leruste et al. Prevalence and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of non-nutritive oral behaviors of veal calves on commercial farms
Fitzgerald et al. The effect of hoof abnormalities on sow behavior and performance
KR101234695B1 (ko) 모돈 사료공급방법
Schneider et al. The effect of veterinary-treated clinical mastitis and pregnancy status on culling in Swedish dairy cows
Kok et al. Behavioural adaptation to a short or no dry period with associated management in dairy cows
JP6902815B1 (ja) 畜産情報管理システム、畜産情報管理方法、及び畜産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1317174B1 (ko) 모돈 사료 공급 제어반 표시방법
WO2021203757A1 (zh) 一种个体管控畜禽养殖方法
Wenker et al. Calf-directed affiliative behaviour of dairy cows in two types of cow-calf contact systems
CN105993992A (zh) 犊牛饲喂机器人
Houben et al. The effect of double nursing, an alternative nursing strategy for the hyper-prolific sow herd, on herd performance
Bui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cision feeding program using electronic sow feeders and effect on gestating primiparous sow performance
Gonyou et al. Group housing systems: floor space allowance and group size
KR102158377B1 (ko) 최적 사육 모델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최적 사육 모델 시스템
Umoh Relative survival of calves in a university herd in Zaria, Nigeria
KR20130100869A (ko) 모돈 사료공급 제어반 구조
Mattachini et al. Automatic monitoring of cow behaviour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ations in feeding delivery frequency
Hassoun et al. Dairy, growing and fattening sheep
CN105746364A (zh) 具有自动化精确饲喂功能的母猪圈
Vickery et al.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feeding behaviour of dairy goat kids reared away from their dams on a computerised ad libitum milk feeding system
KR20130093428A (ko) 제어반을 사용한 모돈 사료공급방법
CN205865537U (zh) 犊牛饲喂机器人
Xin et al. A multi-population survey on swine feeding behavior with electronic feeding devices
Meyer et al. Relationships of neonatal beef calf serum metabolites with colostrum nutrient composition and maternal metabolic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