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158B1 -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158B1
KR101234158B1 KR1020090021750A KR20090021750A KR101234158B1 KR 101234158 B1 KR101234158 B1 KR 101234158B1 KR 1020090021750 A KR1020090021750 A KR 1020090021750A KR 20090021750 A KR20090021750 A KR 20090021750A KR 101234158 B1 KR101234158 B1 KR 10123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ndow
information
display
display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558A (ko
Inventor
이동헌
김준환
이현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3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소스로부터 시변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시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OSD 생성부,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처리된 영상 신호를 생성된 정보창과 함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처리된 영상 신호 및 생성된 정보창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OSD 생성부, 신호처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정보창, 시변 정보, RSS

Description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창과 픽쳐(picture)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정지 영상 또는 연속 영상으로 가족 사진 또는 배경 사진과 같은 픽쳐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앨범 모드를 제공한다. 또한, 많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단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취침 모드를 제공한다. 전자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정보가 아닌, 단순한 픽쳐 또는 단순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픽쳐와 정보창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창의 디자인과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시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상기 생성된 정보창과 함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상기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위치 또는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의 다른 위치보다 색 변화가 적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검출된 위치에서 상기 생성된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변경되거나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생성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변 정보창은, 정보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변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모드가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이면,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모드가 상기 사진앨범 모드 또는 상기 취침 모드이면,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시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상기 생성된 정보창과 함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상기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위치 또는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의 다른 위치보다 색 변화가 적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검출된 위치에서 상기 생성된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변경되거나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생성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은,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변 정보창은, 정보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변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창 설정 방법은, 시변 정보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시변 정보 타입에 대한 정보창의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창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옵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옵션은, 상기 정보창의 크기, 상기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위치, 상기 정보창의 투명도 및 상기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소스로부터 시변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시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OSD 생성부;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 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상기 생성된 정보창과 함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 및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OSD 생성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정보창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에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 또는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색 변화가 적은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창은, 정보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변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과 상기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할 경우 명백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세부적인 구조와 구성들과 같이 상세한 설명에 한정된 사항들이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 저장부(20),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30), 신호처리부(40), 사용자 입력부(50), 디스플레이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모니터,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앨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는 날씨, 뉴스, 증권, 시간, 인기 동영상, 인기 키워드, 광고 등과 같은 시변 정보(time-varing information)를 다양한 종류의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부(20)로 전송한다. 정보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표현 방식의 종류인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RSS 포맷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수신자들을 위해 고안되었다.
저장부(20)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한다. 저장부(20)는 저장된 정보를 OSD 생성부(3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픽쳐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 저장부(20)는 픽쳐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신호 처리부(40)로 전달한다. 저장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의 일 부분에 디스플레이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창에 대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저장한다. 저장부(20)는 GUI를 디스플레이부(60)로 전달한다.
OSD 생성부(30)는 GUI를 포함하는 정보창을 생성한다. 사용자들은 원하는 GUI를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다. OSD 생성부(30)는, 제어부(70)로부터의 요청이 있 는 경우, 생성된 정보창을 디스플레이부(60)로 전달한다. OSD 생성부(30)는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창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정보가 현재 시간 정보이고, 사용자가 아날로그 시계 GUI를 선택한 경우, OSD 생성부(30)는 현재 시간 정보에 대응되어 현재 시간을 보여주는 아날로그 시계 GUI를 생성한다. 정보창은 수신된 정보를 텍스트 스타일로 표현할 수 있다. OSD 생성부(30)는 생성된 정보창을 디스플레이부(60)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부(40)는 픽쳐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픽쳐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복원한다. 예를 들어, 픽쳐 또는 영상은,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에 대한 가족 사진, 장면, 로고, 만화, 그래픽 등이 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40)는 복원된 픽쳐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6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50)를 이용해, 정보창, 정보창에 디스플레이될 정보 타입, 정보창에 대한 GUI, 정보창의 크기,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위치, 정보창의 투명도,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시간,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픽쳐 또는 영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리모콘,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타입의 그래픽 키는 사용자 입력부(50)의 예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60)는 정보창과 함께,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의 픽쳐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사용자가 메뉴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정보창과 픽쳐에 대한 설정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CRT(Cathode Ray Tube)는 디스플레이부(60)의 예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픽쳐 또는 영상이 정보창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제어부(70)는, 신호처리부(40) 및 OSD 생성부(30)를 제어하여 선택된 정보창과 함께 픽쳐 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제어부(70)는 OSD 생성부(30)를 제어하여, 선택된 정보창이, 선택된 시간 동안, 선택된 사이즈로, 선택된 위치에, 그리고, 선택된 투명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제어부(70)는, 픽쳐와 정보창 사이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영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스크린에서의 색변화가 없거나 적은 위치를 검색할 수 있고, 발견된 위치에 정보창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저장된 정보의 업데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쳐와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정보창(101)은 증권과 뉴스에 대한 창이고, 제2 정보창(102)는 날씨와 관련된 아이콘을 포함한 날씨에 대한 창이다. 제1 정보창(101)은 픽쳐(103)에 오버랩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정보창(101)에 대응되지만, 위치가 제1 정보창(101)의 위치와 다른 제1 정보창(111)이 존재한다. 제1 정보창(101)은 고정된 위치의 정보창의 예이다. 정보창(101)의 위치는 픽쳐(103)에 의존하여 변경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정보창(111)은 가변 위치의 정보창의 예이다. 제1 정보창(111)의 위치는 픽쳐(113)의 내용에 의존하여 변경된다. 사용자는, 위치를 고정할 것인지 변경할 것인지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가변 위치 옵션을 선택하면, 제1 정보창(111)은 픽쳐(113)와 오버랩되지 않거나 덜 오버랩되는 위치 또는 픽쳐(113)의 다른 영역보다 픽쳐(113)의 색 변화가 적은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오버랩 및/또는 픽쳐의 색 변화의 정도는 기존의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정보창(111)이 픽쳐(113)의 내용과 부분적으로도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픽쳐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많은 픽쳐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슬라이드 모드이거나, 픽쳐가 동영상인 경우,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로서, 특히, 정보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정보 타입의 리스트(1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50)를 이용하여, 리스트(120)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아이템은,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여 선택되거나 사용자 입력부(50)에서 방향키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화살표 또는 하이라이트를 움직이여 선택될 수 있다. 정보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어떤 아이템이 이미 선택되었는가를 나타내기 위한 체크 박스(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뉴스'와 '증권'아이템이 이미 선택되었다.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하면, 메뉴는 다음 메뉴로 변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로서, 특히, GUI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GUI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설정 아이템의 리스트(200) 및 프리뷰(210)를 디스플레이한다. 리스트(200)는 계층구조를 가질 수 있어서, 아이템이 선택되면, 리스트(20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서브 아이템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서브 아이템을 선택하면, 프리뷰(210)는 서브 아이템이 선택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아이템을 선택하면, 메뉴가 다음 메뉴로 변경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조건 설정 아이템의 리스트(300)를 디스플레이한다. 리스트(300)는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어서, 아이템이 선택되면, 리스트(30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한 서브 아이템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치'아이템을 선택하면, 새로운 서브 아이템 리스트가 나타난다. 사용자가 '고정'아이템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정보창(310)의 고정된 위치가 화살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보창(310)이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된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미 설정된 다른 정보창(320)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창(310)의 위치가 다른 정보창(320)의 위치와 오버랩되도록 선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현재 설정된 정보창(310)과 이미 설정된 다른 정보창(320)을 구별시키기 위해, 정보창(310)은 하이라이트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는, 정보 타입을 설정하거나 GUI 설정을 위한 메뉴로 직접 가기 위한 정보 타입 아이템(330) 또는 GUI 설정 아이템(34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진앨범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또는 취침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100).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로 진입하면(S100-Y),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된 정보를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한다(S101).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신 정보를 사용하여 정보창을 생성한다(S102).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픽쳐 또는 영상을 복원하기 위해, 픽쳐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처리한다(S103). 사용자가 정보창이 변경된 위치에, 미리 가변 위치 모드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원된 픽쳐에 기초하여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한다(S104).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쳐와 정보창을 함께 표시한다(S105).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으로서, 특히,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픽쳐가 변경될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에 대한 시작 신호를 검출하면(S201),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쳐가 없거나 픽쳐의 다른 영역보다 픽쳐에서 색변화가 덜한 위치를 검색한다(S202).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견된 위치에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한다(S203).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204).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가 진행중이면(S204-N),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쳐 또는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205). 픽쳐 또는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가 변경되면(S205-Y), 디스플레이 장치는 S202부터 S204까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도 7은 정보창의 위치가 픽쳐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정보창의 위치가 변경되는 다른 경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창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원하는 정보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S301). 사용자는 선택된 정보 타입에 대한 GUI를 설정할 수 있다(S302). 예를 들어, 사용자는 텍스트의 폰트, 크기, 색, 텍스트에 디스플레이될 아이콘, 배경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창의 크기, 디스플레이 위치, 투명도 및 디스플레이 시간과 같은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S303). 다른 정보창을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정보 타입에 대해 S301부터 S303까지의 동작을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S304).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쳐과 정보창을 디스플레이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로서, 특히, 정보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로서, 특히, GUI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설정을 위한 메뉴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으로서, 특히,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픽쳐가 변경될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창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 저장부
30 : OSD 생성부 40 : 신호 처리부
50 : 사용자 입력부 60 : 디스플레이부
70 : 제어부

Claims (20)

  1.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의 다른 위치보다 색 변화가 적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시변 정보(time-varing information)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창을 상기 검출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변경되거나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처리 단계, 상기 검출 단계, 상기 생성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정보창은, 정보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7. 모드가 사진앨범 모드 또는 취침 모드이면,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의 다른 위치보다 색 변화가 적은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드가 상기 사진앨범 모드 또는 상기 취침 모드이면,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시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창을 상기 스크린의 상기 검출된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변경되거나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처리 단계, 상기 검출 단계, 상기 생성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정보창은, 정보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시변 정보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시변 정보 타입에 대한 정보창의 디자인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창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옵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옵션은, 상기 정보창의 크기, 상기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위치, 상기 정보창의 투명도 및 상기 정보창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15. 외부 소스로부터 시변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시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정보창을 생성하는 OSD 생성부;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를 상기 생성된 정보창과 함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 및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OSD 생성부, 상기 신호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에서 상기 처리된 영상 신호의 다른 위치보다 색 변화가 적은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에 상기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창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하도록 동작가능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삭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생성된 정보창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창은, 정보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변 정보는,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포맷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21750A 2008-09-09 2009-03-13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3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6,816 US20100064248A1 (en) 2008-09-09 2008-09-09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12/206,816 2008-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558A KR20100030558A (ko) 2010-03-18
KR101234158B1 true KR101234158B1 (ko) 2013-02-22

Family

ID=4180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750A KR101234158B1 (ko) 2008-09-09 2009-03-13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64248A1 (ko)
KR (1) KR101234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8204A (ja) * 2009-08-27 2011-03-10 Kyocera Corp 表示装置
US8605324B2 (en) * 2010-03-05 2013-12-10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f
WO2013002547A2 (ko)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4599B1 (ko) 2011-06-30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8839292B1 (en) * 2011-12-13 2014-09-1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multiple applications on television screens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4-12-3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KR101630812B1 (ko) * 2011-12-23 2016-06-27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 가이드와 결합되는 휴대 단말 및 자동 환경 설정 방법
KR101546407B1 (ko) 2011-12-23 2015-08-24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22399B1 (ko)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504655B1 (ko) 2011-12-26 2015-03-23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52260B1 (ko) * 2012-04-03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동영상 썸네일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4102790A (ja) * 2012-11-22 2014-06-05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プロファイル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30450B1 (en) * 2014-04-30 2016-08-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utomatically adapting accessibility features in a device user interface
KR20180010688A (ko) * 2016-07-22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80Y1 (ko) * 2002-08-10 2002-11-13 김선호 수신된 데이터를 대기 모드에서 보여주는 이동 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US20070038934A1 (en) * 2005-08-12 2007-02-15 Barry Fellman Service for generation of customizable display widgets
KR100813731B1 (ko) * 2005-11-30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80023891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젯형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1307B2 (en) * 1992-12-09 2010-05-18 Comcast Ip Holdings 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of interactive virtual objects
US5838317A (en) * 1995-06-30 1998-11-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displayed graphical representations on a computer interface
US7155679B2 (en) * 1998-11-18 2006-12-26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media frame
US7278093B2 (en) * 1999-02-22 2007-10-02 Modya, Inc. Custom computer wallpaper an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US6288715B1 (en) * 1999-05-11 2001-09-11 Qwest Communications Int'l., Inc. Screensaver messaging system
US7027101B1 (en) * 2002-05-13 2006-04-11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vely overlaying a user interface atop a video signal
US20040100504A1 (en) * 2002-05-24 2004-05-27 Jored Sommer Item sel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the same
US20040049419A1 (en) * 2002-09-06 2004-03-11 Knight Leonard K. Advertising on an interactive screensaver
US20050012758A1 (en) * 2003-06-25 2005-01-20 Christou Charlotte L. Digital picture frame
US8453065B2 (en) * 2004-06-25 2013-05-28 Apple Inc. Preview and install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in a display environment
US7490295B2 (en) * 2004-06-25 2009-02-10 Apple Inc. Layer for accessing user interface elements
US20070174783A1 (en) * 2006-01-26 2007-07-26 Clark Timothy P System and method of intelligent window placement for digital video
US7620905B2 (en) * 2006-04-1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indows management
WO2008025012A2 (en) * 2006-08-24 2008-02-28 Neusta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ynamic information content in a screen saver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834640B2 (ja) * 2007-09-28 2011-12-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780Y1 (ko) * 2002-08-10 2002-11-13 김선호 수신된 데이터를 대기 모드에서 보여주는 이동 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US20070038934A1 (en) * 2005-08-12 2007-02-15 Barry Fellman Service for generation of customizable display widgets
KR100813731B1 (ko) * 2005-11-30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부가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80023891A (ko) * 2006-09-12 2008-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젯형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4248A1 (en) 2010-03-11
KR20100030558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158B1 (ko) 정보창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US10397660B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618206B (zh) 呈现用户界面的方法和显示设备
EP2194451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EP299105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762842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841120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US20070266397A1 (en)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WO2021042680A1 (zh) 用户界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EP1777950A2 (en) Display apparatus
EP259040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26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1040958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2010027522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194707A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00131981A1 (en) Method for displaying a widget and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US20070266418A1 (en) Multimedia display apparatus with add-on personal computer functions capable of entering keyboard keys with remote control
WO2021196432A1 (zh) 一种控件对应的内容的显示方法及显示设备
EP23206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041588A (ja) Epgを利用したスクリーンセーバー機能
KR20160083737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JP2016091098A (ja) 画像処理装置
US10228820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1600922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93406B2 (ja) 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