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886B1 - 다중 안테나용 공통 기준 심볼들의 맵핑 및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용 공통 기준 심볼들의 맵핑 및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886B1
KR101233886B1 KR1020117002979A KR20117002979A KR101233886B1 KR 101233886 B1 KR101233886 B1 KR 101233886B1 KR 1020117002979 A KR1020117002979 A KR 1020117002979A KR 20117002979 A KR20117002979 A KR 20117002979A KR 101233886 B1 KR101233886 B1 KR 10123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on reference
reference symbols
subframe
legacy
supple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648A (ko
Inventor
로버트 러브
타일러 브라운
콜린 프랭크
지알링 리우
라비 노리
크리쉬나 카말 사야나
케네쓰 스튜어트
팔라브 수다샨
시앙양 주앙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43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338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네트워크 기지국, 및 사용자 통신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안테나 어레이는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설계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신호의 서브프레임을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 및 안테나 어레이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와 인코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안테나용 공통 기준 심볼들의 맵핑 및 시그널링{MAPPING AND SIGNALING OF COMMON REFERENCE SYMBOLS FOR MULTIPLE ANTENNAS}
본 발명은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캐리어 연결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통 기준 심볼들을 맵핑 및 시그널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적용가능한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에 기초하는 물리 계층을 이용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캐리어를 개발하고 있다. LTE의 릴리스 8에서는, eNB(enhanced Node-B)라고 하는 LTE 기지국이 4개 안테나의 어레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일개의 사용자 장치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안테나는 물리적인 안테나이거나 "가상" 안테나를 포함하는 방사 소자들의 조합일 수 있다. 4개 안테나 각각을 나타내는 4개의 공통 기준 심볼들로 신호가 인코딩될 수 있다. 공통 기준 심볼은 코히어런트 복조를 위한 위상 기준, 및 기지국들 간의 신호 강도 비교를 위한 벤치마크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링크 어댑션(link adaption)의 지원에 있어서 채널 품질 추정을 위하여 신호 강도 비교를 이용하여 핸드오프에 대한 적절한 시간을 판정할 수 있다. 공통 기준 심볼은 또한 기지국에 의해 적용되게 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권고안(precoding matrix recommendation)의 판정을 위하여 사용자 장치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지국, 및 사용자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안테나 어레이는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legacy set), 및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설계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들의 보충 셋트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 및 송신 안테나들의 보충 셋트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로 신호의 서브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것으로서,그 범위의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 이하의 첨부 도면들의 이용을 통해 추가의 세부성과 상세함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가능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향상된 송신 구성에서의 송신을 위하여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4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전통적인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신호의 교번하는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에서 물리 리소스 블록으로의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8개의 송신 안테나 구성에서 제어 채널 요소로의 공통 기준 심볼 맵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장점들이 이하의 설명부에서 명시되며, 부분적으로는, 설명부로부터 명백하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특히 지적되어 있는 기구들 및 조합들에 의해 실현 및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및 기타의 본 발명의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더 충만하게 이해될 것이며, 또는 본 명세서 명기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인 구현예들이 설명되지만, 이러한 것은 예시만을 위한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라면, 다른 성분들 및 구성들이 본 발명의 개념과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방법, 장치, 및 전자 장치 등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관한 기타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임의의 방식의 컴퓨터, 모바일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네트워크 기지국, 및 사용자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안테나 어레이는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 및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설계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들의 보충 셋트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 및 송신 안테나들의 보충 셋트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로 신호의 서브 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
도 1은 LTE(Long Term Evolution) 캐리어 통신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LTE 캐리어 네트워크 기지국(102)은 다양한 LTE 사용자 장치(UE)의 네트워크(104)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통신 장치들은 네트워크(104)를 통해 데이터 또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또는 기타 유형의 원격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104)은 네트워크에서 분산된 서버들의 셋트일 수 있다.
LTE UE는, 모바일 전화, 랩톱 컴퓨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수 종류의 핸드헬드 또는 모바일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TE UE는 WiFi? 가능 장치, WiMAX? 가능 장치, 또는 기타의 무선 장치들일 수 있다. LTE UE는 LTE 릴리스 8 등의 레거시 UE 장치(106) 또는 보충 LTE UE 장치(108)일 수 있다. 레거시 UE 장치(106)는 폐루프 공간 다중화를 위하여 4개의 LTE 릴리스 8 등의 지정된 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레거시 안테나 셋트(110)의 송신 구성과의 신호 연결을 생성함으로써 네트워크(104)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UE 장치(106)는 폐루프 공간 다중화를 위하여 8개 등의 지정된 총 수의 안테나를 갖는 레거시 안테나 셋트(110)와 보충 안테나 셋트(112) 양측 모두의 송신 구성을 갖는 안테나 어레이와의 신호 연결을 생성함으로써 네트워크(104)에 액세스할 수 있다. 레거시 안테나 셋트(110)는, 보충 안테나 셋트(112)가 레거시 안테나 셋트(110)의 범위를 넘는 임의의 안테나들을 참조하도록 하여, 레거시 장치(106)에 의해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를 갖는 안테나 셋트를 참조할 수 있다. 레거시 안테나 셋트(110)는 보충 안테나 셋트(112) 이전에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2는 기지국(102)으로서 기능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가능한 구성을 나타낸다. 기지국(102)은 버스(270)를 통해 연결되는 컨트롤러/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230), 송수신기(240), 입출력(I/O) 장치 인터페이스(25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예를 들어, Microsoft Windows?, UNIX, 또는 LINUX 등의 임의의 운영 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C++, Java 또는 Visual Basic, 등의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클라이언트 및 서버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Java? 서버 또는 .NET? 프레임워크 등의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프로세서(210)는 당업자에 공지된 임의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일 수 있다. 그러나, 결정 지원 방법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변 집적회로 요소들,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기타의 집적 회로, 이산 성분 회로 등의 하드웨어/전자 논리 회로, 프로그래머블 논리 어레이 등의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결정 지원 시스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결정 지원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캐시, 하드 드라이브, 또는 기타의 메모리 장치 등의 하나 이상의 전기, 자기, 또는 광학 메모리를 비롯하여 휘발성 및 불휘발성 데이터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특정 데이터에 대한 고속 액세스를 위하여 캐시를 가질 수도 있다. 메모리(220)는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ideo Disc-Read Only Memory), DVD 리드 라이트 입력기, 테이프 드라이브, 또는 미디어 콘텐츠가 시스템에 직접 업로드될 수 있도록 하는 기타의 리무버블 메모리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메모리에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컨트롤러/프로세서(2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230)가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레거시 UE 장치(106) 및 보충 UE 장치(108)를 네트워크(104)에 연결하기 위하여 임의의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240)는 레거시 UE 장치(106) 및 보충 UE 장치(108)와의 데이터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레거시 안테나 셋트(110) 및 보충 안테나 셋트(112)를 사용하여 기지국(102)과 레거시 UE 장치(106)와 보충 UE 장치(108)와의 사이에 다운링크 및 업링크 제어 채널 및 다운링크 및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I/O 장치 인터페이스(250)는 키보드, 마우스, 펜-구동 터치 스크린 또는 모니터, 음성 인식 장치, 또는 입력을 수신하는 기타의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들에 연결될 수 있다. I/O 장치 인터페이스(250)는 또한 모니터, 프린터, 디스크 드라이브, 스피커, 또는 데이터 출력을 위하여 제공되는 기타의 임의의 장치 등의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I/O 장치 인터페이스(250)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데이터 태스크 또는 연결 표준(connection criteria)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60)는 통신 장치,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송수신기, 또는 네트워크(104)로부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타 임의의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60)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인터페이스(260)는 원격회의 장치를, 사용자를 원격 회의 중인 다른 사용자들에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의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전기적인 버스(270)를 통해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링크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220)로부터 컨트롤러/프로세서(2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싱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결정 지원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예를 들어, Microsoft Windows?, LINUX, 또는 UNIX 등의 임의의 운영 체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C++, Java, 또는 Visual Basic, 등의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클라이언트 및 서버 소프트웨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요구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용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등의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의 일반적인 콘텍스트에서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콤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들이,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또는 프로그래머블 소비자 장치,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본체 컴퓨터 등을 비롯하여, 많은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들을 갖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레거시 UE 장치(106) 또는 보충 UE 장치(108)로 기능할 수 있는 사용자 통신 장치(300) 또는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다. UE(300)는 네트워크(104)에 저장된 정보 또는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UE(300)는 네트워크(104)와의 다양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어플레이케이션을 지원할 수도 있다. UE(300)는 모바일 전화, 랩톱 컴퓨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핸드헬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UE(300)는 데이터를 위하여 또는 VOIP를 이용한 음성에 의해 네트워크(104)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WiFi? 가능 장치일 수 있다.
UE(300)는 네트워크(104) 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UE(300)는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UE(300)는 또한 프로세서(304)에 의해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306) 및 불휘발성 메모리(3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300)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등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UE(300)는 또한 마이크로폰, 이어폰, 및 스피커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오디오 인터페이스(312)를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300)는 또한 추가 구성요소들이 부착될 수 있는 콤포넌트 인터페이스(314),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E(300)는 전원(31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사용하여 폐루프 공간 다중화를 실행할 수 있다. OFDM 신호는 일련의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12 또는 14개의 OFDM 심볼 등의 고정된 수의 연속된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LTE에 있어서, 폐루프 공간 다중화, 개루프 공간 다중화, 또는 송신 다이버시티의 형태는 안테나 채널 추정을 위하여 4개의 CRS(Common Reference Symbol) 패턴으로 나타낸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공간 다중화 및 송신 다이버시티의 더 새로운 방법들에서는 8개의 CRS 패턴으로 표현된 8개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8개의 CRS 패턴 신호들은 공간 다중화 및 송신 다이버시티의 더 새로운 방법을 동작시키는 기지국(102)에서 기능하도록, 레거시 LTE UE 장치(106)에 의해 디코딩 가능하도록 배치되거나,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와 호환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수 프레임 비트맵 또는 서브프레임의 상태 또는 포맷을 나타내는 기타의 수단은, K개의 서브프레임의 세트 내의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특수 포맷을 가지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특수 포맷은 초기 또는 다른 서브셋트의 심볼들을 유니캐스트 제어 영역으로 할 수 있는 한편, 나머지 심볼들은 정상적인 유니캐스트 서브프레임과는 상이한 몇몇 특수한 특성을 가지거나 또는 레거시 단말들의 셋트에 의해 인식가능하거나 디코딩가능하지 않는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수한 서브프레임 포맷은, 폐루프 공간 다중화를 이용하여 8개의 안테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 Channel) 송신을 지원하기 위한 8개의 CRS를 가질 수 있다.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은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향상된 송신 구성에서의 송신을 위하여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400)을 흐름도로서 나타낸다. 기지국(102)은 송신 구성에서 사용되는 안테나의 각각에 대한 CRS의 셋트로, 송신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블록 402). 기지국(102)은 또한, 데이터로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할 수 있다(블록 404). 기지국(102)은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를 표시하기 위하여 특수 프레임 비트맵 또는 기타 개별 서브프레임들의 상태의 표식을 시그널링하도록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Broadcast Control Channel) 상에서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인코딩할 수 있다(블록 406). 예를 들어, 특수 프레임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상태가 LTE 릴리스 8, LTE 릴리스 10,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릴리스 8, 8 CRS 맵핑된 신호,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스테이트 릴리스 10, 멀티스테이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스테이트 서비스 릴리스 10 플러스 릴레이, 또는 기타의 구성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든 인코딩이 완료된 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블록 408). 특수 프레임 비트맵 등의 서브프레임 상태 표시자는 전용 제어 채널 시그널링에 의해 특정 단말기들에 전달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상태 표시자는 또한 구조적으로 계층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IB 또는 전용 제어 채널은 서브프레임을 릴리스 8 등의 레거시 서브프레임으로, 또는 레거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것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지정 수의 안테나를 지원하는 것으로 또는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논-레거시(non-legacy) 서브프레임 내에 삽입된 또 다른 시그널링 정보가, 적용가능한 종류의 논-레거시 서브프레임을 또한 식별할 수 있다.
보충 CRS 패턴들이 맵핑되는 때의 다운링크 제어 영역은 3개 등의 OFDM 심볼들의 셋트 수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현재 사용되지 않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상태 3 등의 포맷 표시자는, 다른 상태 0, 1, 2 가 시그널링되는 레거시 CRS 패턴들을 나타내는 동안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보충 CRS를 지원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표맷 표시자는 레거시 단말기들의 밀도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준비되거나 이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영역 사이즈는 3 등의 보충 CRS 패턴들이 존재하는 때의 OFDM 심볼들의 셋트 수로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설정될 수 있다. 셋트 수의 제어 영역 사이즈는, PCFICH 상태가 3이거나, 특수 서브프레임 스타일 비트맵 등의 시그널링된 서브프레임 표시자가 보충 CRS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때에 가정될 수 있다.
송신 안테나(110)의 레거시 셋트는 CRS 패턴들의 레거시 셋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송신 안테나(112)의 보충 셋트는 CRS 패턴들의 보충 셋트로 표현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를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셋트, 이전에 지정된 레거시 공통 레퍼런스 심볼들의 셋트,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 심볼들 및 이전에 지정된 레거시 공통 기준 심볼들의 조합, 물리 리소스 블록들의 셋트, 또는 제어 채널 요소들의 셋트에 맵핑할 수 있다.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셋트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가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 심볼의 셋트일 수 있다. 기지국(102)은 레거시 코드 심볼들을 펑쳐링(puncturing)함으로써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를 맵핑할 수 있다.
도 5는 4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OFDM 시그널(500)의 전통적인 CRS 맵핑을 블록도로서 나타낸다. 시그널(500)은 시간 영역을 따라서 슬롯(502)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주파수 영역을 따라서 리소스 블록(RBs)(504)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RB(504)는 12개의 리소스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502)은 7개의 OFDM 심볼(506)들을 가질 수 있다. 심볼 0 내지 심볼 2는 제어 심볼(508)로서 지정될 수 있으며, 심볼 3 내지 심볼 7은 데이터 심볼로서 지정될 수 있다.
제1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1 CRS(510)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0에 맵핑될 수 있으며, 또한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4에 맵핑될 수 있다. 제2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2 CRS(512)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0에 맵핑될 수 있으며,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4에 맵핑될 수 있다. 제3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3 CRS(514)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1에 맵핑될 수 있다. 제4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4 CRS(516)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1에 맵핑될 수 있다.
도 6은 8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OFDM 신호(600)의 CRS 맵핑의 제1 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송신 안테나의 레거시 셋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핑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지국(102)은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를 제어 영역에 맵핑할 수 있다. 제5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5 CRS(602)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6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6 CRS(604)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7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7 CRS(606)는 리소스 구성요소 2 및 8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8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8 CRS(608)는 리소스 구성요소 5 및 11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도 7은 8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OFDM 신호(700)의 CRS 맵핑의 제2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송신 안테나의 레거시 셋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핑될 수 있다. 제5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5 CRS(602)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6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6 CRS(604)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7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7 CRS(606)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3에 맵핑될 수 있다. 제8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8 CRS(608)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3에 맵핑될 수 있다.
도 8은 8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OFDM 신호(800)의 CRS 맵핑의 제3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송신 안테나의 레거시 셋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핑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지국(102)은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를 데이터 영역에 맵핑할 수 있다. 제5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5 CRS(602)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6에 맵핑될 수 있다. 제6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6 CRS(604)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6에 맵핑될 수 있다. 제7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7 CRS(606)는 리소스 구성요소 2 및 8에서 심볼 6에 맵핑될 수 있다. 제8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8 CRS(608)는 리소스 구성요소 5 및 11에서 심볼 6에 맵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어 영역에 대한 임의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CRS 패턴들을 심볼 5에 교번하여 맵핑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명시적인 시그널링을 보류하고, 그 대신, CRS 패턴에 의해 펑쳐링된 심볼들로 인한 링크 열화를 회피하기 위하여 속도 매칭(rate matching)에 의존할 수 있다.
도 9은 8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OFDM 신호(900)의 CRS 맵핑의 제4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송신 안테나의 레거시 셋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핑될 수 있다. 제5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5 CRS(602)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6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6 CRS(604)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2에 맵핑될 수 있다. 제7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7 CRS(606)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6에 맵핑될 수 있다. 제8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8 CRS(608)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6에 맵핑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송신 안테나의 보충 셋트에 대한 CRS 패턴들을 LTE 캐리어의 대역폭에 걸쳐 있을 수 있는 보유된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에 삽입할 수 있다. CRS에 대해 준비된 PRB들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은 PCFICH 상태 3, 특수 서브프레임 타입 비트맵, 또는 기타의 표식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러나, 오버헤드가 CRS가 OFDM 심볼들에 그 대신 맵핑되는 때에 사용된 스파스 맵핑(sparse mapping)보다 더 클 수가 있다. CRS 대 PRB 맵핑 접근법에서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및 CRS 양측 모두가 개별 PRB들을 점유하도록 분산 할당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개별 PRB를 레거시 사용자 장치 또는 논-레거시 사용자 장치에 대한 송신 시그널로 인코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CRS-베어링(bearing) PRB들은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 또는 송신 간격들에 있어서 전체 주파수 대역, 또는 그 하부영역을 커버하도록 스케쥴링될 수 있다.
도 10은 8 송신 안테나 구성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OFDM 신호(700)의 교번하는 CRS 맵핑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본 구성에 있어서, 보충 셋트 CRS들만이, 예를 들어, 제5 내지 제8 송신 CRS들이 맵핑된다. 제5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5 CRS(602)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0에 맵핑될 수 있으며,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4에 맵핑될 수 있다. 제6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6 CRS(604)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0에 맵핑될 수 있으며,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4에 맵핑될 수 있다. 제7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7 CRS(606)는 리소스 구성요소 1 및 7에서 심볼 1에 맵핑될 수 있다. 제8 송신 안테나를 참조하는 제8 CRS(608)는 리소스 구성요소 4 및 10에서 심볼 1에 맵핑될 수 있다.
도 11은 8 송신 안테나 구성에서 PRB에 대한 CRS 맵핑(110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기지국(102)은 밀리초 당 2개의 슬롯(502)을 송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롯은 7개의 PDSCH OFDM 심볼(1102)들을 가진다. 밀리초 당 제1의 3개의 PDSCH OFDM 심볼(1102)들이 제어 영역 및 레거시 CRS 영역(1104)으로서 준비될 수 있다. 레거시 안테나 CRS 패턴(1106)은 각각의 슬롯의 제5 PDSCH OFDM 심볼에 맵핑될 수 있다. 제1 리소스 블록으로부터 시작하여, 제4 리소스 블록 각각은 송신 안테나의 보충 셋트에 대한 CRS 리소스 블록(1108)으로서 준비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보충 송신 안테나에 대한 CRS를 다운링크 제어 영역 내의 준비된 제어 채널 구성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들의 셋트에 맵핑할 수 있다. 4개의 보충 송신 안테나에 있어서, 6개의 CCE들을 준비함으로써, 안테나 당 54개의 RE들이 해당하는 CRS에 대하여 활용가능해질 수 있다. 기지국(102)은 PCFICH 상태 3으로서 또는 특수 서브프레임 타입 비트맵으로서 CRS에 대한 준비된 CCE들와 함께 서브프레임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3개의 OFDM 심볼들에 대한 제어 영역의 사이즈를 반정적으로(semi-statically) 설정할 수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남아 있는 CCE의 수는, 5 MHz 이상의 대역폭 모드에 대한 최대 스펙트럼 효율성을 성취하도록, 서브프레임 당 UE들의 요구되는 수를 서비스하기에 또는 대부분 서비스하기에 여전히 충분할 수 있다.
도 12는 8 송신 안테나 구성에 있어서 CCE로의 CRS 맵핑(1200)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제1 및 제2 OFDM 심볼(506)은 리소스 블록(506) 당 2개의 6 리소스 구성요소 CCE(1202)들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제3 OFDM 심볼(506)은 리소스 블록(506) 당 3개의 4 리소스 구성요소 CCE(1204)들을 가질 수 있다. 송신 안테나(112)의 보충 셋트를 나타내는 보충 셋트 CRS들은 제1 타입의 CCE(1202) 또는 제2 타입의 CCE(1204)의 어느 쪽에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 구조를 전달하거나 이에 저장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활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일례로서, 이에 한하지 않지만,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의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구조의 형태로서 소망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의 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컴퓨터에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연결(유선, 무선, 또는 그 조합) 상에서 정보가 전달 또는 제공되는 경우, 컴퓨터는 적절하게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연결을 간주한다. 따라서, 임의의 이러한 연결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절하게 지칭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링크되는 (유선 링크, 무선 링크, 또는 그 조합에 의해) 로컬 및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태스크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처리 장치에 대하여 특정 기능 또는 기능들의 그룹을 수행시키는 인스트럭션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들은 또한 스탠드얼론 또는 네트워크 환경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콤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인스트럭션,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행가능 인스트럭션들의 특정한 시퀀스 또는 관련 데이터 구조들은, 이러한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의 구현을 위한 해당 조치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은 여하한 방식으로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기술된 실시예들의 다른 구성들은 본 발명의 범주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리는 각 사용자가 이러한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전개할 수도 있는 개별 사용자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각 사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가능한 적용예들 중 임의의 하나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필요치 않을지라도, 본 발명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양한 가능한 방법으로 콘텐츠를 각각 처리하는 전자 장치들의 다수의 예들이 존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모든 최종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의 시스템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 법적 균등물들은 어떠한 특정한 주어진 예시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1)

  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legacy set)와 호환되도록 설계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신호의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하는 단계 - 상기 서브프레임은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리소스 요소들에서의 공통 기준 심볼들(common reference symbols)의 레거시 셋트, 및 송신 안테나들의 셋트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에 의해 인코딩됨 -; 및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기준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할당되지 않은 서브프레임 심볼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심볼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내에 있는 데이터 송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심볼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 내에 있는 데이터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공통 기준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논-레거시(non-legacy) 사용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에 대하여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공통 기준 심볼을, 적어도 하나의 제어 채널 요소에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의 표시(indication)를 상기 신호에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의 상기 표시(indication)는 상기 송신 안테나들의 셋트를 참조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의 상기 표시는,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인코딩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대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을 펑쳐링(puncturing)함으로써,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적어도 하나의 공통 기준 심볼을 맵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캐리어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서,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와 호환되도록 설계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신호의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하는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 및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에 의해 상기 신호의 서브프레임을 인코딩함 - ; 및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어레이
    를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를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할당되지 않은 셋트에 맵핑시키는 기지국.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하나의 공통 기준 심볼을,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핑시키며, 논-레거시 사용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에 대해 인코딩하는 기지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통 기준 심볼의 보충 셋트의 표시를 상기 신호로 인코딩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인코딩되는 기지국.
  16.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송신 안테나들의 레거시 셋트와 호환되도록 설계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의해 디코딩가능한 신호를,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및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로부터 상기 신호의 서브프레임을 디코딩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는 서브프레임 심볼들의 할당되지 않은 셋트에 맵핑되는 사용자 통신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의 공통 기준 심볼이 제어 채널 요소에 맵핑되는 사용자 통신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레거시 사용자 통신 장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들을 펑쳐링함으로써,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 중 공통 기준 심볼이, 상기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 요소들에 맵핑되는 사용자 통신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통 기준 심볼의 보충 셋트의 표시를 상기 신호로 디코딩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로부터 공통 기준 심볼의 보충 셋트의 표시를 디코딩하고, 상기 신호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4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참조하는 공통 기준 심볼들의 레거시 셋트 및 송신 안테나들의 셋트를 참조하는 상기 공통 기준 심볼들의 보충 셋트를 디코딩하는 사용자 통신 장치.
KR1020117002979A 2008-08-08 2009-07-15 다중 안테나용 공통 기준 심볼들의 맵핑 및 시그널링 KR101233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88,664 US8259825B2 (en) 2008-08-08 2008-08-08 Mapping and signaling of common reference symbols for multiple antennas
US12/188,664 2008-08-08
PCT/US2009/050652 WO2010017005A1 (en) 2008-08-08 2009-07-15 Mapping and signaling of common reference symbols for multiple antenn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648A KR20110028648A (ko) 2011-03-21
KR101233886B1 true KR101233886B1 (ko) 2013-02-18

Family

ID=4134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979A KR101233886B1 (ko) 2008-08-08 2009-07-15 다중 안테나용 공통 기준 심볼들의 맵핑 및 시그널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259825B2 (ko)
EP (1) EP2332281A1 (ko)
JP (1) JP5298313B2 (ko)
KR (1) KR101233886B1 (ko)
CN (1) CN102124691B (ko)
AR (1) AR072996A1 (ko)
BR (1) BRPI0917433A2 (ko)
MX (1) MX2011001440A (ko)
RU (1) RU2471297C2 (ko)
TW (1) TWI497969B (ko)
WO (1) WO2010017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23305A3 (en) * 2004-09-27 2012-08-15 Sharp Kabushiki Kaisha Radio transmission device
US8514954B1 (en) * 2008-03-04 2013-08-20 Microsoft Corporation Pilot design for wireless system
US8547954B2 (en) * 2008-08-28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adapting number of advertised transmit antenna ports
US9007979B2 (en) * 2008-09-29 2015-04-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US8340199B2 (en) * 2008-10-27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8-transmit antenna reference signal design for downlink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KR101608777B1 (ko) 2008-10-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레퍼런스 신호를 하향 전송하는 방법
WO2010050757A2 (en) * 2008-10-30 2010-05-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reference signals in a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03572B2 (en) * 2009-02-02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virtual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20110069637A1 (en) * 2009-09-18 2011-03-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Search Space Location Indication for a Relay Backhaul Link
JP2013507033A (ja) * 2009-10-02 2013-02-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ダウンリンク参照信号の転送方法及び装置
US9444589B2 (en) * 2009-10-05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turing data regions for signals to minimize data loss
US10193678B2 (en) * 2009-10-08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Muting schem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and signaling thereof
US20110244877A1 (en) 2009-10-08 2011-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07409B2 (en) 2010-02-2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AU2011241273B2 (en) * 2010-04-13 2014-03-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JP5373690B2 (ja) * 2010-04-16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メインユニット、無線アクセスユニット及び通信方法
JP2014506046A (ja) * 2010-12-22 2014-03-06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リソースの割り当て
JP5396427B2 (ja) * 2011-05-02 2014-01-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50085766A1 (en) * 2011-10-10 2015-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ultiplexing control information at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3095631A (zh) * 2011-11-03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参考信号的发送方法、配置方法和装置
US9184889B2 (en) 2012-08-08 2015-11-1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having reference signal design for new carrier types
EP3493631B1 (en) * 2012-11-28 2022-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75809A1 (zh) * 2015-11-06 2017-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参考信号的传输方法、用户设备、基站及系统
CN108023711B (zh) * 2016-11-04 2022-01-04 夏普株式会社 基站、用户设备和相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0353A1 (en) * 2004-02-13 2005-08-18 Hansen Christopher J. MIMO wireless communication greenfield preamble formats
JP2006014318A (ja) * 2005-06-21 2006-01-12 Sanyo Electric Co Ltd 送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7525096A (ja) * 2003-06-30 2007-08-30 アギ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下位受信機を備えた多入力多出力通信システム内の後方互換通信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6742B2 (en) * 2002-10-25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ilots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
WO2005006700A1 (en) * 2003-06-30 2005-01-20 Agere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ackwards compatible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 orthogonal symbols
US8619907B2 (en) * 2004-06-10 2013-12-31 Agere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training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JP2006050573A (ja) 2004-06-28 2006-02-16 Sanyo Electric Co Ltd 送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受信方法および装置
EP1768294B1 (en) * 2004-06-28 2015-02-18 Hera Wireless S.A.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US7826547B2 (en) * 2004-10-26 2010-11-02 Broadcom Corporation Mixed mode preamble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698770B1 (ko) 2005-03-09 200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화 데이터의 부반송파 사상 장치 및 방법
JP2009510820A (ja) 2005-09-27 2009-03-12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マルチキャリア伝送のためのパイロット構造
CN101350801B (zh) * 2008-03-20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长循环前缀帧结构下行专用导频与物理资源块的映射方法
DK3073665T3 (en) 2008-06-23 2018-08-13 Sun Patent Trust PROCEDURE FOR ARRANGING REFERENCE SIGNALS A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S
WO2009157167A1 (ja) * 2008-06-23 2009-12-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参照信号割当方法
KR101027233B1 (ko) * 2008-07-23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096A (ja) * 2003-06-30 2007-08-30 アギア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下位受信機を備えた多入力多出力通信システム内の後方互換通信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50180353A1 (en) * 2004-02-13 2005-08-18 Hansen Christopher J. MIMO wireless communication greenfield preamble formats
JP2006014318A (ja) * 2005-06-21 2006-01-12 Sanyo Electric Co Ltd 送信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2281A1 (en) 2011-06-15
WO2010017005A1 (en) 2010-02-11
RU2011108561A (ru) 2012-09-20
TWI497969B (zh) 2015-08-21
RU2471297C2 (ru) 2012-12-27
JP5298313B2 (ja) 2013-09-25
CN102124691A (zh) 2011-07-13
MX2011001440A (es) 2011-03-15
AR072996A1 (es) 2010-10-06
BRPI0917433A2 (pt) 2015-12-01
KR20110028648A (ko) 2011-03-21
TW201021496A (en) 2010-06-01
US20100034299A1 (en) 2010-02-11
CN102124691B (zh) 2013-12-25
US8259825B2 (en) 2012-09-04
JP2010045777A (ja)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86B1 (ko) 다중 안테나용 공통 기준 심볼들의 맵핑 및 시그널링
CN110740519B (zh) 一种无线传输中的方法和装置
JP5932931B2 (ja) 不連続的なアップリンクリソース割当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I491183B (zh) 用於行動收發器及用於基地台收發器的裝置、方法及電腦程式
KR102647621B1 (ko) 서브프레임 배열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633083B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基站中的方法和装置
KR102074437B1 (ko)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송신 방법 및 장치
CN111294194B (zh) 一种无线传输中的方法和装置
US20130182664A1 (en) Resource Configuration for EPDCCH
US20130003664A1 (en) Scheduling of a User Equip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7054625A1 (zh) 支持低空口延迟的ue、基站中的方法和设备
CN109690988A (zh) 下行控制信息监听、发送、接收方法及装置
JP2019503625A (ja) 参照信号伝送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220386296A1 (en) High-spe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fdm-based single carrier system
CN110999473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US20190261334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110033064A (ko) 페이크 mbsfn 서브 프레임의 dm-rs 전송 방법
CN107113846A (zh) 下行控制信息的接收、发送方法及装置
CN111279630A (zh) 用于控制信息传输的控制格式指示图样
CN114944852A (zh) 一种用于多天线传输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