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759B1 -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759B1
KR101233759B1 KR1020100075928A KR20100075928A KR101233759B1 KR 101233759 B1 KR101233759 B1 KR 101233759B1 KR 1020100075928 A KR1020100075928 A KR 1020100075928A KR 20100075928 A KR20100075928 A KR 20100075928A KR 101233759 B1 KR101233759 B1 KR 10123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haft
popping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2114A (en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델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델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델리스
Priority to US12/876,64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214573A1/en
Publication of KR2011010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1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는 연속적인 순환동작을 통해 곡물을 가열 및 가압한 후 다단으로 상승하는 동작을 통해 곡물을 다중으로 팽창가공하며,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정위치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신속히 배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뻥튀기를 균일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고,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제조장치에서 한 번의 가열 및 가압동작으로 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일명 미니팝)를 동시에 만들 수 있도록 있도록 한 것이다.The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multi-processed grain through the operation of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grain through a continuous circulation operation to increase the multi-stage, and in the state of waiting for the complete frying in place in the forward position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quickly, accordingly can be processed into a uniform shape, and can be discharged in a certain direction of the processing completed, as well as a uniform shape by one heating and pressing operation in one manufacturing apparatus. Eggplants allow you to make multiple sprinkles (aka minipops)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뻥튀기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Deep-Frying Equipment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본 발명은 뻥튀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을 가열 및 가압한 후 다단으로 상승하는 동작을 통해 곡물을 다중으로 팽창가공함으로써 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일명 미니팝)가 동시에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장치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뻥튀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sprinkles (aka mini-pops) having a uniform shape by simultaneously expanding and processing the grains in multiple stages by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grains in multiple stage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att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making a splatter, which has been processed, to be dischar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일반적으로 뻥튀기 제조장치는, 공급되는 여러 종류의 곡물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압축시켜 뻥튀기 형태의 과자를 만드는 장치이다.Generally, a fry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making confectionery in the form of frying by heating or compressing various kinds of grains supplied at a constant temperature.

이러한, 뻥튀기 제조장치는, 밀폐된 금형 안에 일정량의 곡물을 넣어 가열하면, 가열된 곡물 내부에서 수증기가 팽창하게 되어 금형 내부에 압력이 급상승하게 된다.In this type of hot-spraying apparatus, when a certain amount of grain is put into a closed mold and heated, water vapor expands in the heated grain, and pressure increases rapidly in the mold.

이때, 밀폐된 금형을 순간적으로 개방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곡물이 수배 이상으로 급팽창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종래 뻥튀기 제조장치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한 한국특허등록 제 10-0774998 호에 제시된 바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losed mold is momentarily opened, the pressure decreases and the grain rapidly expands to several times. The conventional patented frying apparatus using this principle is appli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774998.

상기 선등록된 뻥튀기 제조장치의 구성은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중앙에 마련되며 곡물을 가열하여 팽창시키는 금형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는 호퍼에 수용되는 곡물을 금형에 공급하는 곡물이송유닛과, 상기 곡물이송유닛 및 금형을 구동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금형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포함된다.The pre-registered hot-dip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frame, a mold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rame to heat and expand the grain, and a grain transfer for supplying a grain accommodated in a hopper provided on the main body frame. A unit,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grain transfer unit and the mold, and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mold.

여기서, 상기 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금형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금형이 승강하는 구조이다.Here, the mold is divided into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nd the upper mold is lifted in a state where the lower mold is fixed.

상기 구조를 가지는 뻥튀기 제조장치의 동작은, 먼저 호퍼에 수용된 곡물은 구동유닛의 구동으로 곡물이송유닛이 곡물을 금형으로 공급하고, 이후 금형에 공급된 곡물은 금형에 구비된 가열유닛에 의해 일정온도로 가열되어 뻥튀기와 같은 과자로 그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Operation of the fry fry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 structure, first, the grain accommodated in the hopper is driven by the drive unit, the grain transfer unit supplies the grain to the mold, and then the grain supplied to the mold i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mold It is heated to a confectionery such as frying and its manufacture is made.

즉,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으로 호퍼에 수용된 곡물을 일정량만큼씩 개방하여 금형에 공급하고, 상부금형이 상승한 상태에서 금형에 곡물을 공급한 후 하강하여 하부금형과의 사이에 있는 곡물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열수단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That is, by driving the drive unit by opening the grain contained in the hopper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supply to the mold, supplying the grain to the mold in the state of the upper mold is lowered and presses the grain between the lower mold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ing means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후, 고온으로 가열된 곡물은 고압에 의해 원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부금형이 상승하여 압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순간, 순간적으로 일정형상으로 팝핑되면서 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며, 다음으로 뻥튀기할 일정량의 곡물이 공급되게 된다.Then, the grain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maintained in its original state by the high pressure, and when the upper mold rises and the pressure drops sharply, the grain pops forward while popping to a certain shape, and then a certain amount of grain to be boiled is supplied. do.

이와 같이 선등록된 종래 뻥튀기 제조장치는, 팝핑되는 과정에서 뻥튀기가 균일한 형태로 배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출된다. 물론, 뻥튀기를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실제 팝핑되는 뻥튀기는 정형화된 형상으로 제조되지 못하였고,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가 순간적인 압력 해제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튀어나가기 때문에 뻥튀기의 배출방향이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registered conventional fry splash manufacturing apparatus is, in the popping process is discharged in a variety of forms rather than discharge in a uniform form. Of course, althoug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provided in order to manufacture the hot dip in a desired shape, the popping popped actually is not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hape, and the hot dip is processed in several directions by momentary pressure rele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oulder irregular because it exited.

또한, 선등록된 종래 뻥튀기 제조장치는 가열 및 가압 동작으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지름 약 20㎝ 정도)의 뻥튀기만을 만들도록 설계되어 있을뿐, 소형크기(지름 약 10㎝ 정도 또는 지름 약 5㎝ 정도)를 가지는 뻥튀기의 제조가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이러한 소형크기의 뻥튀기를 동시에 다수 제조할 수 있는 기능 또한 부여되어 있지 않았다.In addition, the pre-registered conventional splatter manufacturing apparatus is designed to only make a splatter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bout 20 cm in diameter) from the heating and pressing operation, and a small size (about 10 cm in diameter or about 5 cm in diameter). Of course, the manufacturing of the splatters having the same, as well as the ability to manufacture a number of such small size splatters at the same time was not giv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속적인 순환동작을 통해 곡물을 가열 및 가압한 후 다단으로 상승하는 동작을 통해 곡물을 다중으로 팽창가공하며,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정위치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전방으로 신속히 배출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뻥튀기를 균일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고,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뻥튀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grains through a continuous circulation operation and then multi-swelling the grains through the multi-stage operation, the processing is comple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latte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the splatters in a uniform shape and discharging the splatters comple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being configured to be discharged quickly to the front in a state where the air is kept at the correct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조장치에서 한 번의 가열 및 가압동작으로 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일명 미니팝)를 동시에 만들 수 있도록 있도록 뻥튀기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configure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sprinkler so that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sprinkler (aka mini-pop) having a uniform shape by one heating and pressing operation in one manufacturing apparatu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뻥튀기 제조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곡물을 분기시켜 공급하는 곡물공급유닛; 상기 본체내에 위치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으로부터 분기되어 공급되는 곡물을 각각 수용한 후 이를 동시에 가공위치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며, 상기 가공위치에서 배출된 곡물이 가공되어 뻥튀기로 팝핑시 상기 팝핑된 뻥튀기들을 밀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곡물전달유닛;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곡물전달유닛에 의해 가공위치로 곡물이 이동되어 배출시 곡물들을 수용하도록 다단 승강이 이루어지고, 가압과 가열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를 팝핑하는 곡물가공유닛; 및,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과 상기 곡물전달유닛 및 상기 곡물가공유닛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ssing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grain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Located in the main body, each of the grains branched from the grain supply unit is supplied to each of the grains at the same time moved to the processing position and discharged,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processing position is processed to push the popped poppings during popping A grain transfer unit which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he grain is moved to the processing position by the grain transfer unit is a multi-stage lifting is made to accommodate the grains during discharge, the grain processing unit for popping a number of boils having a certain size by pressing and heating;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be driven in the main body and controlled by a controller, and to sequentially drive the grain supply unit, the grain transfer unit, and the grain processing unit. .

또한, 상기 곡물공급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곡물이 투입되며, 곡물을 일정량씩 분기시켜 공급하도록 하면에 다수의 배출구를 가지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하는 일정량의 곡물을 수용한 후 이를 곡물전달유닛으로 배출하는 곡물투입홈을 다수 형성하는 곡물공급축; 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rain supply unit, the hopper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grain is plac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grain is suppli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 grain supply shaft rotatably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the grain supply shaft forming a plurality of grain input grooves fo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then discharging the grain into a grain transfer unit; .

또한, 상기 호퍼는 가열 및 가압으로 뻥튀기의 팝핑이 이루어질 때 그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복수 또는 다수로 구성하고, 상기 곡물공급축은 상기 호퍼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pp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r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the popping popping when the popping of the popping is made by heating and pressing, the grain feed shaf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opper.

또한, 상기 곡물투입홈의 내부에는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투입량 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투입량 조절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곡물투입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grain input groov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adjust the input amount of the grain, the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is prefer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ain input groove by the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곡물공급축의 하부에는 상기 곡물투입홈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을 하부로 안내하여 상기 곡물전달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곡물안내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안내프레임은 가열 및 가압으로 뻥튀기의 팝핑시 그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를 설정하도록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grain supply shaft is provided with a grain guide frame for guiding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feeding groove to the lower portion and delivered to the grain transfer unit, the grain guide frame when popping the popping by heating and pressing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s are formed to set the size and the number of the popped popping.

또한, 상기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이 형성되는 상기 곡물안내프레임은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rain guide frame in which the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 is formed is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popping popping.

또한, 상기 곡물전달유닛은,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 1 슬라이드부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으로 관통된 곡물수용홀이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으로부터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를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후방으로 먼저 복귀시킨 후, 상기 곡물이 배출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제 1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transfer unit, the first slide member capable of sliding back and forth; A second slide memb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having a grain receiving hole vertically penetrated to receive grains supplied from the grain supply unit; And simultaneously sliding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forward from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and first returning the first slide member to the rear, and then rearward the second slide member from which the grain is discharged. A first actuating portion for returning;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ncluding.

또한, 상기 곡물수용홀은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rain receiving hole is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

또한, 상기 제 1 작동부는,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작동로드; 축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작동로드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2 작동로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2 작동로드가 각각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탄성작용하는 한 쌍의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를 함께 들어올려 전방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가 후방으로 먼저 복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하강시키는 제 1 회전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operating unit, a pair of first operating rods, one end of which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and install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A pair of second actuating rod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haft and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first actuating rods; 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actuating rods and elastically acts to return the pair of second actuating rods to the rear; And a first rotating member which first lifts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together and rotates forward, and then first lowers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is returned to the rear first.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에 편심 회전되게 각각 설치되고 회전시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를 동시에 들어올린 후 회전방향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하강시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후방으로 먼저 복귀시키는 한 쌍의 제 1 캠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ng member, each of which is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on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any one having a small thickness in the rotation direction after lifting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at the same time during rotation And a pair of first cams for descending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working rods to return the first slide member to the rear first.

또한, 상기 곡물가공유닛은, 상기 곡물전달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곡물가공홀이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물가공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곡물을 가압하도록 제 1 가압돌기를 가지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서 상기 곡물가공홀의 내부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시 상기 곡물가공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승시에는 가공된 곡물을 상기 곡물가공홀의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제 2 가압돌기를 가지는 승강부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2 작동부;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킨 후 다 단으로 상승 복귀시키는 제 3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rain processing unit, the lower mold is formed a grain processing hole for receiving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transfer unit; An upper mol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the upper mold having a first pressing protrusion to press the grain accommodated in the grain processing hol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lifted into the interior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mold, and when descending has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and to place the processed grain at the top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Elevating member; A second operating par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member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And a third operating part which lowers the upper mol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then returns to the multi stage. It will include.

또한, 상기 곡물가공홀은 상기 복수 또는 다수를 이루는 곡물수용홀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가압돌기는 상기 곡물가공홀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rain processing hole is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receiving holes,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rojections are configured a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grain processing hole.

또한, 상기 상부금형은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mol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it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upper by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제 2 작동부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의 축 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가이드축이 돌출 형성되는 제 3 작동로드; 및,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가이드축을 안내하여 승강시키는 제 2 회전부재; 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the third operating rod is axially installed to enable the front and rear rotation, the longitudinal end is hinged to the elevating member, the guide shaft protruding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ther en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be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and guides the guide shaft during the rotation. It includes.

또한,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에 편심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가이드축을 안내하여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축 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회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 캠; 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second rotating shaft which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nd a second cam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having a guide groove having a length in a rotatio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in an axial direction to guide the guide shaft and to move up and down when rotating. .

또한, 상기 제 3 작동부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상부금형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상부금형을 승강시키는 제 4 작동로드; 및,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들어올려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킨 후 상기 제 4 작동로드를 다 단으로 하강시켜 상기 상부금형을 다단으로 상승 복귀시키는 제 3 회전부재; 를 포함한다.The third actuating part may include a fourth actuating rod which is axially installed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and one end of which is longitudinally connected to the upper mold to lift the upper mold during rotation; And, the shaf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back and forth, and during the rotation to raise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on rod to lower the upper mold and then lower the fourth operation rod in multiple stages to raise the upper mold in multiple stages. A third rotating member for returning; It includes.

또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able roller may be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fourth operating rod.

또한, 상기 제 3 회전부재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 3 회전축; 및, 상기 제 3 회전축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편심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진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다단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원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1,2 홈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제 3 캠; 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third rotating shaft which is installed to be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groove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rotary shaft so as to be eccentrically rotatable and to lowe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ng rod lifted by the eccentric rotation in multiple stages. A third cam; It will include.

또한, 상기 제 1 홈부는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1차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1차로 하강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2차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groove portion is configured to lower the lengthwise one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primarily,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operation rod lowered first Configured to descend one en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 1 홈부의 회전방향 측 일단에는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되어 편심회전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과 접하면서 상기 제 1 홈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제 1 홈부로 하강시킨 후 자체 중량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tational direction sid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rotatably axially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while the rot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working rod. It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its own weight after lower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working rod to the first groove in the state rotated to the first groove.

또한, 상기 제 1 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이 하강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buffer member for absorbing the impact generated whe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ng rod is lowered.

또한, 상기 곡물가공유닛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상승시 그 상승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완충장치는 하부로 로드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금형의 상부면과 접하는 제 2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ain processing unit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the impact of the rise when the upper mold is raised, the shock absorber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rod cylinder and the cylinder is mounted so tha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buffer membe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ld.

또한,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는 제어부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는 가열유닛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eating unit whose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구동축에 구동기어가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모터; 제 1,2,3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기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들을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및,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체인에 밀착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장력조절기어; 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drive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drive motor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drive gears in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driven gear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A chain connecting the drive gear of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n gear to transmit a driving force; And one or more tension adjusting gears which are install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nd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to adjust tension. It will include.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체인이 설치된 방향을 향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력조절기어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장홀 내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long hol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in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adjusting gear is installed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in the long hole by a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종동기어의 축 방향 일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결합부재가 삽입 구성된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riven gea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중앙 영역에 다수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 1,2,3 회전축 및 상기 종동기어에 접하고, 그리고 상기 안착홈의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주변 영역을 향해서 가늘어지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 1 가압부재;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기 주변 영역에 다수로 배치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에 접하고, 상기 안착홈의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하여 가늘어지면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2,3 회전축의 주변에서 상기 제 1 가압부재로부터 상기 제 1,2,3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해서 제 1 체결공을 한정하는 접속부와 접촉하는 제 2 가압부재; 상기 안착홈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상기 제 1,2,3 회전축을 둘러싸고,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공에 정렬되는 제 2 체결공을 다수로 가지는 삽입부재; 및, 상기 1, 2 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 1,2 경사면의 사이로 체결되며, 삽입되는 체적만큼 상기 제 1,2 경사면을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려 상기 안착홈과 상기 제 1,2,3 회전축을 가압시키는 체결부재;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eating groove in the interior of the seating groove in contact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 and the driven gear, and the seating from the center region of the seating groove A first pressing member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is tapered toward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groove; It is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in the seating groove in contact with the driven gear, the tapered toward the cent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from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the second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defi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protruding from the first pressing member toward the first, second, third rotation shaft around the first, second, third rotation shaft Pressing member; An inserti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circumscrib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shafts and partially aligned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s while partially covering the seating grooves; And fasten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and spreading the seating groove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by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in opposite directions by a volume to be inserted. A fastening member for pressing;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mo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물을 다단으로 팽창 가공하여 일정한 형상의 뻥튀기를 제조함에 있어, 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일명 미니팝)를 동시에 팝핑할 수 있고, 뻥튀기의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어 가공된 뻥튀기의 수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duction of a certain shape of splatter by expanding the grain in multiple stages, a plurality of splatters (aka mini-pops) having a uniform shape can be popped simultaneously, and the processing quality of the splatt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inished fr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collection of the processed f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단면개략도.
도 5는 호퍼와 곡물공급축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개략도.
도 6은 복수의 곡물안내관을 가지는 곡물안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다수의 곡물안내관을 가지는 곡물안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곡물전달유닛의 제 1 캠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곡물가공유닛의 제 2 캠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곡물가공유닛의 제 3 캠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종동기어와 이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co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eft side view according to FIG. 1;
3 is a right side view according to FIG. 1;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opper and grain feed shaft.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ain guid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grain guide pip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ain guid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s.
9 is a sectional view of Fig. 8;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cam of the grain transfer unit in the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cam of a grain processing unit in a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a third cam of a grain processing unit in a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en gear and a coupling member installed in the sput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to 21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put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in a limiting sense of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단면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platt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eft side view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right side view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4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ure 1 It is.

도 5는 호퍼와 곡물공급축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개략도이고, 도 6은 복수의 곡물안내관을 가지는 곡물안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다수의 곡물안내관을 가지는 곡물안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opper and the grain supply shaft installation stat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ain guid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grain guide pip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8 It show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ain guide frame having a grain guide tube of.

도 9는 도 8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곡물전달유닛의 제 1 캠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곡물가공유닛의 제 2 캠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8,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cam of the grain transfer unit in the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grain processing unit in the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which enlarges and shows the 2nd cam is show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곡물가공유닛의 제 3 캠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에서 종동기어와 이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2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third cam of the grain processing unit in the splatt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iven gear and the coupling member installed in the splatt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도 1 내지 9에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는 본체(100)에 결합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곡물공급유닛(A), 곡물전달유닛(B), 곡물가공유닛(C), 그리고 구동유닛(D)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9, the frying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in supply unit (A), grain delivery unit (B), grain processing unit (C), and drive as component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Unit D.

상기 곡물공급유닛(A)은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일정량의 곡물(G)을 분기시켜 상기 곡물전달유닛(B)에 공급하는 것으로, 호퍼(210), 곡물공급축(220), 곡물안내프레임(231)(231a)을 포함한다.The grain supply unit (A)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branch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G) to supply to the grain transfer unit (B), the hopper 210, grain supply shaft 220, It includes a grain guide frame (231) (231a).

상기 호퍼(2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곡물(G)이 투입되며, 곡물을 일정량씩 분기시켜 공급하도록 하면에 다수의 배출구(210a)가 형성된다.The hopper 210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a grain (G) is injected, a plurality of outlets (210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o supply the grain by a predetermined amount.

이때, 상기 호퍼(210)는 가열 및 가압으로 뻥튀기의 팝핑이 이루어질 때 그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복수 또는 다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hopper 210 may be configured in plural or plural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popping popping when popping of popping is made by heating and pressing.

여기서, 상기 호퍼(210)는 곡물(G)이 투입되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투입되는 곡물(G)이 손실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hopper 2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top of the grain G is wide and the bottom thereof is narrowed, so that the grain G can be supplied without loss.

상기 곡물공급축(220)은 상기 호퍼(2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210a)에서 배출하는 일정량의 곡물을 수용한 후 이를 상기 곡물전달유닛(B)으로 배출하는 곡물투입홈(221)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곡물공급축(220)은 상기 호퍼(210)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ain supply shaft 220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210, the grain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10a and then discharged to the grain transfer unit (B) A plurality of input grooves 221 are formed, and the grain supply shaft 22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opper 210.

이때, 상기 곡물투입홈(221)의 내부 바닥면에는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하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투입량 조절부재(222)가 체결되며, 상기 투입량 조절부재(222)의 체결에 따라 상기 곡물투입홈(221)내의 공간 면적이 조절되면서 상기 곡물(G)의 수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n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22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asten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grain input groove 221, and the grain input groove (according to the fastening of the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222) is fastened. 221 is to adjust the space area of the grain (G) to adjust the capacity.

상기 곡물안내프레임(231)(231a)은 상기 곡물공급축(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곡물투입홈(221)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G)을 하부로 안내하여 상기 곡물전달유닛(B)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The grain guide frames 231 and 231a ar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rain supply shaft 220 and guide the grains G discharged from the grain feeding groove 221 to the lower portion. B) is configured to deliver.

이때, 상기 곡물안내프레임(231)(231a)에는 각각 가열 및 가압으로 뻥튀기의 팝핑시 그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첨부된 도 6,7에서와 같이 복수의 곡물안내관(230)을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8,9에서와 같이 다수의 곡물안내관(230)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230)이 형성되는 상기 곡물안내프레임(231)(231a)은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grain guide frame 231, 231a is a plurality of grain guide pipe 230 as shown in Figure 6, 7 attached to be set to the popping of the popping popping when the popping popping by heating and pressure, respectivel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s 230 are formed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the grain guide frames 231 and 231 a in which the plurality or grain guide tubes 230 are formed. ) Is selectively applied depending on the size and number of popping pops.

상기 곡물전달유닛(B)은 상기 본체(100)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곡물공급유닛(A)으로부터 분기되어 공급되는 곡물을 각각 수용한 후 이를 동시에 가공위치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는 한편, 상기 가공위치에서 배출된 곡물이 가공되어 뻥튀기로 팝핑될 때 상기 팝핑된 뻥튀기들을 밀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 제 1 작동부(330)를 포함한다.The grain transfer unit (B) is located in the main body 100 and receives the grains branched from the grain supply unit (A), respectively, and then move them to the processing position at the same time, and discharged from the processing position, When the processed grains are processed and popped with a frying pan,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and 320 are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D to push the popped sprinkles out. ), And a first operation unit 330.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310)는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이 이루어질 때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사각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수평면과 접하는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The first slide member 310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drive unit (D) is driven, which can be produc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ccordingly to the main body 100 It has a feature of moving the slide in contact with the formed horizontal plane.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320)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3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곡물공급유닛(A)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으로 관통된 곡물수용홀(321)이 형성된다.The second slide member 32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310, may be manufactur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lide member 310 or may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shape, the grain supply Grain accommodation holes 321 are vertically penetrated to receive the grains supplied from the unit A.

이때, 상기 곡물수용홀(321)은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230)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grain accommodation hole 321 is preferably formed as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 (230).

상기 제 1 작동부(330)는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력으로부터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를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310)를 후방으로 먼저 복귀시킨 후, 상기 곡물(G)이 배출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320)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1,2 작동로드(331)(332), 제 1 탄성부재(333), 그리고 제 1 회전부재(334)를 포함한다.The first operation unit 330 simultaneously slides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and 320 forward from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D, and rearwards the first slide member 310. After returning to the first, it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rear the second slide member 320, the grain (G) is discharged,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rods 331, 332, the first elastic member 333 And a first rotating member 334.

상기 제 1 작동로드(331)는 한쌍을 이루는 것으로, 일단이 각각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작동로드(33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first operating rod 331 is a pair, one e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3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rod 332,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and 320 are configured to slide back and forth.

여기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1 작동로드(331)는 본체(100)의 전방 이동시에는 동시에 이동하지만, 후방으로 복귀되는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가 후방으로 먼저 복귀되고 다른 하나가 나중에 복귀되는 작동순서를 가지는 것이다.Here, the pair of first operating rods 331 move simultaneously when the main body 100 moves forward, but when a movement to return to the rear is made, which one is returned to the rear first and the other is returned later It has a working order.

상기 제 2 작동로드(332)는 축부(322a)을 통해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한쌍이 설치된 것으로, 일단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작동로드(331)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 1 작동로드(331)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actuating rod 332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via a shaft portion 322a, one end of the pair of the first actuating rod 331 is a pair of hinges, The first operating rod 331 is configured to slide back and forth.

상기 제 1 탄성부재(333)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2 작동로드(33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100)에 고정된 것으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2 작동로드(332)가 각각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스프링인 것이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33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33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Each spring is elastic so that it can be returned to the rear.

상기 제 1 회전부재(334)는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332)를 함께 들어올려 전방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310)가 후방으로 먼저 복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33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하강시키는 것으로, 제 1 회전축(335)과 제 1 캠(33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rotating member 334 lifts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332 together and rotates them forward, and then the first slide member 310 returns to the rear first. One of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332 is first lowered as much as possible, and includes a first rotation shaft 335 and a first cam 336.

상기 제 1 회전축(335)은 본체(100)에 길이방향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으로,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에 의해 본체(100)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rotation shaft 335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in both longitudinal directions,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by driving the driving unit D.

상기 제 1 캠(336)은 상기 제 1 회전축(335)에 편심 회전되게 각각 설치된 것으로, 회전시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332)를 동시에 들어올린 후 회전방향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332)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하강시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310)를 후방으로 먼저 복귀시키키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first cam 336 is respectively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335, any one having a small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fter lifting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 332 at the same time during rotation Is configured as a pair so that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 332 is first lowered to return the first slide member 310 to the rear first.

상기 곡물가공유닛(C)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곡물전달유닛(B)에 의해 가공위치로 곡물(G)이 이동되어 배출시 곡물(G)들을 수용하도록 다단 승강이 이루어짐은 물론, 가압과 가열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를 팝핑(popping)하는 것으로, 하부금형(410), 상부금형(420), 승강부재(430), 제 2,3 작동부(440)(450)를 포함한다.The grain processing unit (C)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while the grain transfer unit (G) is moved to the processing position by the grain (G) is multi-stage lifting to accommodate the grain (G) when discharged Of course, by popping a plurality of boils having a certain size by pressing and heating, the lower mold 410, the upper mold 420, elevating member 430, the second, third operating portion 440 ( 450).

상기 하부금형(410)은 상기 곡물전달유닛(B)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G)을 수용하기 위한 곡물가공홀(411)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곡물가공홀(411)은 상기 복수 또는 다수를 이루는 곡물수용홀(321)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된다.The lower mold 410 is a grain processing hole 411 for receiving the grain (G) discharged from the grain transfer unit (B) is formed,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is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It consists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grain receiving hole 321 to form.

여기서, 상기 복수로 이루어지는 곡물수용홀(321)과 다수로 이루어지는 곡물수용홀(321)은 그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며, 이에따라 복수 또는 다수를 이루는 곡물가공홀(411)도 상기 곡물수용홀(321)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따라서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또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plurality of grain accommodating holes 321 and the plurality of grain accommodating holes 321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Accordingly, the grain processing holes 411 forming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accommodating holes 321 are also included. Corresponding to) and have a different diameter, so that the size of the popped popping can also have a different size.

상기 상부금형(420)은 상기 하부금형(410)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곡물가공홀(41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곡물(G)을 가압하도록 상기 곡물가공홀(411)에 삽입될 수 있는 복수 또는 다수의 제 1 가압돌기(421)가 돌출 구성된다.The upper mold 420 is installed to be lif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410, it is inserted into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to press the grain (G) accommodated in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first pressing protrusions 421 may be protruding.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420)과 하부금형(410)에는 제어부(도면에 미 도시)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는 가열유닛(500)이 삽입 구성되도록 하였다.Here, the upper mold 420 and the lower mold 410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unit 500, the temperatu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상기 승강부재(430)는 상기 하부금형(410)의 하부에서 상기 곡물가공홀(411)의 내부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시 상기 곡물가공홀(411)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승시에는 가공된 곡물을 상기 곡물가공홀(411)의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제 2 가압돌기(431)가 돌출 구성된다.The elevating member 430 is installed to be able to elevate into the interior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mold 410, and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when descending, and processing when raised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is configured to protrude so as to position the grains above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여기서, 상기 제 1,2 가압돌기(421)(431)는 상기 곡물가공홀(411)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구성되는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rotrusions 421 and 431 are configured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또한, 상기 상부금형(420)은 제 2 탄성부재(460)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460)에 의해 상부로의 복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mold 42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460, it is configured to be returned to the upper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460.

상기 제 2 작동부(440)는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43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제 3 작동로드(441), 제 2 회전부재(442)를 포함한다.The second operation part 440 lifts the elevating member 43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D, and includes a third operating rod 441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442.

상기 제 3 작동로드(441)는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이며, 상기 승강부재(430)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 연결되면서 반대되는 타단의 축 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가이드축(441a)이 돌출 형성된다.The third actuating rod 441 is axially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one end or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nged to the elevating member 430. The guide shaft 441a protrudes.

상기 제 2 회전부재(442)는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으로, 회전시 상기 가이드축(441a)을 안내하여 상기 제 3 작동로드(441)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2 회전축(443)과 제 2 캠(44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2, the second rotating member 442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guides the guide shaft 441a to rotate the third operating rod. It is configured to elevate 441, and includes a second rotation shaft 443 and a second cam 444.

상기 제 2 회전축(443)은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으로,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rotation shaft 443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rearward of the main body 10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D.

상기 제 2 캠(444)은 상기 제 2 회전축(443)에 편심회전되게 설치된 것으로, 회전시 상기 가이드축(441a)을 안내하여 상기 제 3 작동로드(441)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축 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회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안내홈(444a)이 형성된 것이다.The second cam 444 is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443, and guides the guide shaft 441a to rotate the third operation rod 441 upward and downward in rotation in an axial direction. Guide grooves 444a having a length in a rotation direction on one or both surfaces thereof are formed.

여기서, 상기 안내홈(444a)은 가이드축(441a)이 진입하거나 이탈되는 양측을 더 높게 형성시키고 중앙부위를 더 낮게 형성하여 곡면을 이루도록 안내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안내홈(444a)에 진입하는 가이드축(441a)이 상승, 하강, 상승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the guide grooves 444a are formed to form both sides of the guide shaft 441a into or out of the guide shaft 441a higher and form a lower central portion, thereby guiding the curved surface to guide the guide grooves 444a. The axis 441a can repeatedly move up, down, and up.

상기 제 3 작동부(450)는 상기 구동유닛(D)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420)을 하강시킨 후 다단으로 상승 복귀시키는 것으로, 제 4 작동로드(451), 제 3 회전부재(452)를 포함한다.The third operation unit 450 is to lower the upper mold 42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D) and then return to the multi-stage upward, fourth operating rod 451, the third rotating member 452 ).

상기 제 4 작동로드(451)는 본체(10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으로, 상기 상부금형(420)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상부금형(42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451a)가 구성된다.The fourth operation rod 451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hinged to the upper mold 420 to elevate the upper mold 420 during rotation. And a rotatable roller 451a at one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상기 제 3 회전부재(452)는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본체(10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으로, 회전시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을 들어올려 상기 상부금형(420)을 하강시킨 후 상기 제 4 작동로드(451)를 다단으로 하강시켜 상기 상부금형(420)을 다단으로 상승 복귀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3 회전축(453)과 제 3 캠(45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1, the third rotating member 452 is axial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lift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during rotation. After the upper mold 420 is lowered,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is lowered in multiple stages and configured to return the upper mold 420 to multiple stages. The third rotary shaft 453 and the third cam ( 454).

상기 제 3 회전축(453)은 본체(10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유닛(D)의 구동력에 의해 본체(100)의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third rotation shaft 453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D.

상기 제 3 캠(454)은 상기 제 3 회전축(453)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편심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진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을 다단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원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1,2 홈부(454a)(454b)를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이다.The third cam 454 is installed on the third rotation shaft 453 so as to be eccentrically rotate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cam 454 is lowered in multiple stages in order to lower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lifted by the eccentric rotation.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groove portions 454a and 454b are continuously formed.

상기 제 1 홈부(454a)는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을 1차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홈부(454b)는 상기 제 1 홈부(454a)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1차로 하강된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을 2차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first groove 454a is configured to lower the fir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first, and the second groove 454b is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groove 454a and 1 The second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low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descend.

이때, 상기 제 1 홈부(454a)의 회전방향 측 일단에는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되어 편심회전되는 회동부재(470)가 구성되고, 상기 회동부재(470)는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과 접하면서 상기 제 1 홈부(454a)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제 1 홈부(454a)로 하강시킨 후 자체 중량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rotational sid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454a is provided with a rotation member 470 rotatably inst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to rotate eccentrically, and the rotation member 470 is the fourth member. Self-weight after lowering the lengthwise one end of the fourth working rod 451 to the first groove portion 454a while rotating in the first groove portion 454a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engthwise end of the operating rod 451. It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즉, 상기 제 1,2 홈부(454a)(454b)는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에 힌지 연결된 상부금형(420)을 하강시킨 후 다시 2단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454a and 454b are configured to lower the upper mold 420 hinged 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rod, and then to raise it to the second stage again.

그리고, 상기 제 1 홈부(454a)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4 작동로드(451)의 길이방향 일단이 하강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완충부재(480)가 구성된다.In addition,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48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454a to absorb the shock generated when one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45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곡물가공유닛(C)에는 상기 상부금형(420)의 상승시 그 상승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4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장치(490)는 하부로 로드(491a)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491)와, 상기 로드(491a)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금형(420)의 상부면과 접하는 제 2 완충부재(492)를 포함한 것이다.Here, the grain processing unit (C)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ber 490 that absorbs the impact of the rise when the upper mold 420 is raised, the shock absorber 490 is a rod 491a to the bottom And a second buffer member 492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rod 491a and contacting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ld 420.

이때, 상기 제 2 완충부재(492)는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상부금형(420)의 상부를 지지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뻥튀기 제조장치의 각 장치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완충부재(492)는 연질의 고무,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buffer member 492 may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old 420 that rises momentarily to reduce the vibration and noise caused by the impact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damage to each device of the splashing apparatus, Accordingly, the second buffer member 492 may be manufactured using soft rubb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상기 구동유닛(D)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 구성되어 제어부(도면에 미 도시)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A)과 상기 곡물전달유닛(B) 및 상기 곡물가공유닛(C)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구동모터(610), 종동기어(620), 체인(630), 장력조절기어(640)를 포함한다.2 and 3, the drive unit (D) is configured in the main body 100 is driven and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he grain supply unit (A) and the grain transfer It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drive the unit (B) and the grain processing unit (C), and includes a drive motor 610, driven gear 620, chain 630, tension adjusting gear 640.

상기 구동모터(610)는 상기 제어부(도면에 미 도시)의 제어를 받아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되며 구동축에는 구동기어(611)가 구성된다.The driving motor 610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one or more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a driving gear 611 is formed on the driving shaft.

상기 종동기어(620)는 다수개로서 상기 제 1,2,3 회전축(335)(443)(453)과 도 13 과 같이 결합해서 상기 제 1,2,3 회전축(335)(443)(453)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체인(630)은 상기 구동모터(610)의 구동기어(611)와 상기 종동기어(620)들을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driven gears 620 are combined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and 453 as shown in FIG. 13 to form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and 453. It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the chain 630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by connecting the drive gear 611 and the driven gear 620 of the drive motor 610.

이때, 상기 종동기어(620)의 축 방향 일면에는 안착홈(62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621)에는 결합부재(650)가 삽입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650)는 제 1,2 가압부재(651)(652), 삽입부재(653), 체결부재(654)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groove 62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riven gear 620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upling member 65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621, the coupling member 650 is the first and second And a pressing member 651 and 652, an insertion member 653, and a fastening member 654.

상기 제 1 가압부재(651)는 상기 안착홈(621)의 내부에서 안착홈(621)의 중앙 영역에 다수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 1,2,3 회전축(335)(443)(453) 및 상기 종동 기어(620)에 접하고, 그리고 안착홈(621)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안착홈(621)의 주변 영역을 향해서 점점 가늘어지는 제 1 경사면(651a)을 갖는다.The first pressing member 651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central regions of the seating grooves 621 in the seating grooves 621,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453, and the The first inclined surface 651a is in contact with the driven gear 620 and tapers gradually from the cent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621 toward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621.

상기 제 2 가압부재(652)는 상기 안착홈(621)의 내부에서 안착홈(621)의 주변 영역에 다수로 배치되면서 상기 종동기어(620)에 접하고, 그리고 안착홈(621)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안착홈(621)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면서 상기 제 1 경사면(651a)과 대응되는 제 2 경사면(652a)을 갖는다.The second pressing member 652 is in contact with the driven gear 620 while being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mounting groove 621 in the interior of the mounting groove 621, and from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mounting groove 621 It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65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651a while tapering toward the central region of the seating groove 621.

상기 제 1, 2 가압부재(651, 652)는 상기 제 1,2,3 회전축(335)(443)(453)의 주변에서 제 1, 2 가압부재(651, 652) 사이에 제 1 체결공(도면에 미 도시)을 한정하는 접속부(도면에 미 도시)를 도 13 과 같이 갖는다. 상기 삽입부재(653)는 안착홈(621)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제 1,2,3 회전축(335)(443)(453)을 둘러싸고, 그리고 다수의 제 1 체결공에 각각 정렬되는 다수의 제 2 체결공을 갖는다.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651 and 652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ho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651 and 652 arou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and 453. A connecting portion (not shown in the figure) defining (not shown in the figure) is provided as shown in FIG. The insertion member 653 partially covers the seating grooves 621 and surrounds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453, and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respectively. It has two fastening holes.

상기 체결부재(654)는 첨부된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2 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 1,2 경사면(651a)(652a)의 사이로 체결되면서 삽입되는 체결부재(654)의 체적만큼 상기 제 1,2 경사면(651a)(652a)을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려 상기 안착홈(621)과 상기 제 1,2,3 회전축(335)(443)(453)를 가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 13, the fastening member 654 is provided by the volume of the fastening member 654 inserted while being faste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651a and 652a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651a and 652a are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ress the seating grooves 621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shafts 335, 443 and 453.

즉, 상기 체결부재(654)는 삽입부재(653)의 체결공을 통해 삽입이 이루어질 때 체결부재(654)의 단부가 제 1,2 경사면(651a)(652a)의 사이로 들아가게 되고, 이 순간 제 1,2 가압부재(651)(65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안착홈(621)의 내주와 제 1,2,3 회전축(335)(443)(453)의 외주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종동기어(620)와 함께 제 1,2,3 회전축(335)(443)(453)의 회전을 통해서 제 2, 3, 4 작동로드(332, 441, 451)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astening member 654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insertion member 653, th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654 enter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651a and 652a.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651 and 652 are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res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ating groove 62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and 453. Accordingly, the position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working rods 332, 441, 451 are variably changed through rota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rotation shafts 335, 443, and 453 together with the driven gear 620. It will be adjustable.

상기 장력조절기어(640)는 본체(10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된 것으로, 상기 체인(630)에 밀착되어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로 구성된다.The tension control gear 64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configured in one or a pluralit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630 to adjust the tension.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체인(630)이 설치된 방향을 향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장홀(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력조절기어(640)는 체결부재(654)에 의해 상기 장홀(110) 내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one or a plurality of long holes 110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hain 630 is installed, and the tension control gear 640 is connected to the long holes by the fastening member 654. 110) the installation can be made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within.

이하, 첨부된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뻥튀기 제조장치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4 to 21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coop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4에서와 같이, 호퍼(210)를 통해 곡물(G)을 투입하면, 호퍼(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210a)를 통해 낙하하는 곡물(G)이 곡물공급축(220)의 곡물투입홈(221)에 들어가게 되고, 곡물공급축(220)이 회전에 의해 곡물투입홈(221)에 수용된 곡물(G)이 곡물안내프레임(231)(231a)에 형성되는 복수 또는 다수를 이루는 곡물안내관(230)을 타고 제 2 슬라이드부재(320)의 곡물수용홀(321)로 들어가 수용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14, when the grain (G) is introduced through the hopper 210, the grain (G) fall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0a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210 grain supply shaft 220 Enter the grain input groove 221, the grain supply shaft 220 is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s (G) accommodated in the grain input groove 221 is formed in the grain guide frame 231 (231a) The grain guide tube 230 is formed to enter the grain receiving hole 321 of the second slide member 320 is accommodated.

다음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가 본체(100)의 전방으로 함께 슬라이드 이동한다. 여기서,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의 전방 이동은 제 1 회전부재(334)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는 제 2 작동로드(332)에 의해 가능해진다.Next,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and 320 slide together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Her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and 320 is enabled by the second operating rod 332 which is inter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334.

다음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제 1 슬라이드부재(310)가 후방으로 먼저 복귀된다. 이때, 제 2 슬라이드부재(320)의 곡물수용홀(321)에 담긴 곡물(G)이 하부로 배출되면서 하부금형(410)의 곡물가공홀(411)로 수용되는데, 이 경우 승강부재(430)의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승강부재(430)에 형성되는 제 2 가압돌기(431)는 상기 곡물가공홀(411)의 하부에서 곡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6, the first slide member 310 is first returned to the rear side. At this time, the grain (G) contained in the grain receiving hole 321 of the second slide member 320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is accommodated as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of the lower mold 410, in this case the lifting member 430 As the rising of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formed in the elevating member 430 forms a bottom surface so that grain does not leak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이때, 첨부된 도 17에서와 같이 제 2 슬라이드부재(320)는 곡물(G)을 모두 배출시킨 후에 후방으로 복귀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lide member 320 is returned to the rear after discharging all the grain (G)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18에서와 같이 상부금형(420)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금형(420)에 돌출된 제 1 가압돌기(421)이 곡물가공홀(411)에 수용된 곡물을 가압한다.Next, as the upper mold 420 is lowered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421 protruding from the upper mold 420 presses the grain accommodated in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420)과 하부금형(410)에는 가열유닛(500)에 의해 일정한 열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며, 곡물가공홀(411)에 수용된 곡물(G)은 가해지는 열과 제 1 가압돌기(421)의 가압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상부금형(420)을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460)는 압축된다.Here, the upper mold 420 and the lower mold 410 is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heat is applied by the heating unit 500, the grain (G) accommodated in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is applied heat and the first press A constant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protrusion 421. At the same time, the second elastic member 460 supporting the upper mold 420 is compressed.

다음으로, 도 19에서와 같이 상부금형(420)이 한번 상승함에 따라 곡물(G)이 1차로 팽창되고, 도 20에서와 같이 다시 상부금형(420)이 원래의 위치로 신속히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곡물(G)이 2차로 팽창되면서 곡물가공홀(411) 내에서 곡물(G)은 뻥튀기의 형상으로 팝핑된다.Next, as the upper mold 420 ascends once as shown in FIG. 19, the grain G is first expanded, and as the upper mold 420 quickly ascends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20, the As the grain G is expanded secondly, the grain G is popped in the shape of sprinkling in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이때, 승강부재(430)가 상승하여, 상기 승강부재(430)에 돌출되는 제 2 가압돌기(431)는 팝핑된 뻥튀기를 곡물가공홀(411)의 상부면에 일치하도록 상승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member 430 is raised,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protruding from the elevating member 430 raises the popped popping to match the upper surface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즉, 상기 승강부재(430)의 제 2 가압돌기(431)는 제 1,2 슬라이드부재(310)(320)가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되기 이전에 곡물가공홀(411)의 바닥을 이루도록 하강위치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431 of the elevating member 430 is lowered to form the bottom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411 before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310 and 320 are simultaneously moved forward. will be.

최종적으로, 도 21에서와 같이 처음의 작동순서와 동일하게 제 1 슬라이드부재(310)와 제 2 슬라이드부재(320)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Finally, as shown in Figure 21, the first slide member 31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320 moves forward together in the same order as the initial operation.

이때, 팝핑 가공이 이루어진 뻥튀기는 전방으로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부재(310)와 제 2 슬라이드부재(320)에 의해 밀려 본체(10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작동순서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popp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popping process is pushed by the first slide member 310 and the second slide member 320 to slide forward together has an operating sequenc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결과적으로, 곡물(G)을 다단으로 팽창 가공하여 일정한 형상의 뻥튀기를 다수 팝핑할 수 있어, 뻥튀기의 가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이 완료된 뻥튀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어 가공된 뻥튀기의 수거가 용이하다.As a result, the grain G can be expanded and processed in multiple stages to pop a large number of scoops of a certain shape,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ing quality of the scoops. In addition, it is easy to collect the processed scoops because the processed scoops can be discharged in a certain dir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뻥튀기 제조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platter is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for describing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Therefore,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such as dimensions, shapes, structure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장홀
210: 호퍼 201a: 배출구
220: 곡물공급축 221: 곡물투입홈
222: 투입량 조절부재 230: 곡물안내관
231,231a: 곡물안내프레임 310: 제 1 슬라이드부재
320: 제2슬라이드부재 321: 곡물수용홀
331: 제 1 작동로드 332: 제 2 작동로드
333: 제 1 탄성부재 334: 제 1 회전부재
335: 제 1 회전축 336: 제 1 캠
410: 하부금형 411: 곡물가공홀
420: 상부금형 421: 제 1 가압돌기
430: 승강부재 431: 제 2 가압돌기
441: 제 3 작동로드 441a: 가이드축
442: 제 2 회전부재 443: 제 2 회전축
444: 제 2 캠 444a: 안내홈
451: 제 4 작동로드 451a: 롤러
452: 제 3 회전부재 453: 제 3 회전축
454: 제 3 캠 454a: 제 1 홈
454b: 제 2 홈 460: 제 2 탄성부재
4700: 회동부재 480: 제 1 완충부재
490: 완충장치 491: 실린더
491a: 로드 492: 제 2 완충부재
500: 가열유닛 610: 구동모터
611: 구동기어 620: 종동기어
621: 안착홈 630: 체인
640: 장력조절기어 650: 결합부재
651: 제 1 가압부재 651a: 제 1 경사면
652: 제 2 가압부재 652a: 제 2 경사면
653: 삽입부재 654: 체결부재
G: 곡물
100: main body 110: long hole
210: hopper 201a: outlet
220: grain supply shaft 221: grain input groove
222: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230: grain guide
231, 231a: grain guide frame 310: first slide member
320: second slide member 321: grain receiving hole
331: first operating rod 332: second operating rod
333: first elastic member 334: first rotating member
335: first axis of rotation 336: first cam
410: lower mold 411: grain processing hole
420: upper mold 421: first pressing projection
430: the elevating member 431: the second pressing projection
441: 3rd operating rod 441a: guide shaft
442: second rotating member 443: second rotating shaft
444: second cam 444a: guide groove
451: fourth working rod 451a: roller
452: third rotating member 453: third rotating shaft
454: third cam 454a: first home
454b: second groove 460: second elastic member
4700: rotating member 480: first buffer member
490: shock absorber 491: cylinder
491a: Rod 492: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500: heating unit 610: drive motor
611: drive gear 620: driven gear
621: seating groove 630: chain
640: tension control gear 650: coupling member
651: first pressing member 651a: first inclined surface
652: second pressing member 652a: second inclined surface
653: insertion member 654: fastening member
G: Grain

Claims (30)

본체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량의 곡물을 분기시켜 공급하는 곡물공급유닛;
상기 본체내에 위치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으로부터 분기되어 공급되는 곡물을 각각 수용한 후 이를 동시에 가공위치로 이동시켜 배출시키며, 상기 가공위치에서 배출된 곡물이 가공되어 뻥튀기로 팝핑시 상기 팝핑된 뻥튀기들을 밀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곡물전달유닛;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곡물전달유닛에 의해 가공위치로 곡물이 이동되어 배출시 곡물들을 수용하도록 다단 승강이 이루어지고, 가압과 가열로 일정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뻥튀기를 팝핑하는 곡물가공유닛; 및,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과 상기 곡물전달유닛 및 상기 곡물가공유닛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구동축에 구동기어가 설치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구동모터;
제 1,2,3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종동기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들을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및,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체인에 밀착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장력조절기어를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종동기어의 축 방향 일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결합부재를 삽입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Located in the upper body, the grain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Located in the main body, each of the grains branched from the grain supply unit is supplied to each of the grains at the same time moved to the processing position and discharged,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processing position is processed to push the popped poppings during popping A grain transfer unit which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the grain is moved to the processing position by the grain transfer unit is a multi-stage lifting is made to accommodate the grains during discharge, the grain processing unit for popping a number of boils having a certain size by pressing and heating; And
A drive unit configured in the main body and controlled to be driven by a control unit and sequentially driving the grain supply unit, the grain transfer unit, and the grain processing unit,
The driving unit includes:
One or more drive motor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drive gears in the drive shaft;
A plurality of driven gear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A chain connecting the drive gear of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n gear to transmit a driving force; And
It is installed in the shaft to enable the front and rear rotation, and further comprises one or a plurality of tension adjusting gear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n to adjust the tension, and
A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driven gea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곡물이 투입되며, 곡물을 일정량씩 분기시켜 공급하도록 하면에 다수의 배출구를 가지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하는 일정량의 곡물을 수용한 후 이를 곡물전달유닛으로 배출하는 곡물투입홈을 다수 형성하는 곡물공급축;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supply unit,
Grain is plac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hopper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in the bottom to supply the grain by a predetermined amount;
A grain supply shaft rotatably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the grain supply shaft forming a plurality of grain input grooves fo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then discharging the grain into a grain transfer unit;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가열 및 가압으로 뻥튀기의 팝핑이 이루어질 때 그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복수 또는 다수로 구성하고, 상기 곡물공급축은 상기 호퍼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pper is configured by plural or plural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the popping popping when the popping of the popping is made by heating and pressurizing, the grain feed shaft is configured to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opper A splashing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투입홈의 내부에는 곡물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투입량 조절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or 3, wherein an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configured inside the grain input groove so as to adjust the input amount of the grai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량 조절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곡물투입홈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input amount adjusting member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ain feeding groove by the fastening memb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공급축의 하부에는 상기 곡물투입홈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을 하부로 안내하여 상기 곡물전달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곡물안내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곡물안내프레임은 가열 및 가압으로 뻥튀기의 팝핑시 그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를 설정하도록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lower part of the grain supply shaft is provided with a grain guide frame for guiding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grain feeding groove to the lower portion to deliver to the grain transfer unit,
The grain guide frame is a f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 to set the size and number of the popping popping popping when popping the popping by heating and pres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이 형성되는 상기 곡물안내프레임은 팝핑되는 뻥튀기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grain guide frame in which the plurality or the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s are formed is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number of popping popping po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전달유닛은,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제 1 슬라이드부재;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곡물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수용하기 위해 수직으로 관통된 곡물수용홀이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으로부터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를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후방으로 먼저 복귀시킨 후, 상기 곡물이 배출된 상기 제 2 슬라이드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제 1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transfer unit,
A first slide member capable of moving back and forth;
A second slide memb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having a grain receiving hole vertically penetrated to receive grains supplied from the grain supply unit; And
While simultaneously moving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forward from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the first slide member is returned to the rear first, and then the second slide member from which the grain is discharged is returned to the rear. A first operating part; Splash-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수용홀은 복수 또는 다수의 곡물안내관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grain accommodation hole has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guide tub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부는,
상기 제 1,2 슬라이드부재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작동로드;
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작동로드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2 작동로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제 2 작동로드가 각각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탄성작용하는 한 쌍의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를 함께 들어올려 전방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가 후방으로 먼저 복귀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하강시키는 제 1 회전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operating portion,
A pair of first actuating rod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e members, the pair of first actuating rods being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 pair of second actuating rod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haft and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first actuating rods;
A pair of first elastic member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actuating rods and elastically acts to return the pair of second actuating rods to the rear; And
A first rotating member which first lifts the pair of second working rods together and rotates it forward, and then first lowers any one of the pair of second working rods so that the first slide member is returned to the rear first;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재는,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에 편심 회전되게 각각 설치되고 회전시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를 동시에 들어올린 후 회전방향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제 2 작동로드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하강시켜 상기 제 1 슬라이드부재를 후방으로 먼저 복귀시키는 한 쌍의 제 1 캠;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rotating member,
Among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one of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each of which is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on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simultaneously lifts the pair of second operating rods during rotation, has a small thicknes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 pair of first cams for lowering any one first to return the first slide member to the rear first;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공유닛은,
상기 곡물전달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곡물을 수용하기 위한 곡물가공홀이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물가공홀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곡물을 가압하도록 제 1 가압돌기를 가지는 상부금형;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서 상기 곡물가공홀의 내부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시 상기 곡물가공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승시에는 가공된 곡물을 상기 곡물가공홀의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제 2 가압돌기를 가지는 승강부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 2 작동부;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킨 후 다 단으로 상승 복귀시키는 제 3 작동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grain processing unit,
A lower mold having a grain process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grains discharged from the grain transfer unit;
An upper mold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mold, the upper mold having a first pressing protrusion to press the grain accommodated in the grain processing hole;
It is installed so as to be lifted into the interior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mold, and when descending has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and to place the processed grain at the top of the grain processing hole. Elevating member;
A second operating part for elevating the elevating member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And
A third operating part for lowering the upper mol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and then returning it upward in multiple stages;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공홀은 복수 또는 다수를 이루는 곡물수용홀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 가압돌기는 상기 곡물가공홀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grain processing hole is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grain receiving hol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rojections are configured a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grain processing hole Frying equipm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upper mol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configured to return to the upper portion by the elastic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부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 연결되며, 반대되는 타단의 축 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가이드축이 돌출 형성되는 제 3 작동로드; 및,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가이드축을 안내하여 승강시키는 제 2 회전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operation unit,
A third actuating rod axially installed to be capable of front and rear rotation,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lifting member, and a guide shaft protruding from one end or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in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ng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be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and guides the guide shaft to move up and down during rotation;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에 편심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가이드축을 안내하여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축 방향 일면 또는 양면에 회전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 캠;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rotating member,
A second rotating shaft which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nd
A second cam installed to be eccentrically rotat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having a guide groove having a length in a rotatio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in an axial direction to guide the guide shaft and to move up and down during rotation;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작동부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상부금형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상부금형을 승강시키는 제 4 작동로드; 및,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회전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들어올려 상기 상부금형을 하강시킨 후 상기 제 4 작동로드를 다단으로 하강시켜 상기 상부금형을 다단으로 상승 복귀시키는 제 3 회전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hird operating portion,
A fourth actuating rod axially mounted to enabl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upper mold to move the upper mold up and down during rotation; And
The shaft is installed to be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and during rotation, the upper end is lowered by lift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working rod, and then the fourth working rod is lowered in multiple stages to raise and return the upper mold in multiple stages. 3 rotating member;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a rotatable roller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전부재는,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축 설치되는 제 3 회전축; 및,
상기 제 3 회전축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편심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진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다단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원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 1,2 홈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제 3 캠;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hird rotating member,
A third rotating shaft that is rotatably mounted back and forth; And
A third which is eccentrically rotatably installed on the third rotational shaft and continuously forms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order to lower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on rod lifted by the eccentric rotation in multiple stages; cam;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는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1차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홈부보다 더 깊게 형성되며 1차로 하강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2차로 하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The first groove is configured to lower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ourth actuating rod primarily;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formed deeper than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configured to lower the lengthwise one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lowered to the secondary.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의 회전방향측 일단에는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설치되어 편심회전되는 회동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21. The apparatus of claim 19 or 20,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groove por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s axially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rotate in an eccentric mann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과 접하면서 상기 제 1 홈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제 1 홈부로 하강시킨 후 자체 중량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rot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while rotating in the first groove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ourth operation rod is lowered to the first groove portion itself Deep f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weight.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4 작동로드의 길이방향 일단이 하강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 완충부재; 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21. The method of claim 19 or 20,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has a first buffer member for absorbing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operating rod is lowered; Splash-produc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공유닛에 상부금형 및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상부금형의 상승시 상기 상부금형의 상기 상승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n upper mold and a buffer device,
The shock absorber is configured to absorb the impact of the rise of the upper mold when the upper mold ris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plash.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하부로 로드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금형의 상부면과 접하는 제 2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shock absorber further comprises a cylinder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rod is project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ro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ld Frying machine ma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는 제어부에 의해 온도가 제어되는 가열유닛을 삽입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inserted with a heating unit whose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체인이 설치된 방향을 향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기어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장홀 내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one or a plurality of long hol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in is installed, the tension adjustment ge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the long hole by the fastening member Frying machine made with.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중앙 영역에 다수로 배치되면서 상기 제 1,2,3 회전축 및 상기 종동기어에 접하고, 그리고 상기 안착홈의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주변 영역을 향해서 가늘어지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 1 가압부재;
상기 안착홈의 내부에서 상기 안착홈의 상기 주변 영역에 다수로 배치되면서 상기 종동기어에 접하고, 상기 안착홈의 상기 주변 영역으로부터 상기 안착홈의 상기 중앙 영역을 향하여 가늘어지면서 상기 제 1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 1,2,3 회전축의 주변에서 상기 제 1 가압부재로부터 상기 제 1,2,3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해서 제 1 체결공을 한정하는 접속부와 접촉하는 제 2 가압부재;
상기 안착홈을 부분적으로 덮으면서 상기 제 1,2,3 회전축을 둘러싸고,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공에 정렬되는 제 2 체결공을 다수로 가지는 삽입부재; 및,
상기 1, 2 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 1,2 경사면의 사이로 체결되며, 삽입되는 체적만큼 상기 제 1,2 경사면을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려 상기 안착홈과 상기 제 1,2,3 회전축을 가압시키는 체결부재;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뻥튀기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t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in the seating groove in a plurality of contact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 and the driven gear, and taper toward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from the center area of the seating groove A first pressing member o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It is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in the seating groove in contact with the driven gear, the tapered toward the cent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from the peripheral area of the sea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the second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ortion defining the first fastening hole protruding from the first pressing member toward the first, second, third rotation shaft around the first, second, third rotation shaft Pressing member;
An insertion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circumscrib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shafts and partially aligned with the first fastening holes while partially covering the seating grooves; And
It is faste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and presses the seating groove and the first and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s by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in opposite directions by a volume to be inserted. Fastening member; Scoop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figuration.
KR1020100075928A 2010-03-08 2010-08-06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KR101233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76,641 US20110214573A1 (en) 2010-03-08 2010-09-07 Apparatus for producing cereal puff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529 2010-03-08
KR20100020529 2010-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14A KR20110102114A (en) 2011-09-16
KR101233759B1 true KR101233759B1 (en) 2013-02-20

Family

ID=4495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928A KR101233759B1 (en) 2010-03-08 2010-08-06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7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699A (en) 2018-12-27 2020-07-07 김용준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KR20210003591A (en) 2019-07-02 2021-01-12 김용준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83B1 (en) * 2004-03-09 2006-04-17 주식회사델리스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KR100774998B1 (en) * 2006-05-12 2007-11-08 주식회사델리스 Apparatus for producing crackers
KR100890238B1 (en) * 2007-11-07 2009-03-25 이철수 Apparatus of snack popping and method of popping snac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83B1 (en) * 2004-03-09 2006-04-17 주식회사델리스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KR100774998B1 (en) * 2006-05-12 2007-11-08 주식회사델리스 Apparatus for producing crackers
KR100890238B1 (en) * 2007-11-07 2009-03-25 이철수 Apparatus of snack popping and method of popping snac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699A (en) 2018-12-27 2020-07-07 김용준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KR102219729B1 (en) * 2018-12-27 2021-02-24 김용준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KR20210003591A (en) 2019-07-02 2021-01-12 김용준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14A (en)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6713A (en) Full-automatic multifunctional carding machine and tea processing method
CN105076278A (en) Automatic processing machine for fried bread sticks
KR101233759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EP0891824A1 (en) Hot forging device for bevel gear
US20110214573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ereal puffs
CN104907456B (en) A kind of fin slice arranging apparatus
CN112393549A (en) Pellet feed production shaping drying process equipment
CN111959016A (en) Soybean flatting mill
CN103960380B (en) A kind of oolong tea forming machine
CN205030416U (en) Deep -fried twisted dough sticks automatic processing machine's fried material mechanism
WO2008033004A1 (en) A sterilizer for treatment of oil palm and similar fruit bunches
CN211413317U (en) Aluminum alloy section bar piercing press
CN106465758A (en) tea deblocking and screening device
KR20110066620A (en) Automatic poping machine
CN205040517U (en) Deep -fried twisted dough sticks automatic processing machine's feed mechanism
KR101351533B1 (en) Grain roasting machine
KR101977157B1 (en) Popping Grain Apparatus
CN111727993A (en) Rotary cake making machine
CN215478093U (en) Over-and-under type automatic feeding machine
KR100487540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popping
CN217089387U (en) Tea leaf stir-frying device for tea production
CN209753467U (en) Manual check machine
CN220946846U (en) Full-automatic cake press
CN215662032U (en) Moxa cone manufacturing device
CN115026286B (en) Die feeding tool for alloy powder forging and pr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