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466B1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466B1
KR101233466B1 KR1020060040494A KR20060040494A KR101233466B1 KR 101233466 B1 KR101233466 B1 KR 101233466B1 KR 1020060040494 A KR1020060040494 A KR 1020060040494A KR 20060040494 A KR20060040494 A KR 20060040494A KR 101233466 B1 KR101233466 B1 KR 101233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welding
plate
lithium secondary
weld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7921A (en
Inventor
이유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466B1/en
Publication of KR2007010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플레이트 또는/및 터미널플레이트의 하면에 용접돌기를 형성하고 양극탭과 음극탭을 캡조립체에 용접한 후 전극조립체를 캔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양극탭과 음극탭을 절곡할 필요가 없고 초박형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a weld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cap plate or / and a terminal plate, and a cathode tab and a cathode tab are welded to a cap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produce an ultra-thin battery without the need for bend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리튬 이차전지, 캡플레이트, 터미널플레이트, 용접돌기, 쇼트, 초박형 Lithium Secondary Battery, Cap Plate, Terminal Plate, Welding Projection, Short, Ultra Thin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lithium secondary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 사시도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캡플레이트와 제 1전극탭의 용접부위의 확대 단면도4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ing portion of a cap plate and a first electrode tab;

도 4b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제 2전극탭의 용접부위의 확대 단면도4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ing portion of the terminal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200 - 리튬 이차전지 210 - 캔200-Lithium Secondary Battery 210-Can

220 - 전극조립체 226 - 제 1전극탭(양극탭)220-electrode assembly 226-first electrode tab (anode tab)

227 - 제 2전극탭(음극탭) 230 - 캡조립체227-Second electrode tab (cathode tab) 230-Cap assembly

240 - 캡플레이트 242 - 전해액주입구240-Cap plate 242-Electrolyte inlet

244 - 제 1용접돌기 246 - 개스킷244-First Welder 246-Gasket

250 - 절연플레이트 260 - 터미널플레이트250-Insulated Plate 260-Terminal Plate

263 - 제 2용접돌기263-2nd welding protrusion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플레이트 또는/및 터미널플레이트의 하면에 용접돌기를 형성하고 양극탭과 음극탭을 캡조립체에 용접한 후 전극조립체를 캔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양극탭과 음극탭을 절곡할 필요가 없고 초박형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weld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cap plate or / and a terminal plate, and the electrode assembly is welded to a can after weld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to the cap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produce an ultra-thin battery without the need for bend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Portable wireless devices such as video cameras, portable phones, portable computers, and the like are generally made lighter and more sophisticated. Such secondary batteries include, for exampl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compact, and large-capacity, and are widely used in advanced electronic devices because of their high operating voltage and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도 1은 일반적인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lithium secondary battery.

상기 리튬 이차전지(100)는 양극판(123), 음극판(125) 및 세퍼레이터(124)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120)를 전해액과 함께 캔(110)에 수납하고, 이 캔(110)의 상단개구부를 캡조립체(130)로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100 accommodates the electrode assembly 120 includ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3,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5, and the separator 124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in the can 110,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can 110. Is formed by sealing the cap assembly 130.

상기 캔(110)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재질로 형성되며, 딥드로잉 방식에 의하여 제작된다. 상기 캔(110)의 하면은 일반적으로 거의 평면 형상으 로 형성된다.The can 110 is generally formed of aluminum or an alloy thereof, and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method. The lower surface of the can 110 is generally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nar shape.

상기 전극조립체(120)는 양극판(123)과 음극판(125) 사이에 세퍼레이터(124)가 개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123)에는 양극탭(126)이 결합되어 전극조립체(120)의 상단부로 돌출되며, 음극판(125)에는 음극탭(127)이 결합되어 전극조립체(120)의 상단부로 돌출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20)에서 상기 양극탭(126)과 음극탭(127)은 소정거리 떨어져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상기 양극탭(126)과 음극탭(127)은 일반적으로 니켈 금속으로 형성된다.The electrode assembly 120 is formed by winding a separator 124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5.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6 is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3 to protrude to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7 is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5 to protrude to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20. In the electrode assembly 120,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6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7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6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7 are generally formed of nickel metal.

상기 캡조립체(130)는 캡플레이트(140)와 절연플레이트(150)와 터미널플레이트(160) 및 전극단자(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조립체(13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170)와 결합되어 캔(110)의 상단개구부에 결합되어 캔(110)을 밀봉하게 된다.The cap assembly 130 includes a cap plate 140, an insulating plate 150, a terminal plate 160, and an electrode terminal 135. Cap assembly 130 is coupled to a separate insulating case 170 is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an 110 to seal the can 110.

상기 캡플레이트(140)는 상기 캔(110)의 상단개구부와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1이 형성되며, 단자통공1에 삽입될 때는 전극단자(135)와 캡플레이트(140)의 절연을 위하여 전극단자(135)의 외면에는 튜브형의 개스킷튜브(146)가 결합되어 함께 삽입된다. 한편,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일측에는 전해액주입공(142)이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120)가 상기 캔(110)의 상단개구부에 조립된 후 전해액주입공(1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해액주입공(142)은 별도의 밀폐수단(180)에 의하여 밀폐된다.The cap plate 140 is formed of a metal plate having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opening of the can 110. A terminal through hole 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ap plate 140, and when inserted into the terminal through hole 1, a tubular shap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 135 to insulate the electrode terminal 135 from the cap plate 140. The gasket tube 146 is combined and insert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cap plate 140,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42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size. After the cap assembly 120 is assemb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can 110,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42,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142 is sealed by a separate sealing means 180. .

상기 전극단자(135)는 상기 음극판(125)의 음극탭(127) 또는 상기 양극판(123)의 양극탭(126)에 연결되어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로 작용하게 된다.The electrode terminal 135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7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5 or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6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3 to act a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r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상기 절연플레이트(150)는 가스켓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캡플레이트(140)의 하면에 결합된다. 절연플레이트(150)에는 상기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135)가 삽입되는 단자통공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가 안착되도록 터미널플레이트(160)의 크기에 상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The insulating plate 15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gasket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140. The insulating plate 150 has a terminal through-hole 2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135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hrough-hole 1 of the cap plate 140. A moun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plate 1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150 so that the terminal plate 160 is seated.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는 일반적으로 니켈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에는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135)가 삽입되는 단자통공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135)가 상기 개스킷튜브(146)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캡플레이트(140)의 단자통공1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는 상기 캡플레이트(1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전극단자(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terminal plate 160 is generally formed of a nickel alloy,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150. The terminal plate 160 has a terminal through hole 3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135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hrough hole 1 of the cap plate 14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35 has the gasket tube 146. By being insulated by) and coupl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1 of the cap plate 140, the terminal plate 16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14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35.

상기 터미널플레이트(160)의 일측에는 상기 음극판(125)에 결합된 음극탭(127)이 용접되며, 캡플레이트(140)의 타측에는 상기 양극판(123)에 결합된 양극탭(126)이 용접된다. 상기 음극탭(127)과 양극탭(126)을 결합시키는 용접방법으로는 저항용접, 레이저 용접 등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저항용접이 사용된다.The negative electrode tab 127 coupled to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5 is weld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plate 160,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6 coupl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23 is welded to the other side of the cap plate 140. . Resistance welding, laser welding, or the like is used as a welding method for coupling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7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126, and resistance welding is generally used.

상기 절연케이스(170)는 캡조립체(130)와 전극조립체(120) 사이의 절연을 담당하게 된다.The insulation case 170 is responsible for the insulation between the cap assembly 130 and the electrode assembly 120.

통상적으로 각형 리튬 이차전지는 권취된 전극조립체를 캔 내부에 삽입한 후 전극조립체 상부로 돌출된 양극탭과 음극탭을 각각 캡플레이트와 터미널플레이트에 용접하게 된다. 따라서, 미리 양극탭과 음극탭은 여유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극탭과 음극탭의 용접이 끝나면 캡플레이트를 캔 상단에 용접하게 된다. 이때, 양극탭과 음극탭은 여유 길이만큼 캔 내부에서 절곡된다. 이렇게 절곡된 양극탭과 음극탭은 조립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전지의 낙하 등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캔의 내벽에 닿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극탭이 캔의 내벽에 접촉하게 되면 반대극성끼리 쇼트를 일으켜 발열, 발화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초박형 리튬 이차전지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양극탭과 음극탭이 절곡된 채로 형성되면 절곡부위가 캔 내벽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만큼의 여유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양극탭과 음극탭이 절곡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초박형 전지를 제조하는데 장애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rectangula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serts a wound electrode assembly into a can, and then welds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to the cap plate and the terminal plate, respectively. Therefore,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re formed to have a length in advance, and when the welding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completed, the cap plate is welded to the top of the can. At this time,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re bent inside the can by the allowable length.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bent in this way have a problem in that a strong external shock such as inadvertent operator's carelessness or dropping of a battery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n during the assembly process.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posite polarities cause short and there is a risk of heat generation and fire. In addition, attempts have recently been made to develop ultra-th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are bent, the free space is required to prevent the bent portion from touching the inner wall of the ca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form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to be bent as an obstacle to manufacturing an ultra-thin batter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캡플레이트 또는/및 터미널플레이트의 하면에 용접돌기를 형성하고 양극탭과 음극탭을 캡조립체에 용접한 후 전극조립체를 캔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양극탭과 음극탭을 절곡할 필요가 없고 초박형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the weld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or / and the terminal plate,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welded to the cap assembly, the electrod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ca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produce an ultra-thin battery without having to be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는 제 1전극탭과 제 2전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 캡플레이트와 터미널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보는 하면에 제 1용접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tab and a second electrode tab, a can, a cap plate, and a terminal plate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cap assembly for sealing the top opening of the can, the cap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eld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상기 제 1용접돌기에는 상기 제 1전극탭이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전극탭은 상기 제 1용접돌기의 측면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용접돌기는 사각박스 또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tab may be welded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tab may be weld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In additio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or a semi-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보는 하면에 제 2용접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용접돌기에는 상기 제 2전극탭이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전극탭은 상기 제 2용접돌기의 측면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용접돌기는 사각박스 또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welding protrusion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welded to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weld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n additio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or a semi-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두께가 3 ~ 3.8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is 3 ~ 3.8mm.

또한, 상기 제 1용접돌기와 상기 제 2용접돌기는 0.6 ~ 0.8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a height of 0.6 ~ 0.8mm.

또한, 상기 제 1전극탭은 양극탭이며, 상기 제 2전극탭은 음극탭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tab may be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may be a negative electrode tab.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캡플레이트의 하면에 제 1용접돌기를 형성하고, 터미널플레이트의 하면에 제 2용접돌기를 형성하는 용접돌기 형성단계; 상기 제 1용접돌기에 전극조립체의 제 1전극탭을 용접하고, 상기 제 2용접돌기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제 2전극탭을 용접하는 전극탭 용접단계; 상기 전극조립체를 캔 내부에 삽입하는 전극조립체 삽입단계; 상기 캡플레이트를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에 용접하는 캔 밀봉단계; 및 상기 캔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 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orming a first welding protru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forming a welding protru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An electrode tab welding step of welding the first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nser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to the can into the electrode assembly; A can sealing step of welding the cap plate to an upper opening of the can;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into the ca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 1전극탭이 양극탭이고, 제 2전극탭이 음극탭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는 전지의 설계에 따라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tab is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s the negative electrode tab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urse, this may be reversed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battery.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캡플레이트와 제 1전극탭의 용접부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b는 터미널플레이트와 제 2전극탭의 용접부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portion of the cap plate and the first electrode tab, and FIG. 4B show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portion of the terminal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2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극판(223), 음극판(225) 및 세퍼레이터(224)로 구성되는 전극조립체(220)와, 상기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캔(210) 및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를 밀봉하는 캡조립체(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200)는 장변을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정면과 배면, 단변을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양 측면, 상기 캡플레이트(240)가 위치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2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and 3,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220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a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and a separator 224, and the electrode. It includes a can 210 for receiving th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a cap assembly 230 for sealing the top opening 210a of the can (210).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200 includes a long side and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formed to face each other, a short side, and both sides formed to face each other, a top surface on which the cap plate 240 is located and a bottom surface facing the top surface. And 210b.

상기 전극조립체(220)는 양극판(223)과 음극판(225)사이에 세퍼레이터(224)가 개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formed by winding a separator 224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상기 양극판(223)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2O4, LiNiO2, LiMnO2 등의 리튬산화물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양극판(223)의 양 말단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 영역, 즉 양극 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 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220)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양극 탭(제 1전극탭)(226)이 접합되어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thin metal plate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for example, aluminum (Al) foil, and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used a lithium oxide, such as LiCoO 2, LiMn 2 O 4, LiNiO 2, LiMnO 2. At both ends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egion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formed. An anode tab (first electrode tab) 226, which is generally formed of aluminum (Al)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bonded to one end of the anode non-coating portion.

상기 음극판(225)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음극판(225)의 양 말단은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 영역, 즉 음극 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 무지부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니켈(Ni)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220)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음극 탭(제 2전극탭)(127)이 접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전극 조립체(220)의 하부에는 캔(210)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판(212)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de of a conductive metal plate, for example, copper (Cu) or nickel (Ni) foi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Both ends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hav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region,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One end of the negative electrode non-coating portion is generally formed of nickel (Ni),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second electrode tab) 127 protru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bonded. In addition, an insulating plate 212 may be further included below the electrode assembly 220 to prevent contact with the can 210.

상기 세퍼레이터(224)는 상기 양극판(223)과 음극판(225)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조립체(2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224)는 상기 양극판(223)과 음극판(225)의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막 고분자물질로 형성된다.The separator 224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and exten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220. The separator 224 is formed of a porous membrane polymer material to prevent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and to allow lithium ions to pass therethrough.

상기 캔(2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한 쌍의 장측벽(212)과, 한 쌍의 단측 벽(213) 및 하면판(210b)을 포함하여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개구되어 상단개구부(210a)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캔(21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때 수평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이 도 2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캔은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때 수평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상, 스타디움(stadium)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단개구부(210a)로는 상기 전극조립체(22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220) 사이로 함침하여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전해액이 주입된다. 캔(210)의 재질은 주로 가벼운 알루미늄(Al)이 사용된다. 상기 캔(210)의 상부는 캡조립체(230)에 의해 밀봉되어, 전해액의 누출이 방지된다. 상기 캔(210)의 장측벽(212)과 단측벽(213)의 두께는 대략 0.2 내지 0.4mm로 형성되며, 상기 하면판(210b)의 두께는 대략 0.2 내지 0.7mm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장측벽(212)과 단측벽(213)의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캔(210)는 바람직하게는 딥드로잉(deep drawing)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장측벽(212)과 단측벽(213) 및 상기 하면판(210b)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캔(210)의 형성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can 2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including a pair of long side walls 21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pair of short side walls 213 and a bottom plate 210b,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to open the upper opening. (210a). In addition, when the can 2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the cross 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2. Although not shown, when the ca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oval shape and a stadium shape.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inserted into the upper opening 210a. In addition, an electrolyte solution is impregnat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220 to enable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The material of the can 210 is mainly light aluminum (Al). The upper portion of the can 210 is sealed by the cap assembly 230,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is prevented. The long side wall 212 and the short side wall 213 of the can 210 have a thickness of about 0.2 to 0.4 mm,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210b is about 0.2 to 0.7 mm.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long side wall 212 and the short side wall 213 is not limited thereto. The can 210 is preferably formed by a deep drawing method, and the long side wall 212, the short side wall 213, and the bottom plate 210b ar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can 21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캡조립체(230)는 캡플레이트(240)와 절연플레이트(250)와 터미널플레이트(260) 및 전극단자(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조립체(230)는 별도의 절연케이스(270)와 결합되어 캔(210)의 상단 개구부(210a)에 결합되어 캔(210)을 밀봉하게 된다. The cap assembly 230 includes a cap plate 240, an insulating plate 250, a terminal plate 260, and an electrode terminal 235. The cap assembly 230 is combined with a separate insulating case 270 to be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210a of the can 210 to seal the can 210.

상기 캡플레이트(240)는, 도 4a를 참조하면, 단자통공1(241)과 전해액주입 구(242) 및 제 1용접돌기(244)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용접되어 상기 캔(210)을 밀봉한다. Referring to FIG. 4A, the cap plate 240 includes a terminal through hole 1 241,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242, and a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and an upper opening portion of the can 210. Welded to 210a to seal the can 210.

상기 단자통공1(241)은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통공1(241)에는 개스킷 튜브(246)에 의해 절연된 전극단자(235)가 삽입된다. The terminal through hole 1 241 is form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of the cap plate 240, and the electrode terminal 235 insulated by the gasket tube 246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through hole 1 241.

상기 전해액주입구(242)는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일측에 형성되며, 볼(280)에 의해 밀봉된다. 이때, 상기 전해액주입구(242)는 도 2와 같이 평면 형상이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해액주입구는 평면형상이 타원형상, 사각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해액주입구의 평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액주입구(242)는 도 4a와 같이 수직 단면 형상이 Y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해액주입구는 수직 단면 형상이 11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해액주입구의 수직단면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p plate 240, it is sealed by the ball 280. In this case,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4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the electrolyte inlet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 quadrangular shape, or the like, and the electrolyte inle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42 may have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Y shape as shown in FIG. 4A. Although not show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may have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of 11 characters or the like, and the shape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 1용접돌기(244)는 상기 전극조립체(220)와 마주보는 면, 즉 캡플레이트(240)의 하면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용접돌기(244)는 캡플레이트(240)의 하면 중 전해액주입구(242)가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인 공간 분배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 1용접돌기(244)의 위치는 양극탭(226)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용접돌기(244)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용접돌기(244)는 도 2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용접돌기는 반원통 형 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용접돌기(244)는 하면과 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제 1용접돌기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양극탭(226)은 제 1용접돌기의 측면 중 평면 부분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여기서 상기 제 1용접돌기(244)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출 형상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제 1용접돌기(244)에는 양극탭(226)이 용접된다. 상기 양극탭(226)은 도 4a와 같이 제 1용접돌기(244)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극탭은 제 1용접돌기(244)의 하면에 용접될 수도 있다. 상기 양극탭(226)의 절곡을 피하고자 하는 취지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탭(226)이 제 1용접돌기(244)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용접돌기(244)는 도 4a와 같이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캡플레이트(240)의 상면에도 압착 자국이 남아있게 되어 홈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용접돌기는 캡플레이트(24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도록 하면만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캡플레이트(240)의 상면에 자국이 남지 않게 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제 1용접돌기(244)의 형성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용접돌기(244)는 대략 0.6~0.8mm의 돌출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용접돌기(244)의 돌출높이가 지나치게 작으면 양극탭(226)이 용접되기에 충분한 측면이 형성되지 않아, 용접강도가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용접돌기(244)의 돌출높이가 지나치게 크면 절연케이스(270)를 압박하게 될 뿐만 아니라, 프레스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제 1용접돌기(244)가 캡플레이트(240)의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돌출높이는 전지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220,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240. In more detail,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plate 240 in whic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42 is formed. However, the position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herefore,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formed to hav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Whe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is preferably welded to a flat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not limited here, and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protruding shape.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is welded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as shown in FIG. 4A. Although not shown, the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voiding bending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n additio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may be formed in a press method as shown in FIG. 4A. When formed by the press method, the pressing marks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late 240 to form a groov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only whe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is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cap plate 240. In this case, marks do not remain on the top surface of the cap plate 240.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of about 0.6 to 0.8 mm. If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too small, a side surface sufficient for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to be welded may not be formed, resulting in a weak welding strength. On the other hand, if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too large, not only the pressing of the insulating case 270, but also when formed by the press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to the weak portion of the cap plate 240 The problem is that it can work. However, this protrusion heigh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attery.

상기 절연플레이트(250)는 개스킷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캡플레이트(24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에는 상기 캡 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1(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235)가 삽입되는 단자통공2(2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가 안착되도록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크기에 상응하는 안착홈(252)이 형성된다. The insulating plate 25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gasket,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240. The insulating plate 250 is formed with a terminal through-hole 2 251 in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235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hrough-hole 1 241 of the cap plate 240. A mounting groove 252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plate 2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50 so that the terminal plate 260 is seated.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일반적으로 Ni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는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1(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235)가 삽입되는 단자통공3(2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단자(235)가 상기 개스킷 튜브(246)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1(241)을 통하여 결합되므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상기 캡플레이트(2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전극단자(2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는, 도 4b를 참조하면, 제 2용접돌기(26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용접돌기(263)는 상기 전극조립체(220)와 마주보는 면, 즉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하면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용접돌기(263)의 위치는 음극탭(227)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용접돌기(263)는 도 2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용접돌기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용접돌기(263) 역시 상기 제 1용접돌기(244)와 마찬가지로 하면과 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제 2용접돌기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음극탭(227)은 제 2용접돌기 의 측면 중 평면 부분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용접돌기(263)에는 음극탭(227)이 용접된다. 상기 음극탭(227)은 도 4b와 같이 제 2용접돌기(263)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극탭은 제 2용접돌기(263)의 하면에 용접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탭(227)의 절곡을 피하고자 하는 취지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극탭(227)이 제 2용접돌기(263)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용접돌기(263)는 도 4a와 같이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상면에도 압착 자국이 남아있게 되어 홈을 형성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용접돌기는 터미널플레이트(26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도록 하면만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상면에 자국이 남지 않게 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제 2용접돌기(263)의 형성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2용접돌기(263)는 대략 0.6~0.8mm의 돌출높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돌출높이는 전지의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The terminal plate 260 is generally formed of Ni alloy,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plate 250. The terminal plate 26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through hole 3261 into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235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hrough hole 1 241 of the cap plate 240, and the electrode terminal 235. Is insulated by the gasket tube 246 and coupl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1 241 of the cap plate 240, so that the terminal plate 260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cap plate 240, and the electrode terminal 235. Is electrically connected). Referring to FIG. 4B, a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is formed on the terminal plate 260.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220,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260. The position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is formed to have a low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similarly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Whe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is preferably welded to the plana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is welded to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as shown in FIG. 4B. Although not shown, the negative electrode tab may be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Preferably,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voiding bend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In additio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may be formed in a press method as shown in FIG. 4A. When formed by the press method, the pressing marks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260 to form a groove.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only whe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s thick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terminal plate 260. In this case, marks do not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260.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may be formed to have a protrusion height of approximately 0.6 to 0.8 mm. However, the protrusion heigh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battery as mentioned above.

상기 음극탭(227)과 양극탭(226)을 결합시키는 용접방법으로는 저항용접, 레이저 용접 등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저항용접이 사용된다. 상기 전극단자(235)는 상기 음극판(225)의 음극탭(227) 또는 상기 양극판(223)의 양극탭(226)에 연결되어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로 작용하게 된다. Resistance welding, laser welding, or the like is used as a welding method for bonding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a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and resistance welding is generally used. The electrode terminal 235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5 or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to act as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r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상기 절연케이스(270)는 양극탭용 홈(272), 음극탭용 홀(274) 및 전해액주입용 홀(276)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연케이스(270)는 캡조립체(230)와 전극조립체(220) 사이에 위치하여 캡조립체(230)와 전극조립체(220) 사이의 쇼트를 방지 하게 되며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절연케이스(27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insulating case 270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tab groove 272, a negative electrode tab hole 274,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276. The insulating case 270 is positioned between the cap assembly 230 and the electrode assembly 220 to prevent a short between the cap assembly 230 and the electrode assembly 220 and may be formed of a polypropylene (PP) material. have. However,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case 27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리튬 이차전지(200)는 대략 3 ~ 3.8mm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최근 휴대폰의 슬림화가 이루어지는 경향에 따라 휴대폰용 배터리의 두께도 초박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200)는 양극탭(226)과 음극탭(227)의 절곡없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절곡부위가 캔(210)의 내벽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공간이 필요없게 됨에 따라 초박형의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양극탭(226)과 음극탭(227)의 절곡부위가 없어짐에 따라 이러한 절곡부위가 캔(210)의 측면에 접촉할 염려가 적어 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20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3 ~ 3.8mm. Recently, as the trend of slimming of mobile phones has resulted in the demand for ultra-thin battery batteries. Sinc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200 may be formed without bending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an ultra-thin type is not required as a free space for preventing the bent portion from touching the inner wall of the can 210 is not required. It can be prepared in the thickness of. In addition, as the bent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is eliminated, such a bent portion is less likely to contact the side of the can 210 can be prevented shor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양극탭(226)과 음극탭(227)을 통칭하는 경우 전극탭(226, 227)이라 하고, 제 1용접돌기(244)와 제 2용접돌기(263)를 통칭하는 경우 용접돌기(244, 263)라 부르기로 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ositive electrode tab 226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227 are referred to as electrode tabs 226 and 227, and when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and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welding protrusions 244. 26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200) 제조방법은, 도 5를 참조하면, 용접돌기(244, 263) 형성단계(S10), 전극탭(226, 227) 형성단계(S20), 전극조립체(220) 삽입단계(S30), 캔(210) 밀봉단계(S40) 및 전해액 주입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welding protrusions 244 and 263 may be formed in step S10,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may be formed in step S20, and an electrode. The assembly 220 includes an insertion step S30, a can 210, a sealing step S40, and an electrolyte injection step S50.

상기 용접돌기(244, 263) 형성단계(S10)는 캡플레이트(240)의 하면에 제 1용접돌기(244)를 형성하고, 터미널플레이트(260)의 하면에 제 2용접돌기(263)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용접돌기(244, 263)는 프레스 방식 또는 일체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돌기(244, 263)는 대략 0.6~0.8mm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접돌기(244, 263)가 형성된 이후에는 캡플레이트(240), 절연플레이트(250), 터미널플레이트(260) 및 전극단자(235)를 결합하여 캡조립체(230)를 형성하게 된다.In the forming of the welding protrusions 244 and 263 (S10),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240, and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26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260. It's a step. The welding protrusions 244 and 263 may be formed in a press method or an integrated method. In addition, the welding protrusions 244 and 263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0.6 to 0.8 mm. After the welding protrusions 244 and 263 are formed, the cap plate 230, the insulating plate 250, the terminal plate 260, and the electrode terminal 235 are combined to form the cap assembly 230.

상기 전극탭(226, 227) 용접단계(S20)는 상기 제 1용접돌기(244)에 전극조립체(220)의 제 1전극탭(양극탭)(226)을 용접하고, 상기 제 2용접돌기(263)에 전극조립체(220)의 제 2전극탭(음극탭)(227)을 용접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극탭(226, 227)들은 상기 용접돌기(244, 263)들의 측면에 각각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전극탭(226, 227)들은 전극조립체(220)가 캔(21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접되며, 전극탭(226, 227)들의 용접 후에 전극조립체(220)를 캔(210)에 삽입했을 때, 캡플레이트(240)의 위치가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꼭 맞도록 적당한 길이로 절곡없이 형성된다.In the welding step (S20) of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a first electrode tab (anode tab) 226 of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welded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244, and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 The second electrode tab (cathode tab) 227 of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welded to the 263.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are attached to side surfaces of the welding protrusions 244 and 263 by laser welding or resistance welding,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are weld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not inserted into the can 210, and the electrode assembly 220 may be welded to the electrode assembly 220 after welding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When inserted into, the position of the cap plate 240 is formed without bending to a suitable length so as to fit snugly to the upper opening 210a of the can 210.

상기 전극조립체(220) 삽입단계(S30)는 상기 전극조립체(220)를 캔(210)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220)는 전극탭(226, 227)들이 이미 캡조립체(230)에 용접된 상태로 캔(210)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전극탭(226, 227)들이 적당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삽입시 전극탭(226, 227)들이 절곡될 필요가 없다.Inserting the electrode assembly 220 (S30) is a step of inserting the electrode assembly 220 into the can 210. In this case, the electrode assembly 220 is inserted into the can 210 with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already welded to the cap assembly 230. Therefore, since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have a proper length, the electrode tabs 226 and 227 do not need to be bent during insertion.

상기 캔(210) 밀봉단계(S40)는 상기 캡플레이트(240)를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용접하는 단계이다.The can 210 sealing step (S40) is a step of welding the cap plate 240 to the upper opening 210a of the can 210.

상기 전해액 주입단계(S50)는 캔(210)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해액 주입단계(S50)는 전해액주입구(242)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주입이 끝나면 상기 전해액주입구(242)는 볼(280)) 등에 의해 밀폐된다.The electrolyte injection step (S50) is a step of injecting the electrolyte solution into the can 210. The electrolyte injection step (S50) is made through the electrolyte inlet 242, the injection of the electrolyte after the injection 242 is sealed by a ball (280) and the lik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practic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양극탭과 음극탭을 절곡할 필요가 없으므로, 양극탭 또는 음극탭이 캔의 내벽에 닿아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bend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ab or the negative electrode tab can prevent the short from being generated by touching the inner wall of the ca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양극탭과 음극탭의 절곡부위가 없어짐에 따라 초박형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ent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disappears, there is an effect of manufacturing an ultra-thin lithium secondary battery.

Claims (12)

제 1전극탭과 제 2전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와,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tab and a second electrode tab;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캔 및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캡플레이트와 터미널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p plate and a terminal plate, comprising a cap assembly for sealing the top opening of the can,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보는 하면에 제 1용접돌기와 제 2용접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cap plate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eld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weld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electrode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용접돌기에는 상기 제 1전극탭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And the first electrode tab is welded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전극탭은 상기 제 1용접돌기의 측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And the first electrode tab is welded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용접돌기는 사각박스 또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first welding protrusion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ectangular box or semi-cylindrical shap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용접돌기에는 상기 제 2전극탭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s welded to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 2전극탭은 상기 제 2용접돌기의 측면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And the second electrode tab is weld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용접돌기는 사각박스 또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ectangular box or semi-cylindrical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두께가 3 ~ 3.8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is 3 ~ 3.8m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용접돌기와 상기 제 2용접돌기는 0.6 ~ 0.8mm의 돌출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first wel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protrusion height of 0.6 ~ 0.8m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전극탭은 양극탭이며, 상기 제 2전극탭은 음극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The first electrode tab is a positive electrode tab, the second electrode tab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negative electrode tab. 캡플레이트의 하면에 제 1용접돌기를 형성하고, 터미널플레이트의 하면에 제 2용접돌기를 형성하는 용접돌기 형성단계;Forming a first welding protru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late and forming a second welding protru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상기 제 1용접돌기에 전극조립체의 제 1전극탭을 용접하고, 상기 제 2용접돌기에 상기 전극조립체의 제 2전극탭을 용접하는 전극탭 용접단계;An electrode tab welding step of welding the first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first wel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second welding protrusion; 상기 전극조립체를 캔 내부에 삽입하는 전극조립체 삽입단계;Inserting the electrode assembly into the can into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캡플레이트를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에 용접하는 캔 밀봉단계; 및A can sealing step of welding the cap plate to an upper opening of the can; And 상기 캔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olyte injection step of injecting an electrolyte solution into the can.
KR1020060040494A 2006-05-04 2006-05-04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33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494A KR101233466B1 (en) 2006-05-04 2006-05-04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494A KR101233466B1 (en) 2006-05-04 2006-05-04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21A KR20070107921A (en) 2007-11-08
KR101233466B1 true KR101233466B1 (en) 2013-02-14

Family

ID=3906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494A KR101233466B1 (en) 2006-05-04 2006-05-04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4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542B1 (en) 2008-10-08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with terminal plate
US8263255B2 (en) 2009-10-01 2012-09-11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101720615B1 (en) * 2015-04-06 201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having coupling pin
EP3514856B1 (en) 2014-08-14 2022-03-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KR102299244B1 (en) * 2015-01-14 2021-09-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and pack of the same
KR102351248B1 (en) 2018-12-10 2022-0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as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20230011096A (en) * 2021-07-13 2023-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Method for inspection of welding state of batte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397A (en) 1997-03-17 1998-09-29 Sanyo Electric Co Ltd Manufacture of storage battery
JP2001160388A (en) 1999-12-02 2001-06-12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60011314A (en) * 2004-07-30 2006-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060011312A (en) * 2004-07-30 2006-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397A (en) 1997-03-17 1998-09-29 Sanyo Electric Co Ltd Manufacture of storage battery
JP2001160388A (en) 1999-12-02 2001-06-12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60011314A (en) * 2004-07-30 2006-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20060011312A (en) * 2004-07-30 2006-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21A (en)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7633B1 (en) Secondary battery
KR101233466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788560B1 (en) Can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33521B1 (en) Can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0601526B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0779002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80037867A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20070101568A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100731463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ic/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20070101566A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100778999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43556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778996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70101569A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101264422B1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0719734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719735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601522B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0778997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70108764A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70108762A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ic/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1084886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KR20080037197A (en)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1222228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43450B1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