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170B1 -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170B1
KR101233170B1 KR1020060047661A KR20060047661A KR101233170B1 KR 101233170 B1 KR101233170 B1 KR 101233170B1 KR 1020060047661 A KR1020060047661 A KR 1020060047661A KR 20060047661 A KR20060047661 A KR 20060047661A KR 101233170 B1 KR101233170 B1 KR 101233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quest signal
selection
broadcas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844A (ko
Inventor
곽재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17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decreasing the frame rate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 이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른 프레임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프레임, 프레임 요청 신호, 고해상도, 저해상도

Description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 이것의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Broadcasting Server Having Function for Processing Frame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전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에서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임의의 프레임에서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 이것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각종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수신 순서에 따라 표시하거나 출력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함에 따라,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준 해상도(standard definition)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왜냐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표준 해상도의 프레임을 표시하게 정해져 있고, 표준 해상도의 프레임을 표시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방송 서버는, 일반적으로 고해상도(high definition)로 제작된 방송 프로그램을 표준 해상도(standard definition)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방적으로 방송 서버에서 송신하는 프레임만을 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특정 부분만을 확대하여 보거나, 자신이 원하는 영상 부분으로만 구성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종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정 부분만을 표시하기를 원하는 경우라도 항상 전체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하므로, 송수신 데이터량이 불필요하게 많아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전력 소모도 많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는 방송 서버 및 이것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부분 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른 프레임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는, 임의의 프레임(frame)으로부터 소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와,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은,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관리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은, 임의의 프레임(frame)으로부터 소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 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는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frame)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110)와, 상기 소정 부분을 선택하는데 요구되는 선택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상기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140)와,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150)와, 상기 수신한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160)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른 프레임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송 서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관련된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받을 수 있는 복수의 키 또 는 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셔틀(jog shuttle), 조그 다이얼(jog dial)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부(11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선택 조건 중에서 임의의 선택 조건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선택 조건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선택 조건은, 객체별 선택, 위치별 선택, 분할 영역별 선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객체별 선택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인식될 수 있는 복수의 객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객체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객체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은, 상기 방송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복수의 객체 각각에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번호에 해당하는 객체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호는, 상기 번호가 설정된 객체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이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의미한다.
도 4a를 참조하여, 상기 객체별 선택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창(410)의 일부분에 '객체별 선택', '위치별 선택', '분할 영역별 선택'으로 구성되는 선택 조건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객체별 선택'이 입력되면, 표시창(420)의 일부분은, 상기 입력된 '객체별 선택'에 상응하여, 현재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인식되는 복수의 객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창(420)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 및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상기 복수의 객체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소정 부분을 나타내는 영역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표시된 복수의 객체 중에서 '제 1 객체'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선택된 '제 1 객체'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위치별 선택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지정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위치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복수의 위치 각각에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번호에 해당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호는, 상기 번호가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이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의미한다.
상기 분할 영역별 선택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분할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프레임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 상이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특정 분할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입력받은 번호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부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호는, 상기 번호가 설정된 분할 영역을 기준으로 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이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0)는,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일정 영역을 설정받음에 따라, 상기 설정받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일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원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영역을 드래그(drag)하여 설정한다.
도 4b를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창(440)은, 현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소정 영역을 설정받음에 따라, 표시창(450)은, 현재 수신하는 프레임에 상기 설정받은 영역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설정받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저장부(120)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입출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120)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조건을 저장한다. 상기 선택 조건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140)는, 방송 프로그램 요청 신호, 방송 채널 선택 신호 등의 방송 프로그램 송수신에 관련한 신호를 상기 방송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140)는, 방송 프로그램 송신 모듈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부(140)는, 상기 입력부(110)에 의해 발생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방송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140)는, 상기 저장부(120)에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방송 서버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부(140)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이하 'VOD')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요청 신호를 상기 방송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상응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50)는, 방송 프로그램 수신 모듈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수신부(150)는,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상기 수신부(150)는, 복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임의의 방송 채널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수신부(150)는, 상기 송신부(140)에 의해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선택 조건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수신부(150)는, 데이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선택 조건을 수신한다.
상기 표시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소정의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프레임 단위로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수신부(150)에 의해 수신되는 프레임 중에서, 상기 송신부(140)에 의해 송신된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일부분에 현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을 표시하고, 다른 일부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표시된 선택 조건 중에서 선택된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에 소정 영역을 표시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화면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객체별 선택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 변화를 도시한다.
제 1 화면(410)은, 일부분에 현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을 표시하고, 다른 일부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선택 조건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조건은, 객체별 선택, 위치별 선택, 분할 영역별 선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객체별 선택'을 입력받음에 따라, 제 2 화면(420)은, 일부분에 현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식되는 복수의 객체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영역을 상기 프레임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2 화면(420)은, 다른 일부분에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식되는 복수의 객체로 구성되는 객체 리스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인식되는 객체가 '제 1 객체'부터 '제 6 객 체'인 경우에, 상기 제 2 화면(420)은, 일부분에 상기 '제 1 객체'부터 '제 6 객체'를 기준으로 하는 영역이 표시된 프레임을, 다른 일부분에 상기 '제 1 객체'부터 '제 6 객체'로 이루어진 객체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는, 상기 제 2 화면(420)은, 각각의 객체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각각의 방송 채널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 1 객체'를 입력받음에 따라, 제 3 화면(430)은, 상기 입력받은 '제 1 객체'를 기준으로 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표시한다.
도 4b는, 설정받은 영역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 상의 화면 변화를 도시한다.
제 1 화면(440)은, 현재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칠판에 해당하는 영역을 설정받음에 따라, 제 2 화면(450)은,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상기 설정받은 영역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 3 화면(460)은, 상기 설정받은 영역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표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10)는, 선택 조건을 입력받는다(S210).
표시부(160)에 복수의 선택 조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선택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조건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각 선택 조건에 설정된 숫자를 입력 받음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선택 조건은, 객체별 선택, 위치별 선택, 분할 영역별 선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별 선택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인식될 수 있는 복수의 객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객체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축구 경기 프로그램이고, 상기 선택 조건이 객체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축구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 중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다.
상기 위치별 선택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서 지정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이 축구 경기 프로그램이고, 상기 선택 조건이 위치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축구 경기장에서 지정될 수 있는 위치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 중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다.
상기 분할 영역별 선택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분할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상기 입력부(110)는, 소정의 영역을 설정받는다(S220).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10)에 구비된 소정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원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상 기 사용자에 의해 소정 영역이 드래그(drag) 됨에 따라, 상기 드래그된 영역을 설정받는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입력받은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 영역을 표시한다(S230).
예를 들어, 상기 객체별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객체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영역을 표시한다.
또는, 상기 위치별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지정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복수의 영역을 표시한다.
또는, 상기 분할 영역별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 대한 복수의 분할 영역을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소정 부분에 대한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S240).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표시되는 복수의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선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선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설정받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S240).
상기 입력부(110)는, 소정 영역을 설정받음과 동시에 상기 설정받은 영역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또는,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설정받은 영역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
송신부(140)는, 상기 선택 신호에 따른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한다(S250).
상기 송신부(140)는, 무선 랜, 위-피(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wless broadcasting), 인터넷(internet),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통하여,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부(150)는,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260).
상기 수신부(150)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방송 채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수신부(150)는,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에 설정된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수신하는 프레임을 표시한다(S260).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10)는,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실행 신호를 입력받는다(S310).
상기 기능은, 현재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이하 '부분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2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 조건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송신부(140)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방송 서버로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S330).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선택 조건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선택 조건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킨다.
수신부(15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을 수신한다(S340).
상기 수신부(150)는, 데이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선택 조건을 수신한다.
저장부(120)는, 상기 수신한 선택 조건을 저장한다(S350).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 서버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510)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프레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520)와, 생성된 프레임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530) 및 상기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프레임을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하에서,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은 고화질(high definition)로 제작되므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가로 대 세로의 비가 16:9이고, 해상도는 1920×1080인 고해상도 프레임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되기 전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기에 적합하도록 표준 화질(standard definition) 프레임으로 변환된다. 상기 표준 화질의 프레임은, 가로 대 세로의 비가 4:3이고, 해상도는 720×480이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고화질로 제작된 프레임에서 표준 화질의 프레임으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고화질 프레임에서 소정의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표준 화질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고화질로 제작된 프레임에서 소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저화질(low definition) 즉, 고화질에 비하여 낮은 화질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변환된 프레임의 화질이 반드시 표준 화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화질에 비하여 낮은 화질이면 가능하다.
이것은, 원 프레임의 해상도가 고화질이고 부분 프레임의 해상도가 고화질 보다 화질이 낮은 표준 화질이므로 가능하다. 또한, 고화질의 프레임은 고해상도를 갖고, 저화질의 프레임은 저해상도를 갖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조건이 객체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인식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객체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여,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임의의 프레임에서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고화질로 제작된 프레임(710)에서 인식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추적하여, 상기 추적된 객체들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영역이 표시된 프레임(720)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추적된 객체들 각각으로 구성되는 표준 화질의 프레임(730)을 생성한다.
또는, 상기 선택 조건이 위치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프레임 생성부(5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지정될 수 있는 모든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 조건이 분할 영역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프레임 생성부(5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모든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소정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도 7b를 참조하여, 임의의 프레임에서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고화질로 제작된 프레임(740)에서 소정 부분이 표시된 프레임(720)으로 변환한다. 상기 요청 신호는, 임의의 프레임에서 선택된 소정 부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 부분이 표시된 프레임(720)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선택된 소정 부분을 크로핑(cropping)하여, 상기 크로핑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표준 화질의 프레임(760)을 생성한다.
상기 수신부(520)는, 외부로부터 각종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수신부(520)는,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소정 부분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프레임에서 선택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송신부(530)는, 외부로 각종 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송신부(53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부(530)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복수의 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생성된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방송 채널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송신부(530)는, 임의의 프레임을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설정된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여야 한다.
상기 제어부(540)는, 상기 방송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540)는,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 생성부(510)는,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S610).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고화질로 제작된 프레임에서 표준 화질의 프레임으로 변환하기 전에, 상기 고화질로 제작된 프레임에서 소정의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표준 화질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 부분으 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 조건이 객체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인식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추적하고 상기 추적된 객체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 조건이 위치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프레임 생성부(5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지정될 수 있는 모든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택 조건이 분할 영역별 선택인 경우에, 상기 프레임 생성부(5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모든 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된 영역 각각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S610).
상기 수신부(520)는,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S620).
상기 송신부(530)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 생성부(510)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S630).
예를 들어, 상기 송신부(530)는, 복수의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복수의 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생성된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방송 채널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송신부(530)는, 임의의 프레임을 송신함 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프레임에 설정된 방송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표시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만 구성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프레임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으로만 구성되는 프레임을 송수신하므로, 송수신 되는 데이터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9)

  1.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서 특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복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프레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른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부분을 선택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저장된 선택 조건 중에서 특정 선택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선택 조건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조건은,
    객체별 선택, 위치별 선택, 분할 영역별 선택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화면의 일부분에 현재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을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다른 일부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입력받은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상기 일부분에 표시되는 프레임에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방송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 조건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데이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선택 조건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특정 부분을 설정받음에 따라, 상기 설정받은 특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방송 채널 중에서 특정 방송 채널을 선택받음에 따라, 상기 선택받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특정 프레임(frame)으로부터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상기 특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복수의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특정 객체, 특정 위치, 분할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택된 소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특정 부분을 크로핑(cropping)하여, 상기 크로핑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고해상도(high solution) 프레임으로부터 특정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저해상도(low solution)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방송 서버.
  16. 삭제
  17.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서 특정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외부의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복수의 방송 채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특정 선택 조건을 입력받음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선택 조건에 상응하여,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선택 조건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 조건에 대한 요청 신호를 상기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 조건을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데이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선택 조건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현재 표시되는 프레임에서 특정 부분을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생 단계는, 상기 설정받은 부분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 처리 방법.
  23. 삭제
  24. 특정 프레임(frame)으로부터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복수의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특정 객체, 특정 위치, 분할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특정 부분을 크로핑(cropping)하여, 상기 크로핑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고해상도(high solution) 프레임으로부터 특정 부분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부분으로 구성되는 저해상도(low solution)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버의 프레임 처리 방법.
  29. 삭제
KR1020060047661A 2006-05-26 2006-05-26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KR10123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661A KR101233170B1 (ko) 2006-05-26 2006-05-26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661A KR101233170B1 (ko) 2006-05-26 2006-05-26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844A KR20070113844A (ko) 2007-11-29
KR101233170B1 true KR101233170B1 (ko) 2013-02-15

Family

ID=3909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661A KR101233170B1 (ko) 2006-05-26 2006-05-26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42A (ko) * 2002-10-15 2003-03-1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과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20050041597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브이오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93420A (ko) * 2004-03-19 2005-09-23 (주)미디어에스아이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1390A (ko) * 2004-09-16 2006-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맞춤형데이터 방송 서비스 사용 방법 및 사용자 단말과 이를 위한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842A (ko) * 2002-10-15 2003-03-1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사용자 선호도 기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과방법 및 그 기록 매체
KR20050041597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브이오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93420A (ko) * 2004-03-19 2005-09-23 (주)미디어에스아이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1390A (ko) * 2004-09-16 2006-05-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맞춤형데이터 방송 서비스 사용 방법 및 사용자 단말과 이를 위한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844A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99680B (zh) 一种显示设备及其设置方法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700616B1 (ko) 화면 동기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414165B2 (ja) 画質調整装置、画質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90059A (zh) 一种投屏方法及移动终端
US8571380B2 (en) Object image display apparatus, object image display method and object image display program
CN112616078A (zh) 投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07379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EP4109914A1 (en)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093607B2 (ja) 遠隔装置、遠隔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装置
KR20080027088A (ko) 채널 이동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WO2020248829A1 (zh) 音视频处理方法及显示设备
JP2010102053A (ja) 映像生成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1422003B1 (ko)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233170B1 (ko) 프레임 처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송 서버 및이것의 방법
KR100841315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관리 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US20220114695A1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scaling method
JP2023095936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1445427B (zh) 视频图像处理方法以及显示设备
CN113573127B (zh) 一种调整频道控件排序的方法和显示设备
JP5117620B2 (ja) 液晶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052303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7003194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휘도 제어 방법
EP422124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230362543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system hav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