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153B1 - Insole of shoes - Google Patents

Insole of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153B1
KR101233153B1 KR1020100027905A KR20100027905A KR101233153B1 KR 101233153 B1 KR101233153 B1 KR 101233153B1 KR 1020100027905 A KR1020100027905 A KR 1020100027905A KR 20100027905 A KR20100027905 A KR 20100027905A KR 101233153 B1 KR101233153 B1 KR 10123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rch
shoe insole
absorbent laye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8617A (en
Inventor
서정익
Original Assignee
서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익 filed Critical 서정익
Priority to KR102010002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153B1/en
Publication of KR20110108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6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깔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 중 발바닥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부터 뒷굼치까지에 이르는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흡수층 및; 상기 바디의 상면 중 발바닥과 발가락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아치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흡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흡수층에 의해 발바닥에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전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신발착용자의 발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되고, 발에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유발되는 척추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 A first absorbent layer formed to protrude with elastic force and to absorb a shock from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at extends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to the back swel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om the boundary portion of the sole and the toe to the boundary portion of the arch is formed to include a second absorption layer is formed to protrude with elastic force to absorb th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portion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sole by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to prevent the burden on the wearer's foot, and to convey the foo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a spinal disease caused by the impact.

Description

신발 깔창{Insole of shoes}Insole of shoes

본 발명은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어 보행시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을 분산 시키는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insole that is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 to distribute the impact and load applied to the foot of the wearer when walking.

현대인은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 시간 외 대부분의 시간을 야외활동 등으로 보내며, 최근 주 5일 근무제의 확대 등으로 인하여 노동일수가 줄어드는 사회적 추세에 부합하여 휴일에는 더욱 왕성한 친목회, 레저활동, 취미활동 등으로 인해 야외활동 시간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양한 야외활동의 대부분은 구두를 비롯한 등산화, 골프화 등 각종 야외활동의 목적에 맞는 신발을 착용하여 이루어진다.Modern people spend most of their time outside, such as relaxing at home, and spending time outdoors, and in line with the social trend of decreasing working days due to the recent expansion of the five-day workweek, more social gatherings, leisure activities, and hobby activities are carried out on holidays. Due to this, outdoor time is gradually increasing. Most of these various outdoor activities are made by wearing shoe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various outdoor activities such as shoes, hiking boots, golf shoes.

신발은 그 종류를 망라하여 내부에 신발깔창이 장착된다. 신발깔창은 신발과 별개물로 제작되어 신발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된다. 신발깔창은 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져 신발 착용감을 증진시키거나, 어느 정도의 충격흡수의 기능을 하고 있다.Shoes cover all kinds of shoe insoles. The shoe insole is made separately from the shoe and mount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hoe. Shoe insole is made of elastic deformation material such as urethane and polyester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of the shoes or to some extent to absorb shock.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신발깔창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발은 발바닥 안쪽의 아치가 형성되어 발의 하중은 중족골(103)부분과 뒷굼치 부분에 하중 및 피로가 집중된다. 또한 이러한 발에 전해지는 하중은 다리를 통하여 척추까지 전해지는데 척추질환 환자의 경우에는 보행시 하중을 줄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 arch of the foot is formed inside the sole of the foot load is concentrated in the load and fatigue in the metatarsal bone 103 and the rear gyrus. In addition, the load transmitted to these feet is transmitted to the spine through the legs,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load during walking in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종래기술에 의한 신발깔창은 탄성재질로 만들어져 어느 정도의 충격은 흡수할 수 있으나, 운동이나 지속적인 작업에 의해 발에 전해지는 하중 및 충격은 적절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고, 단순히 평평하도록 제작되는 종래의 신발깔창의 경우 하중의 집중에 대한 별다른 보호장치가 없어 족저근막염, 발뒤꿈치 통증, 티눈 및 지간 신경종 등의 발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 certain amount of shock, but the load and impact transmitted to the foot by exercise or continuous work is not properly absorbed, and the conventional insole is simply made flat In the case of there is no other protection device for the concentration of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foot disease, such as plantar fasciitis, heel pain, corn and interstitial neuroma.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신발깔창은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그 위에 천재질의 커버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통풍이 잘되지 못하여 장시간 신발을 착용할 경우 신발에서 악취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cover of the genius material thereon. This structure is not well ventil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dor in the shoes when wearing shoes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깔창에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켜 주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shoe insole having an absorbent layer for absorbing and mitigat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oot in the shoe insole.

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이 좋은 재질로 흡수층을 형성하여 신발의 악취를 줄여주는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insole that reduces the odor of shoes by forming an absorbent layer of a breathable material.

또, 본 발명은 발바닥을 지압하여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는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insole provided with acupressure projections that can help blood pressure by acupressure the sole of the foot.

또한, 본 발명은 발바닥의 아치부분을 지지해주는 아치지지부가 구비되는 신발깔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hoe insole provided with an arch support for supporting the arch portion of the so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 중 발바닥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부터 뒷굼치까지에 이르는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흡수층 및; 상기 바디의 상면 중 발바닥과 발가락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아치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흡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moun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 A first absorbent layer formed to protrude with elastic force and to absorb a shock from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at extends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to the back swel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om the boundary portion of the sole and the toe to the boundary portion of the arch is formed to include a second absorption layer is formed to protrude with elastic force to absorb the impact.

삭제delete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은 다공성의 메모리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bsorbing layers may be formed of a porous memory foam.

상기 제 1 흡수층에는 발바닥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아치지지부가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bsorbing layer may be formed so that the arch support is further protrud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관통되게 블록홀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홀에는 다수개의 지지블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홀을 통해 상기 지지블록이 상기 흡수플레이트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아치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Block holes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may be inserted into the block holes so that the support blocks elastically deform the absorbing plate through the block holes to form the arch support.

상기 지지블록은 사용자의 아치의 위치에 맞추어 그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can be used to cut the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user's arch.

상기 제 1 흡수층에는 상기 제 1 흡수층을 구획하는 요홈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cess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absorbing layer to partition the first absorbing layer.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에는 다수개의 지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공의 내부에는 지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cupressure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and acupressure protrusions may protrude in the acupressure holes.

상기 지압돌기 중 상기 바디의 선단부에서부터 1/3 지점에는 다른 지압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용천혈지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One point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protrude a relatively large yongcheon hemostatic protrusions than other acupressure protrusions.

상기 바디에는 그 주위를 둘려 상기 신발의 내부 벽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발을 상기 신발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provided arou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hoe to surround the inner wall of the shoe to elastically fix the wearer's foot to the inside of the shoe.

상기 바디의 하면에는 설치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일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부에 의해 내부에 탄성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 뒷굼치에 전해지는 충격을 상기 곡면부가 탄성변형되어 흡수하는 탄성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an elastic space is formed therein by at least one curved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curved surfac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upport for absorbing the elastic deformation.

상기 곡면부에는 그 일부가 절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탄성변형을 더 용이하게 하는 절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portion formed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cut out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상기 절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은 상기 곡면부의 탄성변형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될 수 있다.
Opposite ends of the cutouts may be ben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dur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흡수층에 의해 보행시 발바닥이 집중적으로 지지되는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줄여 줄 수 있다. 장시간 업무 및 격렬한 운동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발질환(족저근막염, 발뒤꿈치 통증, 티눈 및 지간 신경종) 및 충격에 의한 척추질환의 위험성을 줄여주어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and the impact applied to the portion where the sole is intensively supported when walking by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can be reduced. It can reduce the risk of foot disease (plantar fasciitis, heel pain, corneal and interstitial neuroma) and spinal disease caused by impacts, which can be caused by long work and intense exercise, thereby ensuring safe walking of pedestrians.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발바닥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맛사지를 위한 아치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에 지압돌기가 구비되고, 특히 용천혈을 지압할 수 있는 용천혈지압돌기에 의해 발질환의 치료를 위한 맛사지효과 및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지압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is provided with an arch support for massage, provided with acupressure protrusions on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and especially by a hemopoietic acupressure protrusion capable of acupressure bleeding blo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multaneously enjoy the massage effect and acupressure effect that can facilitate blood circulation for the treatment of foot disea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흡수층이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데 메모리폼은 다공성 재질로써 신발내부의 통풍효과를 줄 수 있어 신발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absorbent layer is formed of a memory foam, the memory foam is a porous material can give a ventilation effect inside the sho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mell of shoes.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발이 신발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신발의 착용감을 높여주고, 신발 내부에서 발바닥이 유동되어 일어날 수 있는 상처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that can be elastically fixed in the shoe to increase the wearing comfort of the sho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injury that can occur by the sole of the foot flow inside the shoe.

도 1은 인간의 발의 골격구조를 보인 해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n anatomical view showing the skeletal structure of the human foo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발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foot will be explained for better understanding.

도 1에는 인간의 발의 골격구조가 해부도로 도시되어 있다. 인간의 발(100)은 종골체부(101), 입방골(102), 중족골(103), 근위지골(104), 중지골(105), 지절골(10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Figure 1 shows the anatomy of the skeleton of the human foot. Human foot 100 is composed of calcaneus 101, cuboid 102, metatarsal bone 103, proximal phalanx 104, middle bone 105, phalanges 106 and the like.

상기 종골체부(101)는 발뒷굼치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상기 입방골(102) 및 중족골(103)은 발바닥 및 발등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근위지골(104), 중지골(105) 및 지절골(106)은 발가락을 형성하는 부분이다.The calcaneal portion 101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foot, the cubic bone 102 and the metatarsal bone 103 is a portion forming the sole and the instep. The proximal phalanx 104, the middle bone 105 and the phalanges 106 are the portions forming the toes.

상기 입방골(102) 및 종골체부(101) 부분에는 아치(Arch)(107)가 형성된다. 상기 아치(107)는 족궁이라고도 하며, 발바닥에서 움푹 패인 부분을 말하고, 상기 아치(107)가 없는 사람을 평발이라고 한다.Arches 107 are formed in the cubic bone 102 and the calcaneal body 101. The arch 107 is also referred to as a foot arch, refers to a recessed portion of the sole, and the person without the arch 107 is called a flat foot.

인간은 보행시 발 전체가 닿지 않고, 상기 종골체부(101)(발뒷굼치) 및 중지골(105)(발바닥 중 발가락에 가까운 부분)이 가장 많이 닿는 부분으로, 이 두 부분에 가장 많은 하중이 가해진다.Humans do not touch the whole foot when walking, the calf body portion 101 (foot hindgum) and the middle bone 105 (the part close to the toe of the sole) is the part where the most loads, the most loads are applied to these two parts All.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발깔창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1st 실시예Example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11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110)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insole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insole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신발깔창(110)은 신발의 내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신발착용자의 착용감증진 및 발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Shoe insole 110 is to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shoe is to be used for improving the wearer's wearing comfort and foot protection.

신발깔창(110)의 골격은 바디(1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디(111)는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그 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111)의 형상은 장착되는 신발의 크기, 모양에 알맞도록 제작될 수 있다.Skeleton of the shoe insole 110 is formed by the body (111). The body 11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is formed to facilitate its deformation. The shape of the body 111 may be manufactured to suit the size, shape of the shoe to be mounted.

상기 바디(111)의 상면에는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은 상기 바디(111)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으로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First and second absorbing layers 113 and 11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1.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113 and 115 protrude mor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1 to absorb shocks applied to the foot when walking.

상기 제 1 흡수층(113)은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발의 아치부분에서부터 발 뒤꿈치에 이르는 부분에 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수층(113)은 상기 바디(111)보다 상대적으로 그 탄성력이 큰, 즉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wearer wears shoes, the first absorbent layer 113 is formed from a portion of the arch to the heel of the foot. The first absorbing layer 11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r elastic force than that of the body 111, that is, relatively elastic deformation.

또한, 상기 제 1 흡수층(113)은 압력을 제거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람마다 발바닥 형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발에 적합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일반 탄성재질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형상이 탄성력을 잃고 영구변형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한 메모리폼은 다공성 재질이므로 통풍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신발에서의 악취를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bsorbing layer 113 may be formed of a memory foam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sol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for each foot. In the case of general elastic materials, the shape loses elastic force and is permanently deformed as time passes. to be. In addition, since the memory foam is a porous material, it is possible to obtain a ventilation effect to prevent the odor in the shoes to some extent.

상기 제 2 흡수층(115)은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발바닥과 발가락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아치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수층(113)과 같이 상기 제 2 흡수층(115)도 상기 바디(111)보다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메모리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wearer wears shoes, the second absorbing layer 115 is formed from a portion forming the boundary of the sole and the toe to a portion forming the boundary of the arch. Like the first absorbing layer 113, the second absorbing layer 11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easy to elastically deform than the body 111, and may be formed of a memory foam material.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에 의해 보행자의 보행시 가장 하중이 많이 실리는 발뒷굼치와 발바닥 부분에 무리가 가는 것을 어느 정도 보완해주어, 장시간 보행이나 업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지간신경종(족지에 분포하는 내·외 족저신경(足底神經)의 분지인 지간신경(指間神經) 주위 조직에 섬유화가 나타나서 전족부(轉足部)의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 티눈 등의 발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보행시 충격에 의한 요추 디스크, 협착, 분리 전위 등의 허리질환을 예방하거나 허리질환 환자들의 보행에 도움을 주어 그 회복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충격을 줄이고 적당한 자극을 주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성장기 발육에 도움이되고, 유아기 관절손상도 예방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113 and 115 compensate for some of the excessive burden on the hind paws and soles of the foot, which are most loaded when the pedestrian is walking. Fibrosis appears in the tissues around the interstem nerve, which is a branch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lantar nerves, which causes pain in the forefoo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back diseases such as lumbar disc, stenosis, separation dislocation due to the impact during walking, or to help the walking of the lower back patients to increase the recovery speed. In addition, the growth of the child can be seen to reduce the impact and give a moderate stimulation effect to help the growth period, it can also prevent joint damage in childhood.

또한, 평발(flat feet)을 가진 사람의 경우, 발바닥 전체가 신발바닥면에 접하면서 보행을 하기 때문에 그 하중 및 충격에 의해 발바닥 인대에 염증이 생기거나 발뒤꿈치 통증, 힘줄 염증, 발가락 혹과 같은 질환에 쉽게 노출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신발깔창(110)의 경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이 그 하중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이와 같은 발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lat feet, the entire sole of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so that the load and impact cause inflammation of the plantar ligament, heel pain, tendon inflammation, toe hump, etc. Easily exposed to the disease, the shoe insol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bsorb the load of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113 and 115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uch a diseas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11)는 크게 하부플레이트(111a), 흡수플레이트(111b) 및 상부플레이트(111c)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body 111 is largely composed of a lower plate 111a, an absorption plate 111b, and an upper plate 111c.

상기 하부플레이트(111a)는 신발의 바닥면에 접하여 장착되는 부분으로 장착되는 신발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lower plate 111a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to be mounted as a part moun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상기 하부플레이트(111a)의 상면에는 흡수플레이트(111b)가 결합된다. 상기 흡수플레이트(111b)는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이 그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absorption plate 111b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1a. The absorption plate 111b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absorption layers 113 and 115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bsorption layers 113 and 115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상부플레이트(111c)는 상기 흡수플레이트(111b)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1c)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흡수플레이트(111b)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게 제 1 및 제 2 관통공(117,119)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공(117,119)은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이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The upper plate 111c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absorption plate 111b. The upper plate 111c is a portion where the sole of the wear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p plate 111c.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7 and 119 are formed in the absorption plate 111b so as to penetrat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bsorption layers 113 and 115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bsorption layers 113 and 115.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17 and 119 are formed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absorbing layers 113 and 115 to protrude therethrough.

이와 같이 상기 바디(111)를 세개의 별개물로 제작하는 것은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113,115)이 상기 바디(11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1c), 흡수플레이트(111b) 및 하부플레이트(111a)는 접착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anufacturing of the body 111 as three separate objects as described above is to facilitate coupling since the first and second absorbing layers 113 and 115 ar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body 111. The upper plate 111c, the absorption plate 111b and the lower plate 111a may be combined with an adhesive.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도 4a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210)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hoe insole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신발깔창(210)은 바디(211)와 그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 1 흡수층(213) 및 제 2 흡수층(215)으로 구성된다.The shoe insole 210 is composed of a body 211 and a first absorbent layer 213 and a second absorbent layer 215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제 2 흡수층(215)의 상면에는 아치지지부(217)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아치지지부는 상기 제 2 흡수층(215)에서 발의 아치가 접하는 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아치지지부(217)는 상기 아치와 접하여 보행시 상기 아치부분까지 지지하도록 하여 발전체로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n arch support portion 217 is formed to further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absorbing layer 215. The arch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a portion where the arch of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absorbent layer 215. The arch support portion 217 is in contact with the arch to support the arch portion when walking to serve to distribute the load to the power generating body.

또한, 상기 아치지지부(217)는 아치부분을 자극하여 족저근막염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염이란, 발가락에서 발뒤꿈치 까지 연결된, 두꺼운 섬유조직으로 된 띠 모양의 발바닥 인대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 부분의 맛사지를 하는 것으로 그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데 상기 아치지지부가 족저근막 부분을 압박하여 보행시 맛사지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rch support 217 serves to treat plantar fasciitis by stimulating the arch portion. Plantar fasciitis is an inflammation of the band-like plantar ligament of thick fibrous tissue that connects from the toes to the heel. Planar fasciitis is a massage of the plantar fascia portion can be seen that the treatment effect, the arch support is to press the plantar fascia portion can see the effect of the massage when walking.

제 2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210)의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디(211)를 3개의 별개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in the case of the shoe insole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ody 211 as three separate obj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 4b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일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를 참조하면 바디(211)는 크게 하부플레이트(211a), 흡수플레이트(211b) 및 상부플레이트(211c)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B, the body 211 is largely composed of a lower plate 211a, an absorption plate 211b, and an upper plate 211c.

상기 흡수플레이트(211b)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흡수층(213, 2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11c)에는 제 1 및 제 2 관통공(219a, 219b)가 각각 형성된다.First and second absorption layers 213 and 215 are formed in the absorption plate 211b,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19a and 219b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211c, respectively.

상기 하부플레이트(211a)에는 상기 제 1 흡수층(213)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블록홀(L)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블록홀(L)은 후술할 지지블록(230)이 통과하는 부분이다.The lower plate 211a is formed such that a block hole L penetrat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absorbing layer 213. The block hole L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support block 230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상기 하부플레이트(211a)에는 다수개의 지지블록(23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블록(230)은 그 선단이 상기 블록홀(L)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수플레이트(211b)를 지지하여 아치지지부(217)를 형성한다. 즉, 다수개의 지지블록(230)의 돌출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아치지지부(217)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사람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용자마다 모두 다르고, 그 아치가 형성된 정도 즉, 아치와 지면사이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30 are coupled to the lower plate 211a. The support block 230 is installed so that the tip thereof passes through the block hole L, and supports the absorbing plate 211b to form the arch support 217. That is, the arch support 217 is form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locks 230. This is becaus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human arch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the degree of the arch is formed,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rch and the ground is different, so that it can be adjusted and used appropriately for each user.

상기 지지블록(230)의 돌출되는 정도는 사용자에 알맞도록 그 일부를 절단하여 사용한다. 도 4b에서 상기 지지블록(230) 중 점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절단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아치지지부(217)를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아치지지부(217)에 의한 효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The protruding degree of the support block 230 is used by cutting a portion to suit the user. In FIG. 4B, the portion represented by the dotted line in the support block 230 means a cut portion. Thus, the arch support 217 can be formed to be suitable for the user, so that the effect of the arch support 217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상기 아치지지부(217)의 가장 돌출된 위치는 상기 지지블록(230)에서 가장 길이가 긴 지지블록(230)의 위치를 바꿈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돌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블록(230)의 하단에 별개의 보형물을 지지하는 것으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most protruding position of the arch support 217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ongest support block 230 in the support block 230. 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be easily to support a separate implant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lock 230.

사용자가 격렬한 운동 등에 의해 상기 아치지지부(217)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간단히 상기 지지블록(230)을 제거함에 의해 상기 아치지지부(217)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arch support 217 due to violent movement, the arch support 217 may be removed by simply removing the support block 230.

제 3 Third 실시예Example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310)에 의하면, 바디(311)와 상기 바디(3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흡수층(313,315)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shoe insole 3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body 311 and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313 and 31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1.

상기 제 1 흡수층(313)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세로요홈(317)이 형성된다. 상기 세로요홈(317)은 상기 제 1 흡수층(313)의 탄성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세로요홈(317)에 의해 상기 제 1 흡수층(313)은 그 길이방향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로요홈(317)에 의해 발바닥과 상기 제 1 흡수층(313)과의 접촉면적이 적어지게되고, 그만큼 발바닥에서의 땀이 적게 배출되는 동시에 상기 세로요홈(317)의 공간사이로의 통풍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신발냄새를 줄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first absorbing layer 313, longitudinal grooves 317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vertical recess 317 serves to further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absorbing layer 313. That is, the first absorbing layer 313 is easily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vertical grooves 317. In addi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ole and the first absorbent layer 313 is reduced by the longitudinal groove 317, and the sweat is less discharged from the sole, and the ventilation effect between the spaces of the vertical groove 317 is reduced. It will be able to reduce the smell of shoes.

도면에서는 제 1 흡수층(313)에만 상기 세로요홈(317)이 형성되었으나, 제 2 흡수층(315)에도 세로요홈(317)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 the vertical grooves 317 are formed only in the first absorption layer 313, but the vertical grooves 317 may also be formed in the second absorption layer 315.

제 3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110)의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디(311)를 3개의 별개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n the case of the shoe insole 1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ody 311 as three separate obj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 4 Fourth 실시예Example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410)에 의하면, 바디(411)와 상기 바디(4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흡수층(413,415)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shoe insole 4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body 411 and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413 and 41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411.

상기 제 1 흡수층(413)에는 격자무늬로 격자요홈(417)이 형성된다. 상기 격자요홈(417)은 상기 제 1 흡수층(413)의 탄성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제 1 흡수층(413)의 길이방향 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도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그 동일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그 효과면에서 차이가 있다.A lattice groove 417 is formed in a lattice pattern on the first absorbing layer 413. The grating recess 417 further facilitates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absorbing layer 413. That is, elastic deformation is easily perform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rst absorbing layer 413. This has the same advantages as compared with the third embodiment, but differs in terms of its effect.

즉, 상기 격자요홈(417)에 의해 상기 제 3 실시예 보다 발바닥과의 접촉 면적이 더 작아지고 그만큼 발바닥에서 배출되는 땀의 양이 더 작아지고, 통풍효과 또한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e is smaller due to the grating groove 417, the amount of sweat discharged from the sole is smaller, and the ventilation effect can be greater.

도면에서는 제 1 흡수층(413)에만 상기 격자요홈(417)이 형성되었으나, 제 2 흡수층(415)에도 격자요홈(417)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 the grating grooves 417 are formed only in the first absorption layer 413, but the grating grooves 417 may also be formed in the second absorption layer 415.

제 4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410)의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디(411)를 3개의 별개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in the case of the shoe insole 4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body 411 as three separate obj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와 같은 요홈들(317,417)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grooves 317 and 417 a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necessary.

제 5 5th 실시예Example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510)에 의하면, 바디(511)와 상기 바디(5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흡수층(513,515)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shoe insole 51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body 511 and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513 and 51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511.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513,515)에는 다수개의 지압공(517)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공(517)의 내부에는 각각 지압돌기(517a)가 구비된다. 상기 지압돌기(517a)는 발바닥을 지압하여 혈액순환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 발바닥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513,515)은 일정량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지압돌기(517a)는 탄성변형되지 않고 발바닥과 접하여 지압을 하게 된다.A plurality of acupressure holes 517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absorption layers 513 and 515, and acupressure protrusions 517a are provided in the acupressure holes 517, respectively. The acupressure protrusion 517a serves to make the blood circulation easy by acupressure the sole of the foot. When the wearer wears shoes,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513 and 515 are elastically deformed in a certain amount by the pressure of the sole. At this time, the acupressure protrusion 517a is in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foot without elastic deformation.

상기 지압돌기(517a) 중 발바닥의 용천혈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용천혈지압돌기(517b)가 구비된다. 상기 용천혈지압돌기(517b)는 발바닥 중 용천혈에 해당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지압하는 역할을 한다. 용천혈의 위치는 사람마다 다르나 평균적으로 신발깔창(110)의 1/3 지점에 해당한다. 상기 용천혈지압돌기(517b)의 용천혈 지압에 의해 신진대사 및 혈액순환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portion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 517a corresponding to the yongcheon blood of the sole is provided with a yongcheon hemostatic protrusion 517b. The yongcheon hemostatic protrusion (517b) serves to intensively pressure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yongcheon blood of the sole. The location of the yongcheon blood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corresponds to one third of the shoe insole 110 on average. By the yongcheon hemostatic pressure of the yongcheon hemostatic protrusion 517b has an effect that can be more smoothly metabolized and blood circulation.

제 5 실시예에 의한 요부구성인 상기 지압돌기(517a)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is apparent that the acupressure protrusion 517a, which is a main componen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제 6 6th 실시예Example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610)에 의하면, 바디(611)와 상기 바디(6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흡수층(613,615)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shoe insole 61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body 611 and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s 613 and 615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611.

상기 바디(611)에는 상기 바디(611)에서 발뒷굼치가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둘러 고정부재(61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617)는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발뒷굼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발뒷굼치를 감싸 발이 신발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body 611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617 around the edge where the back of the foot is located in the body 611. The fixing member 617 is configured to fix the foot squeegee when the wearer wears the shoe, and serves to firmly secure the foot so that the foot does not flow inside the shoe.

상기 고정부재(617)는 메모리폼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17)에 의해 발이 신발의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신발의 착용감이 증가하고, 신발내부에서 발이 유동되어 발바닥의 표피가 벗겨지는 등의 부상을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617)가 착용자의 발뒷굼치 부분만을 감싸도록 구성되었으나, 발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617)는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The fixing member 617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memory foam. The fixing member 617 has an advantage that the foot is elastically fixed inside the shoe to increase the wearing comfort of the shoe, and the foot flows inside the shoe, thereby reducing injuries such as peeling off the epidermis of the so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617 is configured to surround only the back portion of the wearer's foot, but it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ntire foot circumference. Obviously, the fixing member 617 is also applicable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제 7 Seventh 실시예Example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9 and 10 are shown in perspective view the configuration of a shoe inso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7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700)에 의하면 골격은 바디(7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디(710)의 하면에는 후술할 탄성지지대(750)가 위치하는 설치홈(720)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720)은 탄성지지대(75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e shoe insole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skeleton is formed by the body 710.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710 is formed so that the installation groove 720 in which the elastic support 75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The installation groove 720 serves to fix the elastic support 750 does not flow.

상기 바디(710)의 하면에는 탄성지지대(75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대(750)는 상기 바디(710)의 설치홈(72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대(750)는 착용자의 발 뒷굼치 부분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An elastic support 750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710. The elastic support 75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720 of the body 710. The elastic support 750 serves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ack of the wearer's foot.

상기 탄성지지대(750)는 일정 폭을 갖는 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지지대(750)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지지대(750)의 탄성변형을 위한 탄성공간(75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공간(753)은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곡면부(755)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elastic support 750 is formed by bending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 elastic space 753 is formed inside the elastic support 750 to elastically deform the elastic support 750. The elastic space 753 is formed by a curved portion 755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상기 곡면부(755)에 의해 상기 탄성공간(753)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곡면부(755)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의해 그 내부에 상기 탄성공간(753)이 형성되는 것이다. 신발 착용자의 보행시, 상기 탄성공간(753)으로 상기 곡면부(755)가 탄성변형 되면서 착용자의 발 뒷굼치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A, the elastic space 753 is formed by a pair of curved portions 755. In other words, the curved portion 75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space 753 is formed therein. When the shoe wearer walks, the curved portion 755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elastic space 753 so as to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back of the wearer's foot.

상기 한 쌍의 곡면부(755)에서 서로 맞닿은 일단에는 절결부(7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결부(760)는 상기 곡면부(755)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절결된 부분으로 상기 곡면부(755)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cutout 76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air of curved portions 755 contacting each other. The cutout portion 760 is a portion that is cut so that the curved portion 755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755 may be relatively easy.

도 10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공간(753)은 하나의 곡면부(755)에 의해 형성된다. 즉, 하나의 곡면부(755)가 일측으로만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탄성공간(753)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상기 곡면부(755)의 일측에 절결부(760)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B, the elastic space 753 is formed by one curved portion 755. That is, one curved portion 755 is formed to protrude only one side, so that the elastic space 753 is formed therei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B, a cutout 76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755.

상기 절결부(760)는 상기 곡면부(755)의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듯이, 상기 절결부(760)는 상기 곡면부(755)의 중단이 절결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notch 760 may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755. As show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C, the cutout 760 may be formed by cutting off the curved portion 755.

또한, 도 10의 (d)에서 보듯이, 상기 절결부(760)의 마주보는 양단은 일정량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시키는 이유는 상기 절결부(760)의 양단이 탄성변형 될 때, 서로 맞닿아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절결부(760)의 마주보는 양단이 절곡되어 서로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곡면부(755)가 간섭없이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d) of FIG. 10, both ends of the cutout portion 760 may be bent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ason for bending in this way is to reduce the interference caused by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both ends of the cutout portion 760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the curved portion 755 can be easily elastically deformed without interference by the distances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cutout portion 76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7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은 앞서 살펴본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의한 신발깔창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10 : 신발깔창 111 : 바디
111a: 하부플레이트 111b: 흡수플레이트
111c: 상부플레이트 113 : 제 1 흡수층
115 : 제 2 흡수층 117 : 제 1 관통공
119 : 제 2 관통공 217 : 아치지지부
317 : 세로요홈 417 : 격자요홈
517 : 지압공 517a: 지압돌기
517b: 용천혈지압돌기 617 : 고정부재
753 : 탄성공간 755 : 곡면부
760 : 절결부
110: shoe insole 111: body
111a: lower plate 111b: absorption plate
111c: upper plate 113: first absorbing layer
115: second absorbing layer 117: first through hole
119: second through hole 217: arch support
317: longitudinal groove 417: grid groove
517: acupressure ball 517a: acupressure protrusions
517b: Yongcheon hemostatic protrusion 617: fixed member
753: elastic space 755: curved portion
760: notch

Claims (13)

신발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되, 하부플레이트, 흡수플레이트 및 상부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면 중 발바닥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부터 뒷굼치까지에 이르는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흡수층;
상기 바디의 상면 중 발바닥과 발가락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부터 상기 아치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돌출되게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흡수층:
상기 제 1 흡수층 중 발바닥의 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블록홀에 다수개의 지지블록이 삽입되어 상기 블록홀을 통해 상기 지지블록이 상기 흡수플레이트를 탄성 변형시키는 아치지지부;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고, 일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부에 의해 내부에 탄성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 뒷굼치에 전해지는 충격을 탄성변형되어 흡수하는 탄성지지대; 및
상기 바디에 그 주위를 둘려 상기 신발의 내부 벽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발을 상기 신발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그 바닥면이 상기 신발의 바닥면과 접하고, 상기 흡수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흡수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이 통과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신발깔창.
A body mount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o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plate, an absorption plate, and an upper plate so that an installation groove is recessed i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first absorbing layer formed to protrude with elastic force in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to the rear swelling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absorb shock;
A second absorbent layer formed to protrude with elastic force from a portion forming the boundary of the sole and the to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have an elastic force to absorb an impac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sole of the first absorbent layer,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are inserted into the block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plate and the support block elastically absorbs the absorption plate through the block hole Deforming arch support;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having an elastic space formed therein by at least one curved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elastically deform and absorb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back squeegee of the wearer; And
It is provided around the body to surround the inner wall of the shoe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elastically fixing the wearer's foot in the interior of the shoe,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the absorption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 the upper plate is the absorption plate Shoe insol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 can pas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은 다공성의 메모리폼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 is inso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porous memory foa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사용자의 아치의 위치에 맞추어 그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block is used to cut the length of the shoe insole according to the user's arch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u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층에는 상기 제 1 흡수층을 구획하는 요홈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The method of claim 1,
Shoe inso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s for partitioning the first absorbent layer is formed in the first absorbent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수층에는 다수개의 지압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공의 내부에는 지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acupressur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absorbent layer and the shoe insole is formed to protrude acupressure projections inside the acupressure ho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돌기 중 바디의 선단부에서부터 1/3 지점에는 다른 지압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용천혈지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The method of claim 8,
Shoe inso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1/3 point from the tip of the body of the acupressure protrusions protruding Yongcheon hemostatic protrusions larger than the other acupressure protrus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는 그 일부가 절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곡면부의 탄성변형을 더 용이하게 하는 절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The method of claim 1,
Shoe insole is formed in the curved portion to be part of the insole further comprises a notch to facilitat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은 상기 곡면부의 탄성변형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깔창

13. The method of claim 12,
Both ends of the cutout facing each other is ben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urved portion

KR1020100027905A 2010-03-29 2010-03-29 Insole of shoes KR101233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905A KR101233153B1 (en) 2010-03-29 2010-03-29 Insole of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905A KR101233153B1 (en) 2010-03-29 2010-03-29 Insole of sh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17A KR20110108617A (en) 2011-10-06
KR101233153B1 true KR101233153B1 (en) 2013-02-15

Family

ID=4502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905A KR101233153B1 (en) 2010-03-29 2010-03-29 Insole of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1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9298A (en) * 2021-03-17 2021-06-01 上海市第六人民医院 Heel pain insole capable of monitoring plantar pressure and automatically and intelligently inflating and defla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31Y1 (en) * 2001-11-23 2002-02-21 윤종원 Sole of Sandals
KR200371481Y1 (en) * 2004-08-04 2004-12-31 김종식 Footwear
KR200395056Y1 (en) * 2005-06-08 2005-09-07 학교법인 동의학원 Shock absorbing inso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531Y1 (en) * 2001-11-23 2002-02-21 윤종원 Sole of Sandals
KR200371481Y1 (en) * 2004-08-04 2004-12-31 김종식 Footwear
KR200395056Y1 (en) * 2005-06-08 2005-09-07 학교법인 동의학원 Shock absorbing ins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17A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782B1 (en)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210337920A1 (en) Random variable stimulus insoles and footwear to optimize human neuromuscular gait mechanics
KR100627678B1 (en) A sole structure of footwear
KR102236233B1 (en) Insole for remedy of feet
US20220192311A1 (en) Shoe which comprises insole having lapillus attached thereto and foot correction outsole
JP4457076B2 (en) Footwear and insoles used for it
KR100940011B1 (en) The Shoes which Disperses a Load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KR101233153B1 (en) Insole of shoes
KR101238618B1 (en) Massaging and cushioning shoe insole
KR200403436Y1 (en) A shoe sole
KR100687107B1 (en) Auxiliary Insole for Shoes
KR200219712Y1 (en) The sole of a shoe
KR20120007911U (en) Insole for acupressure having functional unsliding with dual arch parts
KR100457101B1 (en) Shoe of insole
KR200412025Y1 (en) The multi-functional insole
KR101739366B1 (en) A insole in footwear with pocket sping
KR200340469Y1 (en) Shoe pad for body balance
KR200415786Y1 (en) An insole of footwear
CN211657512U (en) Orthopedic shoe pad
KR200394997Y1 (en) Auxiliary Insole for Shoes
KR200337740Y1 (en) An inner sole with stimulating block
KR20120082220A (en) Sole of a shoe
KR100928712B1 (en) Arch corrected shoes
KR200389448Y1 (en) fanctional formal dress shoes for wom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