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984B1 -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 Google Patents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984B1
KR101232984B1 KR1020110125857A KR20110125857A KR101232984B1 KR 101232984 B1 KR101232984 B1 KR 101232984B1 KR 1020110125857 A KR1020110125857 A KR 1020110125857A KR 20110125857 A KR20110125857 A KR 20110125857A KR 101232984 B1 KR101232984 B1 KR 101232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member
seat
seat plat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1012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9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tilting control system for a chair is provided to prevent the buttocks of a user from sliding forward on a chair when leaning on a seat back. CONSTITUTION: A tilting control system for a chair comprises a seat plate support member(90) which is supported by a horizontal shaft member and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a seat plate, a front elastic member(53) which operates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of the front of the seat plate, and a rear elastic member(73) which operates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of the rear of the seat plate. The front elastic member and rear elastic member can independently control elastic force.

Description

의자 좌판 경사장치{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본 발명은 변동하는 작업자의 자세에도 잘 대응하여 의자의 좌판의 경사가 변동됨으로써 작업자의 인체를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작용하는 의자, 걸상의 경사조절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 stool adjustment device that acts to comfortably support the human body of the operator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of the chair to respond well to the changing posture of the worker.

의자의 일반 형태는 하체의 엉덩이를 주된 용도로 지지하기 위해서 좌판과 그 좌판을 고정하기 위한 몸체 부분으로 구성되거나, 이에 척추를 지지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등받이를 구비한 것, 척추만을 지지하기 위하여 좌판과 등받이만으로 구성된 것 등이다. 이를 기본으로 인체를 편안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좌판의 형상을 바꾸거나 등받이의 형상을 변형한 것으로서 그 형태가 고정된 것이 있으며 변동하는 인체에 대응하기 위하여 등받이에 탄성을 준 것,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 것 등은 범용으로 시도된 것이고 좌판 자체에 약간의 틸팅이나 슬라이딩 기능을 생각한 것 등이 있다.The general form of the chair is composed of a seat plate for holding the seat of the lower body for the main purpose and a body part for fixing the seat plate, or having an additional backrest for supporting the spine, And a backrest only. In order to support the human body comfortably, the shape of the seat is changed or the shape of the backrest is modified. The shape of the backrest is fixed. The backrest is made elastic to cope with the fluctuating human body. And the like have been tried for general purpose, and the seat itself has some tilting or sliding function.

고정된 형태의 의자는 그 형태를 어떻게 하든지 앞뒤로 변화하는 인체에 적합하지는 않고,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 것은 휴식의 목적에는 비교적 적당하고, 등받이에 탄성을 준 것은 인체가 접촉시에 유연함을 줌으로써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그러나 등받이는 뒤로 기울어져 편안함을 줄 수 있으나 좌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앞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된다. The fixed type of chair is not suitable for the human body to change back and forth regardless of its shape, but it is relatively suitable for resting purpose that the backrest is turned backward, and the backrest is elastic, Gives a sense of stability. However, the backrest can be tilted backward to provide comfort, but the seat remains level and therefore receives forward force.

일부 등받이의 경사장치에 더하여 좌판을 기울이게 한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약간의 틸팅 기능을 준 정도여서 충분하지 못했다. 이들 틸팅 기능은 주로 뒤로 기울어지게 한 것으로 뒤로 기울어지는 등받이의 대용 정도이거나, 앞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두었을 때는 매우 작은 정도의 기울어짐 기능을 둔 정도였고, 그 탄력의 조절에 대한 것도 없거나, 비실현적이거나 비실용적인 것들이었다. In addition to the inclining device of some backrests, the seat is tilted. However, all of them were not enough because they gave a little tilting function. These tilting functions were mainly tilted backward, and the tilting back function tilted backward was used, or the tilt function was tilted forward, and the tilting function was very small. It was enemy or impractical.

이들은 하나의 탄성체로 앞으로의 기울임과 뒤로의 기울임을 실현한 것이었고, 이와 같은 것은 앞뒤 기울임에 다 적당하지는 않았다. They were an elastic body that tilted forward and tilted backward, which was not suitable for tilting back and forth.

또한, 뒤로 기울여 휴식을 취하려 하는 경우에는 기울인 자세의 상태에서 의자의 복원력은 계속하여 작용하고 있어서 의도적으로 그 복원력 이상으로 기대어야 한다. In addition, when tilting backward, the restoring force of the chair continues to act in the inclined posture state, so that it should be intentionally restrained beyond its restoring force.

작업자의 자세가 척추를 곧게 편 상태로 책상이나 작업대에 밀착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대퇴부의 전방이 의자의 앞쪽에 특히 압력을 많이 작용하게 되어 지지부위의 압력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의자에 착석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인체에는 피로가 누적되게 된다.
When the posture of the worker is closely attached to the desk or the workbench with the spine straightened, the front portion of the thigh of the worker especially acts on the front of the chair, and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supporting portion becomes uneven. Accordingly, fatigue is accumulated in the human body as time elapses while the worker is seated in the chair.

의자 사용자가 휴식을 위해 뒤로 기댈 경우에 엉덩이가 의자의 앞쪽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when the chair user leans back for a rest, the force of pushing the hips toward the front of the chair does not work.

이를 위해 좌판을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좌판의 기울기는 충분히 기울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tilt the seat so that the tilt of the seat can be sufficiently tilted.

좌판은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충분히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plate is inclined enough not only to the rear but also to the front.

좌판을 기울일 때 부드럽게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울어진 좌판은 힘을 풀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o tilt the seat when tilted. Also, it is recommended to return the tilted sea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released.

사용자의 힘에 의해 기울어진 좌판은 지속적으로 회복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사용자와 경쟁하지 않아야 한다.
The seat that is tilted by the force of the user must not compete with the user due to the force of continual recovery.

의자 착석자가 뒤로 기울여 휴식을 취할 때에도 엉덩이가 좌판에서 밀림이 없고, 앞으로 숙여서 작업을 할 때에도 대퇴부에 집중되는 압력이 분산되도록, 의자는 의자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성한 수평축부재인 수평축(91)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좌판 하부에 고정되는 좌판지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축부재를 회전축으로 좌판을 의자의 앞뒤로 기울일 수 있게 한다. Even when the chair occupant is inclined to rest and rests, the hips are not pushed from the seat plate and the pressure concentrated on the thighs is dispersed even when working forward while leaning forward. One end is supported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eat plate support member 90 fixed to the bottom of the seat plate; The horizontal plate member can be tilt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chair by the axis of rotation.

이러한 기울임이 부드럽게 작용하고 다시 회복하도록 하기 위해, 좌판의 전방기울임과 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llow this tilting to work smoothly and to recover again, it includes an elastic elastic member that acts in response to the front tilt and the rear tilt of the seat plate.

특히 상기 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는 의자가 전방으로 기울일 때에 전방기울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좌판의 전방기울임과 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의자의 전방에 구성하여 포함하도록 하였다.
In particular, the elastic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rear tilt includes an elastic elastic member that acts independently so as not to affect the front tilt when the chair is tilted forward;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to correspond to the front tilt and rear tilt of the seat plate is configured to include in the front of the chair.

또한, 의자 사용자는 체형과 체중에 따라 신축탄성부재의 바람직한 탄성력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신축탄성부재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후방기울임은 인체의 구조상 그러한 차이가 많이 나므로 구성하는 신축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게 하였다. 여기서 탄성력 조절은 도 1 ~ 도 6의 도면과 하기 해당 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에 대해 기술하듯이 해당 탄성부재의 탄성력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다른 쪽 기울임을 위한 탄성부재에 영향을 주거나 좌판에 가하는 압력을 변화하거나, 또는 그로 인하여 기울기 등에 영향을 주거나 하지 않는다. 즉, 후방기울임에 대응하는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에 있어서 독립적이라 함은 이와 같이 해당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이 다른 쪽 기울임을 위한 신축탄성부재나 좌판 등과의 긴장 상태를 변동시키지 않으면서 자신의 탄성력만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hair user may vary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body shape and weigh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elastic member can adjust the elastic force. In particular, since the rear tilting makes such a larg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constituting elasticity can independently adjust the elastic force and act in response to the rear tilting. Here, the elastic force adjustment is to adjust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s described in the drawings of FIGS. Or thereby do not affect the tilt or the like. In other words, the independent control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to the rear tilting means that the elastic force control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does not change its tension state with the elastic elastic member or seat plate for tilting the other side. This means that only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신축탄성부재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기울임은 인체의 적용상 그리 큰 탄성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방기울임에 대응하는 신축탄성부재와 달리 굳이 독립적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안 될 수 있다. 그러나 역시 탄성력은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member, the front tilt does not require a great elastic force for the application of the human body. Therefore, unlike the elastic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to the rear tilt may not be a big problem without having to configure independently. However,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 elasticity can be adjusted.

따라서 신축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elastic members can adjust the elastic force independently and act in response to the front tilt.

구성된 신축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신축탄성부재는 압력조절대(76)와 나사결합한 상부체(79a)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신축탄성부재를 압축하거나 늦춰주게 되어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stretchable elastic members is configured to compress or slow down the stretchable elastic member by moving the upper body 79a screwed with the pressure controller 76 up and down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tretchable elastic member.

신축탄성부재의 양 단 중 적어도 한쪽 일단을 지지하는 고정지지대(93)와 같은 지지부분에, 회동하게 될 회전체(79)를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대 역할을 위한 한 방법으로 브래킷을 형성하고, 형성한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회전체(79)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체에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압력조절대(76)를 결합함으로써 좌판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한 압력조절대(76)를 구성한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Brackets were formed in one way for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79 to be rotated to a supporting portion such as a fixed support 93 supporting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nd formed The rotating body 7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rotating body, and the pressure control 76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 by adjusting the pressure to allow the rotational movement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It may include an elastic elastic member constituting the base 76.

신축탄성부재의 일단, 여기서는 상단을 지지하고 압력조절대(76)와 나사결합된 상부체(79a)는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압력조절대(76)를 돌릴 때 상부체도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체(79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좌판의 회전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링크(79b)를 구성할 수 있다. 고정링크의 중간에는 링크부를 두어 굴절할 수 있고, 링크부의 양쪽은 서로 신축할 수 있도록 미끄럼결합되어 압력조절대(76)의 회전에 따른 각도변화와 길이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stretchable elastic member, here the upper end and the upper body 79a screwed with the pressure control unit 76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upper body when turning the pressure control unit 76 to adjust the elastic force. In order to prevent this,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body 79a and the other end may constitute a fixing link 79b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eat plate. In the middle of the fixed link can be refracted by placing the link portion, both sides of the link portion is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can cope with the angle change and the length ch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adjuster 76.

위의 여러 신축탄성부재와 그 구성방법이 실현된 각각에 대해서, 좌판의 경사를 고정하는 브레이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rake device for fix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various elastic member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앞뒤로 기울어지는 좌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브레이크틀(83)에, 앞뒤로 회전하는 좌판에 고정된 브레이크장치의 작동부가 작용함으로써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장치의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틀(83)에 밀착하도록 작용하는 구성으로 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ake device can be fixed by actuating an operating part of the brake device fixed to the seat plate rotating back and forth, to the brake frame 83 fixed without rotation relative to the seat plate inclined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of such a brake device may include a cam in a configuration that act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frame (83).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The structure of the brak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회전하는 좌판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부분인, 좌판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구성한 브레이크틀(83)을 포함하며; 이 브레이크틀에 작용하는 브레이크장치로서, 좌판에 고정한 브레이크케이스(84)와; 브레이크케이스에 결합하여 브레이크틀(83)에 밀착하는 브레이크패드(81, 120)를 포함하였다.
A brake frame 83 configur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at plate, the portion being fixed relative to the rotating seat plate; And a brake case (84) fixed to the seat; And brake pads 81 and 120 which are coupled to the brake cas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mold 83. [

본 발명은 착석자의 자세 변동에 따라 의자가 잘 지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기울임 형태도 바꾸게 하여서 인체의 긴장을 완화하고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tilting shape of the chair so that the chair can be well supported according to the posture change of the seated person, thereby relieving the tension of the human body and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fatigue, thereby providing comfort to the operator and maximizing the working efficiency.

의자 몸체 자체의 이동이 없이 작업자의 자세를 앞이나 뒤로 기울일 때에도 의자는 작업자의 자세에 대응하여 기울어지고 그 상태를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의 복원력을 더 이상 받지 않게도 되고 작업자의 순간적인 힘의 변동에도 의자는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작업자의 척추를 지지하게 된다.The chair can be tilted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worker and can be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even when the posture of the worker is tilted forward or back without the movement of the body of the chair itself so that the seated person can no longer receive the restoring force of the chair And the chair is kept in a fixed form even when the worker's momentary force fluctuates,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worker's spine.

이를 앞이나 뒤로 기울일 경우에 각각 더 살펴보면,If we look more at each of these cases,

작업자의 자세가 책상이나 작업대에 접근하여 기울일 경우에는 작업자의 대퇴부의 전방이 의자의 앞쪽에 특히 압력을 많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의 해소를 위해서 좌판부를 앞쪽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함으로써 대퇴부에 작용하는 압력의 분포를 좀 더 균일하게 되어 더 편안함을 줄 수 있다.When the worker's posture tilts toward the desk or the workbench, the front of the thigh of the worker particularly exerts a great pressure on the front of the chair. Therefore, by rotating the seat plate naturally forward to solve the problem,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acting on the thighs can be more uniform and more comfortable.

작업자가 휴식을 위해 상체를 뒤로 젖힐 때에는 좌판부도 뒤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하체가 좌판에서 밀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상체는 등받이에 의하여 작업자의 체중이 좌판에 분산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한다.
When the operator tilts the upper body backward for resting, the lower body of the worker can be rotated backward so that the lower body of the worker is stably supported without being jammed at the seat, and the upper body is supported by the backrest so that the weight of the worker is dispersed and supported on the seat. to provide.

[도 1] 회전 좌판의 기울기가 완충, 복원되는 의자 경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의자 사시도
[도 2] 도 1 의자의 후방회전 좌측면도
[도 3] 도 1 의자의 압력조절대 안내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의자 사시도
[도 4] 도 3의 의자의 우 전방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5] 도 3의 의자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6] 전방 압력조절장치가 없이 신축부재가 직결된 사시도
[도 7] 좌판 하부에 고정된 브레이크장치의 분해도
[도 8] 브레이크 작동전(좌)과 작동시(우)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including a chair tilt control device that the tilt of the rotating seat is buffered, restored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rear rotation of the chai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including a rotating body for guiding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chai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right front of the chair of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chair of FIG. 3; FIG.
6 is a perspective view direct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without the front pressure regulator
7 is an exploded view of the brake device fixed to the lower plate
8] Before brake operation (left) and operation (right)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좌판의 경사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의자 구조체(92) 상부의 고정지지대(93)에 의자의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수평축부재인 수평축(91)이 구성된다. 상기 수평축(91)에 좌판지지재(9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앞뒤로 기울일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좌판지지재(90)의 타단은 좌판(15)의 하부에 고정되어 좌판을 지지하고, 상기 수평축부재를 회전축으로 좌판을 앞뒤로 기울일 수 있게 한다.A horizontal shaft 91, which is a horizontal shaft member horizont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hair, is formed on the fixed support 9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r structure 92. One end of the seat plate support member 9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shaft 91 so as to tilt back and forth. The other end of the seat support member 90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at 15 to support the seat and allows the seat to be tilted back and forth with the rotation axis.

좌판(15)을 기울일 때 급작스럽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좌판의 기울임에 저항하는 신축탄성부재를 개입시킨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15 is not suddenly tilted when tilted. To this end, the elastic elastic member that resists the tilting of the seat plate is intervened.

신축탄성부재는 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것과; 전방기울임에 독립적이며 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신축탄성부재는 의자의 전방에 구성된다.The elastic member is to act in response to the front tilt; An elastic elastic member that is independent of the front tilt and acts in response to the rear tilt; At least one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chair.

신축탄성부재의 일단은, 의자 구조체에 결합하고 좌판의 기울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지지대(93)와 같은 고정재(固定材)에 지지하게 되고; 타단은 상부체(79a)에 지지된다.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by a fixing member such as a fixing support 93 which is coupled to the chair structure and fixed relatively to the tilting of the seat plate;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upper body 79a.

도 1 ~ 도 6은 좌판의 전방기울임과 후방기울임의 변동에 저항하거나 회복하는 신축탄성부재를 구성한 것으로 신축탄성부재의 한 예로서 신축코일스프링(53, 73)을 구성하였다. 1 to 6 illustrate a flexible elastic member that resists or recovers fluctuations in the front tilt and rear tilt of the seat plate, and constitutes the stretch coil springs 53 and 73 as an example of the stretch elastic member.

이 신축탄성을 이용하는 방법은 압축하는 방법과 인장하는 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어느 방법을 쓰든지 차이에 대한 약간의 주의를 기울인 설계변경으로 서로 대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기울임에 저항하는 신축탄성부재는 전방에 구성하고, 후방기울임에 저항하는 신축탄성부재는 후방에 구성하고 압축하는 방법에 의한 탄성력의 예를 보였다. The method using this elastic modulus can be used by the method of compression and the method of tensioning. Either way, they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design changes that pay little attention to the differenc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elastic member resistant to the front tilt is configured in the front, the elastic elastic member resistant to the rear tilt is configured in the rear and showed an example of the elastic force by the compression method.

이하 본원에서 좌판의 기울기에 저항하는 탄성부재는 신축탄성부재를 언급하는 것이고 신축탄성부재의 하나로서 신축코일스프링 구성한 것이므로 혼란이 없는 한 전방 신축탄성부재는 전방탄성부재로, 후방 신축탄성부재는 후방탄성부재로, 신축코일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칭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lastic member that resists the inclination of the seat plate refers to the elastic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elastic spring is configured as one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s. Thus, unless there is confusion, the front elastic elastic member is the front elastic member, and the rear elastic elastic member is the rear. As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coil spring is referred to as the coil spring.

전방기울임에 저항하는 전방탄성부재(53)인 코일스프링(53)의 일단이 지지하는 구성은 의자의 앞쪽에 구성하였으며, 후방기울임에 저항하는 후방탄성부재(73)인 코일스프링(73)의 일단이 지지하는 구성은 의자의 뒤쪽에 구성하였다. One end of the coil spring 53, which is a front elastic member 53 that is resistant to forward tilting, is suppor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air, and a portion of the coil spring 73, which is the rear elastic member 73, The supporting structure was arranged behind the chair.

이는 임의적인 구성으로서 코일스프링을 누르느냐 당기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으로 반대로 구성하여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is is an arbitrary configuration,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ressing or pulling the coil spring, and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reversed, an equivalent effect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누르는 방법이 안정성이 더 좋을 것으로 보아 누르는 예를 보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thod is an example of the pressing because the stability was better.

이제, 도 1 ~ 도 5에서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w,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lastic member that corresponds to the forward rotation in Figures 1 to 5 will be described.

도 1 ~ 도 5에서 의자 전방에 구성한 전방탄성부재(53)인 코일스프링(53)의 하단은 의자 앞쪽 고정지지대(9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단은 상부 지지체인 상부체(79a)에 지지한다. 상부체(79a)는 압력조절대(76)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1 to 5,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53, which is the front elastic member 53 configured in front of the chair,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hair front fixing support 93.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upper body 79a which is the upper support. The upper body 79a is screwed with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76. [

압력조절대(76)의 하부는 도 1, 도 2에서 보이듯이 고정지지대(93)에 뚫린 장공을 통과하여 핸들(57)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대(58)에 결합된 코일스프링(53)이 위로 회복되려는 복원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이 핸들(57) 부분이 고정지지대(93)에 걸림으로 억제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passed through the long hole drilled in the fixed support 93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handle 57 is coupled. Therefore, even if the restoring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coil spring 53 coupled to the support 58 is applied, the handle 57 is suppressed by being caught by the fixed support 93.

압력조절대(76)를 중심으로 두고 상부체(79a)와 고정지지대(93) 사이에 끼인 코일스프링(53)은 이들 사이의 거리의 조절에 의하여 탄성력이 조절된다. The coil spring 53,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body 79a and the fixed support 93 with the pressure adjusting unit 76 as the center, is adjusted in elasticity by adjusting the distance therebetween.

의자의 전방에 구성한 코일스프링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1개의 구성은 하도록 한다. 도 1 ~ 도 6에서는 코일스프링 1개를 구성한 예를 보였다. Coil springs formed in front of the chair can be configured as many as necessary, at least one configuration. 1 to 6 show an example in which one coil spring is configured.

압력조절대(76)의 상부체(79a)를 통과한 윗부분의 끝은 둥근 구형을 이루며; 좌판이 수평상태일 때 이 압력조절대(76) 끝의 둥근 구형을 수용하는, 좌판에 구성한 어댑터(70)에 접하게 되어 있다. 전방 회전에 대응하는 어댑터(70)는 좌판이 회전할 때 압력조절대(76)가 좌판 회전축(91)과 동심으로 운동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조금 길게 형성하였다.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76 passing through the upper body 79a has a rounded sphere shape; And is in contact with the adapter 70 configured on the seat plate, which accommodates the rounded sphere at th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76 when the seat plate is horizontal. The adapter 70 corresponding to the forward rotation was formed slightly long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ressure adjusting unit 76 may not move concentrically with the seat rotation axis 91 when the seat plate rotates.

또한, 압력조절대(76)는 의자 구조체(92)에 형성된 고정지지대(93)에 뚫린 구멍도 어느 정도 유격(裕隔)이 있는 장공으로 되어 있어 좌판의 회전시에 적절히 대응하게 되어 있다. 이때 신축탄성부재(53) 하부는 고정지지대(9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In addition, the pressure adjusting unit 76 is a long hole with a certain degree of clearance in the hole formed in the fixed support 93 formed in the chair structure 92, so that it can cope appropriately at the time of rotation of a seat plate. At this time, the elastic elastic member 53 is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support (93).

좌판을 앞쪽으로 회전하면; When the seat is turned forward;

좌판 앞쪽 어댑터(70)는 앞쪽 압력조절대(76)를 누르게 되고 압력조절대(76)는 아래쪽 고정지지대(93)에 뚫린 장공 아래로 자유롭게 통과하며 눌리게 된다. 이때 압력조절대(76)와 나사결합한 상부체(79a)가 아래로 눌리고, 상부체(79a)에 지지하도록 결합된 코일스프링도 눌리게 되어 탄성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The seat plate front adapter 70 presses the front pressure adjuster 76 and the pressure adjuster 76 is pushed freely through the lower hole drilled in the lower fixing support 93. At this time, the upper body 79a screwed with the pressure adjuster 76 is pressed down, and the coil spring coupled to support the upper body 79a is also pressed to elastically resist.

좌판이 앞쪽으로 기울어져 압력조절대(76)를 누를 때 압력조절대(76)는 의자 구조체(92)에 형성된 고정지지대(93)에 뚫린 구멍도 어느 정도 유격이 있는 장공으로 되어 있어, 좌판의 회전에 적절히 대응하며 눌리게 된다.When the seat plate is inclined forward and presses the pressure adjuster 76, the pressure adjuster 76 is a long hole with a certain amount of play in the hole formed in the fixed support 93 formed in the chair structure 92, It is pressed against the rotation.

후방에 구성된 후방탄성부재(73)는 전방기울임에는 독립적이며 후방기울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좌판이 전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후방 어댑터(70)에서 유리되어 전방회전에 영항을 주지 않게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ar elastic member 73 configured at the rear is independent of the front tilt and corresponds to the rear tilt, and when the seat plate rotates forward, the rear elastic member 73 is released from the rear adapter 70 so as not to affect the front turn. It is desirable to.

또한, 전방탄성부재(53)인 코일스프링(53)의 장착시에 좌판이 수평일 때에도 코일스프링이 처음부터 어느 정도 눌려서 탄성력이 잠재된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coil spring 53, which is the front elastic member 53, is mounted, even when the seat plate is horizontal,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coil spring in a state in which elastic force is latent to some extent from the beginning.

전방기울임에 대응하는 전방에 구성된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은 다음과 같다. 이 과정은 해당 탄성부재에 국한한 것으로서 탄성력 조절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The elastic force control of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in the front corresponding to the front tilt is as follows. This process is limi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elasticity control is performed independently.

전방회전에 저항하는 전방탄성부재(53)로서 신축 탄성력을 이용한 신축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을 더 높이고자 할 때는 압력조절대(76)을 돌려서 압력조절대(76)에 나사결합한 상부체(79a)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하여 신축 코일스프링을 더 압축한다. 그러면 코일스프링의 복원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좌판을 앞쪽으로 회전하여 누를 때 좀 더 강한 힘으로 저항하게 된다.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53, which is an elastic elastic member using the elastic elastic force, as the front elastic member 53 that resists forward rotation,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76 is screwed into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76. The upper body 79a is lowered to further compres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coil spring. Then, the restoring pressure of the coil spring is increased, and the seat plate is rotated forward and resisted with a stronger force.

물론 초기 탄성력을 줄일 때는 압력조절대(76)을 돌려서 압력조절대(76)에 결합한 상부체(79a)가 위쪽으로 올라오게 한다.Of course, when the initial elastic force is reduced,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body 79a coupled to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raised upward.

여기서 압력조절대(76)을 돌려서 압력조절대(76)에 결합한 상부체(79a)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하거나 올라가게 하여도 압력조절대(76)는 제자리에서 도는 것이므로 압력조절대(76) 자체는 위나 아래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때 압력조절대(76)에 나사결합한 상부체(79a)는 나사결합 때문에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체에 일단이 지지된 신축탄성부재를 누르거나 풀어주게 됨으로써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Here, even if the upper body (79a) coupled to the pressure control unit 76 by turning the pressure control unit 76 is lowered or raised, the pressure control unit 76 is turned in place, so the pressure control unit (76) itself Does not move up or down. However, at this time, the upper body (79a) screwed to the pressure adjuster 76 is moved up and down due to the screw coupling, thereby pressing or releasing the elastic elastic member supported on one end to the upper body to thereby redu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ill be adjusted.

압력조절대(76)의 핸들(57)을 돌릴 때 본 예에서는 상부체(79a) 역시 마찰 때문에 같이 돌 수 있다. 따라서 돌릴 때 상부체(79a)는 잡아서 돌지 못하게 잡고 압력조절대(76)의 핸들(57)를 돌려서 상부체(79a)만 위나 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When turning the handle 57 of the pressure regulator 76 in this example, the upper body 79a may also turn together due to friction. Therefore, when the upper body (79a) is turned to hold the handle 57 of the pressure adjuster 76 to hold it so that only the upper body (79a) to move up or down.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잡는 것이 불편하다면 도 1 ~ 도 4에서 보이듯이 한쪽 끝은 신축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상부체(79a)에 고정하고 타단은 좌판의 회전축인 수평축(9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고정링크(79b)를 구성하여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If it is inconvenient to hold the upper body (79a) does not turn, as shown in Figures 1 to 4,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body (79a)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to the horizontal axis (91)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seat plat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fixed link (79b) rotatably coupled to prevent the upper body (79a) to turn.

고정링크(79b)는 중간에 링크 연결부를 두어 꺾임이 가능하게 하고 상부체(79a)에 고정한 부분과 수평축(91)에 결합하여 자유롭게 돌 수 있게 한 부분은, 신축가능하게 미끄럼결합하여 좌판의 회전에 대해 잘 대응할 수 있게 한다. The fixed link (79b) has a link connection in the middle to enable the bending, and the portion fixed to the upper body (79a) and the portion coupled to the horizontal axis (91) to be freely rotated, elastically slidably coupled to rotate the seat Make sure that you respond well to

다른 방법으로도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할 수 있으며, 그러나 초기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체(79a)를 이동하는 과정은 자주 있는 과정도 아니므로, 그냥 수동으로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잡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Alternatively, the upper body 79a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but the process of moving the upper body 79a to adjust the initial elastic force is not a frequent process, and thus, the upper body 79a may be manually turned. Holding it is the simplest way.

도 3 ~ 도 5에서 앞쪽 신축탄성부재의 일단, 여기서는 하단이 지지하는 고정지지대(93)의 아래쪽에 브래킷(78)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78)에 회전가능한 회전체(79)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79)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에 압력조절대(76)는 미끄럼결합하여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결합된다. 3 to 5, one end of the front elastic elastic member, in this case, a bracket 78 is configured below the fixed support 93 supported by the lower end, and the rotating body 79 rotatable to the bracket 78 is rotated. Possibly combined. The rotating body 79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e pressure adjusting unit 76 is coupled to the hole to slide freely through.

이와 같은 구성은 압력조절대가 좌판 회전축(91)과 동심을 이루지 못한 경우에, 회전하는 좌판에 눌리어 회전할 때에도, 압력조절대(76)가 상하이동과 회전운동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압력조절대(76)는 안정된 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압력조절대(76)에 가이드 되는 신축탄성부재도 안정된 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도 2에서의 수용부(70)도 도 3 ~ 도 5와 같이 짧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ressure regulator does not form concentric with the seat plate rotating shaft 91, even when the pressure seat is rotated by the rotating seat plate, the pressure controller 76 can cope with the shanghai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76 is a stable movement, according to the elastic elastic member guided to the pressure adjuster 76 is also a stable operation. Therefore, the accommodating part 70 in FIG. 1, FIG. 2 can also be comprised in a short shape like FIG.

상기와 같은 브래킷(78), 회전체(79)와 같은 구성은 상기의 신축탄성부재의 하단이 지지하는 고정지지재(93)와 같은 지지재(支持材) 대신 신축탄성부재의 상단이 지지하는 상부체(79a)에도 동등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회전체(79)에 구성한 통공에 결합하는 압력조절대의 결합은 미끄럼결합 대신 나사결합하여 상부체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racket 78, the rotating body 79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instead of the support member (支持 材) such as the fixed support member 93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The upper body 79a can be configured similarly. In this case, however, the coupling of the pressure regulator coupl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79 is screwed instead of sliding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upper body.

상기한 전방회전에서 작용하는 과정은 후방회전을 위해 구성된 신축탄성을 이용한 후방탄성부재(73)인 신축코일스프링(7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The process acting in the front rotation is equally applied to the expansion coil spring 73, the rear elastic member 73 using the elastic elasticity configured for the rear rotation. In other words,

후방기울임에 저항하는 신축코일스프링(73)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xpansion coil spring 73 to resist the rear tilt is as follows.

의자 후방에 구성한 후방탄성부재(73)인 코일스프링(73)의 하단은 의자 뒤쪽 고정지지대(93)에 고정된다. 상단은 상부 지지체인 상부체(79a)에 지지된다. 상부체(79a)는 압력조절대(76)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압력조절대(76)의 하부는 고정지지대(93)에 형성된 장공을 통과하여 손잡이(77)와 결합되어 있다.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73, which is the rear elastic member 73 constituted at the rear of the chair, is fixed to the chair support support 93. And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chain upper body 79a. The upper body 79a is screwed with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76. [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76 is coupled to the handle 77 through the elongated hole formed in the fixed support 93.

압력조절대(76)를 중심으로 두고 상부체(79a)와 고정지지대(93) 사이에 끼인 코일스프링은 이들 사이의 거리의 조절에 의하여 탄성력이 조절된다.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body 79a and the fixed support 93 with respect to the pressure adjuster 76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therebetween.

구성한 코일스프링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코일스프링 2개를 구성한 예를 보였다. The coil springs thus configured can be constituted as many as necessary. In this example, two coil springs are shown.

여기서 상부체(79a)의 형상은 각각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길게 서로 연결하여 2개의 코일스프링에 공동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분리하여 구성한 예를 보였다. Here, the shape of the upper body 79a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or may be configured to jointly act on two coil springs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for a long time. In this example, an example has been shown in which it is separated and configu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복수로 구성하고 각각의 탄성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탄성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Thus,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more smoothly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coil springs and individually adjusting each elastic force.

압력조절대(76)의 상부체(79a)를 통과한 윗부분의 끝은 둥근 구형을 이루며; 좌판이 수평상태일 때 이 압력조절대(76) 끝의 둥근 구형을 수용하는, 좌판에 구성한 어댑터(70)에 접하게 되어 있다. 후방 회전에 대응하는 어댑터(70)는 좌판이 회전할 때 압력조절대(76)가 좌판 회전축(91)과 동심으로 운동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점을 고려하여 조금 길게 형성하였다. The upper end of the pressure regulating member 76 passing through the upper body 79a has a rounded sphere shape; And is in contact with the adapter 70 configured on the seat plate, which accommodates the rounded sphere at the end of the pressure regulator 76 when the seat plate is horizontal. The adapter 70 corresponding to the backward rotation is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ressure regulating plate 76 may not move concentrically with the left plate rotary shaft 91 when the seat plate is rotated.

또한, 의자 구조체(92)에 형성된 고정지지대(93)에 뚫린 구멍도 어느 정도 유격(裕隔)이 있는 장공으로 되어 있어 좌판의 회전에 적절히 대응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축탄성부재(73)는 하부는 고정지지대(93)에서 밀리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The hole formed in the fixed support 93 formed on the chair structure 92 is also a slot having a clearance to some extent, so that it corresponds to the rotation of the seat. In this case, the elastic elastic member 73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so as not to be pushed or separated from the fixed support (93).

한편, 상기와 같은 압력조절대(76)의 구성은 전방탄성부재(53)의 구성시, 도 3 ~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지지대(93)에 브래킷(78)을 구성하고, 브래킷(78)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체(79)에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을 통과하여 압력조절대(76)가 결합하게 함으로써 좀 더 안정적으로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adjuster 76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elastic member 53, as shown in Figures 3 to 5 constitute a bracket 78 to the fixed support 93, the bracket 78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the rotating body (79) to rotate in combination with the through and through the through hole to adjust the pressure adjuster 76 may be made to work more stably.

좌판을 뒤쪽으로 회전하면; Rotating the seat backwards;

뒤쪽 어댑터(70)는 압력조절대(76)를 누르게 되고 압력조절대(76)는 아래쪽 고정지지대(93)에 뚫린 장공 아래로 자유롭게 통과하며 눌리게 된다. 이때 압력조절대(76)와 결합한 상부체(79a)가 아래로 눌리고, 상부체(79a)에 결합된 코일스프링이 눌리게 되어 탄성적으로 저항하게 된다. The rear adapter 70 is to press the pressure adjuster 76 and the pressure adjuster 76 is pressed down freely passing through the hole drilled in the lower fixed support (93). At this time, the upper body 79a coupled with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pressed downward, and the coil spring coupled to the upper body 79a is pressed to resiliently resist.

후방탄성부재(73)인 코일스프링(73)의 장착시에 좌판이 수평일 때에도 코일스프링이 처음부터 어느 정도 눌려서 탄성력이 잠재된 상태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spring is pressed to some extent from the beginning even when the seat plate is horizontal at the time of mounting the coil spring 73 which is the rear elastic member 73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latched.

후방기울임에 대응하는 후방에 구성된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 조절은 다음과 같다. 이 과정은 해당 탄성부재에 국한한 것으로서 탄성력 조절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The elastic force control of the elastic member having a rea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tilt is as follows. This process is limi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elasticity control is performed independently.

후방회전에 저항하는 후방탄성부재(73)로서 신축 탄성력을 이용한 신축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73)의 탄성력을 더 높이고자 할 때는 압력조절대(76)을 돌려서 압력조절대(76)에 나사결합한 상부체(79a)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하여 신축 코일스프링을 더 압축한다. 그러면 코일스프링의 복원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좌판을 뒤쪽으로 회전하여 누를 때 좀 더 강한 힘으로 저항하게 된다. When it is desired to further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73 which is a stretchable elastic member using the stretching elastic force as the rear elastic member 73 that resists the backward rotation,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76 is rotated and screwed to the pressure adjusting member 76 The upper body 79a is lowered to further compress the expansion coil spring. Then, the restoring pressure of the coil spring is increased, so that the seat plate is rotated backward and pressed with a stronger force when pressed.

물론 초기 탄성력을 줄일 때는 압력조절대(76)을 돌려서 압력조절대(76)에 결합한 상부체(79a)가 위쪽으로 올라오게 한다.Of course, when the initial elastic force is reduced,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body 79a coupled to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raised upward.

여기서 압력조절대(76)는 돌리더라도 제자리에서 도는 것이므로 압력조절대(76) 자체는 위나 아래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때 압력조절대(76)에 나사결합한 상부체(79a)는 나사결합 때문에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체에 일단이 지지된 신축탄성부재를 누르거나 풀어주게 됨으로써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게 된다.
Here, since the pressure regulating block 76 is turned even if it is turned, the pressure regulating block 76 itself does not move up or down. However, at this time, the upper body (79a) screwed to the pressure adjuster 76 is moved up and down due to the screw coupling, thereby pressing or releasing the elastic elastic member supported on one end to the upper body to thereby redu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ill be adjusted.

압력조절대(76)의 손잡이(77)을 돌릴 때 본 예에서는 상부체(79a) 역시 마찰 때문에 같이 돌 수 있다. 따라서 돌릴 때 상부체(79a)는 잡아서 돌지 못하게 하고 압력조절대(76)의 손잡이(77)를 돌려서 상부체(79a)만 위나 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When the knob 77 of the pressure regulator 76 is turned, the upper body 79a can also be turned by the friction due to friction. Therefore, the upper body 79a is prevented from being held by the upper body 79a when rotated, and the upper body 79a is moved upward or downward by turning the knob 77 of the pressure adjusting belt 76.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잡는 것이 불편하다면 도 1 ~ 도 4에서 보이듯이, 한쪽 끝은 상부체(79a)에 고정하고 타단은 자유롭게 돌 수 있게 한 고정링크(79b)를 수평축(91)에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If it is inconvenient to hold the upper body (79a) not to turn, as shown in Figures 1 to 4,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body (79a) and the other end fixed link (79b) on the horizontal axis (91) Can also be configured by inserting.

또는 2개의 상부체(79a)를 서로 연결하면 간단히 돌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로 구성한 코일스프링(73)의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게 하기 위해서는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Alternatively, the two upper bodies 79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imply prevent turning. However, in order to be able to adjust the pressure of a plurality of coil springs 73 composed of a plurality, it is good to configure separately.

다른 방법으로도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할 수 있으며, 그러나 초기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체(79a)를 이동하는 과정은 자주 있는 과정도 아니므로, 그냥 수동으로 상부체(79a)가 돌지 못하게 잡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Alternatively, the upper body 79a may be prevented from rotating, but the process of moving the upper body 79a to adjust the initial elastic force is not a frequent process, and thus, the upper body 79a may be manually turned. Holding it is the simplest way.

상기 전방탄성부재(53)와 후방단성부재(73)의 예로 신축코일스프링(53)을 예시하였으나 신축탄성을 가지는 탄성블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elastic coil spring 53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front elastic member 53 and the rear end member 73, an elastic block having elastic elasticity may be used.

전방회전에 관여하는 탄성부재와 후방회전에 관여하는 탄성부재는 전후방 회전을 일으키는 외력의 크기가 다름을 고려하여 탄성부재의 초기탄성력과 탄성계수가 각각 다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itial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member involved in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elastic member involved in the rearward rot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causing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좌판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할 때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작동 모습의 한 예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좌판(15)이 후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전방 탄성부재는 전방에 구성된 어댑터(70)에서 유리되고, 좌판이 전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에는 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후방에 구성된 탄성부재는 후방 어댑터(70)에서 유리되어 서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2, the seat plate 15 is rotated backward 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elastic member that acts in response to the forward rotation and the rear rotation when the seat plate rotates forward or backward. In this case, the front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forward rotation is released from the adapter 70 configured at the front, and when the seat plate is rotated forward, the elastic member configured in the rear acting in response to the rear rotation is released at the rear adapter 70. It does not affect each other.

즉, 좌판이 전방으로 회전할 때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는 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반대로 좌판이 후방으로 회전할 때 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는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That is, the elastic member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forward rotation when the seat is rotated forward acts independently of the elastic member act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ckward rotation; Conversely, when the seat back is rotated backward, the elastic member act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backward rotation acts independently of the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forward rotation.

그러나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는 필요한 탄성력이 후방회전 탄성부재에 비해 크지 않아도 되므로 굳이 독립적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다. 따라서 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는 좌판이 후방으로 회전할 때, 도 6과 같이 구성하여 후방회전 탄성부재와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forward rotation does not have a big problem even if it does not need to be configured independently because the required elastic force does not have to be large compared to the rear rotation elastic member. Therefore, when the seat plate rotates to the rear, the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front rota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6 to be interlocked with the rear rotation elastic member.

하지만, 전방회전시 후방회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탄성부재는 전방회전과 독립하여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rear rotation during the forward rotation acts independently of the forward rotation.

한편, 본 예에서 후방회전이나 전방회전에서 같은 역할을 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인장과 압축의 같은 형식의 탄성부재들로 구성하였으나, 인장과 압축을 혼합하여 구성하거나 코일스프링 외의 탄성블럭 등 서로 다른 타입의 탄성부재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to play the same role in the rear rotation or the forward rotation, but in this case composed of the elastic members of the same type of tension and compression, it is composed of a mixture of tension and compression or other than the coil spring It may be configured by mixing different types of elastic members such as elastic blocks.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좌판을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의자 사용자는 이 힘에 계속적으로 저항하여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는 또 다른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일이다. When the seat is rotated forward or back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force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ontinuously acts. Therefore, the chair user must continuously resist this force and balance. This is another stressful thing.

이에, 도 1 ~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91)에 동심으로 고정지지대(93)에 브레이크틀(83)을 고정하여 구성하였고, 이 브레이크틀(83)에 브레이크를 작용하는 브레이크장치는 좌판의 경사를 고정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to 6, the brake frame 83 is fixed to the fixed support 93 concentrically with the rotation shaft 91, and the brake device acting on the brake frame 83 has a seat plate. Fix the slope of the.

도 1 ~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브레이크틀(83)을 원형으로 구성한 것은 좌판의 큰 회전에 대응하도록 한 것이다. 이 브레이크틀(83)은 완전한 원형이 아니어도 상관없으며 반원형이어도 상관없다. 좌판의 상당한 회전에 대응할 정도의 형태이면 되는 것이며,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원형이 아니어도 상관없는 것으로 좌판의 회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는 의자의 고정부분에 고정되고 회전의 경로상에 구성되는 모양이면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6, the brake frame 83 has a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 large rotation of the seat plate. This brake frame 83 may or may not be a perfect circular shape and may be a semicircular shape. It may be a shape that corresponds to a considerable rotation of the seat plate, and the shape may be formed on the path of rotation and fixed to a fixed part of the chair that does not rotate relatively to the seat plate rotation, even if the edge is not a smooth circle. .

좌판의 고정은 상기 브레이크틀(83)에 앞뒤로 회전하는 좌판에 구성된 브레이크장치의 작동부분이 브레이크틀에 밀착, 압착하여 그 회전이 고정되게 된다. The fixing of the seat plate is such that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brake device configured in the seat plate to rotate back and forth to the brake frame 8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frame, the rotation is fixed.

도 7, 도 8에 좌판에 고정된 브레이크장치의 부분을 보였다.
여기서 브레이크대(82)는 구성을 가리지 않도록 캠(85) 근처에서 절단하여 나타내었다. 도 8에서 좌우 그림의 변화를 명확히 하기 위해 화살표를 부가하였다.
7 and 8 show a part of the brake device fixed to the seat plate.
Here, the brake stand 82 is shown cut off near the cam 85 so as not to block the configuration. In FIG. 8, arrows are added to clarify the change in the left and right pictures.

브레이크장치는 좌판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구성한 브레이크틀(83)을 포함하며; 좌판에 고정한 브레이크케이스(84)와; 브레이크케이스에 결합하여 브레이크틀에 밀착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한다.The brake device includes a brake frame (83) configured concentrically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seat plate; A brake case 84 fixed to the seat plate; And a brake pad coupled to the brake cas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frame.

브레이크틀에 밀착, 압착하도록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도 7, 도 8에는 캠을 이용하는 구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캠을 이용하는 구성 외에 나사로서 전후진 하는 방법도 있으나, 나사로서 전후진 하는 방법도 180도 이내에서 회전하는 것에 국한하면 바로 캠의 작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캠이라 하면 180도 이내에서 작동하는 나사에 의한 캠을 포함한다. There are various ways to make i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frame and press it. 7 and 8 show a configuration using a cam.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using a cam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 method of advancing and retracting as a screw. However, the method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s a screw can also be said to be the action of a cam only when it rotates within 180 degre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m includes a cam by a screw operating within 180 degrees.

브레이크틀에 밀착하는 부분으로서는 상기한 캠이 직접 접촉하게 할 수도 있으며 캠이 브레이크틀(83)에 밀착하는 패드를 밀어서 밀착하게 할 수도 있다. The above cam may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rake mold, or the cam may push the pad closely to the brake mold 83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mold.

본 예에서는 패드를 매개하는 방법이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등 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도 7, 도 8에 그와 같은 구성을 보였다. In this example,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of mediating the pad is more preferable, such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and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S. 7 and 8.

도 7, 도 8의 작동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Figures 7 and 8 as follows.

브레이크대(82)를 회전하면, 이에 결합된 캠(85)에 의해 브레이크패드(81, 120)가 서로 접근하고 그러면 두 브레이크패드(81, 120)사이에 위치한 브레이크틀(83)에 밀착, 압착되어 좌판의 경사가 고정되게 된다. 즉, 브레이크장치는 좌판의 회전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부분인 브레이크틀(83)에 밀착, 압착하도록 하여 브레이크 작용을 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이다. When the brake pedal 82 is rotated, the brake pads 81 and 12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cam 85 coupled to the brake pedal 82 and then contacted with the brake mold 83 located between the two brake pads 81 and 120, And the inclination of the seat is fixed. That is, the brake device includes a cam which performs a brake action by bringing the brake devic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frame 83, which is a fixed part, without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고정을 위해 브레이크패드가 브레이크틀에 밀착, 압착하는 정도는 브레이크틀(83)과 브레이크패드(81, 120) 접촉면의 요철, 거칠기와 재질을 조절함으로써 고정에 필요한 정도의 밀착,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The degree of adhesion of the brake pad to the brake pad for fixing may be controlled to adjust the degree of adhesion and the pressing force necessary for fixing by adjusting the unevenness, roughness, and material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rake pad 83 and the brake pads 81 and 120. .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경사조절장치는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The above-described chair inclina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mbodi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등판 2: 지지체 15: 좌판
53: 전방탄성부재 57: (인력조절자)핸들 58: 지지대
70: 어댑터 73: 후방탄성부재 76: 압력조절대
76a:압력조절자 77: 손잡이 78: 브래킷
79: 회전틀 79a: 상부체 79b:고정링크
82: 브레이크대 83: 브레이크틀 84: 브레이크케이스
85: 캠 81, 120: 브레이크패드
90: 좌판지지재 91: 수평축 92: 의자 구조체
93: 고정지지대 94: 높이조절레버
1: back plate 2: support 15: seat plate
53: front elastic member 57: (human adjuster) handle 58: support
70: Adapter 73: Rear elastic member 76: Pressure regulator
76a: pressure adjuster 77: handle 78: bracket
79: rotating frame 79a: upper body 79b: fixed link
82: Brake base 83: Brake frame 84: Brake case
85: Cam 81, 120: Brake pad
90: seat plate supporting member 91: horizontal axis 92: chair structure
93: Fixing support 94: Height adjustment lever

Claims (9)

좌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좌판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의자에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구성한 수평축부재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좌판 하부에 고정되는 좌판지지재(9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축부재를 회전축으로 좌판을 의자의 앞뒤로 기울일 수 있으며; 좌판의 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와; 좌판의 후방기울임에 대응하여 작용하는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기울임에 대응하는 신축탄성부재는, 독립적으로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신축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좌판의 회전을 고정하는 브레이크장치는 좌판의 회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부분인 브레이크틀(83)에 작용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경사조절장치.
A seat panel tilt adjust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tilt of a seat,
And a seat support member (90) having one end supported by a horizontal shaft member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hai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eat lower portion; The seat can be inclin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at by means of the rotary shaft; An elastic elastic member acting in response to the front tilt of the seat plate; It includes an elastic elastic member that acts in response to the rear tilt of the seat plate; The elastic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to the rear tilt includes an elastic elastic member that can independently adjust the elastic force; The brake device for fixing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m acting on the brake frame (83) which is a relatively fix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seat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항에 있어서, 구성된 신축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신축탄성부재는, 압력조절대(76)와 나사결합하고 신축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상부체(79a)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신축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경사조절장치.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elastic elastic member of the constructed elastic elastic member is moved up and down by screwing up and down the upper body 79a supporting one end of the elastic elastic member. Seat til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장치는 좌판에 고정한 브레이크케이스(84)와; 브레이크케이스에 결합하여 브레이크틀에 밀착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경사조절장치.
The brak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4, further comprising: a brake case (84) fixed to the seat; And a brake pad which is coupled to the brake cas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frame.
KR1020110125857A 2011-11-29 2011-11-29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KR101232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57A KR101232984B1 (en) 2011-11-29 2011-11-29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57A KR101232984B1 (en) 2011-11-29 2011-11-29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984B1 true KR101232984B1 (en) 2013-02-13

Family

ID=4789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857A KR101232984B1 (en) 2011-11-29 2011-11-29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98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16B1 (en) * 2013-06-05 2015-06-01 박영호 Tilting Device of Chair
KR101920533B1 (en) * 2016-08-05 2018-11-20 박천승 A reclining chair with a rol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1752A2 (en) * 1979-12-28 1981-07-08 Thomson-Csf Stationary-targets cancellation device for electronic detection equipment and detection equipment with a digital filter comprising such a device
JP2002119362A (en)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Multipurpose chair
JP4294132B2 (en) 1998-11-30 2009-07-08 株式会社内田洋行 Chair recliner
JP2010046156A (en) 2008-08-19 2010-03-04 Mutsumi Giken Kk Raising/lowering mechanism which can move vertical base up and dow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1752A2 (en) * 1979-12-28 1981-07-08 Thomson-Csf Stationary-targets cancellation device for electronic detection equipment and detection equipment with a digital filter comprising such a device
JP4294132B2 (en) 1998-11-30 2009-07-08 株式会社内田洋行 Chair recliner
JP2002119362A (en) 2000-10-18 2002-04-23 Ikeuchi Tekko Kk Multipurpose chair
JP2010046156A (en) 2008-08-19 2010-03-04 Mutsumi Giken Kk Raising/lowering mechanism which can move vertical base up and dow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16B1 (en) * 2013-06-05 2015-06-01 박영호 Tilting Device of Chair
KR101920533B1 (en) * 2016-08-05 2018-11-20 박천승 A reclining chair with a 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093A (en) Work chair
US7695067B2 (en) Ergonomic adjustable chair
CA1042336A (en) Seat backrest having an adjustable lumbar support
US8550558B2 (en) Chair with tilting backrest
EP1328176B1 (en) Armchair with variable position
US20100301652A1 (en) Back Rest for a Stool or a Chair, and Stool or Chair Provided with such a Back Rest
KR20190044580A (en) Chair structure and chair
JP5313167B2 (en) Chair (improved type)
US9277821B2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CN108371436B (en) Elastic seesaw type free tilting mechanism and free adjusting swivel chair
US6485443B1 (en) Seating products with self powered dynamic massage units
JP2013528101A (en) Chair
KR101839782B1 (en) Device for tilting the lumbar support of chair seat back
CA2053584A1 (en) Chair seat mounting mechanism
JP2003024175A (en) Support mechanism for backrest of chair
KR101232984B1 (en)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KR20170004293U (en)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KR20140068348A (en)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KR20120005993A (en) Backrest chair
KR101367001B1 (en)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KR101133846B1 (en) Tilting control system for chair
KR101576968B1 (en) Back assembly for chair
KR101092785B1 (en) Chair
KR20110135782A (en) Ergonomic chair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posture
KR102293114B1 (en) A chair with an elastic tilting back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