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295B1 -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 Google Patents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295B1
KR101232295B1 KR1020110127883A KR20110127883A KR101232295B1 KR 101232295 B1 KR101232295 B1 KR 101232295B1 KR 1020110127883 A KR1020110127883 A KR 1020110127883A KR 20110127883 A KR20110127883 A KR 20110127883A KR 101232295 B1 KR101232295 B1 KR 10123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ipe
sleeve
finishing material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임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호 filed Critical 임장호
Priority to KR1020110127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flame-retardant finishing material for supporting a pipe is provided to prevent the diffusion of a fire as the finishing material is press-fitted into a sleeve by forcibly fitting the finished material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ipe. CONSTITUTION: A flame-retardant finishing material(100) for supporting a pipe comprises a metal brushing material(150f). The busing material has an outer diameter in correspondent to the inner diameter of a body(110f) and a thickness of 0.1-1 mm. A cut line(130f) is formed in the bushing material. When the finishing material is extended, a slip is generated in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metal pip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ushing material.

Description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본 발명은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도록 일체 성형하여 된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매립되는 슬리브의 내부에 상하로 억지 끼움을 통해 중심부를 관통하는 배관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material for supporting flame retardant pipes, and more particularly, in a sleeve embedded on a concrete slab integrally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lexible disk-shaped gasket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on a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It relates to a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that can support and fix the pipe passing through the center by pressing up and down.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을 건축할 때에는 환기를 위한 환기용 배관, 가스 공급을 위한 가스용 배관,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온수용 배관 및 오수와 하수 등을 배수하기 위한 오수관과 같은 배관이 벽체나 슬라브(slab)를 관통하여 설치되어진다.Generally, when building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or an apartment, a ventilation pipe for ventilation, a gas pipe for gas supply, a cold / hot water pipe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and a sewage pipe for draining sewage and sewage Piping, such as is installed through the wall or slab (slab).

전술한 바와 같은 배관을 설치함에 있어 먼저, 슬라브(slab) 공사시 그 두께 면에 이를 관통하는 원통 상의 합성수지재 슬리브(sleeve)를 매설한 다음,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슬리브가 양생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매립되도록 한 상태에서 매립된 슬리브의 중심을 통해 배관을 설치하게 된다.In installing the pipes as described above, first, in the slab construction, a cylindrical plastic sleeve that penetrates through the thickness thereof is embedded, and then the concrete mortar is poured on the concrete slab where the sleeve is cured. The pipe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uried sleeve in the buried stat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가 양생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매립되도록 한 상태에서 매립된 슬리브의 중심을 통해 배관을 설치한 다음에는 슬리브의 내경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미장이나 우레탄 폼을 통해 충진하여 슬리브의 내경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를 마감하였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ipe is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uried sleeve while the sleeve is buried on the cured concrete slab, the spa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is filled with plaster or urethane foam. To clos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기술은 슬리브가 양생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매립되도록 한 상태에서 매립된 슬리브의 중심을 통해 배관을 설치하여 슬리브의 내경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미장이나 우레탄 폼의 충진을 통해 마감하기 때문에 슬리브의 내경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이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stalls a pipe through the center of the buried sleeve in a state in which the sleeve is buried on the cured concrete slab so that a plaster or urethan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Due to the filling of the foam,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layer noise occurs becaus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is not completely seal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기술은 슬리브가 양생되는 콘크리트 슬라브 상에 매립되도록 한 상태에서 매립된 슬리브의 중심을 통해 배관을 설치하여 슬리브의 내경과 배관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미장이나 우레탄 폼의 충진을 통해 마감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에 슬리브 내경이 화공 역할을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stalls a pipe through the center of the buried sleeve in a state in which the sleeve is buried on a cured concrete slab, so that a plaster or urethan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Due to the filling of the foam, there was a problem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acts as a chemical process when a fire occurs.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재 발생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건축법의 개정을 통해 슬리브 하부측을 1100℃에 2시간 이상 가열시 이를 견딜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슬리브 하부측을 1100℃에 2시간 이상 가열시 슬리브 상부측은 181℃ 이상으로 온도가 오르지 않도록 난연제를 사용해야 하는 법률개정이 이루어졌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 fire occurring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art of the sleeve should be able to withstand this when heated to 1100 ° C. for more than 2 hours through amendment of the building law. A legal revision was made to use a flame retardant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rising to over 181 ° C on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after heating for 2 hours or mor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법률개정에 따라 슬리브 하부측을 1100℃에 2시간 이상 가열시 이를 견딜 수 있거나 슬리브 상부측이 181℃ 이상으로 온도가 오르지 않도록 하는 난연제의 마감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legal amendment, a flame retardant finish that can withstand this when he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leeve at 1100 ° C. or more for 2 hours or prevents the temperature from rising to more than 181 ° C. above the sleeve is not used.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연제가 함유된 재료를 통해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화재 발생시에 슬리브의 화공을 방지하여 슬리브를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flexible disk-shaped gaske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through a material containing a flame retardant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f the pi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that prevents the spread of fire through the sleeve by preventing pressurization of the sleeve in the event of a fire by press-fitting through the sleeve by fitt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슬리브를 통한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y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in the disk shape gasket having a flexible disk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by press-fitting through the sleeve in the stat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It is to prevent the interlayer noise through the sleev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기구없이도 배관을 지지(행거기능)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fit through the fitting in the sleeve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y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in a disk-shaped gasket having a flexible disc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This allows the pipe to be supported (hanger function) without a separate mechanism.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마감재가 결합되는 배관 부위의 보온효과가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in the disk shape gasket having a flexible disc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hrough the press fit through the sleeve by pressing the closing material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pipe portion is coup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되 가스켓의 직경을 슬리브의 내경에 비해 크게 성형하여 어떠한 사이즈의 슬리브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k-shaped gasket having a flexible disc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but the diameter of the gasket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to form any sleeve Its purpose is to make it applicab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하되 내경은 상기 배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성형된 난연성 합성수지재의 바디 및 상기 바디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바디 외주면에 유연한 원반 형태로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일체 성형된 다수의 가스켓이 구비되는 난연성 마감재가 건축물의 슬라브(slab) 공사시 두께 면에 매설된 원통 상의 합성수지재 슬리브(sleeve)의 내경을 통해 설치되는 배관의 외주면과 상기 슬리브 내경면 사이를 밀폐시켜 방화벽을 형성하며, 상기 난연성 마감재의 재질은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고, 성형된 상기 난연성 마감재의 바디와 가스켓의 일측에는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 상에 벌려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절개라인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개라인은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 에스(S)자형 구조, 톱니 형태의 구조, 일자형 구조 및 요철 구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과 두께 0.1∼1mm의 파이프 형태 및 상기 절개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절개라인이 형성된 금속재의 부싱재가 구성되어지되 금속 배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시 상기 금속 배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싱재 내주면 사이에 슬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olded into a cylindrical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but the inner diameter is made of a body of the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formed in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body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flame-retardant finishing material,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askets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m of a flexible disk, is installed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a cylindrical synthetic resin sleeve embedded in the thickness of the building slab. A firewall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leeve inner diameter surface to form a firewall, and the material of the flame retardant finish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which is mixed at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hardener in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gasket of the flame-retardant finish formed,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utting line is formed to be ope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ut the cutting line is any one of a quadrilateral wave-shaped structure, an S-shaped structure, a toothed structure, a straight structure, and an uneven structure. In the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made in the form of,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and a bushing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ipe shape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 mm and a cutting lin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utting line are configured, 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when stretch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etal pipe By providing a finish for supporting a flame-retardant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p is mad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shing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난연제가 함유된 재료를 통해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화재 발생시에 슬리브의 화공을 방지하여 슬리브를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aterial containing the flame retardant to form a gasket having a flexible disk-shaped gaske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integrally molded to the sleeve in the stat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y press-fitting throug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through the sleeve by preventing the cavitation of the sleeve in the event of a fir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슬리브를 통한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ized coupling through a press fit to the sleeve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by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in a disk-shaped gasket having a flexible disk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interlayer noise through the sleev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효과로는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기구없이도 배관을 지지(배관 행거기능)할 수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 the through-fitting into the sleeve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by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in a disk-shaped gasket having a flexible disk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By combining, the pipe can be supported (pipe hanger function) without any mechanism.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여 배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슬리브에 억지끼움을 통해 압입 결합함으로써 마감재가 결합되는 배관 부위의 보온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lly molding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formed in the disk shape gasket having a flexible disc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through the press fit through the sleeve by pressing the closing materia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pipe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is expres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원통형의 바디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마감재를 일체 성형하되 바디는 슬리브의 가스켓의 직경을 슬리브의 내경에 비해 크게 성형함으로써 가스켓의 유연성을 통해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어떠한 사이즈의 슬리브에도 마감재를 적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lly molded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k-shaped gasket having a flexible disk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the body is formed by forming the diameter of the gasket of the sleev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The flexibility allows the press to be made so that the finish can be applied to any size sleev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절단부위를 벌려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b 는 도 7a 의 단면 구성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b 는 도 8a 의 단면 구성도.
도 9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4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b 는 도 9a 의 단면 구성도.
도 9c 는 도 9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d 는 도 9c 의 단면 구성도.
도 9e 는 도 9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f 는 도 9e 의 단면 구성도.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5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b 는 도 10a 의 단면 구성도.
도 10c 는 도 10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d 는 도 10c 의 단면 구성도.
도 10e 는 도 10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f 는 도 10e 의 단면 구성도.
도 11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6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b 는 도 11a 의 단면 구성도.
도 11c 는 도 11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d 는 도 11c 의 단면 구성도.
도 11e 는 도 11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f 는 도 11e 의 단면 구성도.
도 12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7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b 는 도 12a 의 단면 구성도.
도 12c 는 도 12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d 는 도 12c 의 단면 구성도.
도 12e 는 도 12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f 는 도 12e 의 단면 구성도.
도 13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8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b 는 도 13a 의 단면 구성도.
도 13c 는 도 13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d 는 도 13c 의 단면 구성도.
도 13e 는 도 13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f 는 도 13e 의 단면 구성도.
도 14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9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4b 는 도 14a 의 단면 구성도.
도 14c 는 도 14a 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cut open por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7A;
Figure 8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A.
Figure 9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9A;
9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9A.
9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9C.
Figure 9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9a.
Fig. 9F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9E.
Figure 10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A.
FIG. 10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0A; FIG.
10D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0C.
Figure 10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0a.
Fig. 10F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0E.
Figure 11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A. FIG.
FIG. 11C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1A; FIG.
11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1C.
FIG. 11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1A; FIG.
Fig. 11F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1E.
Figure 12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A.
12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A.
12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2C.
12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A.
Fig. 12F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2E.
Figure 13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3A;
FIG. 13C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3A; FIG.
13D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3C.
FIG. 13E is a perspective schematic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3A; FIG.
Fig. 13F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3E.
14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ing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4A.
Fig. 14C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Fig. 14A;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1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절단부위를 벌려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utting por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원통형의 바디(110) 외주면에 유연성이 있는 원반 형태의 가스켓(120)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일체 성형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배관(30)의 외주면 상에 끼워진 상태로 건축물의 벽체 내부나 바닥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매립되는 슬리브(20)의 내부에 상하로 억지끼움되어지되 억지끼움에 의해 가스켓(120) 부위가 유연하게 휨이 발생되면서 슬리브(20)의 내경면에 밀착 고정되어 슬리브(20)의 중심 내경에 배관(30)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1 to 6,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disk-shaped gasket 120 having a flexible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110 is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to b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and the inside of the sleeve 20 embedded on the concrete slab 10 constituting the wall or the bottom of the building. While being pressed up and down on the gasket 120, the gasket 120 is flexibly flexed by the tight fit and tightly fixed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sleeve 20 so that the pipe 30 is supported by the central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will b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된 난연성 합성수지재의 바디(110), 바디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바디 외주면에 유연한 원반 형태로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일체 성형된 가스켓(120) 및 바디(110)와 가스켓(120)의 일측을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절개하여 배관(30)의 외주면 상에 벌려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절개라인(1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That i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110, the body of the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but integrally mold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in a flexible disk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he gasket 120 and the body 110 and one side of the gasket 120 ar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made of a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line 130 to be inse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원통형의 바디(110)와 바디(110) 외주면에 원반 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가스켓(120)을 동일 재질을 통해 일체로 성형한 다음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여 바디(110)와 가스켓(120)의 일측을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라인(130)을 형성한 구조이다.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ylindrical body 110 and a gasket 120 formed in a disc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through the same material. Then, the mold is demolded from the mold to cut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the gasket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the cutting line 1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의 바디(110) 외경은 슬리브(20)의 내경에 비해 작고, 바디(110)의 내경은 배관(3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가스켓(120)의 직경은 슬리브(20)의 내경에 비해 크게 성형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of the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lded as described above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110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30 Molded into a diameter corresponding to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gasket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외경은 슬리브(20)에 비해 작게 성형하는 한편, 가스켓(120)의 직경은 슬리브(20)의 내경에 비해 크게 성형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를 배관(30)의 외주면 상에 끼운 상태에서 슬라브(10) 상에 매설된 슬리브(20)의 내경에 바디(110)의 삽입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스켓(120)이 유연하게 휨이 발생되면서 슬리브(20)의 내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leeve 20, while the diameter of the gasket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to support the flame-retardant pip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gasket 120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embedded on the slab 10 while the 100 is inse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This is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sleeve 20 while the flexible flexure occurs.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의 상하에서 대향되게 압입되어 배관(30)을 지지함으로써 배관 행거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20)의 상하에서 대향되게 압입되는 각각의 최하부측 가스켓(120)은 슬리브(20)의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여 슬리브(2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Of cours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essed against the top and bottom of the sleeve 20 as shown in Figure 6 to support the pipe 30 to function as a pipe hanger. . In this case, each of the lowermost gaskets 120 press-fitt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eeve 20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leeve 20 to seal the inside of the sleeve 20.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디(110)는 배관(30)의 외주면에 밀차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11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10) 상에 매설되는 슬리브(20)의 상하로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를 압입 결합하기 위해 바디(110)의 길이를 슬리브(20) 길이의 절반 또는 절반 이하의 길이로 성형하였다.Referring to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First, the body 11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30 closely, such a body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body 110 is half or half the length of the sleeve 20 in order to press-fit the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leeve 20 embedded on the concrete slab 10. It was molded to the following length.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되는 바디(110)의 내경은 배관(3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성형되어지되 바디(110)의 외경은 슬리브(20)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11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30,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is made of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의 내경은 배관(3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성형하는 것은 바디(110) 부분이 배관(30)의 외주면 상에 밀착되게 끼워져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바디(110)의 외경을 슬리브(20)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성형하는 것은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를 슬리브(20) 상에 압입시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11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30 so that the body 110 is tightly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so that the gap does not open. . In addition, mol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to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may facilitate inser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 onto the sleeve 20 when press-fitted. .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스켓(120)은 배관(30) 외주면과 슬리브(20)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가스켓(12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 원주면에 유연한 원반 형태로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일체 성형된다.Next, the gasket 12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al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20, such a gasket 120 is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1 to 6. ) It is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in the form of a flexible disk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켓(120)은 본 발명에서는 바디(110) 원주면에 유연한 원반 형태로 3개가 형성되도록 하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 가스켓(12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성형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3개의 가스켓(120)을 최상위보다는 중간의 가스켓 직경이 크고, 중간 가스켓에 비해 최하부측 가스켓 직경이 크게 성형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ket 120 is configured as three in the form of a flexible disk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but the diameter of the gasket 120 is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gasket 12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gaskets 120 have a larger gasket diameter than the uppermost one, and have a larger bottom gasket diameter than the middle gaske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 가스켓(12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성형하였다고 하더라도 최상위의 가장 작은 가스켓(120)의 직경은 슬리브(20)의 내경에 비해서는 큰 직경으로 성형된다. 이때, 최하위의 가스켓(120)은 슬리브(20)의 내부로 압입되는 것이 아니라 슬리브(120)의 상단과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슬리브(20)의 상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중간이나 최상위의 가스켓(120)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성형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diameter is formed small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gasket 120, the diameter of the smallest gasket 120 of the uppermost is formed into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In this case, the lowermost gasket 120 is not press-fitted into the sleeve 20, but should be able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leeve 2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leeve 120. Compared to the gasket 120, the thickness is formed to be thick.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가스켓(120)은 최하부측을 제외한 상부측이 슬리브(20)의 내부로 압입된다. 이처럼 슬리브(20)의 내부로 압입되는 가스켓(120)은 압입 방향에 대해 후향의 사선 방향으로 휨이 발생되어 밀착됨으로써 슬리브(20) 내경과 바디(110)의 외경 사이를 밀폐시켜 결국 슬리브(20)의 내경과 배관(30)의 외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In the gasket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ide except the lower side is press-fit into the sleeve 20. As such, the gasket 120 press-fitted into the sleeve 20 is warped in an oblique direction in a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fitting direction so that the gasket 120 seals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2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0, thereby eventually closing the sleeve 20. It is to seal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30).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절개라인(130)은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를 배관(30)의 외주면 상에 끼우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절개라인(13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와 가스켓(120)의 일측을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절개하여 배관(30)의 외주면 상에 벌려 끼울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utting line 1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ndwich the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this cutting line 130 is shown in Figures 1 to 6 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the gasket 120 ar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sp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절개라인(130)은 도 1 내지 도 8 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 도 9a 내지 도 9f 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에스(S)자형 구조, 도 10a 내지 도 10f 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톱니 형태의 구조 및 도 11a 내지 도 11f 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일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cutting line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quadrangle-shaped waveform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8, and an S-shaped structure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9A to 9F. It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tructure as in the embodiment of 10a to 10f and a straight structure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s 11a to 11f.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와 가스켓(120) 및 절개라인(130)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실리콘에 난연제와 경화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다. 즉,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nfiguration of the body 110 and the gasket 120 and the incision line 130 as described above is a composition composed of a flame retardant and a hardener in a predetermined ratio in silicon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That is, the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 is molded through a flame-retardant composition mixed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the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curing agent to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에 난연제와 경화제가 일정 비율로 혼합 조성된 재질을 통해 성형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난연제로 인하여 1100℃에서도 2시간 이상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처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대체적으로 금속재 배관(30)에 적용되어 금속재 배관(30)의 외주면과 슬리브(20)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켜 화재 발생시 아래층의 열이 윗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olded through a material in which a flame retardant and a curing agent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is manufactured to withstand 2 hours or more even at 1100 ° C. due to the flame retardant.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applied to the metal pipe 30 to seal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20 so that the heat of the lower layer may occur in case of fire. This prevents the diffusion to the upper layer.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b 는 도 7a 의 단면 구성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b 는 도 8a 의 단면 구성도이다.Figure 7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ure 7a, Figure 8a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8A.

도 7a 및 도 7b 에 따른 실시 예의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실시 예의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같이 바디(110)와 가스켓(120) 및 절개라인(130)의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나 바디(110)의 내경면 상에 길이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리브(140a)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할 수 있다.7A and 7B,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0 is the body 110, the gasket 120, and the cut line, lik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6. The configuration of the 130 is the same, but may be different in that a plurality of ribs 140a ar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

또한, 도 8a 및 도 8b 에 따른 실시 예의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실시 예의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같이 바디(110)와 가스켓(120) 및 절개라인(130)의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나 바디(110)의 내경면 상에 횡방향인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리브(140b)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8A and 8B also has a body 110 and a gasket 120 and the same a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6. The cutting line 13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but may be different in that a plurality of ribs 140b ar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horizontal direction transverse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a 및 도 7b 의 세로 방향 리브(140a) 또는 도 8a 및 도 8b 의 가로 방향 리브(140b)를 바디(110)의 내경면에 더 형성함으로써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를 슬리브(20)의 내경면 상에 압입시 세로 방향 리브(140a) 또는 가로 방향 리브(140b)가 배관(30)의 외주면에 일그러지면서 압박되어 바디(110)와 배관(30)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ongitudinal rib 140a of FIGS. 7A and 7B or the horizontal ribs 140B of FIGS. 8A and 8B are further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 to form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 When press-fitting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sleeve 20, the longitudinal ribs 140a or the horizontal ribs 140b are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0 to further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110 and the pipe 30. Let's go.

도 9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4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b 는 도 9a 의 단면 구성도, 도 9c 는 도 9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d 는 도 9c 의 단면 구성도, 도 9e 는 도 9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f 는 도 9e 의 단면 구성도이다.Figure 9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ure 9a, Figure 9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9a, Figure 9d 9C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9C, FIG. 9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9A, and FIG. 9F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9E.

도 9a 내지 도 9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a)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구성이나 재질 면에서 동일하나 절개라인(130a)의 형태가 다르다 할 수 있다.9A to 9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and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Similarly, in terms of configuration or material, the shape of the incision line 130a may be different.

다시 말해서, 도 9a 내지 도 9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a)는 바디(110a)와 가스켓(120a) 및 절개라인(130a)의 구성면에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절개라인(130a)의 형태에 있어 도 9a 내지 도 9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4 실시 예에서는 에스(S)자 형태로 이루어져 도 1 내지 도 6 의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와는 다르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a to 9f i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110a, the gasket 120a and the cutting line 130a in Figs.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a to 9f in the form of the incision line 130a, but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6 In the S (S) form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veform of the quadrilateral form of Figures 1 to 6 is formed.

물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도 9a 내지 도 9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a)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에 마찬가지로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어진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A to 9F is also flame retardant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the support finish 100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또한, 도 9a 내지 도 9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a)의 구성에서 바디(110a)의 내경면은 도 9a 및 도 9b 와 같이 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c 및 도 9d 와 같이 세로 방향의 리브(140a-1)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9e 및 도 9f 와 같이 가로 방향의 리브(140b-1)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a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a to 9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a may be formed of a minja as shown in FIGS. 9a and 9b. 9C and 9D, the ribs 140a-1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ibs 140b-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S. 9E and 9F. It may be.

도 10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5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b 는 도 10a 의 단면 구성도, 도 10c 는 도 10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d 는 도 10c 의 단면 구성도, 도 10e 는 도 10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f 는 도 10e 의 단면 구성도이다.Figure 10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b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ure 10a, Figure 10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0a, Figure 10d 10C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0C, FIG. 10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0A, and FIG. 10F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0E.

도 10a 내지 도 10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b)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구성이나 재질 면에서 동일하나 절개라인(130b)의 형태가 다르다 할 수 있다.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b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A to 10F is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in terms of configuration or material, the shape of the incision line 130b may be different.

다시 말해서, 도 10a 내지 도 10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b)는 바디(110b)와 가스켓(120b) 및 절개라인(130b)의 구성면에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절개라인(130b)의 형태에 있어 도 10a 내지 도 10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5 실시 예에서는 톱니의 형태로 이루어져 도 1 내지 도 6 의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와는 다르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b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A to 10F is illustrat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110b, the gasket 120b, and the cut line 130b.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0a to 10f in the form of the incision line 130b is made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6 In the form of the sawtooth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veform of the quadrilateral shape of Figures 1 to 6 is formed.

물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0a 내지 도 10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b)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에 마찬가지로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어진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b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A to 10F is also flame retardant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the support finish 100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또한, 도 10a 내지 도 10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b)의 구성에서 바디(110b)의 내경면은 도 10a 및 도 10b 와 같이 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0c 및 도 10d 와 같이 세로 방향의 리브(140a-2)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0e 및 도 10f 와 같이 가로 방향의 리브(140b-2)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b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A to 10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b may be formed of a minja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10C and 10D, the ribs 140a-2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ibs 140b-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S. 10E and 10F. It may be.

도 11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6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b 는 도 11a 의 단면 구성도, 도 11c 는 도 11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d 는 도 11c 의 단면 구성도, 도 11e 는 도 11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f 는 도 11e 의 단면 구성도이다.11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B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1A, FIG. 11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1A, and FIG. 11D. 11C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1C, FIG. 11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1A, and FIG. 11F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1E.

도 11a 내지 도 11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6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c)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구성이나 재질 면에서 동일하나 절개라인(130c)의 형태가 다르다 할 수 있다.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c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A to 11F is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in terms of configuration or material, the shape of the incision line 130c may be different.

다시 말해서, 도 11a 내지 도 11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6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c)는 바디(110c)와 가스켓(120c) 및 절개라인(130c)의 구성면에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절개라인(130c)의 형태에 있어 도 11a 내지 도 11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6 실시 예에서는 일자의 형태로 이루어져 도 1 내지 도 6 의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와는 다르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c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A through 11F is illustrated in FIGS. 1 to 11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110c, the gasket 120c, and the cut line 130c. Sixth embodiment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6 but in the form of the cutting line 130c as shown in Figure 11a to 11f In the form of the date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ructure in which the waveform of the quadrilateral form of Figures 1 to 6 is formed.

물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1a 내지 도 11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6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c)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에 마찬가지로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어진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c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A to 11F is also flame retardant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the support finish 100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또한, 도 11a 내지 도 11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6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c)의 구성에서 바디(110c)의 내경면은 도 11a 및 도 11b 와 같이 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c 및 도 11d 와 같이 세로 방향의 리브(140a-3)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1e 및 도 11f 와 같이 가로 방향의 리브(140b-3)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c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A to 11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c may be formed of a minjab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11C and 11D, ribs 140a-3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horizontal ribs 140b-3 may b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S. 11E and 11F. It may be.

도 12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7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b 는 도 12a 의 단면 구성도, 도 12c 는 도 12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d 는 도 12c 의 단면 구성도, 도 12e 는 도 12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2f 는 도 12e 의 단면 구성도이다.12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ing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B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2A, FIG. 12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A, and FIG. 12D. 12C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2C, FIG. 12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2A, and FIG. 12F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2E.

도 12a 내지 도 12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d)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구성이나 재질 면에서 동일하나 가스켓(120d)의 형태가 다르다 할 수 있다.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S. 12A to 12F is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S. 1 to 6. Likewise, the gasket 120d may be different in configuration or material.

다시 말해서, 도 12a 내지 도 12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d)는 바디(110d)와 가스켓(120d) 및 절개라인(130d)의 구성면에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가스켓(120d)의 형태에 있어 도 12a 내지 도 12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7 실시 예에서는 꽃잎의 형태로 이루어져 도 1 내지 도 6 의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진 가스켓(120)과는 다르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2A to 12F has a structure of the body 110d, the gasket 120d, and the cut line 130d. In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2a to 12f in the form of the gasket (120d), but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gasket 120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petal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of FIGS. 1 to 6.

물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2a 내지 도 12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d)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에 마찬가지로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어진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 100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2A to 12F is also flame retardant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the support finish 100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또한, 도 12a 내지 도 12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d)의 구성에서 바디(110d)의 내경면은 도 12a 및 도 12b 와 같이 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2c 및 도 12d 와 같이 세로 방향의 리브(140a-4)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2e 및 도 12f 와 같이 가로 방향의 리브(140b-4)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2A to 12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d may be formed of a minja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12C and 12D, the ribs 140a-4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ribs 140b-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S. 12E and 12F. It may be.

아울러, 도 12a 내지 도 12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7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d)의 절개라인(130d) 역시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 이외에도 에스(S)자형 구조, 톱니 형태의 구조 및 일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ut line 130d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d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2A to 12F also has an S-shaped structure and a sawtooth shape in addition to a quadrangle-shaped waveform. Of course, it can be formed of a structure and a straight structure of.

도 13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8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b 는 도 13a 의 단면 구성도, 도 13c 는 도 13a 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d 는 도 13c 의 단면 구성도, 도 13e 는 도 13a 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3f 는 도 13e 의 단면 구성도이다.13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ing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B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3A, FIG. 13C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3A, and FIG. 13D. 13C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3C, FIG. 13E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3A, and FIG. 13F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3E.

도 13a 내지 도 13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e)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구성이나 재질 면에서 동일하나 바디(110e)의 내경(112e)이 편심되어 있는 구조가 다르다 할 수 있다.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3A to 13F is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in terms of configuration or material,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112e of the body 110e is eccentric may be different.

다시 말해서, 도 13a 내지 도 13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e)는 바디(110e)와 가스켓(120e) 및 절개라인(130e)의 구성면에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바디(110e)의 내경(112e)이 일측으로 편심되어 도 1 내지 도 6 의 중심에 형성된 구조와는 다르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3A to 13F is illustrated in FIGS. 1 to 13 in term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110e, the gasket 120e, and the cut line 130e. 6, the inner structure 112e of the body 110e is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and formed in the center of FIGS. 1 to 6, similarly to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ructure.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e)의 내경(112e)이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구조의 도 13a 내지 도 13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e)는 배관(30)의 설치시 슬리브(2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경우에 적용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structure having an inner diameter 112e of the body 110e eccentrically form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S. 13A to 13F is a pipe 30. It can be applied to the case in which the eccentric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sleeve 20 at the time of installation.

그리고,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3a 내지 도 13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e) 역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에 마찬가지로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어진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3A to 13F is also flame retardant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6. Similarly, the support finish 100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또한, 도 13a 내지 도 13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e)의 구성에서 바디(110e)의 내경면은 도 13a 및 도 13b 와 같이 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3c 및 도 13d 와 같이 세로 방향의 리브(140a-5)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3e 및 도 13f 와 같이 가로 방향의 리브(140b-5)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3A to 13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body 110e may be formed of a minja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13C and 13D, ribs 140a-5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ribs 140b-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S. 13E and 13F. It may be.

아울러, 도 13a 내지 도 13f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8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e)의 절개라인(130e) 역시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 이외에도 에스(S)자형 구조, 톱니 형태의 구조 및 일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cutting line 130e of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3A to 13F also has an S-shaped structure and a sawtooth shape, in addition to a quadrangular waveform. Of course, it can be formed of a structure and a straight structure of.

도 14a 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의 제 9 실시 예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4b 는 도 14a 의 단면 구성도, 도 14c 는 도 14a 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14A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ninth embodiment of a flame retardant piping support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4A, and FIG. 14C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FIG. 14A.

도 14a 내지 도 14c 도시된 바와 같은 제 9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f)는 바디(110f)와 가스켓(120f) 및 절개라인(130f)의 구성면에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바디(110f)의 내경(112f)에 두께 0.1∼1mm의 파이프 형태 및 제 1 실시 예 내지 제 8 실시 예에 도시된 절개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절개라인(130f)이 형성된 금속재의 부싱재(150f)가 더 구성되는 점이 상이하다.14A to 14C,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f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FIGS. 1 to 6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110f, the gasket 120f, and the cut line 130f. Lik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ut made of the same configuration, but the pipe shape of the thickness of 0.1 to 1mm in the inner diameter 112f of the body (110f) and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It is different that the bushing material 150f of the metal material in which the cutting line 130f of the same shape as the cutting line shown in FIG. 3 is further configured.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f)의 내경(112f)에 두께 0.1∼1mm의 파이프 형태 및 절개라인(130f)이 형성된 금속재의 부싱재(150f)는 그 외경이 바디(110f)의 내경(112f)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부싱재(150f)의 외주면은 바디(110f)의 내경(112f) 내주면 상에 접착 결합된다.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bushing material 150f of the metal material having a pipe shape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 mm and an incision line 130f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112f of the body 110f has an outer diameter 112f of the body 110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material 150f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and is adhesively bon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diameter 112f of the body 110f.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f)의 내경(112f)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바디(110f)의 내경(112f) 내주면 상에 접착 결합된 부싱재(150f)는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f)를 금속 배관(30)의 외주면에 끼워 슬리브(20)의 내주면에 압입시 금속 배관(30)의 외주면과 밀착 결합되어진다. 이때, 금속 배관(30)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시 금속 배관(30)의 외주면과 부싱재(150f) 내주면 사이에는 슬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속 배관(30)의 신축작용이 합성수지재의 바디(110f) 부분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bushing material 150f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112f of the body 110f and bon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diameter 112f of the body 110f is a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f.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30 when press-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20. At this tim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etal pipe 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body 110f by allowing a slip to be mad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shing material 150f dur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etal pipe 30. ) Does not affect the part.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100)는 건축물의 슬라브(slab : 10) 공사시 두께 면에 매설된 원통 상의 합성수지재 슬리브(sleeve : 20)의 내경을 통해 설치되는 배관(30)의 외주면과 슬리브(20) 내경면 사이를 밀폐시켜 방화벽을 형성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ame 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ynthetic resin sleeve (sleeve: 20) buried in the thickness of the building slab (slab: 10) construction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30 and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sleeve 20 is sealed to form a firewall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한편, 본 발명에는 앞서의 제 1 실시 예 내지 제 9 실시 예에서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절개라인(130,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의 형태로 요철(凹凸)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in the form of incision lines 130, 130a, 130b, 130c, 130d, 130e, and 130f. hav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
110. 바디
120. 가스켓
130. 절개라인
140a, 140b. 리브
150f. 부싱재
100. Flame retardant piping support finish
110. The Body
120. Gasket
130. Incision Line
140a, 140b. live
150f. Bushing material

Claims (10)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성형하되 내경은 배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성형된 난연성 합성수지재의 바디 및 상기 바디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되 바디 외주면에 유연한 원반 형태로 상하 일정 간격으로 일체 성형된 다수의 가스켓이 구비되는 난연성 마감재가 건축물의 슬라브(slab) 공사시 두께 면에 매설된 원통 상의 합성수지재 슬리브(sleeve)의 내경을 통해 설치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상기 슬리브 내경면 사이를 밀폐시켜 방화벽을 형성하며, 상기 난연성 마감재의 재질은 실리콘 100 중량부에 난연제 55∼150 중량부와 경화제 5∼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조성된 난연성 조성물을 통해 성형되고, 성형된 상기 난연성 마감재의 바디와 가스켓의 일측에는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 상에 벌려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절개라인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개라인은 사변형 형태의 파형이 형성된 구조, 에스(S)자형 구조, 톱니 형태의 구조, 일자형 구조 및 요철 구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과 두께 0.1∼1mm의 파이프 형태 및 상기 절개라인과 동일한 형태의 절개라인이 형성된 금속재의 부싱재가 구성되어지되 금속 배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시 상기 금속 배관의 외주면과 상기 부싱재 내주면 사이에 슬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of a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ed of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e and a plurality of gaskets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in the form of a flexible disk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he flame-retardant finish is provided to form a firewall by sealin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installed throug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ynthetic resin sleeve (sleeve) embedd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 material of the flame retardant finish is molded through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 mixed in a ratio of 55 to 150 parts by weight of a flame retardant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hardener, and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gasket of the molded flame retardant finish is formed in 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 Incision in th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ope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Phosphorus is formed but the incision line is a flame-retardant pipe support finishing material made of any one of the structure of the quadrilateral waveform, S (S) -shaped structure, sawtooth structure, straight structure and uneven structur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and a bushing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ipe shape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 mm and a cutting lin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utting line are configured, bu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when stretch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metal pipe Finishing material for supporting a flame-retardant pip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p is mad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shing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27883A 2011-12-01 2011-12-01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KR101232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83A KR101232295B1 (en) 2011-12-01 2011-12-01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883A KR101232295B1 (en) 2011-12-01 2011-12-01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295B1 true KR101232295B1 (en) 2013-02-13

Family

ID=4789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83A KR101232295B1 (en) 2011-12-01 2011-12-01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63B1 (en) * 2016-02-03 2017-11-06 오강원 Support sleeve for pipel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41A (en) * 1999-11-19 2001-07-17 Hilti Ag Sealing device
KR200257189Y1 (en) * 2001-08-27 2001-12-24 우제정 Sink drainpipe odious smell prevention dragon packing
KR100717721B1 (en) * 2006-05-11 2007-05-11 제이에스전선 주식회사 One-packing composition for sealant
KR100834736B1 (en) * 2007-01-10 2008-06-05 주식회사 파세코 Bad smell interception cap for plumb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41A (en) * 1999-11-19 2001-07-17 Hilti Ag Sealing device
KR200257189Y1 (en) * 2001-08-27 2001-12-24 우제정 Sink drainpipe odious smell prevention dragon packing
KR100717721B1 (en) * 2006-05-11 2007-05-11 제이에스전선 주식회사 One-packing composition for sealant
KR100834736B1 (en) * 2007-01-10 2008-06-05 주식회사 파세코 Bad smell interception cap for plumb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63B1 (en) * 2016-02-03 2017-11-06 오강원 Support sleeve for pipe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390B1 (en)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KR101603620B1 (en) Vertical 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pipe use the same
EP3192937B1 (en) Floor cover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ilding elements, and method for their arrangement
JP2023160921A (en) Drain piping joint
KR101232295B1 (en) Flame-retardant finish plumbing support
Gumerova et al. The optimal decision of insulation in cladding structures for energy efficient buildings
KR101522564B1 (en) Joint ring for air-duct and sleeve
WO2010112851A2 (en) Pipe coupler
KR102036122B1 (en) Dry Air Duct Fixing Sleeve with Fire Fi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40082669A (en)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panel
CN104755846A (en) Floor heating system
KR101616567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heat insulation wall of apartment house
JP6300975B2 (en) Receptor-type fireproof double-layer pipe with built-in fireproof powder thermal expansion raw material
JP4949173B2 (en) Joint-proof fire-resistant composite pipe member
JP7000095B2 (en) Receptacle type fireproof double layer tube with built-in fireproof thermal expansion material
CN205712519U (en) Subsiding crack heat-preserving node structure
JP5161632B2 (en) Seismic fireproof double-layer pipe and drainage pipe system using the same
JP4811929B2 (en) Drainage collecting pipe
CN204385939U (en) A kind of power engineering cable tray through-flooring fireproof blocking system
CN208380010U (en) Underground heat, which is laid with, uses interlayer noise-proof structure
KR20160016332A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fireproof filling element which is applied in penetration department of the building
JP2659908B2 (en) Fire protection method at the penetration of fire protection compartment of fire-resistant double-layer pipe
JP747990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ower connection part, manufacturing method of collective joint, collective joint
JP7282835B2 (en) Piping structure and fittings
KR20170119130A (en) the functionality flooring of panel type and dry construction method of heating system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