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245B1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245B1
KR101232245B1 KR1020120107175A KR20120107175A KR101232245B1 KR 101232245 B1 KR101232245 B1 KR 101232245B1 KR 1020120107175 A KR1020120107175 A KR 1020120107175A KR 20120107175 A KR20120107175 A KR 20120107175A KR 101232245 B1 KR101232245 B1 KR 10123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s
resin
zeolite
install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수
정태원
Original Assignee
정태원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원,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정태원
Priority to KR102012010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05B2015/166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for lock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상기 설치케이스에 구성되는 조작부; 상기 설치케이스의 후면에 구성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문을 개폐하는 잠금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설치케이스와 조작부는, ABS수지, SAN수지, 나일론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아크릴수지, 디엔계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 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78 ∼ 82중량%와, 제오라이트 57.5 ∼ 59.5중량%, 활성화 규조토 38 ∼ 40중량%에 은 및 구리이온 2.4 ∼ 2.6중량%를 담지시켜 건조 및 분쇄하여 입도가 5 ∼ 20㎛로 형성된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 5 ∼ 10중량%와, 생광석 10 ∼ 15중량%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설치케이스와 조작부에 미세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제오라이트와 규조토를 담체로하여 제작된 무기항균제를 적용해 가공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항균작용, 탈취기능 및 내 곰팡이성 기능을 병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하는 기능을 가진 견운모 계통의 생광석을 통해 항균성, 내 곰팡이성 기능과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밀폐 보관된 물품에 항균성을 부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설치케이스와 조작부에 미세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제오라이트와 규조토를 담체로하여 제작된 무기항균제를 적용해 가공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항균작용, 탈취기능 및 내 곰팡이성 기능을 병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하는 기능을 가진 견운모 계통의 생광석을 통해 항균성, 내 곰팡이성 기능과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밀폐 보관된 물품에 항균성을 부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잠금장치는 현관문 등에 설치하여 외부인이 함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나, 침입 방지의 목적 외에도 금고나 사물함과 같은 곳의 문에 설치되어 현금이나 중요한 문서 및 여러 가지 물건을 외부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통상의 사물함의 경우, 자물쇠와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거나 손잡이에 실린더 자물쇠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손잡이와 자물쇠가 별도 구비된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실린더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열리는 불편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희박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학교 사물함, 스포츠센터, 목욕탕 등의 공공장소에서 열쇠가 없이 자기만의 비밀번호를 지정하여 사물함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다이얼식 자물쇠나, 번호식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이얼식 자물쇠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58118호" 및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60810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다이얼식 자물쇠 및 번호식 자물쇠는 제작의 용이성은 물론, 제작비용의 감소를 위하여 인체에 유해한 합성수지재를 주로 하여 만들어질 수밖에 없었다.
또한, 금고나 사물함은 물품의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밀폐 사용되는데, 상기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자물쇠가 설치된 경우, 밀폐 보관된 물품에 안 좋은 영향이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보관되는 물품이 음식이거나, 입 또는 코에 사용되는 것일 경우, 사용자의 위생에 직접적인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문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상기 설치케이스에 구성되는 조작부; 상기 설치케이스의 후면에 구성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문을 개폐하는 잠금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설치케이스와 조작부는, ABS수지, SAN수지, 나일론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아크릴수지, 디엔계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 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78 ∼ 82중량%와, 제오라이트 57.5 ∼ 59.5중량%, 활성화 규조토 38 ∼ 40중량%에 은 및 구리이온 2.4 ∼ 2.6중량%를 담지시켜 건조 및 분쇄하여 입도가 5 ∼ 20㎛로 형성된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 5 ∼ 10중량%와, 생광석 10 ∼ 15중량%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문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의 설치케이스와 조작부에 미세공극을 형성할 수 있는 제오라이트와 규조토를 담체로하여 제작된 무기항균제를 적용해 가공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항균작용, 탈취기능 및 내 곰팡이성 기능을 병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하는 기능을 가진 견운모 계통의 생광석을 통해 항균성, 내 곰팡이성 기능과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밀폐 보관된 물품에 항균성을 부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사물함에 설치된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이나 금고에 설치되어 문(1)을 단속하는 잠금장치(50)에 관한 것으로, 설치케이스(10)와, 조작부(20)와, 잠금편(30)으로 구성된다.
첫째, 설치케이스(10)는 본 발명의 설치를 위해 사물함이나 금고의 문(1)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이다.
둘째, 조작부(20)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변경 및 설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설치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면으로 돌출형성되며, 비밀번호의 용이한 선택을 위해 다이얼이나 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0)에는 RFID Tag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없이도 문을 손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카드접촉부(2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이얼이나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2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셋째, 잠금편(30)은 사용자가 조작부(2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선택함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문(1)을 개폐제어 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치케이스(10)와 조작부(20)를 무기항균제를 이용한 다기능 합성수지재로 제조함으로써, 인체의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기항균제와, 무기항균제를 이용한 합성수지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무기 항균제의 조성 및 물성
무기담체 조성식 항균성분 담지형태 이온담지량
(wt%)
입도
(㎛)
내열성
(℃)
제오라이트




규조토
Na2
Al2O3·
SiO2

비정질
SiO2



은, 구리



이온교환



2.4 ∼ 2.6



5 ∼ 20



500
∼ 700
상기 [표 2]에서와 같은 무기산화물의 이온교환은 오래전부터 알려진 현상으로서, 이와 같이 제조된 무기항균제는 미세한 공극을 갖는 3차원의 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표면적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무기항균제의 주요 담체이면서 탈취기능을 갖는 제오라이트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결정체를 기본 구조로 가지고 있다.
천연 제오라이트(Zeolite)는 1756년 스웨덴 광물학자 Baron -Crons이 처음 발견하였다. 제오라이트(Zeolite)의 어원은 제오라이트가 물속에서 끓는 현상에서, 끓는 돌이란 뜻으로 Zeolite = Zeo (Boil) + lithos (stone)로 명명하였다. 합성 제오라이트는 1940년 후반 - Union Carbide社가 설립되면서 합성 제오라이트가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제오라이트의 구조는 아래와 같은 실험식을 갖으며 실제 입체적인 구조로는 AlO4, SiO4로 사면체 구조(Tetrahedra)를 이루고 있으며 산소이온을 공유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실험식1 : M2/nO·Al2O3· ySiO2·wH2O
y = 2 ~ 10
M : 양이온
n : Cation valence (예로, Na일 경우 n=1이므로 M2/nO는 Na2O가 된다.
제오라이트 종류
종류 3A type 4A type 5A type 13X type
양이온 K Na Ca Na
공유 산소 수 8 8 8 12
공극의 크기
Pore Size(Å)
3 4 5 13
제오라이트(Zeolite)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결정체를 기본 구조로 내부에 갖고 있는 미세한 공극(孔隙)은 결정격자(Crystal Lattice) 의하여 정해지며 공극의 크기가 매우 균일하다. 제올라이트의 균일한 미세공극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분자들을 흡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자체(Moulecular Sieve)효과라고 한다.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분자체는 [표 3]에서와 같이 3Å, 4Å, 5Å의 미세한 공극(孔隙)을 가진 A type과 보다 큰 세공을 가진 X, Y type 등이 있다.
무수 제오라이트는 극성 분자에 대하여 흡착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 지는 제오라이트는 강한 흡착특성을 나타내는 Na-4A형으로 입자크기가 150 ∼ 500mesh인 것을 이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mesh인 것을 이용한다.
4A-type 제오라이트의 경우 화학식은 Na12·[(AlO2)12·(SiO2)12·XH2O이며, 가열에 의하여 무수 제오라이트가 되는 경우 4.5H2O가 떨어져 나가고, 제오라이트 골격은 빈자리를 만들어 유지된 제오라이트가 다시 공기와 접촉 산화(수화)시에는 이론상 최대 약 22%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시중의 실리카겔이나 활성알루미나와 같은 흡수제와는 달리 기공분포가 매우 균일하여 특정 크기의 분자에 대해 선택적 흡착이 가능하고, 특히, 물 분자에 대하여 탁월한 선택적 흡수 능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제오라이트의 높은 평형흡수력은 -60℃이하의 이슬점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수분흡착 용도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오라이트는 기타 다른 건조/흡수 시스템에 비해 낮은 상대습도 및 고온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흡수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Si와 Al을 주 성분으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흡수력이 뛰어남은 물론, 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흡수력 변화가 적어 국내와 같이 계절별 습도의 변화가 큰 환경에 매우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4A type의 제오라이트의 경우 Pore Size가 4.2Å이다.
그러나 전술한 제오라이트의 구조에서와 같이 양이온의 치환정도와 Al/Si의 비에 따라 공유되는 산소 수에 의하여 제오라이트의 Pore Size(공극의 크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의 무기항균제에 이용하는 제오라이트는 57.5 ∼ 59.5중량%를 혼합하게 되는데, 임계치 미만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탈취실험시 탈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활성화 규조토, 은 및 구리이온과 같은 추가 성분의 적용이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무기항균제의 담체로 사용하는 활성화 규조토는 광물질 조성물질로서 단세포 조류(藻類)인 규조의 규산질유해(硅酸質遺骸)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 90% 이상이 비정질의 실리카 (SiO2)로 되어 있어,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한 무기질이며, 표면에 무수히 작은 기공들이 존재함은 물론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가볍고, 흡습성과 단열성이 뛰어나 소성 단열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규조토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의 흡착, 여과의 역할이 가능하여 실내 공기 중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 주며,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방출로 신체 내부 깊숙히 작용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준다.
특히, 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 급증한 주변의 양이온을 흡착, 중화시킨다. 규조토의 대량의 기공성 구조는 다습할 경우에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경우에는 발산을 하여, 사람이 수면을 취하는 동안 수분의 흡수와 발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숙면을 취하게 하고, 전자파 및 각종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사람의 신체를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에서의 활성화 규조토는 150 ∼ 500mesh 사이의 것을 이용하는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mesh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활성 규조토를 150mesh미만의 제품을 이용할 경우에는 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동시에 표면에 부분적으로 뭉침현상과 더불어 표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500mesh를 초과한 제품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가공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활성화 규조토는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파 및 각종 오염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과 더불어 활성 규조토 이외의 다른 광물질을 더 적용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를 이용하여 다기능 합성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그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ABS수지, SAN수지, 나일론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ET등)수지, 아크릴수지, 디엔계(폴리부타디엔 등)수지와 같은 각종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Polymer-alloy 또는 Polymer-matrix) 78 ∼ 82중량%를 가열 및 교반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용융시켜 액상화시키고, 생광석 10 ∼ 15중량%를 30분 동안 5회에 걸쳐 분할 투입 후 60 ∼ 120분 동안 분산될 수 있도록 충분히 교반한 다음, 상술한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 5 ∼ 10중량%를 30분 동안 5회에 걸쳐 분할 투입한 후 60 ∼ 1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판상 또는 팰렛 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복합수지는 성분에 따라 78 ∼ 82중량%를 혼합하여 이용하게 되는데, 임계치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복합수지로서의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의 혼합량이 적어지게 되어 수지의 기본 특성 이외의 추가 기능을 발현하기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는 5 ∼ 10중량%를 혼합하게 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8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무기항균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복합수지에 항균기능과 탈취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항균 및 탈취 기능의 발현이 어렵게 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높은 점도를 형성해 균일한 분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생광석은 견운모 계열로서 국내 다수의 인증기관이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는 온도인 35 ∼ 4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25℃에서 NASA에서 밝힌 생체세포 활성화 효과를 갖는 4 ∼ 16㎛대의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하는 물질이다. 특히, 생체 분자운동에너지인 9.36㎛인 원적외선 파장을 중심으로 8 ∼ 12㎛대의 원적외선 파장을 강하게 방사하는 물질이다.
상기 8 ∼ 12㎛대의 원적외선 파장은 피부세포 속 40mm 깊이로 투과되어 생체세포를 활성화시켜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촉진효과를 높여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국내의 다양한 임상실험에서 검증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시킬 수 있도록 혼합하며, 이때에, 상기 생광석은 강원도 영월 소재 한국생광석광업(주)의 생광석을 이용한다.
이러한, 생광석은 150 ∼ 500mesh인 것을 이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mesh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술한 mesh의 임계치 미만의 생광석을 이용할 경우 조직의 치밀성이 저하되고 표면이 부분적으로 뭉치는 현상과 더불어 평활한 표면을 얻지 못하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미립자화된 생광석에 의해 전체적인 점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생광석은 전체 중량 대비 10 ∼ 1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만약 상기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원적외선 파장 방사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적절한 작업성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실시 예 1] - 무기항균제 제조
용기 내에 이온교환수인 증류수 21중량%를 투입하여 1800RP으로 고속교반하면서 규조토 25.11중량%를 60분 동안 총 5회에 걸쳐 분할하여 투입한 후 60 ∼ 120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서, 상기 규조토는 유화엠에스 주식회사에서 생산한 325mesh의 입자크기를 가진 것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1800RPM을 유지하면서 제오라이트 37.65중량%를 90분 동안 총 7회에 걸쳐 분할하여 투입한 후 60 ∼ 120분간 교반하여 슬러리상의 물질을 제조하였다.
이때에, 상기 제오라이트는 입자크기가 325mesh인 NA-4A type을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젖산은 1.54중량%를 이온교환수인 증류수 4.62중량%에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을 상기 제조된 슬러리상의 조성물에 30분간에 걸쳐서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하였다.
이때에, 상기 교반속도는 600RPM이었으며 젖산은은 독일의 Santa Cruz Biotechnolgy Inc.에서 제조한 화학기호식 C3H3AgO3인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일본화학산업(일)에서 제조한 초산동 2.52중량%를 이온교환수인 증류수 7.56중량%에 미리 용해시킨 수용액을 30분간에 걸쳐서 서서히 투입하면서 600RPM의 속도로 60 ∼ 120분간 교반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슬러리를 입도 100㎛인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페이스트상의 물질을 추출한 후 강제환풍식 건조로에서 수분함유량이 0.45%미만이 되도록 100 ∼ 120℃의 온도에서 8 ∼ 10시간 동안 1차 건조한 후 입자크기가 80㎛가 되도록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그런 후, 강제환풍식 건조로에서 수분함유량 0.05%미만이 되도록 100 ∼ 120℃의 온도에서 8 ∼ 100℃의 온도로 2차로 건조시킨 후 2차 분쇄하여 입도가 5 ∼ 20㎛인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1, 2차 건조단계에서 수분함량은 자동 수분함량 측정기 (Automatic Karl_Fisher Titrat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 예 2-1]
ABS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170 ∼ 180℃로 가열한다.
그런 후, ABS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생광석 15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한 후 생광석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실시 예1에서의 무기항균제 5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ABS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ABS
*생광석 : 한국생광석(주) 325mesh
[실시 예 2-2]
ABS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170 ∼ 180℃로 가열한다.
그런 후, ABS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생광석 12.5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한 후 생광석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실시 예1에서의 무기항균제 7.5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ABS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ABS
*생광석 : 한국생광석(주) 325mesh
[실시 예 2-3]
ABS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170 ∼ 180℃로 가열한다.
그런 후, ABS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생광석 10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한 후 생광석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실시 예1에서의 무기항균제 10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ABS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ABS
*생광석 : 한국생광석(주) 325mesh
[비교 예 2-1]
ABS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170 ∼ 180℃로 가열한다.
그런 후, ABS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탄산칼슘 19.2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하여 탄산칼슘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무기항균제 0.8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한 후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ABS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ABS
*무기항균제 : 기존 시판품 Cosmo사 Anbigent-20(Ag-Zn Zeolite계)
[실시 예 3-1]
PC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00 ∼ 210℃로 가열한다.
그런 후, PC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생광석 15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한 후 생광석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실시 예1에서의 무기항균제 5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PC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PC
*생광석 : 한국생광석(주) 325mesh
[실시 예 3-2]
PC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00 ∼ 210℃로 가열한다.
그런 후, PC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생광석 12.5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한 후 생광석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실시 예1에서의 무기항균제 7.5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PC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PC
*생광석 : 한국생광석(주) 325mesh
[실시 예 3-3]
PC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00 ∼ 210℃로 가열한다.
그런 후, PC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생광석 10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한 후 생광석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실시 예1에서의 무기항균제 10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하여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PC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PC
*생광석 : 한국생광석(주) 325mesh
[비교 예 3-1]
PC수지 80중량%를 가열 교반이 가능한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170 ∼ 180℃로 가열한다.
그런 후, PC수지가 용융되어 액상화되면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탄산칼슘 19.2중량%를 5회/30분으로 분할 투입하여 탄산칼슘이 충분히 분산될 수 있도록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다.
그런 후, 무기항균제 0.8중량%를 5회/30분에 걸쳐 분할 투입한 후 1 ∼ 2시간 동안 1200RPM으로 교반한 후 냉각시켜 140℃에서 판상 혹은 팰렛(Pallet)상으로 냉각 성형하여 항균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PC수지 : 한국필리펜코(주) - Dynalon? PC
*무기항균제 : 기존 시판품 Cosmo사 Anbigent-20(Ag-Zn Zeolite계)
특성 시험결과 비교표
구분
시험항목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비교예
2-1
비교예
3-1
대장균 항균시험
(24시간 후 균감소율%)
97.7 99.7 99.7 97.6 99.8 99.8 99.8 99.8
녹농균 항균시험
94.5 99.6 99.8 95.8 99.8 99.8 99.8 99.8
탈취시험(NH3)
(2시한 후 탈취율 %)
78.3 82.5 93.5 74.3 80.2 95.2 5.3 3.9
원적외선방사율
(5 ∼20㎛, 40℃/ 흑체대비)
0.918 0.905 0.901 0.915 0.907 0.902 0.835 0.852
내 곰팡이성
0 0 0 0 0 0 1 1
* 대장균 항균시험 방법 KICM-FIR-1002
* 녹농균 항균시험 방법 KICM-FIR-1002
시험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
* 탈취시험 시험방법 KICM-FIR-1085 : 2001
* 원적외선 시험방법 KICM-FIR-1005 : 2006
* 내 곰팡이성 시험방법 ASTM G-21 4주 배양시험
0 : 시험편 접종부분에 균사 발육 인지되지 않음
1 : 시험편의 발육부분 인지 면적 10%미만
2 : 시험편의 발육부분 인지 면적 10 ∼ 30%
3 : 시험편의 발육부분 인지 면적 30 ∼ 60%
4 : 시험편의 발육부분 인지 면적 60%이상
상기 특성시험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생광석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실시 예 2-1, 실시 예 3-1)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지고, 무기항균제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실시 예 2-3, 실시 예 3-3) 탈취율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와 같은 특성시험에 따르면 종래의 향균 플라스틱과 비교하더라도 항균시험(대장균 항균시험 및 녹농균 항균시험)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항균시험결과, 원적외선 방사율 비율 및 내 곰팡이성 효과에 있어서는 종래의 항균 플라스틱보다 월등히 향상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기항균제를 이용한 합성수지재로 잠금장치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밀폐보관된 물품에 항균성을 부가시켜 사용자의 위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1 : 문 10 : 설치케이스
20 : 조작부 21 : 카드접촉부
23 : 레버 30 : 잠금편
50 : 잠금장치

Claims (1)

  1. 문(1)에 설치되는 설치케이스(10);
    상기 설치케이스(10)에 구성되는 조작부(20);
    상기 설치케이스(10)의 후면에 구성되어 조작부(20)의 조작에 따라 문(1)을 개폐하는 잠금편(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설치케이스(10)와 조작부(20)는,
    ABS수지, SAN수지, 나일론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아크릴수지, 디엔계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또는 이들을 두 개 이상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수지 78 ∼ 82중량%와, 제오라이트 57.5 ∼ 59.5중량%, 활성화 규조토 38 ∼ 40중량%에 은 및 구리이온 2.4 ∼ 2.6중량%를 담지시켜 건조 및 분쇄하여 입도가 5 ∼ 20㎛로 형성된 분말형태의 무기항균제 5 ∼ 10중량%와, 생광석 10 ∼ 15중량%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잠금장치.
KR1020120107175A 2012-09-26 2012-09-26 잠금장치 KR10123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75A KR101232245B1 (ko) 2012-09-26 2012-09-26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175A KR101232245B1 (ko) 2012-09-26 2012-09-26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245B1 true KR101232245B1 (ko) 2013-02-13

Family

ID=4789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175A KR101232245B1 (ko) 2012-09-26 2012-09-26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2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300B1 (ko) * 1989-04-27 1993-09-25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도료 복합체
JPH05280230A (ja) * 1992-03-30 1993-10-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操作器
JP2002067068A (ja) 2000-08-31 2002-03-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KR101168010B1 (ko) 2012-01-27 2012-07-26 여세현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300B1 (ko) * 1989-04-27 1993-09-25 피피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도료 복합체
JPH05280230A (ja) * 1992-03-30 1993-10-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操作器
JP2002067068A (ja) 2000-08-31 2002-03-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KR101168010B1 (ko) 2012-01-27 2012-07-26 여세현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939B1 (ko) 접착성이 향상된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CN102138569A (zh) 一种稀土类复合抗菌剂及其应用
KR1016106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와 그 제조방법
KR101224006B1 (ko) 의자 및 책상 부재용 다기능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54945B1 (ko) 맥반석을 함유한 합성수지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1851400B (zh) 电气石抗菌海绵及其制备方法
KR102209315B1 (ko) 미네랄 난연 조성물로 난연 처리된 친환경 부직포를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9921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살균장치
KR20140117910A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9249A (ko) 건축 내외장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2245B1 (ko) 잠금장치
KR20010103109A (ko)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US2024003467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co-friendl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using agricultural waste of lignocellulose-containing herbaceous plants and mineral binder, and eco-friendly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buildings thereof
KR20160061723A (ko)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0042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8010B1 (ko)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221634B1 (ko) 도어 판넬
KR101213227B1 (ko) 펜트레이가 구비된 서랍장
KR101185161B1 (ko) 탈취 및 제습 기능을 가진 탈취/제습제의 제조방법
KR100801555B1 (ko) 건축물 마감용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7415B1 (ko) 천연 게르마늄을 포함한 친환경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122326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함유하고 편백추출액으로 코팅된 건축용 마감재
WO2006025642A1 (en) Anion-emitting salt shape
CN105060868A (zh) 饮茶伴侣陶瓷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