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039B1 -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 Google Patents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039B1
KR101231039B1 KR1020100110518A KR20100110518A KR101231039B1 KR 101231039 B1 KR101231039 B1 KR 101231039B1 KR 1020100110518 A KR1020100110518 A KR 1020100110518A KR 20100110518 A KR20100110518 A KR 20100110518A KR 101231039 B1 KR101231039 B1 KR 10123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ozzle body
nozzle
channel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987A (ko
Inventor
최경현
당현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0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03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갖는 노즐 바디와, 상기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 바디 내로 주입된 잉크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채널과, 상기 노즐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채널 상을 흐르는 잉크를 대전시키기 위한 내부전극, 및 상기 노즐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대전된 잉크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노즐 바디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FLUID CIRCULATING TYPE ELECTROSTATIC INK-JET NOZZLE}
본 발명은 정전기 유도 증착 방식에 의한 인쇄에 적용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술은 종이나 옷감에 잉크를 인쇄하거나 기판에 도전성 잉크를 인쇄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고집적화 경향에 따라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기판의 회로패턴 또한 보다 미세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미세화된 회로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잉크젯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잉크젯 기술의 일 예로서 정전기 유도증착 방식을 들 수 있다. 정전기 유도 증착 방식은 잉크젯 헤드에 정전기장을 형성시켜 대전된 잉크 입자들을 기판의 특정 영역 위에 증착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잉크를 분사시키기 위한 잉크젯 노즐에 오리피스(모세관)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미세한 인쇄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다. 잉크젯 노즐은 일반적으로 잉크 수용을 위한 공간의 아래쪽에 오리피스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잉크젯 노즐에 오리피스를 적용하는 경우, 오리피스의 직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잉크젯 노즐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잉크젯 노즐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잉크젯 노즐이 파손되거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토출되는 잉크의 유량 또한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 순환을 통해 잉크젯 노즐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 노즐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 순환형 노즐을 적층하여 멀티 노즐의 형성이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갖는 노즐 바디와, 상기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 바디 내로 주입된 잉크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채널과, 상기 노즐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채널 상을 흐르는 잉크를 대전시키기 위한 내부전극, 및 상기 노즐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대전된 잉크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노즐 바디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을 개시한다.
상기 잉크주입구 및 잉크배출구는 상기 노즐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노즐 바디의 전면(front surface)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노즐 바디를 덮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바디의 후면에는 잉크 주입용 튜브 및 잉크 배출용 튜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잉크주입구 및 상기 잉크배출구는 상기 노즐 바디의 중앙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노즐 바디의 중앙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채널은 상기 잉크주입구로부터 상기 오리피스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채널과, 상기 오리피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잉크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은 상기 노즐 바디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 바디의 외부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은 팁을 갖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니들(needle)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서로 적층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노즐 바디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는 잉크주입구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는 잉크배출구와, 상기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바디 내로 주입된 잉크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채널과, 상기 채널 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채널 상을 흐르는 잉크를 대전시키기 위한 내부전극, 및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대전된 잉크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노즐 바디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을 흐르는 잉크 중 일부는 오리피스로 배출시키고 나머지는 순환하게 형성한 구조를 통해 잉크젯 노즐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순환 구조가 적용된 잉크젯 노즐을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멀티 노즐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멀티 노즐을 하나의 잉크주입라인 및 배출라인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 바디로부터 내부전극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내부의 잉크 순환 과정을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 바디로부터 내부전극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은 노즐 바디(110), 채널(120), 내부전극(130), 및 오리피스(140)를 포함한다.
노즐 바디(110)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외관을 형성하며, 잉크를 분사하기 전 잉크를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노즐 바디(110)는 잉크 주입을 위한 잉크주입구(111)와, 잉크 배출을 위한 잉크배출구(112)를 구비한다. 잉크주입구(111)와 잉크배출구(112)는 노즐 바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 가능하며, 잉크주입구(111)와 잉크배출구(112)는 노즐 바디의 중앙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잉크주입구(111)와 잉크배출구(112)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채널(120)은 잉크주입구(111)와 잉크배출구(112)를 연결하며, 노즐 바디(110) 내로 주입된 잉크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한다. 채널(120)은 노즐 바디(110)의 전면(front surface)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 가능하며, 잉크주입구(111) 및 잉크배출구(112)는 채널(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전극(130)은 그 일단이 채널(120) 상에 위치하도록 노즐 바디(110)에 설치되며, 채널(120)을 흐르는 잉크를 대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내부전극(130)은 잉크젯 노즐 외부의 외부전극(미도시)와 함께 정전기장을 형성한다. 내부전극(130)에 양극이 인가되고, 외부전극에 음극이 인가되면, 잉크 내부의 도전 입자들이 양극으로 대전되며, 내부전극(130)과 외부전극 사이의 정전기장에 의해 잉크의 토출이 유도되게 된다.
내부전극(130)은 일단에 팁(tip, 131), 즉, 뾰족한 끝을 갖는 도전성 시트(sheet)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내부전극(130)의 재질로서 실버, 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팁 구조는 정전기장의 전기 에너지의 크기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내부전극(130)은 노즐 바디(110)의 전면 중앙 부분에 형성된 고정홈(115)에 삽입된다. 그리고, 내부전극(130)의 팁(131) 부분은 채널(1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내부전극(130)의 타단은 노즐 바디(110)의 외부까지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전선 등에 의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오리피스(140)는 내부전극(130)에 의해 대전된 잉크 중 적어도 일부를 노즐 바디(110)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노즐 바디(110)의 외부와 채널(120)을 관통하도록 노즐 바디(110)에 형성된다. 미세한 인쇄 패턴의 형성을 위해 오리피스(140)의 직경을 수 마이크로미터로 형성할 수 있다.
오리피스(140)는 노즐 바디(110)의 중앙 하단, 즉, 내부전극(130)의 팁(131) 바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오리피스(140)의 일측에는 내부전극(130)의 팁(131) 근방을 지지하는 지지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잉크주입구(111) 및 잉크배출구(112)가 노즐 바디(110)의 상부 좌우 영역에 형성되고, 오리피스(140)가 노즐 바디(11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경우, 채널(120)은 잉크주입구(111)로부터 오리피스(140)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채널(121)과, 오리피스(140)의 위치로부터 잉크배출구(112)까지 연장되는 제2채널(12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노즐 바디(110)의 전면에는 노즐 바디(110)를 덮는 커버(150)가 설치된다. 커버(150)의 설치에 따라, 노즐 바디(110) 전면의 잉크주입구(111), 잉크배출구(112), 채널(120), 내부전극(130)이 커버(150)에 의해 덮혀지게 된다.
노즐 바디(110)의 후면(rear surface)에는 잉크 주입용 튜브와 잉크 배출용 튜브가 설치된다. 잉크 주입용 튜브와 잉크 배출용 튜브는 각각 잉크주입구(111) 및 잉크배출구(11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노즐 바디(110)의 전면에 커버(150)를 설치하고, 노즐 바디(110)의 후면에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노즐 바디(110) 전후면을 밀봉시킬 수 있다.
도 3은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내부의 잉크 순환 과정을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잉크의 진행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잉크주입구(111)를 통해 노즐 바디(110) 내부로 주입된 잉크는 제1채널(121)을 따라 오리피스(140)의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오리피스(14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내부전극(130)의 팁(131) 부분이 위치하고 있는바, 내부전극(130)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잉크 내부의 도전 입자들이 대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전된 잉크 중 일부는 오리피스(140)를 통해 노즐 바디(110)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내부전극(130)과 외부전극 사이에 의해 형성된 정전기장에 의해 잉크의 토출이 유도되게 된다. 이 때, 타겟(예를 들어, 기판)을 잉크젯 노즐과 외부전극 사이에 위치시키면, 잉크 액적이 타겟 위로 증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채널(120)를 흐르는 잉크 중 일부는 오리피스(14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나머지는 제2채널(122)을 따라 잉크배출구(112)를 향해 흐르게 된다. 잉크배출구(112)에 도달한 잉크는 잉크 배출용 튜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잉크 주입용 튜브와 잉크 배출용 튜브는 하나의 잉크 공급 장치에 연결되어 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잉크 배출용 튜브를 통해 배출된 잉크를 다시 노즐 바디(110)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노즐 바디(110) 내의 잉크가 채널(120) 상을 흐르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바, 노즐 바디(110)에 과부하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내부전극(130')의 구성을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내부전극(130)이 도전성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의 도시와 같이 니들(needle) 형태의 내부전극(13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니들 형태의 내부전극(130') 또한 노즐 바디(110)에 형성된 고정홈(115')에 삽입 고정되며, 내부전극(130)의 단부, 즉 니들 끝은 오리피스(140)의 입구 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젯 노즐의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구성의 노즐 바디(210)를 적층되게 배열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동시에 복수의 인쇄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멀티 노즐의 구현이 가능하다.
각 노즐 바디(210)에 형성된 잉크주입구(211), 잉크배출구(212), 채널(220), 및 내부전극(230)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노즐 바디(210) 각각에 형성된 잉크주입구(211)는 서로 연통되며, 노즐 바디(210) 각각에 형성된 잉크배출구(212) 또한 서로 연통되게 된다.
복수의 노즐 바디(210)는 어느 하나의 노즐 바디(110)의 전면이 다른 노즐 바디(110)의 후면을 향하도록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각 노즐 바디(110)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잉크주입구(211) 및 잉크배출구(212)가 관통 구조를 갖는 바, 잉크주입구(211) 및 잉크배출구(212)의 연통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노즐 바디(210) 중 전단에 위치한 노즐 바디(210)의 전면에는 커버(25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노즐 바디(210) 중 후단에 위치한 노즐 바디(210)의 후면에는 잉크 주입용 튜브와 잉크 배출용 튜브가 설치되게 된다.
잉크 주입용 튜브의 잉크는 서로 연통된 잉크주입구(211)를 통해 각 노즐 바디(21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으며, 각 노즐 바디(210)의 채널(220)을 흐르는 잉크는 각 노즐 바디(210)의 잉크배출구(212)를 거쳐 잉크 배출용 튜브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따르면, 유체 순환형 멀티 노즐을 하나의 잉크주입라인 및 배출라인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갖는 노즐 바디;
    상기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노즐 바디 내로 주입된 잉크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채널;
    상기 노즐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채널 상을 흐르는 잉크를 대전시키기 위한 내부전극; 및
    상기 노즐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대전된 잉크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노즐 바디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주입구 및 상기 잉크배출구는 상기 노즐 바디의 중앙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노즐 바디의 중앙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주입구 및 잉크배출구는 상기 노즐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노즐 바디의 전면(front surface)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노즐 바디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의 후면에는 잉크 주입용 튜브 및 잉크 배출용 튜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잉크주입구로부터 상기 오리피스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1채널; 및
    상기 오리피스의 위치로부터 상기 잉크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2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상기 노즐 바디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 바디의 외부까지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팁을 갖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니들(needle)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10. 서로 적층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노즐 바디;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는 잉크주입구;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는 잉크배출구;
    상기 잉크주입구와 잉크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 바디 내로 주입된 잉크가 흐르는 공간을 제공하는 채널;
    상기 노즐 바디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채널 상을 흐르는 잉크를 대전시키기 위한 내부전극; 및
    상기 노즐 바디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대전된 잉크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노즐 바디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주입구 및 상기 잉크배출구는 상기 각 노즐 바디의 중앙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각 노즐 바디의 중앙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주입구 및 잉크배출구는 상기 노즐 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채널은 상기 노즐 바디 각각의 전면(front surface)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바디 중 전단에 위치한 노즐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노즐 바디를 덮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 바디 중 후단에 위치한 노즐 바디의 후면에는 잉크 주입용 튜브 및 잉크 배출용 튜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KR1020100110518A 2010-11-08 2010-11-08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KR10123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518A KR101231039B1 (ko) 2010-11-08 2010-11-08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518A KR101231039B1 (ko) 2010-11-08 2010-11-08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87A KR20120048987A (ko) 2012-05-16
KR101231039B1 true KR101231039B1 (ko) 2013-02-07

Family

ID=4626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518A KR101231039B1 (ko) 2010-11-08 2010-11-08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406B1 (ko) * 2014-06-30 2016-06-07 문원하 유공판을 갖는 3d 프린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505A (ja) * 1995-09-13 1997-03-25 Toshib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128980A (ja) * 1996-11-05 1998-05-19 Nec Niigata Ltd 静電式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149983A (ja) 1997-11-11 1998-06-02 Canon Inc コード読み取り方法
JPH1110885A (ja) * 1997-06-25 1999-01-19 Hitachi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記録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6505A (ja) * 1995-09-13 1997-03-25 Toshib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0128980A (ja) * 1996-11-05 1998-05-19 Nec Niigata Ltd 静電式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10885A (ja) * 1997-06-25 1999-01-19 Hitachi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記録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49983A (ja) 1997-11-11 1998-06-02 Canon Inc コード読み取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87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5551B (zh) 喷墨头以及喷墨记录装置
US10589536B2 (en) Liquid ejecting module
CN107901609B (zh) 流体流动结构和打印头
CN103442894B (zh) 打印头组件
CN101489794B (zh) 打印头模块中的埋入式加热器及打印头本体
CN103660568B (zh) 液体喷射头及液体喷射装置
EP1221374A3 (en) Ink-jet printhead having hemispherical ink cha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36600A (ko) 정전기력을 이용하는 인쇄 시스템
CN101152789B (zh) 液体喷射设备
CN109130505A (zh) 液体喷出头
KR101231039B1 (ko)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US7163280B2 (en) Ink-jet head,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ink-jet head
CN103129141A (zh) 喷墨印刷头
KR101191284B1 (ko) 유체 순환형 정전기력 잉크젯 노즐
US10875321B2 (en) Fluid ejection devices to dispense fluid of different sizes
CN117261437A (zh) 一种基于偏转电极的阵列化电流体喷印装置及喷印方法
KR20040108457A (ko) 압전방식 잉크젯 프린터헤드와 제조방법
WO2023040924A1 (zh) 一种无提取电极的阵列化电流体喷头
CN101491972B (zh) 液体喷射头和记录设备
CN101746133A (zh) 液体喷头以及液体喷出装置
US8070258B2 (en) Inkjet head
KR100915376B1 (ko) 정전기력을 이용한 매트릭스형 도전성 액체 토출 시스템
KR101274009B1 (ko) 적층형 멀티 노즐 정전기력 잉크젯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전기력 기반 잉크 분무 시스템
KR101097171B1 (ko) 정전기력 잉크젯 헤드
CN115209636A (zh) 应用于pcb或fpc字符喷印设备的内循环高速喷印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