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922B1 -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922B1
KR101230922B1 KR1020100129795A KR20100129795A KR101230922B1 KR 101230922 B1 KR101230922 B1 KR 101230922B1 KR 1020100129795 A KR1020100129795 A KR 1020100129795A KR 20100129795 A KR20100129795 A KR 20100129795A KR 101230922 B1 KR101230922 B1 KR 10123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nutes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817A (ko
Inventor
하경윤
Original Assignee
하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경윤 filed Critical 하경윤
Priority to PCT/KR2010/00908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74921A2/ko
Publication of KR2011007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을 억제하며 아토피 피부염를 예방 및 치유할 수 있도록 보습기능과 항균기능은 물론 피부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꿀에 넣어서 80도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3번 반복한 하수오 11~15 중량%와, 쌀뜨물에 넣어서 80도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2번 반복한 당귀 15~21 중량%와, 매실엑기스에 24시간 침지한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우유에 넣어서 80도에 90분간 가열한 산사 5~7 중량%와, 5분간 볶은 두충 0.5~1 중량%와, 지렁이 11~15 중량%와, 잔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ATOPIC DERMATITIS RELAX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을 억제하며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및 치유할 수 있도록 보습기능과 항균기능은 물론 피부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인 원인 등으로 인하여 주로 각질층내의 세라마이드(ceramides)의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서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가 건조되어 각질이 쉽게 일어나는 알레르기성 질환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의 면역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극유발물질이 각질층 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키고 정상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하원 단백질이 침입함에 따라 견디기 힘들만큼의 간지러움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는 심하게 긁게 되면 습진, 켈로이드(keloid) 현상이 수반되고 심한 각질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면역계 결핍, 환경적인 요인, 활성산소에 의한 과산화지질의 생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의 감염 등 복합적인 작용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피부를 청결히 하여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고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하여 건조화로 부터 피부를 지키기 위하여 부족한 세포간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를 공급하며 각질층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물리적 자극을 피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래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처방은 공지의 세라마이드, 리롤레인산, 식물유 또는 광물성 오일 등의 성분들, 아이드로코티손과 같은 스테로이드제제 또한 특정의 식물추출물을 일반적인 유화제품의 처방에 함유시키거나 인지질 성분인 레시틴을 이용하여 리포좀 형태로 만들어 피부 각질층에 공급함으로써 보습효과 및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막을 만들어주고 세균오염 등을 막아주기 위해 항균, 항염 기능의 성분을 강화한 피부외용제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장시간 바르면 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은 표피의 성장억제나 부작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고, 우레아 퍼록사이드 등은 피부의 자극성과 또 다른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항생물질은 내균성의 발생과 광과민 작용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에 유효한 조성물도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효과가 미미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의 수분손실에 의한 건조화를 방지하여 표피조직이 각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피부 보습효과와, 피부에 오염된 세균을 없애주며 오염을 방지하는 항균효과 및 피부를 재생시킬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은 꿀에 넣어서 80도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3번 반복한 하수오 11~15 중량%와, 쌀뜨물에 넣어서 80도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2번 반복한 당귀 15~21 중량%와, 매실엑기스에 24시간 침지한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우유에 넣어서 80도에 90분간 가열한 산사 5~7 중량%와, 5분간 볶은 두충 0.5~1 중량%와, 지렁이 11~15 중량%와, 잔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율무 5~7 중량부와, 마 5~7 중량부와, 세신 5~7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제조 방법은 하수오 뿌리를 꿀에 넣은 상태에서 80도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3번 반복하는 하수오준비단계와, 당귀를 쌀뜨물에 넣어서 80도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2번 반복하는 당귀준비단계와, 매실엑기스에 천궁을 24시간 침지하여 매실엑기스에 적신 천궁을 준비하는 천궁준비단계와, 모과를 일정한 크기로 썰어 준비하는 모과준비단계와, 산사를 우유에 넣은 상태에서 80도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산사준비단계와, 두충을 불에 5분간 볶는 두충준비단계와, 상기 하수오 11~15 중량%와, 당귀 15~21 중량%와,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산사 5~7 중량%와, 두충 0.5~1 중량%에 지렁이 11~15 중량%와, 잔량의 설탕을 밀폐용기에 넣어 밀폐시키는 밀폐단계와, 상기 밀폐단계의 밀폐용기를 60~80도의 물에서 15~20분간 가열하여 살균시켜 냉각시키는 살균단계와, 상기 살균된 밀폐용기를 2~4도의 온도에서 100일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발생하는 건조화에 의한 각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습효과를 상승시키고 세균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효과 및 피부보호를 위한 오일막을 더 형성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치유 및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은 하수오 11~15 중량%와, 당귀 15~21 중량%와,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산사 5~7 중량%와, 두충 0.5~1 중량%와, 지렁이 11~15 중량%와, 잔량의 설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율무 5~7 중량부와, 마 5~7 중량부와, 세신 5~7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 하수오는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로 강장제, 강정제, 완화제로 사용하며 고름을 흡수시키는 것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하수오를 방부제 역할을 하며 과실의 보존등에 사용되는 꿀에 넣어서 80도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3번 반복함으로써, 상기 하수오를 젤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피를 생성해주는 보혈작용과 피를 원할하게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 및 항암효과로 혈압강하작용이 강하여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하는 당귀를 쓴맛을 제거하고 성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쌀뜨물에 넣어서 80도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2번 반복하여 당귀 또한 젤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진정, 진통, 간장 효능이 있는 방향성 식물인 천궁을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이 풍부하고 해독작용이 뛰어난 매실엑기스에 24시간 침지하여 매실엑기스가 스며들게 한다.
한편, 유기산이 많으며 신진대사를 좋게 하는 모과를 썰며, 소화를 촉진할 수 있는 산사를 우유에 넣어서 80도에 90분간 가열하여 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음습증을 다스리는 나무껍질인 두충을 5분간 볶아 섬유질을 파쇄하고 환형동물로 기름을 보습제인 화장품에 사용하는 지렁이와 각 원료의 변질을 방지하고 성분을 추출할 수 있도록 설탕과 섞는다.
이때, 진통, 진경, 강장작용을 하는 율무와, 강장, 강정, 지사제로 사용하는 마와, 진정, 진통, 항염증, 면역억제작용을 하는 세신을 더 추가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제조 방법은 원료 준비단계(S110), 밀폐단계(S120), 살균단계(S130) 및 숙성단계(S140)를 포함한다.
1) 원료 준비단계
원료 준비단계(S110)에서는
하수오 뿌리를 꿀에 넣은 상태에서 80도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3번 반복하는 하수오준비단계(S111)와,
당귀를 쌀뜨물(used water from washing rice)에 넣어서 80도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2번 반복하는 당귀준비단계(S112)와,
매실엑기스에 천궁을 24시간 침지하여 매실엑기스에 적신 천궁을 준비하는 천궁준비단계(S113)와,
모과를 일정한 크기로 썰어 준비하는 모과준비단계(S114)와,
산사를 우유에 넣은 상태에서 80도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산사준비단계(S115)와,
두충을 불에 5분간 볶는 두충준비단계(S116)로 이루어진다.
2) 밀폐단계
밀폐단계(S120)에서는 준비된 원료 하수오 11~15 중량%와, 당귀 15~21 중량%와,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산사 5~7 중량%와, 두충 0.5~1 중량%에 지렁이 11~15 중량%와, 잔량의 설탕을 혼합한 후, 부패 방지를 위하여 밀폐용기에 넣어 밀폐시킨다.
3) 살균단계
살균단계(S130)에서는 밀폐단계(S120)를 거친 밀폐용기를 원료의 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60~80도의 물에서 15~20분 정도 가열하여 살균시켜 냉각시킨다.
4) 숙성단계
숙성단계(S140)에서는 살균된 밀폐용기를 2~4도의 온도에서 100일간 숙성시키되 상기 숙성방법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에 넣어 숙성하지만 땅에 묻어 두는 것도 바람직하리라 판단된다.
이와 같이 숙성된 원료는 도포하기 좋도록 액상으로 변하게 되어 항균, 보습, 피부보호의 작용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치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또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하수오 뿌리를 꿀에 넣은 상태에서 80℃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3번 반복한 하오수와, 당귀를 쌀뜨물에 넣어서 80℃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2번 반복한 당귀와, 매실엑기스에 천궁을 24시간 침지하여 매실엑기스에 적신 천궁과, 대략 3cm의 크기로 썰은 모과와, 우유에 넣은 상태에서 80℃에서 90분간 삶고 식힌 산사와, 불에 5분간 볶은 두충을 준비하였다.
이후, 하수오 16g, 당귀 19g, 천궁 7g, 모과 14g, 산사 6g, 두충 1g, 지렁이 14g 및 설탕 23g을 대기 중의 공기가 차단되는 밀폐용기 내에 넣은 후, 상기 밀폐용기 내에서 2일간 보관하였다.
이후, 상기 밀폐용기를 60℃의 물에서 15~20분간 가열하는 것으로 살균시켜 냉각시킨 후, 살균된 밀폐용기를 3℃의 온도에서 100일간 숙성시키는 것에 의하여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밀폐용기 내에 율무 5g, 마 6g, 세신 5g을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밀폐용기 내에 하수오를 첨가하지 않은 대신 설탕 39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밀폐용기 내에 당귀 및 천궁을 첨가하지 않은 대신 설탕 49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밀폐용기 내에 모과 및 산사를 첨가하지 않은 대신 설탕 43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테스트
아토피 피부 질환이 있는 1 ~ 20세로 구성된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0명씩 5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각 그룹별로 실시예 1,2와 비교예 1,2,3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하루 3회씩 4주간 환부에 바르도록 한 후, 상기 4개의 그룹을 경력 7년차의 의사 (A)가 1주 단위로 진료하도록 하였다.
이때, 진료 척도 및 진료 결과에 대해서는 표 1 및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각 그룹별 환자들의 연령대 및 성비는 유사한 수준으로 조절하였음.)
[표 1]
Figure 112010083392932-pat00001
[표 2]
Figure 112010083392932-pat00002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환부에 바른 그룹 1, 2의 경우, 1주가 경과한 후에 측정한 결과에서는 비교예 1,2,3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환부에 바른 그룹 3,4,5에 비하여 개선 효과가 미미하였으나, 3주차부터는 그룹 3,4,5와 비교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확연히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그룹 2가 그룹 1에 비하여 미미한 차이기는 하나, 약간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2,3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을 환부에 바른 그룹 3,4,5의 경우, 4주가 경과한 후에도 보통 수준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만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꿀에 넣어서 80℃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3번 반복한 하수오 11~15 중량%와, 쌀뜨물에 넣어서 80℃에서 90분간 가열하는 것을 2번 반복한 당귀 15~21 중량%와, 매실엑기스에 24시간 침지한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우유에 넣어서 80℃에 90분간 가열한 산사 5~7 중량%와, 5분간 볶은 두충 0.5~1 중량%와, 지렁이 11~15 중량%와, 19~41.5 중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율무 5~7 중량부와, 마 5~7 중량부와, 세신 5~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3. 하수오 뿌리를 꿀에 넣은 상태에서 80℃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3번 반복하는 하수오준비단계와,
    당귀를 쌀뜨물에 넣어서 80℃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것을 2번 반복하는 당귀준비단계와,
    매실엑기스에 천궁을 24시간 침지하여 매실엑기스에 적신 천궁을 준비하는 천궁준비단계와,
    모과를 썰어 준비하는 모과준비단계와,
    산사를 우유에 넣은 상태에서 80℃의 온도에서 90분간 삶고 식히는 산사준비단계와,
    두충을 불에 5분간 볶는 두충준비단계와,
    상기 하수오 11~15 중량%와, 당귀 15~21 중량%와, 천궁 5~7 중량%와, 모과 11~15 중량%와, 산사 5~7 중량%와, 두충 0.5~1 중량%에 지렁이 11~15 중량%와, 19~41.5 중량%의 설탕을 밀폐용기에 넣어 밀폐시키는 밀폐단계와,
    상기 밀폐단계의 밀폐용기를 60~80℃의 물에서 15~20분간 가열하여 살균시켜 냉각시키는 살균단계와,
    상기 살균된 밀폐용기를 2~4℃의 온도에서 100일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129795A 2009-12-18 2010-12-17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9089 WO2011074921A2 (ko) 2009-12-18 2010-12-17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7555 2009-12-18
KR1020090127555 2009-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817A KR20110070817A (ko) 2011-06-24
KR101230922B1 true KR101230922B1 (ko) 2013-02-07

Family

ID=4440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795A KR101230922B1 (ko) 2009-12-18 2010-12-17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9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494B1 (ko) * 2004-04-22 2005-08-31 (주) 파마코디자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한 추출물 및 조성물
KR20060118809A (ko) * 2005-05-17 2006-11-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494B1 (ko) * 2004-04-22 2005-08-31 (주) 파마코디자인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한 추출물 및 조성물
KR20060118809A (ko) * 2005-05-17 2006-11-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817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6283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霜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20070095588A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N105267092A (zh) 一种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71348B (zh) 富含天然产物提取成分的美白保湿除皱面霜及其制备方法
KR20170029143A (ko) 유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717757B1 (en) Composition and method to treat and prevent muscle cramping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7465B1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323978A (zh) 一种祛妊娠纹复方精油
KR20110071713A (ko) 모발용 천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CN104644535A (zh) 洗发沐浴粉
KR100597997B1 (ko) 허브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582783B (zh) 一种防治过敏性鼻炎的鼻腔隔离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230922B1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8708B1 (ko) 스킨로션 및 그 제조방법
CN104490702B (zh) 以植物提取物为防腐杀菌添加剂的草本面膜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CN107441340B (zh) 一种消肿止痛止痒滋养皮肤的手足皴裂膏及其制备方法
KR20020019716A (ko)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456567A (zh) 一种防裂消肿修复滋润的足跟膏及其制备方法
KR20190050387A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바디워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