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905B1 -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905B1
KR101230905B1 KR1020110067915A KR20110067915A KR101230905B1 KR 101230905 B1 KR101230905 B1 KR 101230905B1 KR 1020110067915 A KR1020110067915 A KR 1020110067915A KR 20110067915 A KR20110067915 A KR 20110067915A KR 101230905 B1 KR101230905 B1 KR 10123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irtual engine
vehicle
mass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087A (en
Inventor
박재현
이봉호
이문석
윤기수
임지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905B1/en
Publication of KR2013000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차량에서 가상으로 엔진 소리를 발생시키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마운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마운팅 부위에 특정주파수로 공진하는 다이나믹 댐퍼를 갖춘 금속 부시를 적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마운팅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금속 부시의 다이나믹 댐퍼 효과로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실내 유입음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for virtually generating engine sounds in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etal bush having a dynamic damper that resonates at a specific frequency to a mounting portion of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there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mount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flowing into the room. The dynamic damper effect reduces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and, in turn, provides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significantly lower indoor intake.

Description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Device for mounting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of the vehicle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차량에서 가상으로 엔진 소리를 발생시키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마운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ount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for virtually generating engine sounds in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챠량 및 전기 차량에는 고객과 보행자의 안전을 배려한 여러 가지의 첨단 사양, 예를 들면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irtual Engine Sound System;VESS)과 같은 첨단 사양을 추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Most of the recent hybrid and electric vehicles that are being introduced are adding a number of advanced specifications that consider the safety of customers and pedestrians, such as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VESS). to be.

보통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차량의 EV 모드 주행과 같은 저소음 주행 시의 경우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매우 낮은 관계로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들이 차량 접근을 인지하는데 문제가 된다. In the case of low noise driving, such as EV mode driving of a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the noise generated by the vehicle is very low, and thus it is a problem for pedestrians, especially blind people, to recognize the vehicle approach.

이를 위해, 최근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 차량에는 가상의 엔진음과 경고음을 차외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여, 보행자들이 차량 접근을 쉽게 인식하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을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0)이라 한다. To this end, in recent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virtual engine sounds and warning sounds are reproduced through out-of-vehicle speakers to help pedestrians easily recognize vehicle access, and such a technology can be seen in FIG. It is referred to as a sound system 100.

예를 들면, 시속 20㎞ 이하의 저속 주행 시 엔진의 동작없이 모터로만 주행이 가능한 EV 주행모드의 특성상 자칫 보행자들이 차량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대비하여 차량에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많이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For example, pedestrians may not recognize the vehicle approaching the vehicle when driving at low speeds of 20 km / h or less because of the EV driving mode. It is a trend that is being introduced.

현재 적용 중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음 특색은 순음(삐~삐~삐~)과 엔진 사운드를 모사한 합성음(웅~웅~웅~)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sound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currently being applied a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pure sound (beep ~ beep ~ beep ~) and synthesized sound (woong ~ ung ~ woong) that simulates the engine sound.

한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음원 선정도 중요하지만, 현재 양산 또는 개발 중인 차량에서 차량의 외부로 방사되는 음은 보행자에게 인지가 뚜렷하게 되어야 하지만, 실내 운전자에게는 최소한만 들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the sound source selection is important, but the sou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the current mass production or development of the vehicle should be clear to pedestrians, but it is desirable to make the minimum to the indoor driver.

이를 위하여, 현재 전기 차량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실내 투과음 과다로 마운팅 부위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부시(110)와 러버 부시(1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칼라 부시(130)를 적용하여 소음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2, a color bush 130 made of a combination of a metal bush 110 and a rubber bush 120 is applied to a mounting portion due to excessive indoor transmission sound of an electric vehicl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It is focusing on noise reduction.

예를 들면, 도 3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음 관련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칼라 부시를 적용했을 때의 차외음과 실내유입음의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For example, FIG. 3 is a graph showing test results related to sound of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and shows distribution of in-vehicle and in-door sound when a color bush is applied.

즉, 스피커 마운팅 부위의 절연구조 추가(칼라 부시) + 음원 튜닝 + 게인(Gain) 증대(51→55)를 통해 차외 인지성이 증대됨을 알 수 있고, 제어로직 변경(주행시만 VESS음 발생 : 2∼20kph)으로 소음의 실내 유입을 개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recognition of the vehicle is increased by adding the insulation structure of the speaker mounting part (color bush) + sound source tuning + gain (51 → 55), and changing the control logic (VESS sound only when driving: 2 -20 kph), it can be seen that the indoor inflow of noise is improved.

여기서, 굵은선 그래프만 보았을 때 200, 500, 1200Hz의 순음이 방사되며, 실내로 200Hz 음은 손실없이(5dB 개선) 유입된다. Here, the pure sound of 200, 500, 1200Hz is radiated when only the thick line graph is viewed, and 200Hz sound is introduced into the room without loss (5dB improvement).

그러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칼라 부시만으로 저감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는 등 여전히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noise flowing into the room from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with only the color bushes, and there is still a need for improve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마운팅 부위에 특정주파수로 공진하는 댐퍼부를 갖춘 금속 부시를 적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마운팅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금속 부시의 다이나믹 댐퍼 효과로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실내 유입음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by applying a metal bush having a damper portion resonating at a specific frequency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a new that can reduce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flowing into the ro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reduce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due to the dynamic damper effect of the metal bush, and can significantly lower indoor inf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마운팅 부위에 함께 장착되는 것으로서, 동심원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의 금속 부시와 외측의 러버 부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금속 부시에는 부시 본체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서 일체로 수직 연장되는 댐퍼부가 구비되고, 상기 댐퍼부는 VESS 음에 대해 공진하여 댐퍼기능을 수행하면서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of a vehicl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gether in a mounting portion of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and is a combination of an inner metal bush and an outer rubber bush that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concentrically. In particular, the metal bush is provided with a damper portion integrally verticall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bush body, the damp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reduce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while performing a damper function by resonating to the VESS sound have.

여기서, 상기 댐퍼부는 질량역할을 하는 매스부와 상기 매스부의 하단과 부시 본체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강성역할을 하는 목부로 구성할 수 있다. Here, the damper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mass portion that plays a role of mass and a neck portion that plays a rigid role whil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mass and the lower end of the bush body.

그리고, 상기 금속 부시의 댐퍼부에 있는 매스부의 질량이나 목부의 두께를 튜닝하여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에 대해 공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tune the mass of the mass portion or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in the damper portion of the metal bush to resonate with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특히, 상기 금속 부시에 구비되는 댐퍼부의 경우, 서로 다른 질량의 매스부를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하여, 여러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amper portion provided in the metal bush,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mass portions of different masses, so as to reduce the sound of various specific frequency band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마운팅장치의 금속 부시에 구비되어 있는 댐퍼부의 공진에 따른 다이나믹 댐퍼 효과로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실내로 투과되는 VESS 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can be reduced by the dynamic damper effect due to the resonance of the damper part provided in the metal bush of the mounting apparatus, and thus, the VESS sound transmitted to the room can be reduced.

예를 들면, 200Hz로 튜닝한 본 발명의 마운팅장치를 적용하였을 경우, 동대역에서 실내 유입음을 10dB 정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r example, if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uned to 200Hz is appli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indoor inlet sound by about 10dB in the same band.

둘째, 마운팅장치의 금속 부시에 구비되어 있는 댐퍼부의 매스부 질량이나 목부 두께 등을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2개 이상의 음원을 조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주파수대역의 실내 유입음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by implementing a variety of mass and neck thickness of the damper portion provided in the metal bush of the mount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o reduce the indoor inlet sound of various frequency bands, such as to adjust two or more sound sources.

도 1은 차량에 장착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칼라 부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음 관련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적용했을 때의 음 관련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photograph show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ed on a vehicl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color bush)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test results related to the sound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est results related to sound when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장치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을 장착한 차량에서 실내로 투과되는 음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서, 금속 부시(11)에 특정한 형상을 부여하여 장착상태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reducing sound transmitted to a room from a vehicle equipped with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It plays a role of reducing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flowing into the system.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운팅장치는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내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금속 부시(11)와 러버 부시(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부시(11)로는 체결용 볼트가 관통되고, 상기 러버 부시(12)에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 예를 들면 스피커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To this end, the mounting apparatus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metal bush 11 and a rubber bush 12 which are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and fitted into and outward, and the fastening bolt is penetrated by the metal bush 11. The rubber bush 12 is coupled to and supported by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for example, a bracket for supporting a speaker.

여기서, 상기 금속 부시(11)의 부시 본체(13)는 러버 부시(12)의 중심홀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하우징 부분과 러버 부시(12)의 한 쪽 단면에 밀착되는 원판형의 플레이트 부분의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Here, the bush body 13 of the metal bush 11 is an integral type of a cylindrical housing portion fitted into the center hole of the rubber bush 12 and a disc shaped plat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of the rubber bush 12. It consists of.

특히, 상기 금속 부시(11)는 부시 본체(13)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서부터 일체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댐퍼부(14)를 포함하며, 이때의 댐퍼부(14)는 VESS 음에 대해 공진하면서 댐퍼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metal bush 11 includes a damper portion 14 which is integrally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bottom edge of the bush body 13, wherein the damper portion 14 is a damper function while resonating with respect to the VESS sound. It will play a role.

즉, 상기 댐퍼부(14)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의 음을 받아 자체적으로 진동하면서 이때의 특정주파수의 음을 댐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the damper unit 14 receives the sound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and vibrates itself, thereby damping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at this time.

이러한 댐퍼부(14)는 소정의 사각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질량역할을 하는 매스부(15)와, 부시 본체(13)의 가장자리와 매스부(15)의 하단 사이에 일체 연결되면서 매스부(15)를 지지하는 강성역할의 가느다란 목부(16)로 구성된다. The damper portion 14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s a mass portion 15 serving as a mass, and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edge of the bush body 13 and the lower end of the mass portion 15. It consists of a thin neck 16 of the rigid role supporting the.

이에 따라, 상기 매스부(15)는 VESS 음을 그 전체 면적을 통해 받으면서 목부(16)를 지지점으로 하여 앞뒤로 움직이거나, 좌우로 틀어지면서 공진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이때의 공진에 의해 VESS 음이 흡수되면서 실내로 투과되는 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mass unit 15 may resonate back and forth with the neck 16 as a support point, or be twisted from side to side while receiving the VESS sound through its entire area. As it is absorbed,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room can be reduc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마운팅장치는 매스부(15)의 크기와 질량 및 목부(16)의 치수 등으로 다양한 주파수의 음에 대해 다이나믹 댐퍼 작용을 할 수 있게 되고, 또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음원에 대해서도 다이나믹 댐퍼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mount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cting as a dynamic damper for the sound of various frequencies by the size and mass of the mass portion 15 and the dimensions of the neck portion 16, and to the sound source of two or more frequency bands. Dynamic dampers can also be used.

예를 들면, 상기 매스부(15)의 크기나 질량을 튜닝하거나, 목부(16)의 유효길이(두께)를 튜닝하여 특정주파수에서 공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이나믹 댐퍼 효과로 특정음을 줄어들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by tuning the size or mass of the mass portion 15 or by tuning the effective length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16 to resonate at a specific frequency, the specific sound can be reduced by the dynamic damper effect. have.

여기서, 상기 매스부 및 목부의 튜닝과 관련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대해 매스부의 크기나 질량, 그리고 목부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면서 수차례의 반복적인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특정주파수에 맞는 매스부의 크기와 질량, 목부의 두께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튜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in relation to the tuning of the mass and the neck, a mass that fits to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several repeated calibrations while varying the size or mass of the mass and the thickness of the neck for various frequency bands. Tuning can be accomplished by setting the size, mass, and thickness of the neck.

예를 들면, 아래의 식 1을 이용하여 특정주파수에 대해 매스부(15)의 질량(m)과 목부(16)의 강성(k)을 조절해가는 방법으로 튜닝을 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using Equation 1 below, the mass (m) of the mass portion 15 and the stiffness (k) of the neck portion 16 can be tuned for a specific frequency.

Figure 112011052517039-pat00001
-----(1)
Figure 112011052517039-pat00001
-----(One)

여기서, fn은 고유주파수이고, τn은 주기이고, ωn은 고유진동수이고, k는 목부 강성이고, m은 매스부 질량을 나타낸다. Where fn is the natural frequency, τn is the period, ωn is the natural frequency, k is the neck stiffness, and m is the mass mass.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금속 부시(11)의 댐퍼부(14)를 복수로 구성하여,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을 줄일 수 있는 예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ample in which the damper portion 14 of the metal bush 11 is configured in plural to reduce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부시(11)의 부시 본체(13)에는 매스부(15)의 크기 및 질량, 그리고 목부(16)의 두께가 다른 2개의 댐퍼부(14)가 구비되어 2개의 음원, 즉 2개의 특정주파수의 음에 대한 댐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 5, the bush body 13 of the metal bush 11 includes two damper portions 14 having different sizes and masses of the mass portions 15 and thicknesses of the neck portions 16. It is provided so that the damper effect on the two sound sources, that is, the sound of two specific frequencies can be made.

즉, 상기 2개의 댐퍼부(14)가 각기 다른 해당 주파수의 음에 대해 공진을 하면서 음을 감쇠시키게 되므로서, 2개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VESS 음의 실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two dampers 14 attenuate the sound while resonating to the sound of different frequencies,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indoor inflow of the VESS sound having two frequency bands.

이때, 상기 부시 본체(13)에 구비되는 2개의 댐퍼부(14)는 각자에게 전해지는 음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시 본체(13)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비 대칭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two dampers 14 provided in the bush main body 13 are asymmetrical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hile follow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sh main body 13 to minimize the negative interference transmitt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n a structure.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부시(11)의 부시 본체(13)에는 매스부(15)의 크기 및 질량, 목부(16)의 두께가 각자 다른 3개의 댐퍼부(14)가 구비되어 3개의 특정주파수의 음에 대한 댐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bush body 13 of the metal bush 11 includes three damper portions 14 having different sizes and masses of the mass portions 15 and thicknesses of the neck portions 16. There is provided a damper action for the sound of three specific frequencies.

즉, 상기 3개의 댐퍼부(14)가 각기 다른 해당 주파수의 음에 대해 공진을 하면서 음을 감쇠시키게 되므로서, 3개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VESS 음의 실내 유입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three dampers 14 attenuate the sound while resonating the sound of different frequencies,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indoor inflow of the VESS sound having three frequency bands.

여기서, 상기 부시 본체(13)에 3개의 댐퍼부(14)가 구비되는 경우, 이때의 3개의 댐퍼부(14)는 각자에게 전해지는 음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시 본체(13)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180°의 각도를 이루는 대칭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three dampers 14 are provided in the bush main body 13, the three dampers 14 at this time is the bush main body 13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interference transmitted to each It is preferable to arrange in a symmetrical structure forming an angle of 180 ° along the circumference of.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마운팅장치의 설치구조와 댐퍼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looking 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damper action of the mounting apparatus is configured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댐퍼부(14)가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태의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댐퍼부(14)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의 설치상태에 따라 여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7, an example in which the damper portion 14 is disposed vertically upward is shown here, and the damper portion 14 is directed in various direction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It may be arranged to.

마운팅장치의 러버 부시(12)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을 지지하게 되고, 금속 부시(11)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패널에 체결되며, 이에 따라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은 러버 부시(12)의 탄력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패널측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e rubber bush 12 of the mounting apparatus supports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and the metal bush 11 is fastened to the panel by bolts and nuts, whereby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is connected to the rubber bush ( 12) can be installed on the panel side while receiving the elastic support.

그리고, 상기 금속 부시(11)의 부시 본체(13)로부터 일체 형성되는 댐퍼부(14)는 수직으로 연장 위치되고,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에서 전해지는 음에 대해 가상의 이점쇄선과 같이 공진되면서 댐퍼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서, 이때의 VESS 음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The damper portion 14 integrally formed from the bush body 13 of the metal bush 11 is vertically extended and resonates with a virtual dashed line with respect to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As the damper function is performed, the VESS sound can be attenuated at this tim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를 적용했을 때의 음 관련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8 is a graph showing test results related to sound when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초기의 솔리드 마운팅, 이보다 개선된 칼라부시, 그리고 본 발명의 마운팅장치의 VESS 음 감쇠효과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8, here we show the initial solid mounting, an improved collarbush, and the VESS sound attenuation effect of th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그래프는 200Hz로 튜닝한 마운팅장치, 즉 댐퍼부(14)를 적용하였을 경우로서, 동 대역에서 실내 유입음이 10dB 정도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8 shows that the mounting apparatus tuned at 200 Hz, that is, the damper unit 14, is applied, and the room inflow sound is improved by about 10 dB in the same ban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과 마운트되었을 시에 특정주파수로 공진하여 다이나믹 댐퍼 작용을 통해 특정음을 줄일 수 있는 마운팅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특정주파수의 음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a specific sound through a dynamic damper by resonating with a specific frequency when mounted with a virtual engine sound system, thereby reducing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flowing into the room. There is this.

10 :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11 : 금속 부시
12 : 러버 부시 13 : 부시 본체
14 : 댐퍼부 15 : 매스부
16 : 목부
10: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1: metal bush
12: rubber bush 13: bush body
14 damper portion 15 mass portion
16: neck

Claims (5)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10)의 마운팅 부위에 함께 장착되는 것으로서,
동심원상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의 금속 부시(11)와 외측의 러버 부시(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부시(11)에는 부시 본체(13)의 하단 가장자리 일측에서 일체로 수직 연장되는 댐퍼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댐퍼부(14)는 VESS 음에 대해 공진하여 댐퍼기능을 수행하면서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
As mounted together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10,
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inner metal bush 11 and the outer rubber bush 12 to be fitted concentrically coupled to the metal bush 11, the damper extending integrally vertically from one side of the lower edge of the bush body 13 The unit (14) is provided, wherein the damper unit (14) resonates with respect to the VESS sound to perform the damper function while reducing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of the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14)는 질량역할을 하는 매스부(15)와 상기 매스부(15)의 하단과 부시 본체(13)의 하단을 연결하면서 강성역할을 하는 목부(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er portion 14 is a mass portion 15 to the mass role and the neck portion 16 to the rigid role whil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mass portion 15 and the lower end of the bush body 13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시(11)의 댐퍼부(14)는 매스부(15)의 질량이나 목부(16)의 두께를 튜닝하여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에 대해 공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
The damper part 14 of the metal bush 11 can be tuned to the mass of the mass part 15 or the thickness of the neck part 16 to resonate with the sound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시(11)에 구비되는 댐퍼부(14)는 서로 다른 질량의 매스부(15)를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여러 특정주파수 대역의 음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mper portion 14 provided in the metal bush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ving a mass portion 15 of different ma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ound of several specific frequency bands Virtual engine sound system mounting apparatus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시(11)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댐퍼부(14)는 부시 본체(13)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대칭 구조 또는 비 대칭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 마운팅장치. The virtual engine sound of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dampers 14 provided in the metal bush 11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or non-symmetrical structure while followi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sh body 13. System mounting device.
KR1020110067915A 2011-07-08 2011-07-08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KR101230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15A KR101230905B1 (en) 2011-07-08 2011-07-08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15A KR101230905B1 (en) 2011-07-08 2011-07-08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87A KR20130006087A (en) 2013-01-16
KR101230905B1 true KR101230905B1 (en) 2013-02-15

Family

ID=4783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915A KR101230905B1 (en) 2011-07-08 2011-07-08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90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9038U (en) 1984-10-31 1986-05-27
KR20080025250A (en) * 2006-09-15 2008-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mount structure of exhaust pipe and muffler for vehicle
KR20080052751A (en) * 2006-12-08 200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sonance noise reducing link for a vehicle
JP4393664B2 (en) 1999-12-14 2010-01-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Dynamic damp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9038U (en) 1984-10-31 1986-05-27
JP4393664B2 (en) 1999-12-14 2010-01-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Dynamic damper
KR20080025250A (en) * 2006-09-15 2008-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ont mount structure of exhaust pipe and muffler for vehicle
KR20080052751A (en) * 2006-12-08 2008-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sonance noise reducing link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87A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388B2 (en) In-car audio system
JP2011057000A (en) Acoustic resonance device
US7410208B2 (en) Package tray of vehicles and reinforcing structure thereof
JPH0850489A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JP2004166064A (en) Inner panel and speaker
JP5499460B2 (en) Duct and vehicle structure
KR101230905B1 (en) Device for mounting VESS of vehicle
US9079547B2 (en) Mounting structure of woofer for vehicle
CN109660912B (en) Vehicle-mounted sound box and automobile
JP7098404B2 (en) Fender soundproof material and fender soundproof structure
EP3477629B1 (en) Vehicle loudspeaker system and vehicle structure comprising such loudspeaker system
JP6445171B2 (en) Speaker system for moving body and moving body
JP4403581B2 (en) Upper back structure with automobile speaker
CN216269110U (en) Anticollision roof beam assembly and vehicle that has it
CN110985249A (en) Engine sound wave conduction device
JPH10203254A (en) On-vehicle door speaker system
KR100887849B1 (en) Speaker assembly of door for vehicles
US11636838B2 (en) Soundproof member
JP6011312B2 (en) Resonator, an in-vehicle intake system component
KR101406403B1 (en) A prevention apparatus vibration for rear package tray for vehicle
JP2015000690A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window glass of automobile
KR10086225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ibrating of speaker of automobile
JPS6374726A (en) Power unit supporting device for vehicle
KR100580700B1 (en) Vibration reduction structure for package tray of vehicle
KR100559897B1 (en) roll rod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