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02B1 -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 Google Patents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02B1
KR101229602B1 KR1020100105969A KR20100105969A KR101229602B1 KR 101229602 B1 KR101229602 B1 KR 101229602B1 KR 1020100105969 A KR1020100105969 A KR 1020100105969A KR 20100105969 A KR20100105969 A KR 20100105969A KR 101229602 B1 KR101229602 B1 KR 101229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pter
release lever
pressure
land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602A (ko
Inventor
조정준
이정선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8Operating mechanisms
    • B64C25/22Operating mechanism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4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fore-and-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oy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착륙장치의 상부에 착륙장치용 완충장치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동작되는 내추락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헬기의 추락착륙시 착륙장치가 안전하게 동체내로 붕괴되도록 하여 착륙장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착륙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피팅(main fitting)과, 상기한 메인 피팅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피팅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 상승하게 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록레버(lock lever)와, 상기한 록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록레버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될때 파괴되는 쉬어핀(shear pin)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지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링크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레버(release lever)와, 일단은 착륙장치의 드래그 스테이(drag stay)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링크 받침부에 의해 록킹되어 있는 디태치 링크(detach 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crashworthiness device for landing gear of the helicopter}
이 발명은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착륙장치의 상부에 착륙장치용 완충장치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동작되는 내추락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헬기의 추락착륙시 착륙장치가 안전하게 동체내로 붕괴되도록 하여 착륙장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헬기(회전익기)는 헬리콥터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서, 로터(rotor)라고 불리우는 날개를 회전시켜서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형식의 항공기를 가리킨다. 상기한 헬기는 형태에 따라 하나의 주회전익과 하나의 꼬리회전익을 갖는 단식 주회전익 헬기와, 두개의 주회전익을 가지는 탠덤 헬기, 두개의 좌우 주회전익을 가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헬기, 두개의 회전익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반전 헬기, 두개의 주회전익이 동축을 이용하여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동축반전형 헬기,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장치를 부착한 복합형 헬기, 양쪽 날개에 배치된 회전익을 비행중에 기울일 수 있는 틸트 로터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헬기의 하부에는 착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착륙장치가 설치되며, 군사규격에서는 상기한 착륙장치의 에너지 흡수능력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헬기는 착륙장치에 내추락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운행상황으로 인하여 수직 하강속도 6.1m/s 이상의 속도로 추락 착륙하게 되는 경우에 착륙장치에 의한 2차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격량이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힘에 의해서 착륙장치가 기체를 뚫고 들어오게 됨으로써 헬기 내부의 조종사 또는 승무원의 부상을 야기하게 되거나,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격량이 경사방향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착륙장치의 드래그 스테이가 파손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륙장치의 상부에 착륙장치용 완충장치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동작되는 내추락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헬기의 추락착륙시 착륙장치가 안전하게 동체내로 붕괴되도록 하여 착륙장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착륙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피팅(main fitting)과, 상기한 메인 피팅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피팅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 상승하게 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록레버(lock lever)와, 상기한 록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록레버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될때 파괴되는 쉬어핀(shear pin)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지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링크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레버(release lever)와, 일단은 착륙장치의 드래그 스테이(drag stay)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링크 받침부에 의해 록킹되어 있는 디태치 링크(detach 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헬기가 정상운행시에, 상기한 록레버가 릴리즈 레버의 지지부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릴리즈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릴리즈 레버의 링크 받침부가 디태치 링크를 록킹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록레버가 릴리즈 레버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록레버가 릴리즈 레버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는 롤러(roll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링크받침부는 J자형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헬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추락하게 되면, 메인 피팅의 내부 작동유 압력이 정상상태보다 급격하게 증가하게 됨으로써, 피스톤의 압력이 과도하게 가해지게 되어 쉬어핀을 파손시킴으로써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릴리즈 레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디태치 링크가 메인 피팅으로부터 분리되고 나면 드래그 스테이가 접혀지게 되면서 착륙장치가 동체내로 붕괴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착륙장치의 상부에 착륙장치용 완충장치의 내부의 압력에 의해서 동작되는 내추락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헬기의 추락착륙시 착륙장치가 안전하게 동체내로 붕괴되도록 하여 착륙장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헬기의 추락착륙시 착륙장치가 기체를 뚫고 나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헬기의 추락착륙시 착륙장치가 파손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착륙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정상상태일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정상상태일 경우의 착륙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내부압 상승상태일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내부압 상승상태일 경우의 착륙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디태치링크 분리상태일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디태치링크 분리상태일 경우의 착륙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의 디태치링크가 분리되고 나서 착륙장치가 동체내로 붕괴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의 디태치링크가 분리되고 나서 착륙장치가 동체내로 완전히 붕괴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착륙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정상상태일 경우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내부압 상승상태일 경우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9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가 디태치링크 분리상태일 경우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3, 도 4, 도 6,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의 구성은, 착륙장치(8)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피팅(7)과, 상기한 메인 피팅(7)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피팅(7)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 상승하게 되는 피스톤(3)과, 상기한 피스톤(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록레버(2)와, 상기한 록레버(2)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록레버(2)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될때 파괴되는 쉬어핀(1)과,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지지부(52)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링크받침부(53)가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레버(5)와, 상기한 록레버(2)가 릴리즈 레버(5)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록레버(2)가 릴리즈 레버(5)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는 롤러(4)와, 일단은 착륙장치(8)의 드래그 스테이(8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걸림부(6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릴리즈 레버(5)의 링크 받침부(53)에 의해 록킹되어 있는 디태치 링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릴리즈 레버(5)의 링크받침부(53)는 J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헬기가 정상운행도중에, 록레버(2)가 릴리즈 레버(5)의 지지부(52)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릴리즈 레버(5)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릴리즈 레버(5)의 링크 받침부(53)가 디태치 링크(6)를 록킹하도록 한다. 도 5는 이와 같이 릴리즈 레버(5)의 링크 받침부(53)가 디태치 링크(6)를 붙잡아 주고 있는 경우의 착륙장치(8)의 모습을 보여준다.
헬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추락하게 되면, 메인 피팅(7)의 내부 작동유 압력이 정상상태보다 급격하게 증가하게 됨으로써, 피스톤(3)의 압력이 과도하게 가해지게 된다. 상기한 피스톤(3)의 과도한 압력은 록레버(2)를 통하여 쉬어핀(1)에 전달되어, 쉬어핀(1)을 파손시키게 된다. 도 7은 이와 같이 메인 피팅(7)의 내부 작동유 압력이 상승상태일 경우의 착륙장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쉬어핀(1)이 파손되면, 마찰접촉을 저하시키는 롤러(4)의 작용에 의해 록레버(2)가 릴리즈 레버(5)의 지지부(52)를 따라 위로 이동하여 지지부(52)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릴리즈 레버(5)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릴리즈 레버(5)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릴리즈 레버(5)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링크 받침부(53)가 디태치 링크(6)를 받쳐 주지 않게 됨으로써 디태치 링크(6)가 메인 피팅(7)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9는 이와 같이 디태치 링크(6)가 분리상태일 경우의 착륙장치(8)의 모습을 보여준다.
디태치 링크(6)가 메인 피팅(7)으로부터 분리되고 나면 착륙장치(8)의 드래그 스테이(81)가 접혀지게 되면서 착륙장치(8)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동체내로 붕괴된다. 도 10은 디태치 링크(6)가 분리되고 나서 착륙장치(8)가 동체내로 붕괴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11은 착륙장치(8)가 동체내로 완전히 붕괴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착륙장치(8)가 동체내로 붕괴되고 나면 추락착륙시 착륙장치(8)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착륙장치(8)가 기체를 뚫지 않게 되며, 또한 착륙장치(8)가 파손되지도 않는다.
1 : 쉬어핀 2 : 록레버
3 : 피스톤 4 : 롤러
5 : 릴리즈 레버 6 : 디태치 링크
7 : 메인 피팅 8 : 착륙장치

Claims (5)

  1. 착륙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피팅(main fitting)과,
    상기한 메인 피팅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 피팅의 내부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경우에 상승하게 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록레버(lock lever)와,
    상기한 록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록레버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될때 파괴되는 쉬어핀(shear pin)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지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링크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레버(release lever)와,
    일단은 착륙장치의 드래그 스테이(drag stay)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링크 받침부에 의해 록킹되어 있는 디태치 링크(detach 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헬기가 정상운행시에, 상기한 록레버가 릴리즈 레버의 지지부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릴리즈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릴리즈 레버의 링크 받침부가 디태치 링크를 록킹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록레버가 릴리즈 레버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록레버가 릴리즈 레버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하는 롤러(roll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링크받침부는 J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헬기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추락하게 되면, 메인 피팅의 내부 작동유 압력이 정상상태보다 급격하게 증가하게 됨으로써, 피스톤의 압력이 과도하게 가해지게 되어 쉬어핀을 파손시킴으로써 상기한 릴리즈 레버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릴리즈 레버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디태치 링크가 메인 피팅으로부터 분리되고 나면 드래그 스테이가 접혀지게 되면서 착륙장치가 동체내로 붕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KR1020100105969A 2010-10-28 2010-10-28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KR101229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969A KR101229602B1 (ko) 2010-10-28 2010-10-28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969A KR101229602B1 (ko) 2010-10-28 2010-10-28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02A KR20120044602A (ko) 2012-05-08
KR101229602B1 true KR101229602B1 (ko) 2013-02-04

Family

ID=4626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969A KR101229602B1 (ko) 2010-10-28 2010-10-28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217B1 (ko) * 2016-10-31 2018-04-19 현대위아 주식회사 헬리콥터 착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669B1 (en) 1999-06-15 2001-11-20 Aerospatiale Airbus Aircraft comprising a landing gear with controlled detachmen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US7575193B2 (en) 2005-05-12 2009-08-18 Eurocopter Anti-crash method and system, an undercarriage, and an aircraft
EP2179921A2 (en) 2008-10-22 2010-04-28 Goodrich Corporation Shrinking shock strut system for retractable landing ge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669B1 (en) 1999-06-15 2001-11-20 Aerospatiale Airbus Aircraft comprising a landing gear with controlled detachmen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US7575193B2 (en) 2005-05-12 2009-08-18 Eurocopter Anti-crash method and system, an undercarriage, and an aircraft
EP2179921A2 (en) 2008-10-22 2010-04-28 Goodrich Corporation Shrinking shock strut system for retractable landing g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217B1 (ko) * 2016-10-31 2018-04-19 현대위아 주식회사 헬리콥터 착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02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0097B2 (en) Multifunction device for an undercarriage
US9334042B2 (en) Device for protecting a rotorcraft against a pyramid-shaped structure for carrying a load
US10189557B2 (en) Passenger aircraft with a downwardly foldable wing tip device
CN105314105B (zh) 可收放机翼的复合式多旋翼飞行器
US10513348B2 (en) Support for a radio equipment of an aircraft, radio system and aircraft
US10005559B2 (en) Crash-resistant aircraft and crash-resistant control method
KR101229602B1 (ko) 헬기의 압력파괴형 내추락장치
US8561945B2 (en) Skid-type landing gear for a helicopter
ES2668445T3 (es)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 un sistema de tren de aterrizaje
KR101288898B1 (ko) 무인항공기의 랜딩기어 시스템
US8523104B2 (en) Method and a rotary wing aircraft that are optimized so as to minimize the consequences for the occupants of said aircraft of an off-specification emergency landing
US20190168882A1 (en) Rotary-wing aerodyne with parachute
EP2838793A1 (en) Parachute rescue system
US20130146706A1 (en) Method and a rotary wing aircraft optimized for minimizing the consequences of a running off-specification emergency landing
US2362804A (en) Rotary wing for aircraft
CN105173082A (zh) 一种重装空投出机安全机构
US9821907B2 (en) Inflatable wing for rotary-wing aircraft
RU2765197C1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KR20110067289A (ko) 추락시 조종석 침범 방지를 위한 헬리콥터 보조 착륙장치
CN102923302A (zh) 一种直升机柔性连接旋转升力翼
CN205598644U (zh) 螺旋桨式航模飞机自动应急着陆机构
KR101850217B1 (ko) 헬리콥터 착륙장치
CN205633025U (zh) 一种动力翼直升飞机
CN205602144U (zh) 固定翼航模伞降机构
CN109927888A (zh) 一种防坠毁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